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도시주거지 근린공원의 행태지원성 변화가능성에 관한 연구

        박인경(Park, In-Kyung),유다은(Yoo, Da-Un) 대한건축학회 202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1 No.2

        Neighborhood park in urban residential area provides easier access to everyday life and works as important leisure space. However, due to spatial limitations, it is not enough to satisfy the behavioral needs of various us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ffordances that can be expected in neighborhood parks that are readily accessible on a daily basis. This study derives the framework of analysis on various usage behavior and affordance of urban parks. Usage behavior was classified as static, dynamic and social exchange behaviors. Finally, this study can be used as an initial data in the planning and design research for neighborhood parks that might reflect the behavior and needs of park users.

      • KCI등재

        민들레 김치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데치기 효과

        박인경,김순동,Park In-Kyung,Kim Soon-Dong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5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5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lanching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andelion Kimchi.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BT-group (dandelion was blanched in the $3\%$ brine for 15 seconds at $100^{\circ}C$, then salted in $8\%$ brine for 5 hours) and NT-group (dandelion was salted at $8\%$ brine for 5 hours). Changes in pH, acidity, color, number of total microbe and lactic acid bacteria,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quality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fermentation at $10^{\circ}C$. The pH of the BT- and NT-Kimchi maintained higher than 4.1 for 21-days fermentation, but that of BT-Kimchi was lower than that of NT-Kimchi. And also, the titrable acidity of BT-Kimchi was maintained higher than that of NT-Kimchi. $L^\ast\;value\;and\;b^\ast$ value of BT-Kimchi were higher, while $a^\ast$ value of BT-Kimchi was lower than that of NT-Kimchi.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otal microbial count between BT- and NT-Kimchi, while number of the lactic acid bacteria in the BT-Kimchi was higher than that of BT-Kimchi.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ntioxidant activity between BT- and NT-group during the fermentation. In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of the dandelion Kimchi, toughness, color, flavor and overall quality were good in the BT-Kimchi, while the bitter taste showed relatively strong in the NT-Kimchi.

      • KCI등재

        코치의 삼분법적 효능감, 직무열의, 코칭만족 및 지속의도의 구조적 관계

        박인경 ( Inkyoung Park ),박성아 ( Seong A Park ),박승하 ( Seungha Park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1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2 No.4

        목적: 본 연구는 코치의 직무열의에 삼분법적 효능감이 미치는 영향과 직무열의가 그들의 코칭만족과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코칭경력에 따른 영향관계의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방법: 운동선수를 지도하고 있는 코치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코치의 삼분법적 효능감, 직무열의, 코칭만족, 지속의도의 검사지를 연구목적에 부합되게 제작 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신뢰도, 상관분석, 경로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코치의 삼분법적 효능감의 자기효능감, 타인효능감 그리고 관계추론 효능감은 직무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삼분법적 효능감과 직무열의, 코칭만족 그리고 지속의도 간의 영향력 있는 경로가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셋째, 코칭경력에 따라 형성된 경로의 변인에 대한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코치와 선수간의 삼분법적 효능감과 직무열의가 코치의 긍정적 심리와 코칭의 지속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코치의 경력이 높아짐에 따라 선수와의 상호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효능감이 직무열의에 더욱 중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Purpose: This study identify the impact of the coach’s tripartite efficacy on their job engagement, coaching satisfaction and adherence intentions, and also reveal differences in coaching career. Methods: To achieve us goal, we surveyed 220 coaches who were coaching athletes. The investigative tools we used are test sites for coach’s tripartite efficacy, job engagement, coaching satisfaction, and adherence intentions, which were modified and used to suit research purposes. Results: First, The self-efficacy, other-efficacy and relation-inferred self-efficacy of coach’s tripartite efficacy had an effect on coach’s job engagement. Seco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an influential path between coach’s tripartite efficacy, job engagement, coaching satisfaction and adherence intention is formed. third, The influence on the variables of the route formed depending on the coaching career was differen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tripartite efficacy and job engagement, inclu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ach and the player, effect the coach’s positive psychology. In addition, it could be predicted that the relationship with the player is important when the coaching experience is high. Follow-up research in this needs to be continued to build practical data for field leaders.

      • KCI등재

        럭비 심판의 숙련성에 따른 시각탐색과 의사결정의 차이

        박인경 ( In Kyoung Park ),지정현 ( Jung Hyun Ji ),박승하 ( Seung Ha Park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4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5 No.1

        럭비 경기는 다른 종목과는 다르게 경기의 흐름과 통제의 균형을 유지하며 원활한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Mascarenhas et al, 2002). 이에 해당하는 럭비규칙이 어드밴티지로, 수비 측의 반칙상황이 벌어져도 공격 측의 진행에 이상이 없다면 경기를 진행하게 되는데, 그 결정은 심판에 의해 이루어진다. 어드밴티지를 잘 적용하는지와 같은 럭비심판의 의사결정은 경기의 흥미와 승패를 결정할 만큼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숙련성(숙련심판, 초보심판), 기술유형(럭, 몰), 상황유형(정상, 반칙, 어드밴티지)에 따라 럭비 심판의 의사결정능력과 정보 획득을 위한 시각탐색과 주의초점영역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경기영상에 대한 심판의견이 전문가집단의 의견과 얼마나 일치하는 지를 확인해 본 결과, 숙련성과 상황유형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어드밴티지 상황에서 숙련심판과 초보심판의 판단일치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 럭비경기의 큰 특징은 어드밴티지가 있다는 것이며, 이를 어떻게 사용하는지는 게임의 흐름과 조절에 중요하다(Mascarenhas et al, 2005). 그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숙련심판이 초보 심판보다 어드밴티지상황에서 판단일치가 높다는 것은 숙련심판이 어드밴티지상황을 더 정확하게 판단하고 결정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숙련심판이 어드밴티지 상황에 대한 명제적 지식과 전략적 지식을 초보심판보다 더 갖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어드밴티지 상황을 판정할 수 있는 것이다(Han et al, 2012; McPherson, 1993). 그러나 정상이나 반칙상황에서 숙련심판과 초보심판의 결정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본 실험에 참가한 심판들은 모두 현재 럭비심판으로 활동 중이며, 초보심판의 경우도 10년 이상 럭비선수 및 코치 생활을 하여 럭비 경험이 풍부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한편, 반칙상황에서 숙련심판이 초보심판보다 반칙인식시간이 빠른 것에 비해, 어드밴티지 상황에서는 숙련심판의 반칙인식시간이 초보자의 비해 오래 걸리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중한 반칙상황은 경기진행의 방해, 부당한 플레이, 위험한 플레이, 비행, 반칙의 반복이 포함되는데, 이러한 상황에서는 경기진행의 지연이나 선수들의 안전을 고려해 즉각적으로 휘슬을 불어 경기를 정지시키고 정리해야 한다. 즉 위중한 반칙의 인식에 걸리는 시간은 유연한 경기진행과 선수의 안전을 위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반칙상황에서 반칙인식시간이 숙련심판이 초보심판보다 빠르다는 것은 숙련 심판이 초보심판보다 경기를 정지시켜야 하는 순간을 빨리 인지하며 경기내용을 빠르게 파악하고 있음을 뜻한다. 이러한 결과는 의사결정시간을 같이 살펴보면 숙련성의 차이가 확실하게 나타난다. 또한 숙련심판이 초보심판보다 의사결정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수 및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테니스(Singer, Cauraugh, Chen, Stinberg, & Frehlich, 1996), 심판을 대상으로 한 농구(Han et al, 2012), 선수 및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태권도(Lee & Kim, 2012)와 골프(Vickers, 1992) 등의 연구에서 숙련성이 높으면 의사결정과 같은 처리시간이 짧은 것과 상반된 결과이다. 그러나 럭비는 경기의 연속적 플레이를 중요시하여 어드밴티지와 같은 경기규칙이 있다는 특수성을 고려하고 생각하면 다른 연구결과들과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판정을 내리고 동작이 나오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숙련성에 따라 차이가 없으나 반칙인식시간과 의사결정시간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은 흥미로운 결과이다. 반칙이 있는 상황에서 최종적으로 나타나는 동작은 숙련심판과 초보심판의 차이가 없으나 숙련심판은 초보심판보다 반칙을 빠르게 인식하고 그에 대한 충분한 의사결정시간을 가진 후에 판정을 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실제 럭비심판 교육시에도 지도되는 부분이다. 반칙을 봤다고 무조건 급하게 휘슬을 부는 것은 좋은 심판이 아니며, 반칙을 보면 충분한 의사결정과정을 거치고 휘슬을 불러 경기를 중단시킬 것을 교육받는다. 반면 어드밴티지상황에서 숙련심판이 초보심판 보다 반칙인식시간이 더 길게 나타나는 것은 숙련 심판이 반칙자체보다 상황자체에 집중하여 반칙을 인식하고 동작해야 하는 시간에 ‘어드밴티지상황이다’라는 생각이 포함되어 지연되는 현상이 나타난 것이 아닐까 사료된다. 즉 반칙이 일어났어도 그 반칙이 경기흐름에 영향이 없다는 그 판단자체가 반칙인식시간에 영향을 미친 것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의 시각탐색 결과는 숙련심판이 초보심판에 비해 시선이동빈도가 낮고 시선고정시간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선고정시간비율이 높다는 것은 그만큼 주어진 시간동안 획득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의 효율성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효율적인 시각탐색 전략을 통해 숙련된 심판들은 순간적으로 빠르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숙련된 심판의 시각탐색 결과는 Vaeyens, Lenoir, Williams, & Philippaerts(2007)가 축구 선수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나 Kim & Kim(2010)의 야구 타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 Kim, Lee, & Han(2008)의 시뮬레이션 게임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농구심판(Han et al., 2012)을 대상으로 한 연구나 운동발달 지도자(Lee & Han, 2012)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숙련자가 시선고정빈도는 높고 평균시선고정이 짧게 나타나 주위상황이나 문제행동을 해결하기 위한 시선행동의 특징을 보인 결과와는 다소 상반된 결과이다. 농구심판이나 운동발달 지도자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피험자가 예측하기 힘든 다양한 상황들에 대한 영상이 제시되어, 피험자가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많은 곳에 시선을 고정해서 보고, 파악되면 시선을 이동시키는 시각탐색 전략을 사용한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야구 타자(Kim & Kim, 2010)나 배구 수비자(Park & Kim, 2004)의 연구 그리고 본 연구의 경우, 숙련자일수록 제시된 영상의 상황을 빠르게 예측하고 주의해야 하는 지점을 파악하고 있어 불필요한 시선이동 없이 주요 지점에 시선을 고정하여 정보를 획득하는 시각탐색 전략을 사용한다. 이렇게 연구결과마다 시각탐색이 차이를 보이는 것은 시각탐색 전략이 과제나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Williams et al., 1994). 이는 과제나 상황에 따른 시각탐색 전략이 달라야 함을 의미하기도 한다. 또한 시각탐색에서 럭과 몰에서 차이는 보이는 것은 럭과 몰 상황의 특성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라 사료된다. 럭의 경우는 양 팀 힘에 의한 경쟁은 있으나 공이 지면에 있으면서 정지된 형태에 가깝고, 몰의 경우는 공이 아직 지면에 있지 않고 공격팀이 갖고 있으면서 양 팀이 경쟁하는 상황으로 움직이는 형태에 가깝다. 이러한 상황적인 차이에 의해 럭은 정지된 상태에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포인트만 주시하면 되는 반면, 몰의 경우는 아직 진행 중이기 때문에 럭보다는 많은 시선이동, 시선 고정빈도, 시선고정시간비율이 나타나는 것이라 생각된다. 이는 앞서 설명한 Han et al.(2012)이나 Lee와 Han(2012)의 연구에서 많은 것을 파악해야 하는 상황이 되면 많은 시선이동과 시선고정을 일으키는 상황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반칙상황에서 실제 시선이 어디에 고정되어 정보를 얻는지를 알기 위해 시선고정위치 분석 결과, 반칙상황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아니지만 숙련자는 대체적으로 공격영역에 시선이 고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초보자의 경우는 수비영역에 시선이 주로 고정되었다. 반면 어드밴티지상황에서는 숙련심판과 초보심판이 다른 영역보다 공격영역에 주로 시선을 고정 하였으나, 숙련자의 고정비율이 훨씬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Table 1 참고). 여기서 흥미로운 사실 하나는 럭과 몰 유형에 따라 시선고정위치가 차이가 있다는 것으로, 심판은 경기상황에서 일정하게 시선을 고정하여 정보를 얻는 것이 아니라 경기상황마다 적합한 시선 고정위치가 존재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스크럼이나 라인아웃, 킥오프 등과 같은 다양한 상황들에 대한 시선고정위치의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지지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아니지만 숙련심판이 공격영역에 더 많은 시선이 고정되는 것으로 이는 숙련심판이 경기진행의 연속적 측면을 더 많이 고려함을 의미한다. 또한 피험자가 실제 시선을 두는 곳에서 정보를 획득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인터뷰 실시 결과, 반칙상황과 어드밴티지상황에서 숙련심판은 수비영역보다는 공격영역에 주의초점빈도가 높으며, 초보심판은 공격영역보다 수비영역에 주의초점빈도가 높았다. 앞서 어드밴티지 상황에서의 판단일치성과 의사결정시간 결과와 연관시켜 볼 때, 숙련된 심판이 공격영역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사실은 매우 흥미롭다. 어드밴티지라는 것은 공격 팀의 상황적 이점에 따라 결정해야 하지만, 초보심판의 경우 반칙을 범하는 수비 팀에 주의 초점을 좀 더 기울임으로써 어드밴티지 상황에 대한 판단의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지각된 주의초점영역의 결과와 앞서 살펴본 시선고정위치의 결과를 비교해 보았을 때, 시선고정 위치와 지각된 주의초점영역의 결과가 일치함은 심판이 상황들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초점 시(focal vision)로 정보를 획득함을 뜻하는 것이다(Kim, 2009). 비록 통계적인 유의성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어드밴티지 상황에서 숙련 심판이 초보 심판보다 공격영역에 시선을 고정한 비율이 높은 것을 통해 숙련된 심판은 공격영역에 대한 많은 정보를 초점시로 획득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초점시로 획득된 정보는 시각적 정밀성이 뛰어나 주로 시야 중심에 위치한 물체나 상황을 파악하고 확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상황을 정확하게 보고 판단하여 결정해야 하는 심판의 경우에는 초점시를 유용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반면, 반칙영역에 대한 시선고정비율이 그다지 높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인터뷰상황에서는 벌어진 반칙에 대하여 자세하게 회상하는 결과를 통해 환경시를 이용한 정보 획득 과정을 생각해볼 수 있다. 즉 특정한 시각단서에 시선을 고정하고 환경시를 이용하여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 보았을 때, 럭비심판은 초점시와 환경시를 적절하게 사용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숙련된 럭비 심판은 선택적 주의가 필요한 시점에는 초점시를 사용하여 정확한 정보를 획득하고, 심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황처럼 여러 가지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시점에는 환경시를 이용하여 경기상황을 효과적으로 지각하고 이에 따른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visual search and decision-making on expertise levels of rugby referees. Methods: The participants(n=6) consisted of 3 novices and 3 experts. They were asked to watch the rugby game videos wearing eye-tracking glasses and press a response key in the situation to recognize a foul or to blow a whistle. The videos consisted of two skill types(Ruck, Maul) and three situation types(legal, foul, advantage) were randomly presented, and at the end of the videos participants were asked to express verbally visual focus area. Independent variables were expertise level, skill types, and situation types,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decision-precision, foul recognition time, decision-making time, visual search(eye movement frequency, fixations frequency, fixation duration ratio), fixation locations, and perceived eye-focus locations. Results: The expert referees made more accurate judgments in advantage situation, took longer decision-making time, and did more effective visual search, compared with the novice referees. In addition, the results on the fixation locations and the perceived eye-focus location revealed that expert referee focused more on attack location, and novice referee focused more on defense locations.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effective visual search and decision-making training needs to be considered to strengthen refereeing capability, and then that would have a major impact on smooth game operation.

      • KCI등재

        운동 자기-도식의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도 검증

        박인경 ( In Kyoung Park ),박승하 ( Seung Ha Park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2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3 No.2

        이 연구는 일반인의 운동 자기-도식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박인경(2011)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2차 예비조사와 본조사 모형검증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변량분석을 통하여 척도 개발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운동 자기-도식 척도의 구성요인은 행동적 운동 자기-도식과 인지·감정적 운동 자기-도식의 2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 자기-도식 척도의 요인구조는 2요인 14문항(행동적 운동 자기-도식 7문항, 인지·감정적 운동 자기-도식 7문항)으로 구조화되었으며, 적합도 지수는 모두 최적치 기준을 만족시켰다. 타당도 검증을 통해 확인된 운동 자기-도식 척도는 향후 일반인이 가지고 있는 운동 자기-도식을 측정하고 이와 운동행동과의 관계를 명확히 파악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or developing measurement scale of exercise self-schemata verifying the validity. For this purpose, it was verifi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based on the data of Park In-Kyoung`s study(2011).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below. First, the structures of exercise self-schemata were two which was named as behavior exercise self-schemata, cognitive·emotional exercise self-schemata. Second, exercise self-schemata was structured two factors and 14 questions(behavior exercise self-schemata 7questions, cognitive·emotional exercise self-schemata 7questions). Goodness of Fit Index was satisfied optimal value. Exercise self-schemata scale which was identified validity, was useful for measuring to general and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iin exercise behavior and exercise self-schemata.

      • KCI등재

        성인의 신체활동과 관련된 운동 자기-도식, 운동심상 그리고 운동 자기효능감

        박인경 ( In Kyoung Park ),강수진 ( Soo Jin Kang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6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7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mong exercise self-schema, exercise imagery, exercise self efficacy and physical activity by gender, age, stages of changes and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xercise self-schema, exercise imagery, exercise self efficacy and physical activity of adults. Methods: Six hundred questionnaires were initially distributed to college students, company employees and sports center members. Among them, total 569 were finally used in this study(male: 288, female:281, Mage=38.36). Exercise self-schema inventory, exercise imagery inventory, exercise self-efficacy scale and weekly leisure-time exercise questionnaire were revised into Korean and applied in the study. Frequency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arried out to test the possible relationship among exercise self-schema, exercise imagery, exercise self efficacy and physical activity. All analyses were conducted by SPSS 18.0 and AMOS 18.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ercise self-schema, exercise imagery, exercise self efficacy, and physical activity by gender, age, and the stages of exercise changes. And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positive relationship among exercise self-schema, exercise imagery, exercise self efficacy and physical activity of adult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ognitive intervention strategies aimed at exercise self-schema and exercise imagery could be significant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 KCI등재

        대학생의 주당운동시간과 관련된 변화단계, 운동 자기-도식 그리고 운동지속의사

        박인경 ( In Kyoung Park ),김영호 ( Young Ho Kim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3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4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 학년, 운동변화단계에 따른 운동 자기-도식과 운동지속의사 그리고 주당운동시간을 확인하고, 남·녀 대학생의 주당운동시간에 운동변화단계, 운동 자기-도식 그리고 운동지속의사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404명(남자 197명, 여자 207명)에게 설문지를 실시하고, SPSS 18.0와 AMOS 18.0을 이용하여 문항분석, 변량분석, 신뢰도분석, 타당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과 운동변화단계에 따라 운동 자기-도식과 운동 지속의사 그리고 주당운동시간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그리고 주당운동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단계적 회귀분석결과, 남성의 경우 주당운동시간을 예측하는 설명량은 43.6%이며, 여성의 경우는 37.8%로 나타났으며, 그 영향요인은 다소 차이가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신체활동을 증가시키는데 운동 자기-도식의 형성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성차를 고려한 중재 전략이나 프로그램과 관련된 후속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in exercise self-schemata,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nd weekly exercise time by exercise stage of change, grade and sex, and to explore influence exercise stage of change, exercise self-schemata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on weekly exercise time. For this research, it was accomplished 404 questionnaires (male 197, female 207) and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he results indicated that it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ercise self-schemata,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nd weekly exercise time on exercise stage of change(p<.05). In addition, result of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ignificant influence factors on weekly exercise time for male(R2 = .436) and female((R2 = .378). The current study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exercise self-schemata for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and suggests that future study should be focused on intervention strategies considering gender difference or programs.

      • KCI등재

        운동 자기-도식이 신체활동관련 정보에 대한 반응시간과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

        박인경 ( In Kyoung Park ),김유라 ( Yoo Ra Kim ),박승하 ( Seung Ha Park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6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7 No.2

        Purpose: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reaction time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decision making information related with physical activity according to exercise self-schema. So it would have the hypothesis that exercise self-schema affected to judgement, remember and expectation of the content related with physical activity. Methods: The participants of experiment were 36(male:15, female21,Mage=21.25). Task was presented at computer screen. Participants reaction time and contents were saved automatically. And it was measured the physical activity’s amount for 7 days through questionnaire. All anaysis were conducted by SPSS 18.0 and AMOS 18. Results: It was shown that the participants who had higher exercise self-schema had faster information processing about physical activity content than the participants who had lower exercise self-schema. Also group of higher exercise self-schema had more vocabulary comments. And at the expect behavior related physical activity, the group of higher exercise-self schema seek more physical activity than the group of lower exercise self-schema. Finally, higher exercise self-schema group had more physical activity. Conclusion: it had identified that exercise self-schema was significant factor at information processing related physical activity. So it is needed to study and develop the program which help developing exercise self-schema.

      • KCI등재

        일제강점기 유치원 보모와 유년문학의 성장

        박인경(Park, In-Kyung)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9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4

        1920년대부터 유치원에서는 유년의 연령을 ‘3세에서 7세로’로 규정짓고, 왕성한 발전을 이루지만, 아동문학에서는 유년에 대한 개념조차 정립하지 못하였다. 그 결과 유년들에게 들려줄 수 있는 유년문학들이 충분하지 못하였기에, 유치원 보모들은 스스로 기존의 유년문학 작품을 번역하거나 새로운 작품을 창작하였다. 본고에서는 유치원 보모들의 문학 작가로서 성장하는 모습을 신문이나 잡지에 유치원보모의 신분을 밝히고 게재된 작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929년 『조선일보』의 「1人 1話 유치원동화」 와 1940년 『소년』의 「유치원동화 특집」 그리고 1941년 『아이생활』의 「유치원동화 특집」이 있으며, 특징들을 3가지로 요약할 수 있었다. 첫째, 초반에는 번역과 재화 형식의 작품들이 많이 등장하였기에 기존의 아동문학가들 작품과의 연관성이 높았으며, 이를 기반으로 점차 보모들만의 작품이 창작되기 시작하였다. 둘째, 문학성을 지닌 표현적 기교보다는 동정심이나 효심과 관련된 교훈적인 메시지를 직접적으로 전하고 있으며, 전래동화 소재를 활용하여 우리의 민족성을 표현하였다. 셋째, 유년이라는 대상을 인식하여 잔인한 내용들은 순화하여 표현하였으며, 글자를 모르는 유년들을 위해 들려주는 방식의 구연 서술 방식을 사용하였다. 위 특징을 통해 일제강점기 유년 문학가로서 성장하는 보모들의 성장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동시에 유년문학도 함께 성장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Since the 1920s before the concept of early childhood was established in children’s literature, the kindergartens as educational institutes for young children have achieved the prosperous development. As there were not many early childhood literatures that could be read for young children at that time, the kindergartners might create literary works for young children. As most of the released works are the one-time special works, it is very much limited to closely analyze the world of works by kindergartners. The published works by clearly revealing the status of kindergartner in newspaper or magazines include 「One-Person One-Episode Children’s Story」 of 『The Chosun Ilbo』 in 1929, 「Special Kindergarten Children’s Story」 of 『Boy』 in 1940, and 「Special Kindergarten Children’s Story」 of 『Child Life』 in 1941. The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as there were many works in the form of translation and reproduction that could be shown in the beginning stage of creating works, they were highly related to the existing works translated or reproduced by writers of children’s literature. Second, on top of directly delivering didactic messages related to sympathy or filial love instead of expressive techniques with literary value, the ethnicity was also shown by using materials of traditional fairy tales. Third, the cruel contents were purified by cognizing the subject of young children. For young children who could not read letters, the orally-narrated description method was used. Kindergartners were many works in the form of translation and reproduction, created works, showed the kindergartners’ efforts to establish the genre of early childhood literature by expressing each work into different names of genre. As time passed, the changed growth of kindergartners into writers of early childhood literature was verified.

      • KCI등재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중학교 자극과 반응 단원의 연계성 분석

        박인경(Inkyung Park),임수민(Soo-min Lim),김영신(Youngshin Kim) 한국교원대학교 뇌기반교육연구소 2020 Brain, Digital, & Learning Vol.10 No.1

        Textbooks are used as a means to further refine the content presented in the curriculum and thu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alization of the curriculum. Therefore, textbooks should reflect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and convey meaningful contents to students. This study analyzed the articulation of ‘stimulus and response’ unit in middle school according to the curriculum change. For this purpose,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articulation among the 7th curriculum, the 2007, and 2009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number of concepts increased as the curriculum changed, and the main concepts for teaching life science were maintained even after the curriculum was revise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cuses on understanding whether hormone types and functions are in maintaining homeostasis through the regulation of nerves occurring in our body, so we need to do research more what phase the nervous system concept will appear in text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