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주남습지 지역의 육상 곤충상

        안수정,박정규,Ahn, Soo-Jeong,Park, Chung-Gyoo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2

        경남의 대표적 습지인 주남습지를 구성하는 주남저수지, 동판저수지, 산남저수지와 인근의 인공 연꽃단지에서 2010년 5월부터 10월까지 육상 곤충상을 조사하고 군집특성을 분석하였다. 네 곳에서 총 12목 85과 268종, 5,730개체가 조사되었다. 조사된 종 수는 딱정벌레목 63종, 나비목 60종, 노린재목 37종 순이었다. 총 조사된 곤충 수에 대한 목별 개체수의 비율은 딱정벌레목 25.9%, 잠자리목 22.3%, 나비목과 메뚜기목이 각각 15.4%와 12.7% 이었다. 조사 저수지별로는 주남저수지에서 175종, 동판저수지에서 197종, 산남저수지에서 154종이 조사되어 비슷한 양상을 보였으나 인공 연꽃단지에서는 86종이 조사되었다. 조사된 4곳의 곤충상을 요약하면 딱정벌레목에서는 일본잎벌레, 잠자리목에서는 고추잠자리, 나비목에서는 네발나비가 우점종이었다. 조사 전(全) 기간에 대한 종다양성 지수를 분석한 결과, 우점도 지수는 인공 연꽃단지가 0.25로 가장 높았고 주남저수지가 0.08로 가장 낮았다. 다양도 지수는 주남저수지가 4.48, 동판저수지가 4.44, 산남저수지가 4.28, 인공 연꽃단지가 3.87로 모두 높은 편이었다. 각 습지의 곤충상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주남저수지와 동판저수지의 유사도가 0.96으로 가장 높았으며, 세 곳 저수지와 인공 연꽃단지의 유사도는 0.45~0.53으로 낮은 편이었다. Terrestrial insect fauna was surveyed in the Junam wetland area, which consists of the Junam, Dongpan, and Sannam wetlands, by visual counting and pictures. A sweep net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y to October 2010. A neighburing artificial lotus wetland was also surveyed for comparison. A total of 5,730 insects were surveyed, representing 268 species in 85 families and 12 orders. Sixty-three species of coleopterans were surveyed, followed by 60 species of Lepidoptera, and 37 species of Hemiptera. Coleopteran individuals were 25.9% of the total insect numbers surveyed, comprising most abundant group. This was followed by Odonata, Lepidoptera, and Orthoptera at 22.3%, 15.4%, and 12.7%, respectively. In total, 197 species were surveyed in the Dongpan wetland, 175 in the Junam wetland, and 154 species in the Sannam wetlands. However, only 86 species were surveyed in the artificial lotus wetland. Galerucella nipponensis in Coleoptera, Crocothemis servilia mariannae in Odonata, and Polygonia c-aureum in Lepidoptera were the most abundant in all four wetlands. Community analyses showed that the dominance index was highest in the artificial lotus wetland at 0.25 and lowest in Junam wetland at 0.08. Diversity indices were relatively high in all wetlands at 4.48, 4.44, 4.28, and 3.87 in Junam, Dongpan, Sannam, and the artificial lotus wetland, respectively. The insect fauna similarity index was highest in the Junam and Dongpan wetlands at 0.96. The lotus wetland showed the lowest similarity of the three wetlands with values of 0.45-0.53.

      • KCI등재

        Diversity of Insect Fauna in Junam Wetland of Korea

        안수정,카시나스 칠루왈,최성환,박정규,Ahn, Soo Jeong,Chiluwal, Kashinath,Choi, Sung Hwan,Park, Chung Gyoo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6 No.2

        주남 습지대($6.02km^2$) 곤충상의 다양도, 우점도, 풍부도 등을 습지대 내 3곳의 습지에서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육안조사와 쓸어잡기는 2010년, 말레이즈 트랩 조사는 2011년, 유아등 조사와 함정트랩 조사는 2012년에 실시하였다. 총 14목(目) 141과(科) 574종(種)의 9,269 개체 (딱정벌레목 36.3%, 나비목 21.3%, 잠자리목 13.9%)가 조사되었다. 종수(種數)로 비교해 보면, 나비목이 31.2%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딱정벌레목(28.0%) 노린재목(12.9%) 순이었다. 우점종(총 조사개체에 대한 각 종의 개체수 비율)은 애넓적물땡땡이(Enochrus simulans, 7.9%), 꼬마줄물방개(Hydaticus grammicus, 4.3%), 일본잎벌레(Galerucella nipponensis, 4.1%), 연물명나방(Elophila interruptalis, 3.1%), 양봉꿀벌(Apis mellifera, 2.2%) 순이었다. 세 곳의 습지에서 조사된 딱정벌레목, 나비목, 잠자리목 곤충의 수는 매우 많았지만 세 습지 간에 차이는 없었다. 주남 습지대의 곤충다양도(H'), 풍부도(RI)는 각각 5.04, 59.10이었다. A sampling survey was conducted at three reservoirs of Junam wetland ($6.02km^2$) in Korea to identify the wetland insect fauna along with their dominance, diversity, richness and evenness. Methods of monitoring were visual inspection and sweeping in 2010, Malaise trapping in 2011, light trapping and pitfall trapping in 2012. In total, 9,269 individuals (36.3% coleopterans, 21.3% lepidopterans and 13.9% odonates) were collected, belonging to 574 species, 141 families and 14 orders. For the number of species, lepidopterans shared the highest (31.2%), followed by coleopterans (28.0%) and hemipterans (12.9%). Dominant species were Enochrus simulans (Coleoptera) (7.9% of total individuals) followed by Hydaticus grammicus (Coleoptera) (4.3%), Galerucella nipponensis (Coleoptera) (4.1%), Elophila interruptalis (Lepidoptera) (3.1%) and Apis mellifera (Hymenoptera) (2.2%). Total counts of coleopterans, lepidopterans and odonates in the three reservoirs were quite high, but the cou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reservoirs. Insect diversity index (H') and richness index (RI) of the Junam wetland were 5.04 and 59.10, resp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단감 잎을 가해하는 새로운 나방류 해충 3종 보고

        김성연,김정민,장미연,장신애,박정규,Kim, Sung Yeon,Kim, Jeong-Min,Jang, Miyeon,Jang, Sin Ae,Park, Chung Gyoo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4 No.2

        경남 창원과 진주의 농약 무살포 및 유기농 단감원에서 단감 잎을 가해하는 해충을 조사한 결과 국내에서 단감 해충으로 기록되지 않은 3종을 채집 동정하였다. 동정된 종은 가을뒷노랑밤나방, 푸른빛집명나방, 감잎가는나방(신칭)이었다. 이들의 채집기록, 형태, 기주와 간단한 생태를 조사하여 보고한다. We report three lepidopteran insect pests of non-astringent persimmon leaf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Hypocala deflorata (Noctuidae), Teliphasa elegans (Pyralidae), and Cuphodes diospyrosella (Gracillariidae). Larvae of these species were collected from an organic farming or abandoned persimmon orchard in Changwon and Jinju cities, Gyeongnam province, and reared for the identification in the laboratory. Some information, such as collection records, hosts, simpl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cology were introduced for each species.

      • KCI등재

        A New Disinfestation Approach Against Some Greenhouse Pests Using Ethyl Formate Fumigation

        권태형,정인홍,이병호,박정규,Kwon, Tae-Hyung,Jeong, In-Hong,Lee, Byung-Ho,Park, Chung Gyoo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201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8 No.4

        에틸포메이트는 살충 효과가 빠르고 환경에 무해하며 특히 인축독성이 낮아 검역용 훈증제로 등록되어 있다. 이러한 에틸포메이트를 이용하여 훈증 챔버 (0.275 ㎥) 내에서 4종의 농업 해충 (오이총채벌레, 담배가루이, 복숭아혹진딧물, 점박이응애)과 4종의 작물 (참외, 오이, 토마토, 고추) 유묘기를 대상으로 12시간 훈증 처리하여 약효와 약해를 평가하였다. 에틸포메이트 1.5 g/㎥의 약량으로 12시간 훈증 했을 때 담배가루이와 복숭아혹진딧물은 93.3% 이상의 높은 살충력를 나타내었으나, 점박이응애는 2.0 g/㎥ 약량에서도 20% 미만의 낮은 살충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에틸포메이트의 CT값(농도×시간)이 훈증 처리 온도 20 ± 1.5℃에서 8.9 g·h/㎥ 이상일 때 점박이응애를 제외한 나머지 3종의 해충에 대해서 90% 이상의 살충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에틸포메이트 1.5 g/㎥의 약량으로 상기 4작물을 12시간 훈증했을 때 약해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에틸포메이트 훈증기술은 시설 내 해충방제를 위한 새로운 방식이 될 수 있으며 관행적인 살충제의 사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해충의 충태별, 작물의 생육 시기별 에틸포메이트 약효 및 약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Ethyl formate (EF) is a rapid kill, environmentally safe, and low mammalian toxicity fumigant, registered to disinfest quarantine insect pests from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A new concept for controlling insect pests of agricultural crops was tested in a fumigation chamber with EF. Control efficacy of and phyto-toxicity due to EF fumigation were evaluated against four pests (Thrips palmi, Bemisia tabaci, Myzus persicae, and Tetranychus urticae) and on seedlings of four fruit vegetables (FVs; yellow melon, cucumber, tomato, and pepper). Ethyl formate fumigation at a dose of 1.5 g m<sup>-3</sup> for 12 h produced >93.3% mortality in T. palmi, B. tabaci, and M. persicae. However, T. urticae was tolerant to fumigation, showing only 20% mortality at 2.0 g m<sup>-3</sup>. In terms of concentration × time (CT) products, at least 8.9 g·h m<sup>-3</sup> CT at 20 ± 1.5℃ was needed to achieve > 90% mortality against the three susceptible insect pests. Fumigation at 1.5 g m<sup>-3</sup> for 12 h caused no phyto-toxicity to any of the four FV seedlings. Ethyl formate application, as a new disinfestation method in greenhouses, could be an alternative to reduce the use of conventional insecticides.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this method at different pest developmental stages and in different greenhouse environments. Additionally, research is needed to elucidate the phyto-toxicity of EF application at different growing stages of a wide variety of crops.

      • KCI등재

        버섯 수확 후 배지의 흰점박이꽃무지 사료화 연구

        이슬비,김종원,배성문,황연현,이흥수,이병정,홍광표,박정규,Lee, Seul Bi,Kim, Jong Won,Bae, Sung Mun,Hwang, Yeon Hyeon,Lee, Heung-Su,Lee, Byeong Jeong,Hong, Kwang Pyo,Park, Chung Gyoo 한국응용곤충학회 201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7 No.2

        항암작용과 간 질환을 예방하는 약용곤충으로 널리 알려진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은 2016년 12월 일반식품으로 등록되었으나 판매가가 높아 소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생산 단가를 낮추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흰점박이꽃무지의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농업부산물인 새송이버섯 수확 후 배지와 표고버섯 수확 후 배지를 유충의 먹이로 급이하여 생육특성과 미량성분, 중금속함량을 조사하였고 대조구로는 관행으로 사용되고 있는 참나무 발효톱밥을 급이하였다. 새송이버섯 수확 후 배지를 급이한 처리구가 유충사육기간이 16.2일로 가장 짧았고 유충 무게 증가율과 고치 무게는 각각 156.3%와 4.1 g이었다. 새송이버섯 수확 후 배지를 급이한 처리구에서 용화율은 100%였고 우화율은 93.9%로 가장 높았지만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또한 총질소함량도 10.28%로 가장 높았고 미량원소 중 철은 145.8 mg/kg으로 다른 먹이와 비교해 높은 결과를 보였다. 성충의 산란선호성은 먹이 간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참나무 발효톱밥 대신 새송이버섯 수확 후 배지를 먹이로 사용하면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100 kg 당 667,960원의 비용이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The larva of the white-spotted flower chafer, 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Coleoptera: Cetoniidae), is known to have important medicinal properties, such as anti-cancer activity. However, the consumer market for the larvae is depressed because of its high production cost which needs to be reduc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wo spent mushroom substrates as food source for chafer larva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reduce production cost. The larvae were fed with spent substrates of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P-SMS) and shiitake mushroom (Lentinula edodes) (L-SMS), with a control of fermented oak sawdust. Effects of the diets on the development of P. brevitarsis seulensis and contents of minor nutrient components in the larvae produced were examined. In the P-SMS diet, the larval rearing period was shorter at 16.2 days, while the rate of larval weight gain and the cocoon weight were higher at 156.3% and 4.1 g, respectively, than that in the L-SMS diet. The pupation rate was 100% and the adult emergence was higher at 93.3% in the P-SMS diet than in the L-SMS diet with no difference to the control diet. In the P-SMS diet, the total nitrogen content during rearing was higher at 10.28% and the minor nutrient component, particularly Fe (145.8 mg/kg), was higher than that in other diets. The oviposition preference of ad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diets. Economic analysis showed that P-SMS costs approximately 667,960 Won less per 100 kg of larvae produced,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diet.

      • KCI등재

        한국 미기록 Dinoderus 속(딱정벌레목: 개나무좀과)의 대개나무좀(신칭)에 관하여

        이상명 ( Sang Myeong Lee ),추호열 ( Ho Yul Choo ),최은정 ( Eun Jeong Choi ),이동운 ( Dong Woon Lee ),박상범 ( Sang Bum Park ),박정규 ( Chung Gyoo Park ) 한국산림과학회 2003 한국산림과학회지 Vol.92 No.1

        Dinoderus japonicus was collected from bamboo timber harvested from Nambu Forest Experiment Station in Jinju and farmer hut in Milyang, Gyeongnam. This pest is newly recorded from Korea. Morphological features of Dinoderus japonicus and key to major species of the genus Dinoderus are provided.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