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方言類釋>에 반영된 中國語 音韻 體系 硏究

        박애니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논문은 18세기 후반에 간행된 사전류 譯學書인 《方言類釋》을 대상으로 이에 반영된 중국어 音韻 체계를 연구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우리나라 고유 문자인 訓民正音을 사용하여 표기한 轉寫 樣相을 聲母와 韻母로 나누어 분석하고, 예외자의 경우에는 여러 가지 방향에서 그 원인을 고찰해보았다. 다음으로는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方言類釋》의 音韻 특징에 관해 정리하였다. 《方言類釋》에 반영된 음운 체계의 특징을 성모와 운모별로 정리하였으며, 《方言類釋》과 동시대에 간행된 《朴通事新釋諺解》, 《重刊老乞大諺解》와의 共時的인 음운 비교 연구를 통해 《方言類釋》의 性格을 照明해보는 동시에 그것에 반영된 音系에 관해서도 고찰해보았다. 《方言類釋》에 반영된 음운 체계의 특징을 살펴보면 聲母 방면에서는 같은 조음위치에 있는 유기음과 무기음 聲母 사이에 혼동이 보이는 현상이 종종 발견되었고, 齒頭音과 正齒音의 경우는 모두 /ㅈ/, /ㅊ/, /ㅅ/로 표기되었으며, 微母가 완전히 소실되는 현상 등이 보였다. 韻母 방면에서는 근대 국어에서 이미 소실된 /ㆍ/음이 재출현하였으며, 捲舌 聲母(正齒音 3等字)와 [i]介音이 자주 만나는 현상을 통해 아직 捲舌音化가 완성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존의 역학서에서는 잘 찾아볼 수 없는 표기 방식이 몇몇 보였고, 일부 日母字가 兒化한 현상도 발견되었다. [m] 韻尾와 [n] 韻尾의 구별도 거의 사라졌으며, 中古 入聲字가 대부분 文言音 위주로 표기되는 樣相을 보였다. 그러나 《方言類釋》은 18세기 후반에 발간된 譯學書임에도 불구하고 당시의 현실음과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 현상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同時代의 《朴通事新釋諺解》, 《重刊老乞大諺解》와의 비교를 통해 알 수 있었다. 聲母 방면에서 살펴보자면, 《方言類釋》에서는 喉牙音系의 口蓋音化가 전혀 일어나지 않은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日’母字의 轉寫 樣相에서도 《方言類釋》은 《朴通事新釋諺解》, 《重刊老乞大諺解》와는 다르게 기존의 체제를 그대로 따르고 있었다. 韻母 방면에서는 촬구호 [y]의 표기에 있어서, 동 시대 자료의 촬구호 표기와는 다르게 이전의 표음법을 그대로 답습한 흔적이 보였다. 또한 陽聲韻 [m] 韻尾 ‘甚’의 표기에 있어서도 《朴通事新釋諺解》, 《重刊老乞大諺解》와 다른 樣相을 보였다. 이러한 원인은 《方言類釋》의 편찬자들이 당시 중국에서 사용되는 방언을 직접 수집하여 편찬한 것이 아니라, 이전에 간행된 문헌들을 참고하여 재편집했기 때문이다. 또한 그들이 사전에 등재하려했던 표준음은 아편전쟁 이전까지 표준음의 지위를 유지했던 남경 중심의 관화음이었고, 《方言類釋》에 반영된 음계는 南京 官話音을 기초로한 明代의 文言音인 것이다. 따라서《方言類釋》에 반영된 音系가 동시대의 그것과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南京 官話音을 기초로한 明代의 文言音을 반영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本&#35770;文以&#30740;究18世&#32426;后半刊行的&#35793;&#23398;&#36766;&#20070;《方言&#31867;&#35793;》&#20026;&#30740;究&#23545;象,目的是要反映出&#24403;&#26102;中&#22269;的音&#38901;&#20307;系。&#30740;究方法是先用我&#22269;固有文字&#35757;民正音把&#26631;&#35760;的&#36716;&#20889;&#26679;相分成&#22768;母和&#38901;母&#36827;行分析,例外的字&#20174;各&#20010;角度&#26469;考察其例外的原因,然后根据分析得出的&#32467;果,整理《方言&#31867;&#35793;》的音&#38901;特征以及其音&#38901;&#20307;系所反映的&#22768;母和&#38901;母。最后把&#19982;《方言&#31867;&#35793;》和&#19982;其同&#26102;代的《朴通事新&#37322;&#35866;解》、《重刊老乞大&#35866;解》&#36827;行&#23545;比以得出《方言&#31867;&#35793;》的特征,以便更好地&#35266;察其音&#38901;&#20307;系。 &#35266;察《方言&#31867;&#35793;》所反映的音系特征,我&#20204;&#21457;&#29616;其有&#36741;音&#24102;音&#19982;不&#24102;音之&#38388;界&#32447;模糊;&#40831;&#22836;音和正&#40831;音全部使用/ㅈ/、/ㅊ/、/ㅅ/&#36827;行&#26631;&#35760;;微母&#20960;乎完全消失的&#29616;象。&#38901;母方面近代&#22269;&#35821;已&#32463;消失的/·/在此重新出&#29616;;同&#26102;我&#20204;&#36824;可以看出正&#40831;音三等字和[i]&#32467;合,&#36824;&#27809;有完成卷舌化&#36807;程;&#21478;外&#20070;中&#36824;&#21457;&#29616;了在&#35793;&#23398;&#20070;中不常&#35265;的&#26631;&#35760;方式;一部分日母字&#20799;化&#29616;象已&#32463;&#21457;生;[m]和[n]&#38901;尾的&#21306;&#21035;已&#32463;消失;中古入&#22768;字大部分以文&#35835;&#26631;&#35760;。 《方言&#31867;&#35793;》&#34429;然是18世&#32426;后半刊行的&#35793;&#23398;&#20070;,但我&#20204;&#21457;&#29616;&#23427;所&#35760;&#24405;的音&#19982;&#24403;&#26102;的&#23454;&#38469;&#35821;音有一些差距,&#36825;&#19982;&#23427;同&#26102;代的《朴通事新&#37322;&#35866;解》、《重刊老乞大&#35866;解》相比可以得知。比如&#36741;音部分《方言&#31867;&#35793;》的喉牙音系&#33133;化&#29616;象&#36824;&#27809;有&#21457;生;在“日”母字&#36716;&#20889;&#26679;相中《方言&#31867;&#35793;》的&#20307;系不同于《朴通事新&#37322;&#35866;解》、《重刊老乞大&#35866;解》。在&#38901;母方面,有撮口呼[y],&#36825;一点&#19982;同&#26102;代的&#36164;料不同,因&#20026;《朴通事新&#37322;&#35866;解》、《重刊老乞大&#35866;解》一般都有沿&#34989;前代的痕迹;&#21478;外和《朴通事新&#37322;&#35866;解》、《重刊老乞大&#35866;解》不同的是,&#38451;&#22768;&#38901;&#38901;尾[m]&#36824;使用于“甚”字。 &#22788;于以上原因可知《方言&#31867;&#35793;》的&#32534;撰者&#20204;&#24182;不是直接收集中&#22269;&#24403;&#26102;的&#35821;音而撰&#20889;&#36825;本&#20070;,而是在&#21442;考前人的文&#29486;&#36164;料基&#30784;上再&#32534;&#36753;的。他&#20204;在字典里&#35760;&#36733;的&#26631;准音&#36824;&#23646;于&#40486;片&#25112;&#20105;以前的南京官&#35805;,是以南京官&#35805;&#20026;基&#30784;的明代文言音。由此我&#20204;可以知道,《方言&#31867;&#35793;》所反映的音系&#19982;同&#26102;代的&#36164;料出&#29616;差&#24322;的原因正是因&#20026;&#23427;所反映的音系是以南京官&#35805;&#20026;基&#30784;的明代文言音。

      • '무영탑'에 나타난 패러디의 관계 양상 고찰

        박애니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현진건의 소설 무영탑에 대한 기존 연구의 검토를 통해서 문제를 제기하고 무영탑 설화와 비교하여 서사 구조를 살펴보며, 이를 통해 무영탑에 나타난 패러디의 관계양상을 고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설화라는 고전 문학이 현대의 소설로 수용된 것을 ‘차이를 둔 반복’이라는 패러디의 정의에 맞추어 변모된 양상을 살펴보는 것은 현대의 패러디 소설이 지향할 하나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서 의미가 있다. 무영탑 설화와 맺고 있는 관계성을 서사 구조를 통해 살펴보았다. ‘차이를 둔 반복’으로 그 정의를 한정한 후 논의를 진행하여 무영탑은 패러디소설로 논의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무영탑은 ‘사랑’과 ‘탑’ 건축이라는 주요 사건으로 구성된 설화의 내용을 대부분 수용하면서 이를 구체적이고 현대적인 사실과 연결시키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무영탑을 패러디 성립 조건에 맞추어 검증한 결과 현진건이 원작을 공개적으로 밝힌 점, 설화의 내용을 대부분 수용하였지만 작자 고유의 창작의도와 주제 의식을 명확히 드러내고 있는 점, 원작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서 출발하여 이를 수용하여 재창조하는 과정을 통해 원작이 가진 본연의 의미를 새롭게 치환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패러디소설로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무영탑의 패러디 양상 속에는 겨레의 최초 도읍지가 되는 이름인 ‘아사달’을 주인공으로 하여 역사적 공간의 의미를 재해석하며, 일제에 대한 문화적 우월성을 드러내고 있다. 무영탑은 설화를 창작의 제재로 적용, 변용함으로써 국문학의 지속성과 변화에 있어서 패러디라는 서사기법의 일정한 틀이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소설이라는 사실에 의의가 크다. Proving the possibility of parody by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ovel and Narrative is a job that carries great significance for the research of contemporary novels as it seeks to explore where the modern form of parody will be headed. On this note, this dissertation looks closely at the possibility of parody by comparing narrative structures of the novel ‘Pagoda Mu-young’ and folk tale ‘Pagoda Mu-young’with the aim of identifying connectivity between the two. Especially, the focus here is on studying some unique value added to the novel ‘Pagoda Mu-young’ by making itself ‘distinctive’ through ‘repetition’ while accepting the folk tale ‘Pagoda Mu-young’ in line with the definition of parody, which is ‘repetition with distinctiveness’. And the dissertation finds ‘the spirit of coping with the time’ in the main protagonist ‘Asadal’, which can be seen as the ultimate goal of the novelist Jun-gun Hyun to parody a folk tale. The novel ‘Pagoda Mu-young’has a narrative structure that relates to modern specific facts while accepting most of the basic story-line of its folk tale counterpart. In this novel, the meeting of a folk tale and historical facts that is manifested in twists and turns of the narrative is being reconstructed as a fiction set in a real world of our modern time. So this dissertation intends to find a key message and a spirit of writer embedded in twisted modification of a folk tale mostly in the meanings implied in new characters created for the novel. By doing so, a clear intent of the novel could be identified for both acceptance and modification of afolk tale, which is to tell a story of his own unfolding in his own time by accepting a story long existent from the past. By making 'Asadal‘ whose name means the ground for national life as a main character sublimated the sorrows from the loss of livelihood in art. Having applied and modified 'territory legend‘,‘Pagoda Mu-young’is an important novel and it has a great significance for proving that the parody, as a regular frame of narrative technique, in terms of persistence and change of Korean literature could be formed.

      • 사운딩 로켓의 고도 극대화를 위한 최적 조건 : 근사적 접근법

        박애니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사운딩 로켓의 고도 극대화를 위한 최적의 조건을 결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질량 유량이 일정한 경우에 공력저항, 추력, 중력을 포함한 일차원 모멘텀 방정식을 대입하여 점근적 해를 구하는 식을 수행하였으며, 해석적 적분이 불가능하므로, 몇 가지 가정을 통하여 최적 분사 조건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 값은 수치 해와 비교하였다.

      • Mapping the Linguistic Landscape : The Status of English as Shown through English Movie Titles

        박애니 숙명여자대학교 TESOL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23

        As part of linguistic landscape, this study analyzes renderings of imported American movie titles in South Korea. The study of linguistic landscape shows the role of certain language in that place. Movie titles are part of linguistic landscape as they are exposed to public and also play a role of advertisement. This study divides the renderings of American movie titles in South Korea into categories according to each linguistic pattern they are rendered into, and then looks into what these different linguistic patterns tell about the status of English in South Korea. As a result, the renderings of American movie titles in South Korea has supported that Koreans have high knowledge of English; and English is highly valorized and play a role of attention getter in South Korea. 언어 경관 (linguistic landscape)의 일부로서 이번 연구에서는 한국에 수입된 미국 영화의 번역된 제목들을 분석하였다. 언어 경관의 연구는 그 지역에 특정한 언어의 역할을 보여준다. 영화 제목은 대중에게 공개되고 게다가 광고의 역할을 하므로 언어 경관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한국에서 수입된 미국 영화들의 번역된 제목들을 번역된 언어적 형식에 따라 나누고 이러한 서로 다른 형식들이 한국에서 영어의 위치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들어다 보았다. 그 결과 미국 영화 제목의 번역이 한국인들은 영어에 관해 높은 지식을 갖고 있으며 영어는 매우 안정되어 있고 주의 집중의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