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학적 가치 탐색을 위한 어린이 철학교육

        박연숙(Park, Yeon-So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0 No.47

        인문학의 위기는 이제 인문학 관련 학문들의 축소나 폐지에 머물지 않고 우리 사회 전반의 인문학적 가치의 상실로 심화되고 있다. ‘세월호’ 사건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우리 사회가 인간으로서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윤리의식마저 상실하고 물질적 가치를 인간 생명의 가치보다 우선시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문학적 가치를 회복하는 것은 생명이 달린 문제이며 삶의 질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문제이다. 논자는 인간 존재의 의미와 인간다움을 탐색하는 인문학적 가치를 위해 철학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주장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철학교육은 전통 철학자들의 지식 체계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철학함’으로서의 철학이다. 이는 자신은 아무 것도 모른다고 하면서 끊임없이 질문하고 탐구하는 소크라테스의 태도에 가깝다. 삶 속에서 누구나 직면하는 현상들과 문제들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하고 그에 대해 깊이 생각하는 철학함(doing philosophy),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는 철학교육이 인문학적 가치를 탐색하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사고력을 길러주는 철학교육이 어린 시절부터 가능하다는 주장이 1960년대 후반, 미국의 철학자 리프만(M. Lipman)에 의해 주장되었다. 리프만의 ‘어린이를 위한 철학(philosophy for children)’은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배려적 사고력을 중심으로 유치원생부터 고등학생까지 단계별로 프로그램화되어 현재 40개 언어로 번역돼 전 세계에 널리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리프만의 교재들이 사고력 교육에 치중하고 어린이의 사고 유형을 제한한다는 문제가 제기되면서 매튜스(G. B. Matthews), 마르텐스(E. Martens) 등에 의해 정형화된 교재 대신 어린이가 던지는 순수한 질문으로부터 대화로 풀어나가는 ‘어린이와 함께 하는 철학(philosophy with children)’을 제안하였다. 논자는 이 두 흐름이 방법에 있어서 다르지만 서로 배타적이지 않다는 마르텐스의 입장을 수용하고, 나아가 어린이 철학교육이 학생의 수준과 관심, 환경에 맞게 개발되고 연구되어야 한다는 취지 하에 한국적 상황에 맞는 어린이 철학수업 개요를 제시한다. 본고는 어린이 철학교육에 한정하여 논의를 전개했지만 인문학적 가치를 탐색하고 인문학을 활성화하기 위해 연령과 상관없이 ‘철학함’으로서 철학교육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함축한다. 철학함으로서 철학교육은 궁극적으로 인문학적 가치, 인간의 존재 의미와 인간다움을 지향하는 점에서 인문학 교육이기 때문이다. The oft-mentioned crisis in the education of humanities is no longer just a crisis of select university departments being reduced or closed down but one with much dire consequences in leading to the loss of humanistic values in our society as a whole. The Sewol-ho shipping tragedy of 2014 can be seen as a culmination of how even the minimum sense of moral duty as a member of society has given way to material values taking precedence over human lives. Within such a predicament, the recovery of humanistic values for our society has become a mission that will directly save lives in addition to affecting the quality of our lives. Amidst this background, the author of the current paper asserts the education of philosophy as an essential element that would lead to a search for the meaning of human existence as well as what it means to be human. However, the philosophy education mentioned here should not be understood as the mere passing of knowledge systems as developed by traditional philosophers but a “doing philosophy,” which is much closer to the Socratic approach of perpetually researching and questioning for answers from a state of ignorance. The “doing philosophy” mentioned here, which constantly questions and deeply contemplates the common phenomena among members of society, is an effective method by which philosophy education will lead to the finding and understanding of humanistic values. In the late 1960s, American philosopher Matthew Lipman asserted that philosophy education can begin at an early age as a means to develop thinking skills. Lipman’s “philosophy for children” focused on critical, caring, and creative thinking, and was developed as a step-by-step program with stages ranging from preschool to high school. This system and curriculum, developed by Lipman and Ann Margaret Sharp at their own Institute for the Advancement of Philosophy for Children (IAPC), has since been translated into no less than 40 languages and have spread across the world. Nevertheless, critics have asserted that Lipman’s curriculum focuses excessively on thinking skills at the cost of potentially narrowing the patterns of thinking that may develop within a child. In line with this criticism, the likes of G.B. Matthews and E. Martens have proposed a “philosophy with children,” where dialogue becomes the vehicle (as opposed to standardized curriculum) by which the innocent questions of a child would be addressed. The author of the current paper argues that these two approaches are not necessarily at odds with each other. The author consequently presents an outline for childhood philosophy education customized to the Korean context, developed as resul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based upon the target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interests, and environment. Although the current paper limits its arguments to the field of childhood philosophy education, the wider argument implied is that philosophy education based upon ‘doing philophy’ is necessary regardless of age when looking at the larger picture of finding humanistic values in our society and invigorating study of the humanities. ‘Doing philosophy’ itself is, at its core, humanities education due to its ultimate goals of understanding humanistic values, the meaning of life, and the nature of humanism.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예술의 탈신비화와 창조적 일상

        박연숙(Park, Yeon-sook)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1 생명연구 Vol.19 No.-

        오늘날의 예술 개념은 근대 이후 형성된 것으로 일상과 분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여타의 기술과 비교하여 특권적 지위를 누리고 있다. 그러한 구분은 르네상스 이후 근대에 이르러 형성된 것이다. ‘순수예술’은 그 목적과 방법에 있어서 예술의 독보적인 지위를 확고히 하고자 신의 창조에 비견되는 창조성의 개념을 독점하며 신비롭고 창조적인 예술가의 개념을 형성하였다. 그 결과 영감, 상상력, 자유, 창조성은 예술가에게, 기술, 규칙, 모방은 장인에 속한 것으로 분류하였다. 본 논문은 예술의 특권화와 신비화의 기저에 모호하고 추상적인 창조성 개념이 자리하고 있다는 것을 비판하고 창조성에 대한 현대 심리학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창조성의 개념을 밝히고자 한다. 창조성은 예술뿐만 아니라 과학, 기술, 경영, 운동, 교육 등에까지 두루 적용되는 개념이며 특별한 천재에게만 속하는 것이 아님을 밝힐 것이다. 누구에게나 잠재적으로 창조적 능력이 있으며, 그러한 창조성을 일상에서도 발휘할 수 있으며, 삶과 예술을 통합할 수 있다는 주장을 펼칠 것이다. 창조적 일상을 사는 것의 가장 큰 매력은 삶의 의미를 만들어내고 생의 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The concept of the arts, as we commonly understand it nowadays, was first formed alongside the advent of the modern era. More precisely, it was formed during the Renaissance period and developed continually afterwards. "fine art" had attempted to solidify its lock on both the objectives of art as well as its methodology by monopolizing the concept of creativity-not unlike the idea of divine creation-resulting in a notion of the artist being a mystical and creative figure. This led to an understanding that the realms of inspiration, imagination, liberty, and creativity belonged to the artist, while those of technique, guidelines, and emulation were those of the craftsman. This paper criticizes the ambiguous and abstract notions of creativity that are situated at the root of the arts' privilege and mysticism, while relying upon modern psychology research to shed light on a new interpretation of creativity. The author shows that creativity is a concept that applies not only to the arts but also a wide range of subjects, including science, technology, administration, sports, and education. Creativity is innate to all and not exclusive to so-called brilliant minds. Hence, the potential for creativity lies within all human beings. When that potential is realized in every day life, it results in an integration of life and the arts. In turn, a creative lifestyle becomes an extremely attractive idea that imbues meaning into life itself while also adding vitality.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존 듀이의 경험 개념에 근거한 미적 무관심성 비판

        박연숙(Park Yeon-Sook) 대한철학회 2007 哲學硏究 Vol.104 No.-

        현대의 미학은 예술을 무관심적 태도라는 개념을 토대로 감상하고 평가하기를 시도하였다. 특히 미적 태도론자들은 예술 경험에 있어서 미적 무관심성을 강조하여 왔다. 반면 존 듀이의 프래그머티즘 철학은 미적 무관심성 개념을 비판할 근거를 제공한다. 존 듀이에 따르면 경험은 유기체와 환경의 상호작용이다. 주체와 객체의 상호작용은 의미 있는 통합체를 이룰 때까지 지속적으로 일어난다. 이러한 경험의 상호작용성은 미적 무관심성 개념을 비판하는 논거이다. 듀이에 따르면 미적 무관심성은 가능하지도 않고 바람직하지도 않다. 왜냐하면 미적 경험이란 영속적인 미적 성질을 무관심하게 관조하는 것이 아니라 계속되는 상호작용 가운에 끊임없이 새로운 의미를 획득하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듀이의 통찰은 미적 경험을 예술작품을 평가하는데 뿐만 아니라 철학과 과학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인간 경험의 최고의 형태로 보고 있다. Modern aesthetic theorists, in particular, Aesthetic attitude theorists, have emphasized the value of aesthetic disinterestedness in appreciating the works of art. Dewey’s pragmatism, however, provides a basis to criticize this approach. According to Dewey, our experience can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interaction between organism and its environment,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which occurs continuously until we reach a meaningful unity. Dewey referred to this process as interaction. On the basis of the notion of experience, Dewey argues that the disinterestedness is neither possible nor desirable. According to him, this is impossible because all experience of living creatures contains some amount of the subject. Furthermore this is not desirable because art experience is not about the contemplation of permanent aesthetic quality but about the continuously renewable unity of meaning formed through the evolving process of interaction. Dewey’s insight helps us understand that the aesthetic experience is the highest form of human experience, not only for the appreciation of the works of art but also for the study of philosophy and science.

      • KCI등재

        과학과 예술의 경계면으로 본 사이아트(SciArt) 연구

        박연숙 ( Yeon Sook Park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3 동양예술 Vol.23 No.-

        본 연구는 총체적 경험을 위해 과학과 예술이 융합하는 사이아트(SicArt)를 연구하고 이것으로 야기되는 효과를 검토한다. 이 총체적 경험은 문화의 두 거대한 원동력인 과학과 예술을 총괄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작품을 감상하는 데서 얻을 수 있는 결과이다. 르네상스이전, 예술과 과학은 하나였다. 과학은 자연철학으로 불리었고, 철학자들은 종교와 진리에 대해 사색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예술과 과학을 고찰했다.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살펴보는 사이아트의 실행은 과학이 예술의 영역으로 흡수되어 작품화되는 예를 보여준다. 본고는 순수과학과 예술의 적극적인 협업으로, 사이아트의 실행이 지식과 감성을 융합하고 이것이 하나의 영역만을 지향하지 않고 총체적인 경험을 야기하는 것을 밝힌다. 예술이 예술가의 직관에 주로 의존하는 것이라면 과학은 이것을 경험하도록 실행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하나의 과학적 자료가 예술계를 통해 타자에게 ‘전시’될 때 이것이 예술화되고, 그것이 유용성의 문제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삶을 사유하고 돌아보도록하는 예술적 경험으로 연결된다. 본 연구는 이 경험이 예술과 과학의 경계면에서 형성되며 시각적 경험에서 출발하여 총체적 경험을 도출하는 바를 검토하고 그 효과로 양자의 더 나아간 발전된 현상을 논의한다. This study mainly discusses the SciArt which converges art and science as well as its resulting phenomenon. In the course of art evolution, science has been a faithful company and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for nurturing the art practices. The new media invented by scientists have been introduced to the radical avant-garde artworks and recently to the various artworks based on computer technology and applied science. When we face the science information in the art world, we attempt to perceive it, not to verify the law of cause and effect because we accept it as artwork. Through the experience, we are able to go through the whole experience that Snow has mentioned. On the forefront of the experimental artworks, SciArt, as a interface between art and science, has produced the image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ones as well as a spectator’s perception which interacts with them and the contemporary discourses that have been originated from them. Therefore I attempt to conclude the significance of SciArt is to bring the spectators to the phrase they have never considered, to broaden the realm of art and to provide several directions of contemplation regarding it. The contemplation will be completed by the converged thought which is caused by the whole experience. With these transitions, the art will prepare the new evolution and the spectators will find the new, proper, and suitable language to read it.

      • KCI등재

        <광부화가들>과 경험으로서의 예술

        박연숙(Park, Yeon-So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1

        예술은 과거 오랫동안 특권층의 전유물이었고, 오래도록 일상과 분리되어 왔다. 예술의 신비와 특권이 지배하는 가운데 예술 교육을 받지 못한 사람들에게 예술은 이해하기 어려운 것, 쉽게 접근할 수 없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영국의 작가 리 홀(Lee Hall)의 <광부화가들>은 영국에서 실제로 활동했던 애싱턴 그룹을 모델로 한 작품이다. 애싱턴 탄광촌의 교육받지 못한 광부들에게 예술은 전혀 이해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러나 우연히 듣게 된 미술감상 수업을 계기로 그들의 삶에 그림은 분리될 수 없는 것이 되어 버렸다. 이 수업의 교사는 광부들에게 그림을 이해시키고자 직접 그림을 그려보자고 제안하는데, 그 결과는 기대 이상의 결실을 이룬다. 본 논문에서는 <광부화가들>에 나타난 경험을 통한 교육과 성장의 과정을 철학자 존 듀이(John Dewey)의 경험 개념으로 뒷받침하고 이 작품에서 환기된 예술의 관점과 태도를 듀이의 미학과 연결시켜 예술과 일상의 연속성을 지지하고 나아가 문화 민주화를 주장하고자 한다. Emperical research shows that art has for a long time been in the exclusive domain of the priviledged class, thus being quite estranged from the real lives of commoners. For commoners without training, art remained a subject that was hard to comprehend and difficult to approach, as it had traditionally been ruled by the barriers of both mysticism and privilege. Amidst this background, British author Lee Hall"s play The Pitmen Painters was written as an account of the real life activities of the Ashington Group in Great Britain that began in 1934. At the time of the Group"s founding, the miners of Ashington had never received much education thus understood art as something they could not comprehend. But an opportunity to take art appreciation classes had started a series of awakenings that made art inseparable from their lives. The most important catalyst that allowed for the miners to mature into artists was a visiting instructor from New Castle who"s challenge of teaching art appreciation to miners, who have never once seen a painting before, led to the important suggestion that they try drawing firsthand. The results of the suggestion had become something no one could have anticipated. The current paper aims to explain the process of education and maturity in The Pitmen Painters, with support from John Dewey"s concept of experience and art as an experience. Connection will be made between Dewey’s aesthetics and the perspective or attitude towards art portrayed in the play, in order to ultimately arrive at a wider statement for the democratization of culture. More specifically, John Dewey"s philosophy on education as well as his concept of aesthetics will be the basis by which The Pitmen Painters characters and events will be analyzed and focused to reflect upon the problems we have in our modern education and the arts.

      • KCI등재

        사이아트(SciArt)에 구현된 현대 한국인의 미의식

        박연숙 ( Yeon Sook Park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6 동양예술 Vol.30 No.-

        일반적으로 과학기술의 진보가 암시하는 것은 인간의 복지와 편익(便益)이 되었다. 인간신체의 진화는 이러한 기술진보의 속도감에 비해 자각할 수 없을 만큼 느리게 진행되지만 과학기술은 매 순간 놀라운 속도로 인간에게 새로운 세계를 열어준다. 새로운 세계로의 경험은 인간을 몸의 태생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욕망에 빠지게 했으며 그 욕망으로부터 ‘사이보그(cyborg)’나 로봇과 같은 인간을 닮되 인간의 능력을 능가하는 ‘완전한’ 존재의 생산이 시작되었다. 이러한 욕망과 기술진보가 어우러져 배태(胚胎)한 안드로이드 로봇(AndroidRobert) ‘에버(EveR)’의 개발을 사이아트의 한 맥락으로 보고 필자는 여기에서 연구팀과 언론이 말하는 한국의 미의식 반영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 사실 ‘한국적’이라는 수식어는 한류(韓流)의 번성과 함께 우리가 일상에서 빈번히 마주치는 것이다. 우리가 별 의문 없이 이러한 문구가 지칭하는 한국의 전형을 받아들이지만 일상에서 흔하게 마주한다고 하여, 또 그것이 일반적으로 통용되기 때문에 어떠한 주장이 사실이 될 수는 없는 것이다. 필자는 ‘한국형’이라는 표현사용의 타당성을 연구하기 위해 ‘한국적 미인’에 관한연구를 안드로이드 로봇의 외모구성에 응용하여 분석했다. 우선 본고에서는 ‘한국적’이라는 용어의 의미를 한국문화 원형(原形)으로 상정하고 전통적 한국미인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현재 변화하는 한국인의 얼굴과 체형에 대한 데이터를 밝히면서, 미인에 대한 전통적 생각과 현재의 한 차이점으로 ‘동안(童顔)’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분석한 바에서 필자는 안드로이드 로봇 개발자와 언론이 한국적 미인으로 소개한 로봇이 엄밀한 의미에서 현재 상업문화가 만들어낸 신화일 뿐이라 판단된다. 이 로봇의 외형은 오늘의 상업주의가 선전하는 서구화된 외모의 뷰티 트랜드이며, 우리는 이를 현재 한국의 미인으로 곡해(曲解)하고 있는 실정이다. 각 분야를 대표하는 이들이 어떤 것을 한국적인 것으로 주장하면 일반인들은 수동적으로 이를 받아들이기 때문에 그 주장에는 책임이 따라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한국적인 것을 지키고 유지하는 일은 다음 세대를 위해 오늘의 세대가 책임져야할 일이기에 향후 더 깊이 있는 평가와 연구가 필요 할 것이다. In generally the advance in science technology implies human welfare and benefits. Although the evolution of the human body, compared to fast-speed of science technology development, is too slow to be recognized, the science technology rapidly opens up to human beings a new world. The experiences of new world have made us fall in the desire to attempt to overcome the limits of human body. From the desire, a complete being, cyborg or robot, which resembles but surpasses human kind, has been produced. I regard Android Robert, ‘EveR’ as one of streams of SciArt and when Korean science team, which developed ‘EveR’ series, announced the series represent Korean aesthetic sensibilities, I give a skeptical response to it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paper. In fact we are often exposed to the modifier of ‘Korean style’ due to the prosperity of Korean Wave. Even though we have accepted what it refers to without any questions and because the idea becomes common sense, the claim is not able to become the truth. In order to confirm the validity of expression, ``Korean Style``, I have applied the studies of traditional types of beautiful woman images to appearance composition of ``EveR`` series. Above all, I presume the meaning of ``Korean Style`` stemmed from Korean cultural prototype. I, in additionally, study the types of Korean beautiful woman, present state of body transformation, and ``baby face`` trend in Korea. With these analyses, I insist that Korean android robot, EveR, which introduced as Korean archetype of the beauty by science development team and the media, is the myth that the current commercial culture has manipulated. The appearance of robot is one of beauty trends which is westernized and advertised by beauty industry in Korea. In these days we all accept it as Korean genuine beauty. Thus when the representatives from all walks of life claim Korean style, they should have responsibility what they have introduced to the public, because people believe it and make it the truth. The duty this generation should do is to define and preserve what Korean style is for the next generations.

      • 사이버공간(cyberspace)에서 페미니즘아트(feminism art)의 방향성 연구

        박연숙(Park, Yeon Sook),서상희(Seo, Sang Hee)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4 디자인지식저널 Vol.30 No.-

        정치, 경제, 그리고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이버 공간을 활성화하는 것과 상응하며 예술가들의 활동 역시 새로운 예술을 배태하며 감상자의 인식과 세계관을 확장시켰다. 사이버 공간을 통해 주변인의 항거와 주목받지 못하는 소수의 이야기에도 이목이 집중되면서 이 공간 속에서 다양한 인종과 민족이 초국가적 의견을 나누며 ‘인류’라는 동질감을 공유하게 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맥락과 달리 현재 사이버공간에서 활동 중인 여성작가들이 그들의 당면 문제를 공론화하거나 이를 사회적 문제로 제기하기보다는 인간 본연의 문제에 더 깊이 관여하는 바를 논의한다. 이러한 경향은 앞 세대의 페미니즘아티스트들이 강조했던 여성들의 연대감을 약화시켰다. 달리말하자면 페미니즘아트의 텍스트가 여성의 개인적인 이야기, 혹은 남녀 공통의 삶의 문제, 그리고 디지털 기계 기술력과 관련된 이미지 그 자체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다양한 사람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사이버공간에서 넷 아트와 뉴미디어아트 등의 분야에서 활동하는 작가들 중 여성의 비율이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세하다. 이것이 기술력보급의 부족함으로 기인하는 현상이라면 새로운 매체의 보급과 그 기술력 활용을 위해 여성들이 더욱이 분야에서 교육받아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이러한 기술력의 응용을 통해 소수집단의 의견이 제시되어 읽혀지고 경험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우리의 실생활이 변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이버 공간을 활용하는 여성 넷 아티스트들과 뉴미디어아티스트들은 작품을 통해 여성의 입장을 표명하고 아직도 존재하는 여성을 향한 부조리를 들추어내고 공론화하는데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진보는 이미 우리의 주변에 와 있으며, 우리는 이를 활발히 전달하고 시각화해야 할 것이다. 하나의 메시지가 시각화되면서 언어와 시대 그리고 지역을 넘어 그 효력을 발휘하므로, 사이버공간은 페미니즘아트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도록 하는 중요한 수단이자 통로인 것이다. When the term “Cyber”which originally means to control and govern is connected with Feminism discourse, it will reminds us the possibilities of Feminism in the technology realm. The Cyberspace, for the future generations and us, is profoundly involved in our daily lives already, as it constructs the new layer of Feminism and new media. Despites of this the young women generations reuse to propose the women issues and protest for their own problems, instead they’re interested in expressing human’s universal issues and in the personal matters. These, therefore, phenomena also appear in Feminism Art as the artists show the personal stories or exhibit the issues regarding technical developments in the computer based art fields. The proportion of woman artists who are engaged in NetArt or New Media Art in Cyberspace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man. If the reason of this is because of the lack of new technology supply, the Feminism artists should be educated the new technic to change, improve and participate the main stream of the era. We can experience and accept the voices of the minority and the marginal or express women’s own messages. In the course of this, our reality can be evolved. The advancement is already near us so we have to visualized and deliver it. As a message is visualized, it can be extremely effective to our lives beyond the boundaries of languages, regions, races, and the genders. Feminism Art in Cyberspace is the important method and path to attain the goal.

      • KCI등재

        The Philosophy of The Little Prince and Use of “Framing” as Aesthetic Strategy in the 2015 Film Version

        Park, Yeon-sook(박연숙)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8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6 No.-

        생텍쥐페리의 『어린 왕자』(1943)는 인간이 추구해야 할 가치와 철학에 대해 성찰하고 있는 현대 인문 고전이자 어린이와 어른을 위한 철학동화이다. 이 작품이 마크 오스본 감독에 의해 극장용 애니메이션 〈어린 왕자〉(2015)로 제작되었다. 애니메이션 〈어린 왕자〉에는 원작에 등장하지 않는 동시대의 ‘어린 소녀’가 주인공으로 등장하고, 원작의 화자인 비행사가 어린 소녀의 옆집 할아버지로 등장한다. 할아버지는 그가 오래 전에 만난 어린 왕자의 이야기와 그에 대한 그림을 종이에 옮겨 소녀에게 들려주며 친구가 되어 가는데, 그 형식이 액자소설, 극중극의 구조를 띄게 된다. 본고는 〈어린 왕자〉 스토리텔링의 미학적 전략을 고찰한다. 원작 텍스트의 핵심 스토리는 종이로 만든 스톱모션 기법으로 표현하여 “틀안”에, 새로 형성된 캐릭터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애니메이션 고유의 스토리는 CG 기법으로 차별화하여 “틀 밖”에 배치하여 원작의 내용을 훼손 하지 않고 전달하면서 그것을 뛰어 넘는 애니메이션 고유의 스토리텔링을 전개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이러한 “틀(frame)” 전략은 원작의 스토리와 철학은 그대로 전달하면서도 익숙한 원작을 낯설게 보게 (defamiliarization) 하면서 오늘날 현실의 문제들을 동시대 어린 소녀의 삶에서 새롭게 발견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이원화하는 것이다. 본고는 이 작품에서 이원화를 가능하게 하는 “틀”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면서도 애니메이션 고유의 스토리텔링을 전개하는 결정적인 힘은 그 틀을 깨는 것에 있다는 것을 분석한다. 본고는 〈어린 왕자〉의 스토리텔링에서 틀을 선택한 미학적 전략과 “틀 깨기”의 효과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Antoine de Saint-Exupéry’s 1943 popular novella The Little Prince is a modern day classic that is an introspection on the values and philosophy sought after by individuals and society, as well as a philosophical tale to be read by both children and adults. The 2015 animated film version of the same title, directed by Mark Osborne, introduces a protagonist merely named “the little girl” as a character of our own contemporary times who does not appear in Saint-Exupéry’s original. Her character is developed by interaction with another character of “the old man” whom the audience soon realizes is the pilot/narrator from the original story, now aged and living next door to the new protagonist. The narrative begins as the old man befriends the little girl by sharing his story about the little prince he once met in his younger days. The result is a film that has two separate narratives.one being the original novel and the other being the new narrative within which the original story is told. In order to reconcile the two storylines, the film essentially takes form of what is called a “rahmennovelle” (or “play-within-play”) that installs a “frame” of sort to keep the original and new film narratives apart and effectively deliver the intended story to the audience. The current paper will be an examination of the film’s aesthetic strategy of “framing.” Within this structure, the original novella’s storyline is preserved “within frame” and visually denoted by the use of paper-based stop-motion animation technique, while the new narrative with the little girl as protagonist is kept “outside frame” and distinguished by its use of computer generated images to render the animation. In the end, the use of framing is quite effective in preserving the narrative of the original novella while also introducing new content that only the medium of animation could deliver. The strategy of using frames also allows for the philosophy of the original novella to be properly disseminated and understood by the film audience, while also adding a dimension of defamiliarization by allowing the audience to newly discover the philosophical aspects of the original through the eyes of the little girl struggling with our own modern day realities. The resulting film is one that is important as an example of adopting original classics into new mediums, for both its achievements as well as shortfalls, all of which warrants deeper examination. The current paper will also state that while the use of frames is important in protecting the integrity of the original, the film’s true power and uniqueness is demonstrated when the two narratives on either side of the frame are combined half way through. Here, the motif of “death” is used as a trigger for breaking the frame. Finally, the current paper will look into whether the aesthetic strategy of using frames and its latter frame-breaking was fully able to achieve its intended ef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