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음악교수법연구 : 김중석의 <피아노를 위한 6편의 Nori>와 바르톡의 <Six Dances in Bulgarian Rhythm>의 유사점과 차이점 비교,분석

        박옥희 ( Okhee Park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4 음악교수법연구 Vol.13 No.-

        본 연구는 민요를 활용하여 현대 피아노 작품으로 만든 김중석의 <피아노를 위한 6편의 Nori>와 헝가리작곡가 바르톡의 작품 중 민요를 사용하여 연습곡으로 만든 피아노 작품 Microcosmos의 <Six Dances in Bulgarian Rhythm>을 선별하여, 두 작곡가의 작품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김중석의 피아노 작품 창작에 있어 바르톡에 영향을 받은 면을 연구하고자 한다. 김중석의 <피아노를 위한 6편의 Nori>는 민요뿐만 아니라 동요를 활용하여 작곡되었으며 중급 이상의 학습자가 연주할 수 있는 작품이다. 김중석의 작품은 민요적 선율과 현대적인 작곡기법이 적절하게 어울려창작 되었으며, 거부감 없이 현대 작곡기법을 활용하여 교수법적인 가치가 있는 작품이기도 하다. 비교 대상곡인 바르톡의 Microcosmos 6권 마지막에 수록된 <Six Dances in Bulgarian Rhythm>은 연습곡 집에 수록된 작품이며, 바르톡 특유의 민요적인 선율과 현대적인 색채가 조화된 작품이다. 작품의 비교·분석 방법으로는 형식, 선율, 박자를 기준으로 김중석과 바르톡 작품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제시해보도록 하도록 하겠다. This paper intends to study the influences of Bartok on the composition of a piano work of Kim Jung Suk. For that, this study selected two works. One is <Six Plays(Nori) for the Piano> of Kim Jung Suk, which applied folk songs to compose the contemporary piano work. The other is <Six Dances in Bulgarian Rhythm> in Microcosmos of Hungarian composer Bartok, which is one of the piano work for etude applying folk songs.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works between Kim Jung Suk and Bartok discussed in the body, with division into some parts: structure, melody, time. This study analyzed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f Bartok on the work of Kim Jung Suk in structures, melody, time.

      • KCI등재

        메타 분석을 통한 수준별 영어 수업의 효과 크기 분석: 언어의 네 가지 기능을 중심으로

        박옥희(Park, OkHee),윤지여(Yun, Jiyeo)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019 영어어문교육 Vol.25 No.4

        Many studies have reported on the effects of level differentiated English classes, but the results are inconclusiv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overall effect of four skills in level differentiated English classes. The research is based on 11 primary studies that have been published in Korea from 2003 to 2017. The results indicate that level differentiated English classes had an overall high effect size (𝑑 ̅= 0.74). More specific findings of meta-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grouping (𝑑 ̅ = 0.97). Second, applying level differentiated English classes to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university, the effects are positive with the excep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based on language skills, it is effective for improving listening (𝑑 ̅ = 0.88), reading (𝑑 ̅ = 0.87), and speaking (𝑑 ̅ = 0.85). Fourth, when considering how to group students according to ability, grouping by pre-evaluation ( 𝑑 ̅ = 0.98) is more effective than relying on the students’ achievements in previous term (𝑑 ̅ = 0.68).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수준별 영어 수업에서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효과 분석

        윤지여(Jiyeo Yun),박옥희(OkHee Park)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023 영어어문교육 Vol.29 No.3

        As a follow-up study for meta-analysis on cognitive domain (Park & Yun, 2019),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overall effect on affective domain in level differentiated English classes. The procedure of meta-analysis consists of literature search with criteria for inclusion as well as data analysis including data coding and cleaning. After heterogeneity tests, random-effect model, subgroup analyses, and publication bias are conducted u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software. Moderators used for subgroup analyses were; affective domains, schools, grades, and teaching methods and periods of level differentiated English classes. The results indicate that affective domain in level differentiated English classes had an overall mean effect size (d = 0.33) showing lower effect size than in cognitive domain (d = 0.74). More specific findings of meta-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grouping factors based on affective domain had medium effects in confidence (d = 0.68), interest (d = 0.57) and participation (d = 0.51). Second, according to grade and to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university, the effects were larger with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freshmen students. Third, among teaching methods, affective domain showed a large effect in extra supplementary classes. Lastly, the pedagogical implication and suggestions were further discussed.

      • 면대면 토익 수업에서 온라인 퀴즈 활동에 대한 효과 및 학습자의 인식 연구

        박옥희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대학교양교육연구 Vol.1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quiz activities and students’ perceptions for them on an offline TOEIC class. Two classe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Each class has 36 students, and they did different homework during the semester. One class(A) did their homework using an online Moodle quiz, the other(B) did their homework with printed materials. The major research methods were pre-and post-mock TOEIC test, an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o measure students’ perceptions of online quiz activities at the end of the class for A class. Statistical analysis of the mock TOEIC test and of the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 class students’ TOEIC scores. Also, the overall perception of online quiz activities was over the mean. Students responded that the online quiz activities were especially helpful for solving the wrong answers repeatedly and preparing for the TOEIC test. However, they mentioned not getting feedback for the wrong answers and frequent technical errors as unsatisfactory.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online quiz activities are also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면대면 토익 수업에서 온라인퀴즈 활동의 효과와 온라인 퀴즈 활동에 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조사하는데 있다. 두 개 분반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A반과 B반 각각 수강생이 36명이었고, 수업방식도 면대면으로 동일하였는데 과제방식에서 차이가 있었다. A반은 과제를 무들을 이용하여 온라인 퀴즈로 하였고 B반은 인쇄물 과제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A와 B반 사전-사후 모의토익고사와 A반 대상 사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토익 시험은 사설 시험 기관에서 제공한 100문항으로 보았고, 설문내용은 객관식 18문항과 주관식 3문항이었다. 객관식은 온라인 퀴즈에 대한 만족도, 학습효과, 장점, 단점의 범주로 7척도로 알아보았다. 토익 시험 결과와 설문조사는 spss 16.0 으로 통계처리하였다. 연구 결과 토익 시험의 독해부분만 비교했을 때 온라인 퀴즈 활동을 한 A반의 토익 성적이 인쇄물 퀴즈 활동을 한 B반보다 월등이 향상되었다. 무들 퀴즈 활동에 관한 학습자들의 인식 조사에서는 온라인 퀴즈의 장점에 대한 응답률이 제일 높았고, 장점에 관한 문항들 중, 사용의 편리성, 토익 학습에의 효과, 토익 문제 유형 습득에 대해 아주 긍정적인 응답이 나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연구의 의의 및 제안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