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반도 습지(영월, 강원도)의 관속식물상

        안성모,박유정,강하람,이하림,김경아,유기억,천경식,An, Sung-Mo,Park, Yoo-Jung,Kang, Halam,Lee, Ha-Rim,Kim, Kyung-Ah,Yoo, Ki-Oug,Cheon, Kyeong-Sik 한국환경생물학회 2021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9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the Hanbando wetland (Yeongwol-gun, Gangwon-do) from April 2019 to May 2020. Vascular plants were grouped into 508 taxa, comprising 93 families, 309 genera, 456 species, 10 subspecies, 37 varieties, and 5 forms. Among the investigated 508 taxa, 2 endangered species, 8 rare plants, and 8 endemic plants were identified.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grouped into 71 taxa including, 3 taxa of grade V, 10 taxa of grade IV, 15 taxa of grade III, 17 taxa of grade II, and 26 taxa of grade I. Naturalized and ecosystem disturbing plants were grouped into 57 taxa and 5 taxa, respectively. The percentage of naturalized plants species and urbanization index were estimated to be 11.2% and 17.8%, respectively.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basic information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Hanbando wetland, which possess a high conservation value since it is forms part of the list of Ramsar wetlands. 본 연구는 강원도 영월군에 위치하는 한반도습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파악하여 내륙습지 생태계의 식물 자원 관리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2019년 4월부터 2020년 5월까지 총 9회에 걸쳐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분포가 확인된 관속식물은 93과 309속 456종 10아종 37변종 5품종 등 총 508분류군이었다. 이 중 멸종위기 야생식물은 II급에 해당하는 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희귀식물은 8분류군이었다. 특산식물은 8분류군이었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에 3분류군, IV등급에 10분류군, III등급에 15분류군, II등급에 17분류군 그리고 I등급에 26분류군으로 총 71분류군이었다. 귀화식물은 5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에 의한 귀화율은 11.2%, 도시화지수는 17.8%로 산출되었고, 생태계교란 야생식물은 5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람사르습지에 등재되어 있어 보전가치가 매우 높은 한반도 습지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청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의사소통을 위한 AI 기반 수화통역 및 수화티콘 디자인 제안

        박상아(Sang-A Park),박유정(Yoo Jung Park),윤종훈(Jong Hoon Yoon),최명희(Myeong Hee Choi)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

        본 연구에서는 발전해가는 비대면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농인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농인의 비대면 감정 전달 방식과 의사소통 방식의 한계 및 가능성을 검토함으로써 농인과 청인의 추가적인 의사소통 수단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현대인의 의사소통 방식이 스마트폰을 활용한 비대면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수화를 제 1 언어로 사용하는 농인의 경우, 비대면 의사소통 시 텍스트, 화상 통화로만 대화해야 하며 이것조차도 통역사를 거쳐야 하는 등 감정 표현과 소통 방식에 많은 제약이 있다. 이에 따라 현재 농인의 스마트폰 사용환경에서 의사소통 프레임 및 사용시나리오를 분석한 조사결과를 기반으로, 텍스트와 이모티콘이 결합한 ‘AI기반 수화통역 및 수화티콘"을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수화티콘이 상용화된다면, 농인 비대면 의사소통 방식의 다양화와 더불어 청인은 일상 속에서 수화를 자연스럽게 접하면서 농문화를 이해를 높일 수 있으며, 수화에 대한 빅데이터 수집으로 한국수어(KSL)발전을 위한 연구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치매노인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국내연구의 메타 분석

        이한숙 ( Han Suk Lee ),박유정 ( Yoo Jung Park ) 대한물리의학회 2016 대한물리의학회지 Vol.11 No.2

        PURPOSE: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e improvement of cognition through physical activity among subject with dementia. This study aimed to whether the current studies supports that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is efficacious on cognitive performance in subject with dementia. METHODS: Two independent reviewers searched National assembly library, RISS, KISS (2005-2015) using the concepts of dementia,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We inclu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that examined the efficacy of physical activity in subject with dementia. A meta-analysis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effect sizes cognition with CMA (Comprehensive Meta-Analysis, version 2.2.064) soft-ware program. Nin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re included, providing data from 133 individuals and excluding those failing to criteria of this study. RESULTS: The meta-analysis showed that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had a rather small effect sizes of 0.36 (95% confidence interval 0.14-0.59) on cognition performance in subject with dementia. Outcome measurement were MMSE-K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orean version) and LOCTA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 We found heterogeneous among studies and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 studies (Q = 19.63, d(f)=12, I2= 38.88). CONCLUSION: The present analysis suggests that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have the low effect sizes on cognition performance in subject with dementia Further studies will be required to develop the various programs for improving the cognitive performance in subject with dementia.

      • KCI등재

        골다공증이 있는 상완골 골두의 파일럿 홀 (Pilot Hole)과 흡수성 나사못의 크기에 따른 토크 (Torque)와뽑힘 강도 (Pullout Strength) 간의 관계

        천용민(Yong-Min Chun),이영한(Young-Han Lee),김성환(Sung-Hwan Kim),박유정(Yoo-Jung Park),김성재(Sung-Jae Kim)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2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5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골다공증이 있는 회전근개 파열 환자에서 상완골 골두에 표준 크기 (5.0 mm) 보다 작은 송곳 (awl) (3.7 mm 나사못용)을 사용해서 5.0 mm 나사못을 삽입하는 것이 표준 크기의 송곳과 6.5 mm 나사못을 삽입하는 것에 비해 토크 (torque)나 뽑힘 강도(pullout strength)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방부 처리된 12명, 24개의 짝지은 사체 견관절을 A군와 B군, 두 군으로 나누어 관심 부위의 골밀도를 측정한 후에 A군에서는 5.0 mm 나사못 삽입을 위해 3.7 mm 송곳 (awl)을 이용하는 경우를 A1군, 5.0 mm 나사못 삽입을 위해 5.0 mm 송곳을 이용하는 경우를 A2군으로 하였다. B군에서는 5.0 mm 송곳을 이용하여 5.0 mm 나사못을 삽입하는 경우를 B1군, 6.5 mm 나사못을 삽입하는 경우를 B2군으로 하여 나사못 삽입 시의 토크와 뽑힘 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골밀도는 A군과 B군 간이나 군내에 차이가 없었다. 토크는 A1군이 A2군보다 각각 20.6 cN·m와 13.2 cN·m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0.001), B1군과 B2군에서도 각각 12.1 cN·m와 20.8 cN·m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1). 그러나 증가된 정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A1군과 A2군의 뽑힘 강도는 각각 204.2 N과 152.9 N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0.001), B1군과 B2군에서도 149.5 N과 210.9 N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1). 그러나 증가된 정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송곳 크기보다 큰 치수의 나사못을 사용하면, 같은 크기의 송곳과 나사못을 사용하는 경우 토크나 뽑힘 강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증가된 정도는 큰 송곳과 작은 송곳 간에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대결절의 footprint 내에 나사못과 나사못 사이의 거리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5.0 mm 송곳을 이용하여 6.5 mm 나사못을 삽입하는 대신 3.7 mm 송곳을 이용하여 5.0 mm 나사못을 삽입해도 증가되는 뽑힘 강도는 차이가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orque and pullout strength between the standard anchor insertion (5.0 mm) with a small awl (3.7 mm) and larger anchor insertion (6.5 mm), with a standard awl (5.0 mm) in osteoporotic humeral head. Materials and Methods: The embalmed 24 paired cadaveric shoulders were assigned to either Group A or B. After measuring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of the ROI (region of interest) in the humeral head, 5.0 mm suture anchors were inserted using a 3.7 mm awl in Group A1, and the same 5.0 mm anchors were inserted using a 5.0 mm awl in Group A2. The 5.0 mm anchors were inserted using a 5.0 mm awl in Group B1, and 6.5 mm anchors were inserted using a 5.0 mm awl in Group B2. We measured the torques at the time of the anchor insertion and pullout strength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MD between the groups. The torque of A1 (20.6 cN·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2 (13.2 cN·m), and the torque of B2 (20.8 cN·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B1(12.1 cN·m).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increased torque between group A and B was not significant. The pullout strength of A1 (204.2 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A2 (152.9 N), and the pullout strength of B2 (210.9 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B1 (149.5 N).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increased pullout strength between Group A and B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 In severe osteoporosis, the use of a larger suture anchor with a standard awl increased the torque and pullout strength significantly, in comparison to the use of the same sized suture anchor and awl. If there is an inadequate interval between the anchors on the greater tuberosity, the use of a 3.7 mm awl and 5.0 mm anchor will be beneficial compared to that of a 5.0 mm awl and 6.5 mm anchor, considering that an increase in the pullout strength does not depend on the awl size.

      • 시비처리가 잣나무 용기묘의 생장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재희 ( Jae Hee Kim ),강대봉 ( Dae Bong Kang ),박유정 ( Yoo Jung Park ),박진화 ( Jin Hwa Park ),이도형 ( Do Hyung Lee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잣나무 2-0 용기묘를 대상으로 우량한 묘목을 육성하기 위하여 시비시험에 따른 적정 시비를 규명함으로써, 건강한 묘목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시비처리에 따른 잣나무 용기묘는 시비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묘고와 근원경생장이 높게 나타났으며, 1.0g·L-1시비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묘고생장(3.81cm)과 근원경생장(2.12mm)을 나타내었다. 또한 전체 건조중량은 1.0g·L-1시비처리구에서 2.58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H/D율은 1.0g·L-1시비처리구에서 2.7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T/R율은 0.33g·L-1시비처리구에서 1.1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묘목품질지수는 시비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1.0g·L-1시비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0.60값을 나타내었다. 전체 엽록소함량은 시비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엽록소 a 와 엽록소 b 함량 또한 시비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ertilization on Pinus koraiensis 2-0 container seedlings, with the aim of providing basic data for healthy seedling production. As the fertilizer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he height and root collar diameter of Pinus koraiensis container seedlings also increased, with height (3.81cm) and root collar diameter (2.12mm) both being highest in the 1.0g·L-1 fertilization group. Total dry mass production was highest (2.58g) in the 1.0g·L-1 fertilization group, whereas H/D ratio was lowest (2.70) in the 1.0g·L-1 fertilization group, and T/R ratio was lowest (1.11) in the 0.33g·L-1 fertilization group. As the fertilizer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he seedling quality index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with the highest value (0.60) being recorded in the 1.0g·L-1 fertilization group. As the fertilizer concentration increased, the contents of chlorophyll a and b and total chlorophyll all in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