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족의 노래로서의 아리랑, 발명과 수행 -아리랑과 조선 민요 담론

        박슬기 ( Seulki Park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2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0 No.3

        아리랑은 명실공히 민족의 노래다. 그러나 현재 불리는 아리랑은 본조 아리랑으로 1920년대에 창작된 유행가다. 아리랑이 한민족의 고유 민요로 자리매김하게 되는 데에는 그 연원인 잡가적인 속성, 즉 유행가요로서의 성격을 배제하고 전통적인 민족의 정서를 반영하는 노래로 지위를 획득하게 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이 과정은 일본의 조선 민요 규정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아리랑의 민요화 과정을 일괄적으로 조선 민요의 확립과정과 일치시키는 어렵다. 아리랑은 민족을 표상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대안들이 금지되었던 1930년대 후반의 상황에서 구심점으로서 요청된 ``민족의 노래``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아리랑은 민족적 속성을 내재하고 있었기 때문에 민족의 노래가 된 것이 아니라, 민족의 노래로 수행됨으로써 민족의 노래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IIt is commonly accepted that "Arirang" represents the common mentality shared by all Koreans. This is the reason why it is called "Minjok ?i Norae [Song of Korean People]." In other words, it has been considered that the emotion represented in the song is not an individual`s regret of parting but a particular mentality unique to the Korean national identity. Turning to the historical process in which "Arirang" gained the current status, one would discover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of the definition of the generic category of the song; the song had been originally known as a "Chapka [popular song]" but this generic definition was changed to "Min`yo [folk song]." If "Chapka" was regarded as a popular genre, "Min`yo" was the musical form to represent the unique emotion of Korean people. This discursive process was closely connected to Japanese discourse of Korean folk song genre. However it is hard to tell that the discourse of "Min`yo" can be directly applied to the canonization process of "Arirang." The song gained the current status of "Song of Korean People" in the 1930s. During the period, it was almost impossible for Koreans to express their nationalist emotion. "Arirang was discursively reborn as the "Song of Korean People" in order to channel the nationalistic emotion. In other words, "Arirang" became what it is now not because it cogently expresses the common mentality of Korean people but because it was performed as the "Song of Korean People."

      • KCI등재

        1930년대 조선 문학 개념과 경성제대 학자들의 문학사 서술 - 김태준, 조윤제의 문학사를 중심으로 -

        박슬기(Park, Seulki) 한국현대문학회 202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3

        이 글은 1930년대 조선 문학 개념을 둘러싼 담론적 상황을 살펴보았다. 이광수를 비롯한 근대 문학자들은 ‘한글’을 조선 문학의 유일무이한 조건으로 간주함으로써, 특수 문학으로서의 조선 문학을 민족어로 창작되는 보편적 근대 문학과 등가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개념은 민족의 역사적 발전 과정에서 창작된 (비)한글 문학을 배제하며, 이로써 창작자인 민족의 역사적 과정 자체도 추상화한다. 이에 비해 옛 문학의 현상들을 문학 발전 과정의 보편적 체계에 비추어 고찰하고자 한 경성제대 학자들의 조선 문학사는 한글 문학으로서의 조선 문학개념이 실행하는 동일성의 신화를 해체하고 조선 문학 개념을 역사적으로 재구성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김태준과 조윤제의 조선 문학 연구는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민족의 옛 문학들이 지닌 동일성과 차이적 현상 자체에 주목한다. 이에 따라 그들의 문학사는 끊임없이 수정되고 보충되는 바, 이들의 서술을 통해 조선 문학은 갱신되어 왔으며 동시에 앞으로도 갱신될 하나의 유동적인 개념으로서 제시된다. 나아가 그들의 문학사는 근대 문학자들이 간과했던 조선 문학의 역사성을 환기함으로써 이를 창작해 온 조선 민족을 역사적 주체로서 정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his paper examined the discourses surrounding the concept of Joseon literature in the 1930s. Modern literary scholars, including Yi Kwang-su, regarded the use of Hangul as the one and only condition of Joseon literature, and saw Joseon literature as a form of general modern literature written in the national language. However, this concept excludes (non) Hangul literature created in the process of historical development, and results in an abstraction of the people’s historical process itself. Incontrast, Keijō Imperial University scholars sought to examine the phenomena of old literature in relation to the general system of literary development. They dismantled the myth of sameness inherent in the concept of Joseon literature, and re-established the concept under a historical approach. The study of Joseon literature by Kim Tae-jun and Cho Yun-je focused 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old literature, which exhibited differenttraits according to time period. Their view of literary history was repeatedly revised and improved, and the concept of Joseon literature has been renewed based on their description. The concept will continue to take shape and develop in the future. By highlighting the historicity of Joseon literature, which was often overlooked by modern literary scholars, they demonstrated the possibilit yof the Joseon people serving as historical agents.

      • KCI등재

        이광수의 개조론과 기독교 윤리

        박슬기(Park Seulki) 한국현대문학회 2011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5

        이 논문은 이광수의 「민족개조론」의 핵심 사상인 '민족 개조'의 내적 기원을 탐구하고자 한다. 그간 민족 개조의 사상은 「민족개조론」을 둘러싼 정치/사회적인 맥락에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이광수가 '개조'에 부여한 독특한 의미는 그가 당시에 발표했던 기독교론과 문학론과의 관계 속에서 논의해야만 제대로 구명될 수 있다. 이광수의 문학론은 예술의 미를 포기하고 공리주의로 나아간 것이 아니라, 미를 선과 연결시키는 지점을 통해서 진의 차원으로 고양시키고자 하는데 그 핵심이 있었다. 달리 말해, 이광수의 문학론은 예술=인생=도덕이라는 독특한 삼위일체를 성취하려고 하는 것이다. 문학론이 미를 중심으로 선을 통합시켜 진의 차원으로 고양시키고자 하는데 비해, 그의 정치적 비전은 도덕을 중심으로, 이 윤리적 규범을 보편적 선의 차원으로 확대함으로써 진의 차원으로 고양시키고자 한다. 이 확대의 과정에 작동하고 있는 원동력은 그의 기독교론에서 찾을 수 있다. 기독교 윤리는 개인의 행위나 인격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믿는다는 차원에서 , 즉 믿는 자만이 의로움을 얻을 것이라는 윤리적 형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광수는 이 형식을 빌어, 도덕을 보편적인 선으로 확정하고, 민족과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는 초월적 자리에 이를 위치시킨다. 이광수는 「민족개조론」 을 어떤 확신에 입각하여 도출했다. 개조의 구체적인 방법, 소요되는 시일, 앞으로의 전망을 논의하는 이 논설을 관통하고 있는 것은 개조는 도덕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민족 개조'와 '도덕'의 관계에 대해, 그가 발표한 문학론과 기독교론을 중심으로 구명하고자 한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which Kwangsu Lee's political ideas in MinjokGaejoron is originated in. This political article is related to other literary articles published at same time, so his political ideas are probably associated to view on literature. In Lee's writings on the idea of literature, the arts are designated as representative of the beauty and the virtue. The beauty in a work of arts is able to show its total value only if exalted to the state of the truth through standing the verification process of the moral. In other words, Lee's articles on literatureare purposing to form the unique trinity, art and life and morality. In MinjokGaejoron, Lee asserts that the major problem in Choson is severe immorality of individuals, for improving his community-Choson, it is necessary that each individual has to cultivate one's mind. That is, He expands the moral accomplishment of individuals to rule of social community, furthermore, make the rule a universal and regulative doctrine, the Virtue. There is a leaping between moral act of individuals and morality as universal principle. Christian Ethics is in on the leaping point. On Christian Ethics relied on a Biblical quotation, especially in Romans 1:17, the Justice is based on the Faith for God and the Christ, neither ethical acts nor good works. Lee puts a morality of individuals on position of the Faith, and the Virtue on the Justice. In other words, as Christian Justice is on the Faith, the Virtue of Choson is on moral individual. Based on the form of Christian Ethics, Lee organized his political ideas.

      • KCI등재

        도남 조윤제의 조선 시가사 기획 ― 형식의 역사화, 역사의 형식화 ―

        박슬기 ( Seulki Park ) 한림과학원 2017 개념과 소통 Vol.0 No.19

        이 글은 도남 조윤제의 『조선시가사강』과 이를 전후한 조선 시가에 관한 연구들을 통해서, 도남이 구성하고 있는 조선 시가사의 원리를 살펴보고자 했다. 그는 조선 시가사를 관통하는 원리이자 조선 시가의 현상을 추동하는 이념으로서 형식을 설정했고, 그것은 향가의 분석에서 찾아진 2구와 반절성이었다. 그는 향가라는 기원형식에서 출발하여 시조와 가사에 이르는 과정 속에 변하지 않고 존재하는 형식을 설정하고 이를 역사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형식을 역사화한다. 동시에 이 형식은 민족의 고유성이자 조선적인 것의 기원으로서, 역사의 흥망성쇠의 과정 속에서도 불변하는 것으로 존재한다는 점에서 불변하는 이념적 형식과 일치한다. 그는 이 지점에서 시가사의 이념을 민족사의 이념과 일치시킴으로써 역사를 형식화한다. 그러나 그의 서술에서 이념형은 수많은 조선 시가의 현상을 증명하는 데에는 실패한다. 즉 그의 이념형은 현상들의 생성과 소멸과정 속에서 그 부재성만이 증명될 수 있는 것이라는 점에서, 이념형의 역사화 자체는 저항된다. 그리고 그런 차원에서만 역설적으로 이 무수한 충돌의 흔적들, 도남이 결국에는 설명하지 못했던 수많은 현상 자체가 자기를 역사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드러나는 것은 2구와 반절성이라는 이념의 이면에 있는 근대문학사가로서의 조윤제의 이념, 즉 시와 가의 구별이라는 근대문학의 이념이다. 이 지점에 조윤제가 1930년대에 조선 시가사를 구성하고자 했던 근본적인 동인이 자리한다. 그것은 조선 시가를 `문학적 현상`으로서 증명하고자 했던 혹은 해야만 했던 것, 즉 자기 자신의 증명인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inciples underlying Jo Yunjae`s discussions on the history of Korean poetic song (Joseon Sigasa) by analyzing his studies of premodern Korean poetic texts, as developed in his monograph, Principles of Korean Poetic Song (Joseon Sigasagang), and in his other work. For Jo,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governing traditional Korean poetic writing was form. His understanding of form was distilled from his analysis of Hyangga (the extant poetic genre from the ancient Silla period of Korea), and it has a dual character. He considered form as the most essential poetic attribute, and believed it had been preserved substantially intact during the modal changes from Hyangga to Sijo and to Gasa. In Jo`s discussion of this continuity of form throughout history, poetic form is historicized, becoming deeply intertwined with the origin of Korean-ness (i.e. of Joseon), and provides a steadfast anchor for the unchanging Korean character through the course of Korean history. Thus, Jo created a vision of history which identified and synthesized the ideas governing both the history of poetry and that of the Korean nation. However, Jo`s theory of form fails to explain various features of premodern Korean poetry. His ideal form is profoundly difficult to establish, in the sense that its absence in history can be confirmed, rather than its existence, and the historical manifestation of Jo`s vision is unconvincing. To literary historians in modern Korea, Jo`s ideas simply cannot supply a usefu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Korean poetic song throughout premodern Korea. Indeed, a better interpretation of Jo`s work would emphasize his unconscious desire to prove himself as a Korean literary historian through his blind insistence upon form.

      • KCI등재

        한국과 일본에서의 자유시론의 성립: 근대시의 인식과 선언

        박슬기(Park, Seulki) 한국현대문학회 201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2

        한국과 일본의 자유시론은 근대시는 자유시라는 등식을 이후의 시사 전개과정의 출발점이자 도달점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양국의 시사에서 동등한 담론적 지위를 지닌다. 그러나 상징주의 시를 부정하고 성립한 일본의 자유시론과는 달리 한국의 자유시론은 상징주의 시를 또 하나의 전범으로 간주했다. 이는 전대의 시적 과정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한 것으로, 일본의 구어자유시가 언문일치체가 소설에서 낳은 성과인 주관성의 영역을 시에서 확보해야 했다면 한국의 자유시론은 노래하는 시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산문시로 실험될 수밖에 없었던 한계 속에서 출발했다. 자유시의 리듬 문제는 한국에서는 출발점이었고, 일본에서는 귀결점이었다. 토대의 차이가 과제의 차이를 낳긴 했으나, 근본적으로 양국의 자유시론은 자유시를 근대시로서 선언했다는 중대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 이들은 시와 시형을 동일한 것으로 간주함으로써, 시의 내용과 형식에 관한 논의의 토대를 완전히 바꿔 놓았다. 그들은 자유시를 ‘고정된 형식을 타파’하면서 성립한 ‘자유로운 형식으로 된 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주관과 완전히 일치하는 시형’이며 이를 곧 시로 간주함으로써, 시의 본질을 근본적으로 새롭게 인식했다. Korean and Japanese theories of free verse during the early stage of modern literary histories posited the concept that modern poem would begin and end in/with free verse. In both countries’ literary histories, those discussions of free verse occupy the same discursive position. While Japanese writers’ theories grew out of negation of symbolist poetics, Korean counterparts took the symbolism as the paragon of poetic modernity. This bifurcation was caused by the two countries’ writers’ different views on the previous stage of literary history; Japanese writers struggled to take on the theme of discovery of subjectivity -which a group of naturalist fiction writers had achieved- in the realm of poem, while Korean theorists started off from the dilemma that their experiments of free verse form had had no other way than conducting in prose verse form. In short, the problem of rhythm in free verse form was the starting point in Korean case while it was the final destination in Japanese case. However, they both argued that free verse was not a poetic form which was liberated from the tyranny of fixed forms but a poetic form which precisely corresponded ro subjectivity. This concept of free verse irreparably changes modern conception of poetry in bath countries.

      • KCI등재
      • KCI등재

        1910년대 『태서문예신보』의 행복 담론 : 복음주의 기독교 윤리의 내면화

        박슬기(Park, Seulki)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 No.29

        1920년대 이후에 다양한 맥락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 ‘행복’ 개념은 3.1 운동 이전에는 본격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1918년에 창간한 『태서문예신보』』는 행복을 적극적으로 담론화하고 있어 주목된다. 계몽주의 혁명이 열어놓았던 행복의 정치적 조건, 즉 정치적 자유와 권리 선언이 불가능해진 1910년대 사회에서 ‘행복의 추구’는 도덕적 개인의 경제적 활동이라는 영역에서 운위된다. 발행인 장두철의 사설에서 행복은 성공한 미래에 얻어질 것이 아니라, 성공을 위해 투쟁하고 인내하는 삶의 모든 과정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미래를 믿으며 고통스러운 현재를 기쁨의 현재로 전환하는 마음의 자세이며, 이는 프로테스탄티즘의 성격을 지닌다. 그러나 금욕을 강조했던 프로테스탄티즘에서 장두철은 한 발 더 나아가, 미래의 성공을 부의 축적과 일치시키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구도라면 행복은 부자가 되는 과정에서 발견되는 것이다. 이러한 행복 추구의 자본주의적 성격은 19세기 미국의 복음주의 기독교의 것이다. 선교사들이 한국에 도입한 복음주의 기독교의 윤리는 『태서문예신보』의 행복 담론에서 내면화되고 있다. The concept of “happiness,” which was widely used in various contexts after the 1920s, was not in active use before the March 1st Movement. However, T’aesŏmunyeshinbo, which was first published in 1918, took a different approach and actively incorporated happiness in its discourse. In the society in the 1910s, when the political conditions of happiness introduced by the Enlightenment, that is, political freedom and declaration of rights, became impossible goals, the “pursuit of happiness” could only be realized in the realm of economic activities of ethical individuals. In his column, the publisher Chang Tuch’ŏl argued that happiness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attained in a successful future but that the process of fighting and enduring for success is itself happiness. What is important is one’s attitude of believing in the future and converting the painful present into a happy one, which was a characteristically Protestant idea. However, Chang Tuch’ŏl went a step further from Protestantism, which values abstinence, and displayed a tendency to reconcile future success with the accumulation of wealth. In this context, happiness can be discovered in the process of becoming rich. This capitalist nature of the pursuit of happiness can be found in evangelical Christianity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evangelist Christian ethics that were introduced by missionaries were being internalized in the happiness discourse of T’aesŏmunyeshinbo.

      • KCI등재
      • 모델의 오버피팅(Overfitting) 특성을 이용한 레이블 노이즈(Label Noise) 탐지

        박슬기(Seulki Park),최진영(Jin Young Choi) 대한전자공학회 2020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8

        Popular data collection method such as crawling and crowd—sourcing frequently includes noise—label data. It is well known that deep neural networks do not generalize well on these incorrectly labeled data. Therefore, in this work, we propose an iterative algorithm to detect noise—label data based on the overfitting property of the trained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