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융합인재교육(STEAM) 수업에서의 교사 발문 분석

        박영근(Park Yungk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에서는 융합인재교육(STEAM) 수업을 실시하는 교사가 수업의 목적에 맞게 창의성을 자극하고 문제해결력을 증진할 수 있는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교사 발문의 다양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두 명의 특수교사가 2019년 3월부터 2019년 4월까지 실시한 융합인재교육 수업 8차시 분량에 대한 비디오 녹화 자료 및 본시 교수⋅학습 과정안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융합 수업에 나타난 발문을 발문 유형별로 살펴보면 인지⋅기억적 발문과 수렴적 발문을 포함한 폐쇄적 발문이 매우 높게 나타났고, 확산적 발문과 평가적 발문을 포함한 개방적 발문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두 가지 수업 영역에 따라 발문 유형별 활용 빈도를 분석한 결과, 전기에너지 영역에서는 인지⋅기억적 발문이 56.3%, 확산적 발문 42.1%이 나타났다. 반면, 호흡 영역에서는 인지⋅기억적 발문이 90.7%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다른 발문들을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특수교사들의 융합수업 단계를 도입, 전개, 정리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에 따라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의 발문의 활용 정도를 분석한 결과, 전개, 도입, 정리 단계의 순서로 발문을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융합인재교육 수업 운영에서의 교사 발문을 분석해 봄으로써, 지적장애 특수학교의 융합인재교육을 활용한 과학 수업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various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eacher questioning were analyzed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teachers in STEAM classes are performing classes to stimulate creativity and improve problem-solving skill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clas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special teachers analyzed video recordings an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for the 8th session of STEAM classes held from March 2019 to April 2019.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questions that appeared in the STEAM class of special school teacher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analyzed and divided by question type. As a result, closed questions including cognitive and memory questions and converging questions were very high, and open questions including diffuse and evaluative questions were relatively low. Second, the types of quest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wo class areas. As a result, 56.3% of cognitive and memory questions and 42.1% of diffusive questions were found in the electrical energy domain, but cognitive and memory were very high as 90.7% in the respiration area, and other questions were not shown significantly. Third, the STEAM class stages of special teachers were divided into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arrangement stages, and teacher quest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each stag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questionnaire was used a lot in the order of development, introduction, and arrangement. By analyzing the questions of teachers in STEAM class, it will be possible to build basic data to improve science class using STEAM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예비특수교사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사전실습 프로그램 참여 경험

        박영근(Park, Yungkeun),이태훈(Lee, Taehoon),김미경(Kim, Mikyong),박경란(Park, Kyungra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7 특수교육 Vol.16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를 양성하는 교원양성 대학에서 2년간 사전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있었던 주된 경험 및 느낀 점들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우수한 특수교사 양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 2년간 사전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30명의 예비특수교사들이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배우고, 경험하고, 느낀 점을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반구조적인 감상문 형태로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이후에 5명을 선정하여 반구조화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질적연구 방법인 지속적 비교 연구법을 활용하며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전실습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예비특수교사들은 특수교사가 되기 위한 다양한 현장역량들을 많이 기를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특수교사들은 특수교육 현장과 지적장애 학생들을 보다 실제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고, 2년간의 사전실습 프로그램 경험을 통해서 4학년 1학기에 참여할 정규실습에 대비하기 위한 수업능력향상, 수업시연 자신감 향상, 문제행동 대처방법 숙지에 도움을 주었다. 뿐만 아니라 전공학업이해 증진 및 예비특수교사로서의 진로 확신을 가질 수 있었다. 결론: 예비특수교사들의 현장역량강화를 위해서 4주간의 정규실습 전에 반드시 체계적인 사전실습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ajor experiences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ile participating in the pre-practicum program for two year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train quality special education teachers. Method: For this purpose, 30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at a university in Jeonnam province were asked to write semi-structured impressions about what they had learned, experienced, and felt during the two years’ pre-practicum program. Among 30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5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of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Results: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developed various overall competencies to become qualit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ile participating in the pre-practicum program.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uld understand the special education field an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This two years’ experience was beneficial for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prepare the practicum they will participate in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the senior grade by becoming confident in preparing for classes and teaching demonstrations and how to address behavioral issu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dditionally, it was beneficial for students to understand academic knowledge and gain confidence in career choice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ystematic pre-practicum program before participating in 4 weeks’ practicum for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gain various overall competencies as quality speci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

        초등학생 대상 장애인식개선 교육 연구의 효과 분석: 메타분석 활용

        박영근(Park Yungkeun),백상수(Baek Sangs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장애인식개선 교육 연구의 전반적 효과와 각 조절변인에 따른 교육 효과의 크기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통합학급 비장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장애인식개선 교육을 실시한 실험연구 36편 중 69개의 연 구를 선정하여 각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결과를 메타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장애인식개선 교육의 전반적인 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장애인식개선 교육이 비장애 초등학생들의 장애인식개선에 매우 큰 효과를 지 니고 있었다. 학년에 있어서는 1-2학년, 3-4학년, 5-6학년 모두 큰 효과크기를 보여 주었으나 학년군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육시간에 있어서는 정규수업 내에 실시한 경우와 정규 수업 외에서 실시한 경우 모두 큰 효과를 보여주었으나 그룹 간에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교육 수단별 평균 효과크기는 영상활용중심, 체험활동중심, 영상 및 체험을 포함한 통합형 교육에서 큰 효과를 보여주었고 강의 중심의 교육은 상대적으로 효과 크기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제공자에 따라서는 교 사와 연구자가 실시한 경우 모두 교육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집단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육 환경에 따라서는 통합환경, 비 통합환경 모두에서 교육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나 효과 크기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장애인식개선 교육 의 실시 회귀에 따라서는 평균 효과 크기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장애인식개선 교육 참여 학생수에 따라서는 학생들의 수가 31명 이상인 집단이 30명 이하의 집단에 비해 효과크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종속변인에 따라서는, 정의 적, 행동적인 면에 미치는 효과크기가 모두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종속변인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overall effect size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fo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nd the difference in effect size according to moderator variables. For the purpose of study,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of 69 research cases in 36 articles, implementing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fo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showed a large effect size in general. In terms of the grade of participants,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proved to be the most effective for preschool students, followed in descending order by preschool, middle school, elementary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mean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time was effective in both regular and non-regular hours,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effect size between them. With regard to the educational method, the mean effect size was greater for video-based education, education with disability simulation activities, and education using both activities and videos than for lecture-based education. Both the researcher and teacher produced a high effect size, 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of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mediator. In respect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both inclusive and non-inclusive classrooms had an large effect size equally. The number of implementation periods showed no difference in effect size, while the mean effect size was higher for groups of 31 or more students than groups of 30 or less students. Lastly, in terms of dependent variables, the mean effect size was higher for emotional aspects than on behavioral aspects. The discu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limitation are suggested.

      • KCI등재

        특수학교 산업안전보건 교육의 실태 및 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

        박정식 ( Park Jungsik ),박영근 ( Park Yungkeu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1 지적장애연구 Vol.2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의 산업안전보건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특수학교의 산업안전보건 교육의 실태를 살펴보고 향후 특수교육현장에서 산업안전보건 교육이 구체적으로 실시될 때에 교육의 영역과 내용을 어떻게 구성해야 할지 알아보는데 있다. 특수학교 산업안전보건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전국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장애아동의 산업안전보건 교육의 내용 영역 구성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두 차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문항은 산업안전보건 교육 관련 문헌 분석 및 초점집단면접(FGI)을 2회 실시하여 설문지 문항을 구성하였다. 조사된 자료는 연구목적에 맞게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델파이 분석을 위해서 타당도 및 중요도의 평균, 표준편차, 내용타당도 비율(CVR) 등을 산출하였다. 장애학생의 산업안전보건 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은 산업안전보건 교육의 사전 필요성이 높은 반면 산업안전보건 교육을 위한 지원과 교육자료가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산업안전보건 교육의 실태에서는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특수학교가 실시하고 있는 학교보다 조금 더 많았고, 산업안전보건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에서는 교육자료, 현장교육시간, 유관기관 협력 등에서 교육지원을 받고 있고, 현장실습 담당교사, 담임교사, 진로·직업교육 교사들이 진로·직업관련 교과 시간을 활용하여 진로·직업 유관기관에서 개발한 자료, 교과서 및 교과서 보완자료를 활용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밝혀진 산업안전보건 교육의 인식 및 실태와 교육영역 및 내용이 산업 현장을 반영한 교육과정 연계 교육 자료를 공급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ctual status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hem, and to clarify the educational areas and contents necessary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special schools nationwide to find out teachers' perceptions and actual conditions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and two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to organize the content area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analyzing the literature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nd conducting focus group interviews (FGI) twice.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using SPSS Win 21.0 version, and the Delphi analysis calculated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content validity ratio (CVR). The perception of special teachers about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that while the need for prior education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s high, support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nd educational materials are insufficient. And in the actual situation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there are more special schools that do not provid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nd schools that provid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provide educational support through educational materials, field training, and cooperation with related organizations. Field training teachers, homeroom teachers,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teachers used materials developed by career-related institutions and materials develop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by utilizing career and vocational curriculum hours. The recognition and actual condition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s well as the educational field and content, as revealed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can be useful in providing educational materials related to the curriculum reflecting the field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기능적 성인생활기술 교수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수준

        정윤향(Jung, Younhyang),박영근(Park, Yungk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9

        이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 학생이 성공적인 성인생활로 전환하기 위해 배워야할 기능적인 성인생활기술을 가르치는데 대한 특수교사들의 중요도 및 수행도 인식 수준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전국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재직 중인 중등특수교사 273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요도 인식에 있어서 교사들은 6가지 기능적 성인생활기술 중에서 지역사회활용 에 관련된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고, 상대적으로 가정생활 과 관련된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수행도 인식에 있어서도 지역사회활용 에 관련된 기술을 가르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고, 상대적으로 가정생활 과 관련된 기술을 가르치는 데 노력을 덜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적 성인생활기술에 대한 교사의 중요 도와 수행도 간의 인식 수준 차이를 통해 10가지 시급하게 요구되는 교수 수행요구 항목을 제시하였다. 둘째, 지적장애 학생이 배워야 할 기능적인 성인생활기술 교수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중요도 인식 수준과 현장에서의 수행도 인식수준 차이를 교사 배경변인에 따라 세분화하여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pecial teachers on functional adult life skills that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uld learn to have successful transform into adult lif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s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273 special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nationwid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erceived importance, teachers recognize that it is most important to teach the skills related to ‘ community utilization out of the six functional adult life skills, and that it is less important to teach skills related to ‘family life.’ In the perceived performance, teachers were also trying to teach the skills related to community utilization among six functional adult life skills, and showed relatively less effort to teach the skills related to family life. The 10 item of instructional requirement were presented through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teachers’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functional adult life skills. Second, according to th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the difference of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eaching functional adult life skills is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suggestions and limitation are as follows.

      • 지적장애학생 일상생활기술 지도에 대한 초등특수학급 교사들의 인식연구

        구민관(Minkowan Goo),박영근(Yungkeun Park)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본 연구는 초등특수학급 교사들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일상생활기술 지도의 필요성 인식과 실제 지도 실태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광역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근무 중인 97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온라인 설문 업체를 통해 이메일을 통해 설문지를 배부/회수 하였다. 자료분석은 연구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요인 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일상생활 기술 지도 필요성 및 지도 실제를 알아보기 위해 각 문항에 대한 빈도분석, 배경 변인에 따른 요인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 요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 교사들의 지적장애학생 일상생활기술 지도 필요 인식에 있어서는, 교사들은 지적장애 아동에게 일상생활기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고, IEP 작성시 일상생활기술 지도 관련 내용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특수학급 수준에서 재구성된 교육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며, 지역 지원청, 시도교육청, 혹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특수학급 교사들의 지적장애학생 일상생활 기술 실제 지도에 있어서는 교사들은 학급수준의 교육과정을 수립/적용 정도에 있어서 대부분 학급수준의 교육과정을 수립/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적장애아동의 생활기술 지도를 위한 학급수준교육과정 수립에 익숙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기도 지도 시 주 지도 기술에 있어 다수가 신변 관리를 주로 지도한다고 응답하였고, 주당 일상생활기술 지도 시간에 있어서는 대부분이 2시간 이하로 실시하고 있었으며, 주당 일상생활기술 지도 준비 시간은 대부분 1시간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적인 일상생활기술 지도를 위해 가장 필요한 요소에 있어서는 대부분이 실제로 적용 가능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초등특수학급 교사들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일상생활 기술 지도의 필요성 인식과 실제 지도간 관계에 있어, 지도에 대한 필요성 인식이 실제 지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전환교육에서의 기관 간 협력에 대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특수교사와 유관기관 전문가의 이해와 경험

        우선주(Woo, Seonjoo),홍정숙(Hong, Jeongsuk),박영근(Park, Yungkeun)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23 장애와 고용 Vol.33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환교육에서의 기관 간 협력에 대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특수교사와 유관기관 전문가의 이해와 경험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특수학교와 기관 간 협력 경험이 풍부한 경력 5년 이상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특수교사 10명, 지적장애 특수학교 유관기관 전문가 10명으로, 총 20명에게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전사 자료를 지속적 비교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면담자료를 분석한 결과 2개의 범주, 4개의 주제, 16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다. 4개의 주제는 ‘성공적인 전환교육의 의미’, ‘전환교육에서 유관기관 간 협력의 지향 ’, ‘특수학교와 유관기관 간 연계 실태’, ‘특수학교와 유관기관 간 연계 및 협력의 어려움’으로 분류되었다. 논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전환교육에서의 기관 간 협력에 대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특수교사와 유관기관 전문가의 이해와 경험에 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nderstanding and experiences of secondary special school teacher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experts from related organization on inter-institutional cooperation in transition education. Meth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secondary special school teachers with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 and 10 experts from organization who have abundant experience in cooperation between special schools and organization.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view data through the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2 categories, 4 themes and 16 sub-topics were derived. The four themes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interview data are the meaning of successful transition education, aiming for cooperation between related organizations in transition education, the reality of cooperation between special schools and related organization, and difficulties in connection and cooperation between special schools and related organizations. Discu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cussions on the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secondary special school teacher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experts from related organizations on inter-institutional cooperation in transition education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