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V화질에 있어서 자연스러움의 새로운 접근-TV장르

        박영경 ( Yung Kyung Park ) 한국감성과학회 2010 감성과학 Vol.13 No.1

        `Naturalness`의 경우 화질 평가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여겨진다. `Naturalness`는 다른 감성이 부여되는 이미지의 컨텐츠에 의존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The Image Quality Circle은 한 단계에 해당하는 `ness` 단계를 두 가지로 나누었다. 두 단계 중 하나는 lightness, colourfulness, hue and contrast와 같은 지각 속성을 예측하는 단계이다. 다음 단계는 이미지의 컨텐츠에 따른 SSE를 찾는 단계이다. 이 연구에서 이미지들은 TV장르로 분류해 놓았다. 각각의 이미지들은 lightness, colourfulness, hue and contrast를 단계별로 변형시켰다. 각 변형된 이미지의 화질 점수와 SSE의 점수를 실험 참가자들에게 물었다. 정성적 항목에 7 점 단계의 정량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각 장르에 따른 세 가지 SSE를 변수로 이용하여 화질 평가 모델을 수립하였다. 생생함 (vividness)은 모든 장르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SSE이고 나머지 SSE들은 모두 모델에서 독립변수로 취급하였다. 그 후 색 속성을 이용하여 각 장르에 따른 생생함을 예측하는 모델을 수립하였다. 생생함은 각 장르에 따라 의미가 다르며 화질 평가와 자연스러움(Naturalness)룰 연결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각 장르마다 생생함이 다른 의미로 여겨지기 때문에 각 장르에 생생함을 최적으로 표현하는 색 속성 또한 장르마다 다를 것이다. `Naturalness` is the important "ness" which is a key factor in image quality assessment. `Naturalness` is a representive factor depending on the context of the image which arouses different emotions. The Image Quality Circle was split into two steps. The first step is predicting the visual perceptual attribute which are lightness, colourfulness, hue and contrast. The next step is SSE which is dependent to image contents. In this study the image contents are grouped in genres. The images were rendered using four different colour attributes which are lightness, contrast, colourfulness and hue. Using a scale, the score of image quality and SSE was asked to each participant for all rendered images. A seven-point category scale of increasing amount of "ness" is used as a quantitative adjectives sequence. The image quality model was built by combining the SSEs for each scene. The SSEs, where vividness is common, are considered as independent variables to predict the image quality score. Then the vividness model was built using colour attributes as variables to predict the vividness of each scene (genre). Vividness is an important factor of naturalness which the meaning is different for all scenes that links the naturalness and image quality. The vividness meaning was different for each scene (genre). Therefore, the colour attributes that express the vividness would depend on the image content.

      • KCI등재

        종이같은 E-ink 전자책의 감성연구

        박영경 ( Yung Kyung Park ),이혜미 ( Hye Mi Lee ),이설희 ( Seol Hee Lee ) 한국감성과학회 2015 감성과학 Vol.18 No.4

        전자책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반사형 디스플레이 기반인 단말기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책을 읽을 수 있는 종이책, E-ink 전자책, LCD 태블릿의 감성과 독서 상태를 비교했다. E-ink 전자책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감성평가 후 독서 장치의 종류에 따른 가독성, 선호도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화면으로만 판단할 수 있도록 마스크를 제작했으며 컨텐츠의 내용만 다르게 설정하고 모든 조건과 환경을 동일하게 하였다. 감성반응 파악을 위한 감성어휘 실험에서는 의미분별법을 활용한 결과 LCD보다 E-ink 전자책을 종이와 가깝게 느끼는것으로 나타났다. 가독성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는 자기보고식 설문을 한 결과 LCD보다는 E-ink전자책을 선호하였으며 E-ink 전자책보다는 종이를 선호하거나 비슷하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들이 E-ink전자책을 종이와 비슷한 감성을 갖고 있으므로 E-ink 전자책이 종이책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demand of reflective display devices are increasing by widespread of electronic books. In this study, the emotional and reading state for reading material of paper books, reflective display, and LCD display were compared to each other. In order to determine the consumers`` sensibility of E-ink e-book the emotional assessment of three different types of books was evaluated following with readability assessment and preference experiment. These experiments controlled contents on the screen by using masks to hide hardware aspects of contents. The results of the sensibility reactions by emotional-vocabulary-experiment using semantic scale show that E-ink is closer to paper than LCD. The readability and preference questionnaire for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e-ink is preferred than LCD and paper was preferred or seem similar to E-ink. The conclusions shows that E-ink and paper has similar sensibility and E-ink e-book is expected to replace paper books.

      • KCI등재

        언어 차이에 따른 갈색과 분홍의 색채 범주화

        허재희(Heo, Jae Hee),박영경(Park, Yung Ky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3

        갈색과 분홍은 2차색으로써 1차색에 비해 떠오르는 색이 명확하지 않으며, 어떤 색들이 혼합되는가에 대한 연상하기 어렵다. 언어적 측면에 있어 갈색과 분홍은 색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서 많은 수식어가 필요하고, 산업체에서 주로 사용하는 색명은 한국어인 갈색과 분홍에 비해 영어인 Brown(브라운)과 Pink(핑크)의 비중이 상당히 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언어적 차이에 따라 갈색과 Brown(브라운), 분홍과 Pink(핑크)가 어떻게 다르게 범주화되는가를 알아봄으로써, 색채계획의 효율성과 인식의 명확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실험도구로서 실험1에서는 한국색채표준의 2.5YR 4/8(갈색), 2.5YR 6/4(탁한 주황), 10RP 4/2(회자주), 7.5R 7/8(분홍), 5RP 5/14(밝은자주), 5RP 8/6(연한 자줏빛 분홍)의 6가지 색 샘플을 사용하였고, 실험2에서는 한국색채표준 갈색과 분홍의 계통색명을 가지고 있는 색들과 그보다 넓은 범위에 걸쳐 갈색과 분홍으로 인식되는 색들을 포함한 464개의 샘플을 사용하였다. 실험 환경에 있어서 오프라인 실험의 경우, 샘플의 미세한 인쇄오차가 우려되어 동일한 생활조도 및 디스플레이환경에서 한국색채표준 디지털색채팔레트를 활용해 온라인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에 있어서 실험1은 선택지 없이 색 샘플을 보고 명명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실험2는 명목척도를 활용하여 7가지의 항목에 대하여 색들이 범주화되는 것을 보았다. 실험 및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홍에 비해 갈색을 명명함에 있어 더 많은 수식어를 사용하면서, 갈색에 대한 인식이 더 불명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성이 갈색으로 인식하는 색의 색상범위는 2.5R–2.5Y, Brown(브라운)은 5RP-2.5Y였고, 갈색이 Brown(브라운)과 비교하여 R계열에 분포하며 채도가 높은 특징을 보였다. 여성과 다르게 남성이 갈색으로 인식하는 색의 색상범위는 7.5R-2.5Y이고, Brown(브라운)은 10RP-10YR로 여성과 차이가 있었으며, 채도에서는 여성과 동일한 결과를 보였지만 명도에 있어서 여성에 비해 더 넓은 범주를 가지고 있었다. 여성이 분홍으로 인식하는 색의 색상범위는 10P-7.5YR, Pink(핑크)는 5RP-10RP로 분홍의 색상범위가 Pink(핑크)의 범위보다 더 넓었고, 채도는 Pink(핑크)가 더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남성이 분홍으로 인식하는 색의 색상범위는 2.5RP-10R, Pink(핑크)는 5RP-10RP로 여성과 차이가 있었고, 색조에 있어서는 동일했다. 범주화가 불명확한 색의 비율은 여성보다 남성이 더 높았으며, 여성이 색을 인지하는데 상대적으로 범주화가 명확하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갈색과 분홍을 다양하게 사용하는 산업체에서 언어차이에 따른 사람들의 인식을 고려한 색명을 대상에 적용하여, 대상과 색에 대한 명확성을 높이고 색채계획의 효율성이 높아지기를 기대한다. Brown and Pink are secondary colors and it is hard to imagine what colors are made by mixing. In terms of language, Brown and Pink need a lot of modifiers in order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and the color names more used in various industries are Brown and Pink. In this study, it is aimed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perception of the color plan by understanding how the Galsek(Brown of Korean Language), Brown, Bunhong(Pink of Korean Language) and Pink categoriz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inguistic difference. As experimental tools of this study, in Experiment 1, there were 6 colors of 2.5YR 4/8 (Brown), 2.5YR 6/4 (Dull Orange), 10RP 4/2 (Grayish Purple), 7.5R 7/8 (Pink), 5RP 5/14 (Light Purple), 5RP 8/6 (Light Purplish Pink) which were based on Korean Color Standards were used. In Experiment 2, 464 samples which were also based on Korean Color Standards were used, including the colors having Brown and Pink system color names and the colors recognized as Brown and Pink over a broader range. Also, in case of off-line experiment, since the fine print error of the sample is concerne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line using the Korean color standard digital color palette in the same living illumination and display environment. In the case of off-line in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since the fine printing error of the sample is concerne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line using the Korean Standard Digital Color Palette in the same living illumination and display environment. Experiment 1 was conducted by looking at the 6 color samples and writing the name of the colors freely without choice. Experiment 2 used the nominal scale to see how the colors were categorized for the seven items.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as follows. Using the more modifiers in naming the brown than the pink, people can see that the perception of the brown is more unclear. The range of color recognized by the woman as Galsek is 2.5R-2.5Y, Brown is 5RP-2.5Y, and Galsek is distributed in the R series as compared to Brown. The range of color recognized by the males as Galsek was 7.5R-2.5Y and that of Brown was 10RP-10YR, which was the same as that of the woman in the saturation, but it was broader than that of the woman in the lightness. The range of colors recognized by the woman as Bunhong is 10P-7.5YR, and that of Pink was 5RP-10RP, and the color range of Bunhong is broader than the range of Pink. The range of color recognized by the man as Bunhong was 2.5RP-10R, and that of Pink was 5RP-10RP. The proportion of unclear color categorization was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and the categorization was more clear than in that females recognized color.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industry which uses various colors of brown and pink will apply the color name considering the people’s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language difference to the object, to improve the clarity of the object and color and the efficiency of the color plan.

      • KCI등재

        천연 마감재의 사용 면적 비율에 따른 시각적 온도감

        김보미(Kim, Bo Mi),박영경(Park, Yung Kyung) 한국색채학회 2019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3 No.3

        Natural material (leather, wood, metal and marble) finishing is widely used in product and interior design. One of the important aspect of these materials is the ‘visual temperature’ of warm-ness and cool-ness that leads to the whole sensi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visual temperature’ by mix and matching the natural finishing materials. Firstly, we examined the ‘visual temperature’ on single materials; leather, wood, metal, and marble. Secondly, we combined two finishing materials with same area ratio and as a result, the warm-ness between the two materials was that leather was higher than wood, wood was than metal, and leather was than metal. For cool-ness, marble was stronger than metal, metal was than leather, and metal was than wood. Thirdly, for the area ratio was adjusted as 12.5%: 87.5% and the ‘leather+metal’ combination having the cool-ness was switched to the warm when the area ratio of leather was 87.5%. For ‘visual temperature,’ the combination of similar colors was considered a priority to indicate a warm-ness other than the used material. Also, higher contrast among the materials increased the cool-ness.

      • KCI등재

        Tablet PC에서 Nearly White 배경색과 가독성의 관계

        윤보람 ( Bo Ram Yun ),박영경 ( Yung Kyung Park ) 한국감성과학회 2014 감성과학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VDT(Visual Display Terminals) 환경에서 배경색과 가독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실험에 앞서 예비실험으로 색 온도가 다른 White 지각도를 알아보았으며, 실험 자극물은 태블릿 PC를 활용하였다. 실험환경은 주광과 야외광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창가에서 실험 자극물을 제시하였다. White 지각도의 인식과 선호 결과 중·단파장계열의 Nearly Whites 색 에서 백색에 대한 높은 선호도와 인식도를 보였다. 이러한 예비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실험 환경과 실험 기기를 가지고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 노란색의 총 4가지 Nearly Whites와 한 가지 백색을 배경색으로 사용하여 배색 평가, 가독성, 피로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글자는 검은색으로 제한하였다. 그 결과, 초록색의 Nearly White 배경색에서 가독성과 배색 평가가 높게 나타났으며, 가독시 느끼는 피로도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빨간색의 Nearly White 배경색에서는 가독성과 배색 평가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가독 시 느끼는 피로도는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서 VDT 환경에서의 가독성을 향상시키며, 눈의 피로도를 낮출 수 있는 배경색을 제안해 보고자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readability of Nearly White background color in display environment. To perform the experiment, warmup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for cognitive of whiteness using a Tablet PC. The experiment environment was by a indoor window seat under a mixture of fluorescent light and sunlight. The result of previous test was that the most whiteness perception was a color white a medium wavelength and followed by the short wavelength. The main experiment was to find readability, color combination and visual strains using 4 nearly whites background colors (Reddish, Greenish, Blueish, Yellowish) and one white background color, also text color is limited on black. As a result, readability and color combination had the highest score against a Greenish white background. Visual strain is also the lowest against a Greenish background. On the contrary, readability and color combination preference has the lowest score against the Reddish background. Visual strain is also the highest against a Reddish background. We propose the background color, which improves readability and reduces visual strain in visual display terminals environment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성별과 연령에 따른 연상 대상별 중성색으로의 인식 차이

        김누리 ( Kim Nu-ri ),박영경 ( Park Yung-kyu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1 No.-

        남녀평등에 대한 의식의 향상으로 중성적인 디자인과 색채의 활용 범위가 패션을 비롯하여 다양한 디자인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이런 변화에 따라 본 연구는 단일 색과 패션에서 젠더 연상에 따른 중성색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명도, 채도의 색채와 흔히 중성색으로 떠오르는 무채색을 포함하여 연상 대상 추상적 대상 도형 색과 구체적 대상 셔츠 색에서의 중성색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연상 대상은 추상적인 대상도형 색과 구체적인 대상 셔츠 색으로 지정하였고, 성별,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일 것이라 가정하고, 피험자를 남녀 20, 30대로 구성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상 대상 따라 무채색은 중성색이 다르게 나타났다. Gray는 대체적으로 남성적으로 연상되었지만, 저명도-저채도는 단일 색에서 20대 여성을 제외하고 모두 중성적으로 연상하였다. 중명도-저채도는 30대 여성만 단일 색에서 중성적으로 연상하였다. Black은 단일 색에서 남성적으로 연상되었고, 패션 색에서 여성이 중성적으로 연상하였다. 둘째, 중성색은 색상, 명도, 채도 모두의 영향이 있었고, 연상 대상에 따라 중성색이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연상 대상이 패션 일 때 소재, 형태 등이 색채의 영향 보다 중성색 연상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연상 대상에 따라 중성색이 다르게 인식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연상 대상에 따라 성별, 연령의 차이가 나타났다. With the improvement of consciousness about gender equality, the use of neutral design and color has been expanded to various design fields including fashion. According to this change, this study tried to study the neutral color according to the association of gender in a single color and fashion.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 of neutral color between abstract color and specific color, including various colors of lightness, chroma and achromatic color that often come up as neutral color. The subjects were assigned to the abstract target shape color and the specific target shirt color. The subjects were assume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sex and age.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neutral color was different in achromatic color depending on the associative target. Gray was largely reminiscent of masculine, but middle lightness-low chroma remained neutrally, except for women in their twenties in a shape color. low lightness- low chroma was reminiscent of a shape color and neutral in only thirties. Black was reminiscent of masculine in a shape color, and reminiscent of women in shirt colors. Second, the neutral color was affected by both color, brightness and saturation, and the neutral color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associative object. Third, it is considered that the material, shape, etc. Are more influential on the neutral color association than the color effect when the associate object is fashion.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neutral color could be recogniz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ssociative object,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sex and age according to the association object.

      • KCI등재

        고채도 색의 감성 특성

        이다솜(Lee, Da Som),박영경(Park, Yung Kyung) 한국색채학회 2019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3 No.2

        As the use and development of high-saturation colors in various industries are expanding and the tendency of higher-quality colors to be developed, this study analyzes the color emotion of high-saturation col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general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high-saturation colors and to find relevant emotional characteristics for cepending on the hue, value and chroma of the high saturated colors. In the first experiment, a group of experts extracted 15 adjective words suitable for the emotion words for high-saturation colors. In the second experiment, an emotional evaluation for 15 solid colors selected in PANTONE SOLID CHIPS Coated was evaluated with the emotional evaluation words selected in Experiment 1. The results conducted by a likert scale were to investigate the general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high saturated colors. Next, R² values using regression analysis were compared between the emotional words and color ton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strongness" and "clearness" were the emotional terms for high saturated colors, followed by "individual," "dynamic" and "fantasy." A comprehensive analysis found that the emotions of colors with high shades of color differed by hue. It was also concluded that the emotions words differentiate as the saturation increases by the direction on the tone plane and color. This study suggests that studies of color emotions may be conducted in more variety and detail on to highly saturated colors.

      • KCI등재

        베이커리를 위한 LED 조명과 배경색에 관한 연구

        홍정인(Jung-In Hong),박영경(Yung-Kyung Park),서민정(Min-Jung Seo)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1

        2000년 이 후 국내 베이커리 시장의 규모가 크게 팽창함에 따라 사업 역시 다각화되어 왔다. 이중 베이커리의 ‘조명(Light)과 색채(Color)"는 고객들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구매력을 증가 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의 두 가지 중요한 점을 연구하기 위한 작업으로서, 우선 LED 조명 아래서 육안으로 보았을 때 YR계열 빵의 색상이 가장 맛있어 보이는 조명색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단계별 실험으로 맛있어 보이는 최적의 조명을 선택한 후 그 조명 아래에서 빵의 바닥면인 배경색의 선호색을 연구하였다. 연구는 크게 네 가지 단계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제1단계는 맛있어 보이는 빵을 위한 조명을 찾기 위해 다양한 LED 조명하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서열에 따라 선택하는 실험(Pair comparison experiment)을 하였다. 제2단계 실험은 제1단계 실험의 결과에서 상위 3위 안에 든 조명을 ㏓를 변경하여 가장 적합한 조명을 최종적으로 결정하였다. 제3단계는 최종적으로 결정된 조명아래에서 빵이 맛있어 보이는 바닥의 배경색을 10가지 색상(Hue)에서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제4단계 실험에서는 배경의 색상(Hue) 실험 에서 결정된 색상의 톤(Tone)을 11단계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제1단계와 제2단계 조명 실험 결과 번호 B124번의 LED 조명이 선정되었다. 이 조명아래에서 제3단계와 제4단계 실험이 진행되었다. 선정된 1위 조명은 실제 빵의 색보다 채도가 다소 높으며 R계열의 색상으로 이동하였다. 그리고 이 조명아래서 P/Lgr의 배경색에 놓인 빵이 더욱 맛있어 보여 선호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accordance with the large expansion of the domestic bakery market since 2000 year, the bakery business has been also diversified. In connection with the situation "Lighting and color" of bakeries have been important elements that could become major interests of customers and increase purchasing power. Therefore,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the most appetizing bread with naked eye under the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Moreover, we have researched the preference color of the background under this lighting after we choose the most ideal lighting by experiments by step. The research experiments have been divided into four steps; At the 1st step, we conducted a pair comparison experiment which selects its image under various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to find the most appetizing bread in order of importance. For the 2nd step, we finally deiced the best suitable lightings that rank within the highest 3rd positions resulting in changing the 1st step experiment to ㏓. The 3rd step, we chose the background color in 10 Hue that have made bread appeared the most appetizing under the finally decided lighting. Finally, the 4th step experiment was divided by 11 tones that decided Hue under the 3rd experiment of background color. No. B124 resulting from the 1st step and the 2nd step lighting experiments that were chosen in the 3rd step and the 4th step experiments proceeded under this lighting. And P/Lgr (Purple/Light Grayish Tone) which is the most appetizing background color under the selected lightings are chosen by the result of these two experiments. Under the selected 1st lighting Chroma has looked higher than the actual color of bread and changed to the color of R order. Moreover, this bread color has appeared more appetizing under the background color of P/Lgr to cause bread prefe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