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원 지역에 분포하는 석회석 자원의 특성과 부존환경: 영월읍 북부 지역의 중기 석탄기 요봉층을 중심으로

        박수인,이희권,이상헌,Park, Soo-In,Lee, Hee-Kwon,Lee, Sang-Hun 한국지구과학회 2000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1 No.5

        강원도 영월읍 북부 지역의 영흥리 물암골, 속골 및 삼옥리 일대에는 중기 석탄기의 요봉층이 남북 방향으로 길게 분포한다. 특히, 요봉층 내에는 품위가 높은 석회암이 발달되어 있어 석회석 자원으로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이 연구는 요봉층내의 석회암의 구성 입자와 조직 및 지화학적 특징, 그리고 석회암의 부존 상태를 규제하는 지질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요봉층의 석회암은 대체로 담회색 또는 담갈색의 세립 팩스톤(packstone)과 와케스톤(wackestone)으로 구성된다. 석회암의 구성 입자는 해백합, 유공충, 방추충, 개형충, 복족류 등의 다양한 생물 파편으로 이루어진다. 연구 지역의 요봉층 내 석회암의 CaO 함량은 48.12${\sim}$59.31% 범위이며, 평균 함량은 54.52%로 높다. MgO, Al$_2$O$_3$, Fe$_2$O$_3$ 및 SiO$_2$의 평균 함량은 0.32%, 0.05%,0.20%) 및 0.05%이다. 화학성분을 고려할 때 요봉층 석회암은 비교적 품위가 높은 석회암이다. 석회암의 Al$_2$O$_3$, Fe$_2$O$_3$및 SiO$_2$의 함량은 석회암의 암상, 층리의 발달 정도, 그리고 셰일층의 협재 등에 따라 변화 양상을 보이는 것이 특징적이다. 일반적으로 연구 지역에서 요봉층 석회암의 CaO 함량은 층의 상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연구 지역에 분포하는 요봉층은 적어도 5회의 변형작용을 받은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 중 첫 번째와 네 번째 변형작용 중에 생성된 습곡구조에 의해 요봉석회암의 부존상태가 크게 지배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첫 번째 변형작용은 등사습곡과 엽리구조를 발달시켰다. 두 번째 변형작용에 의해 형성된 지질구조 요소인 노두 규모의 등사습곡은 조사 지역 전역에 걸쳐 발달되어 있지 않고 오직 요봉층의 녹색 이암 및 밤치층의 암회색 이암에만 발달되어 있다. 세 번째 변형작용에 의해 형성된F$_3$ 횡와습곡과 이와 관련된 S$_3$ 엽리구조 및 네 번째 변형작용 중에 생성된 노두 규모 및 지질도 규모의 F$_4$ 습곡구조, 그리고 다섯 번째 변형작용 중에 형성된 충상단층 및 이와 관련된 습곡구조가 연구 지역 전역에 걸쳐 연속적으로 인지된다. The Middle Carboniferous Yobong Formation with North-South trending is distributed in the Yeongheungri and Samokri of Yeongwoleup, Kangwon Province, Korea. A light gray thick and massive pure limestone is developed in the middle part of the Yobong Formation and it has been exploited for a long tim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li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eochemical compositions of the limestones and to figure out how geologic structures control the disribution of the limestones of the formation. The limestones of the Yobong formation are characterized by the fine and dense textures and the light gray to light brown in color. The limestones are composed of crinoid fragments, small foraminifers, fusulinids, gastropods, ostracods, etc. Based on the amount of grains and matrix, the Yobong Limestone can be classified as fine packstones and wackestones. The chemical analysis of limestones of the Yobong Formation was carried out to measure the contents of CaO, MgO, Al$_2$O$_3$, Fe$_2$O$_3$ and SiO$_2$. The content of CaO ranges from 48.12 to 59.31% and its average is about 54.52%. The average content of MgO is about 0.32% and the coutents of Al$_2$O$_3$, Fe$_2$O$_3$ and SiO$_2$ are relatively low. The amounts of Al$_2$O$_3$, Fe$_2$O$_3$ and SiO$_2$ of the limestones vary according to the kinds of limestone and their stratigraphical horizons in the formation. Generally, the CaO content of the limestones of the Yobong Formation decreases towards the top of the formation. Using geometric and structural analysis, we determined five progressively overprinted phases of deformation recorded in the study area. The anticline and syncline formed during the first and fourth deformation had controlled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Yobong Limestone of the Yobong Formation. The structures of deformation D$_1$ consist of F$_1$ isoclinal folds and foliations. The D$_2$ deformation had formed the isoclinal interstratal F$_2$ folds and axial plane cleavages which are locally developed within mudstones. The structural elements of deformation D$_3$ are axial plane cleavages associated with recumbent F$_3$ folds. These structures are overprinted by meso-scale and regional F$_4$ folds which are regionally dominant. Finally, the structures of D$_5$ consist of the thrust faults and folds associated with the thrust faults.

      • KCI등재

        강원도 태백 지역의 중부 석탄계 코노돈트 생층서

        박수인,선승대,Park, Soo-In,Sun, Seung-Dae 한국지구과학회 200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2 No.6

        강원도 태백시 일대에 분포하는 중기 석탄기의 만항층과 금천층은 사암과 셰일로 구성되며, 여러 매의 석회암이 협재되어 있다. 만항층과 금천층의 석회암에서는 코노돈트와 그 밖의 화석이 풍부하게 산출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1) 만항층과 금천층의 코노돈트 화석군을 조사하고, (2) 이를 근거로 코노돈트 생층서대를 확정하며, (3) 코노돈트 화석군과 생층서에 근거하여 만항층과 금천층의 지질시대를 보다 명확히 밝히는 데 있다. 만항층과 금천층의 석회암에서는 6속 11종의 코노돈트가 산출된다. 만항층의 석회암에서 산출되는 코노돈트는 Idiognathodus delicatus, Hindeodus minutus, Streptognathodus sp., Diplognathodus coloradoensis, N. bothrops 및 N. medexultimus이고, 이들 코노돈트에 근거하면 만항층의 코노돈트 생층서대는 Neognathodus bothrops 대로 지정될 수 있다. 만항층의 코노돈트와 Neognathodus bothrops 대에 근거하면 만항층의 지질시대는 북아메리카의 일리노이 분지에 분포하는 중기 석탄기의 아토칸조(Atokan stage)에 대비된다. 금천층 석회암에서 산출되는 코노돈트는 Idiognathodus delicatus, N. medexultimus, N. roundyi, N. dilatus, Diplognathodus edentulus, Hindeodus minutus, Streptognathodus elegantulus 및 Gondolella bella이고, 이들 코노돈트는 Neognathodus roundyi 대에서 산출되는 종들이다. EK라서 금천층의 코노돈트 생층서대는 Neognathodus roundyi 대로 지정될수있다. 이 생층서대와 금천층 코노돈트는 금천층의 지질시대가 북아메리카의 일리노이 분지에 분포하는 중기 석탄기의 더모이네시안 조(Desmoinesian stage)에 대비됨을 지시한다. The Middle Carboniferous Manhang and Geumcheon Formations exposed in the Taebaek area, Kangwondo, Korea consist of sandstones and shales with some intercalation of limestone beds. The limestones of the formations contain abundant conodonts and other fossi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investigate the conodont fauna, (2) to assign conodont biozones of the Manhang and Geumcheon Formations, and (3) to refine their geologic age more exactly. The conodonts of the Manhang and Geumcheon Formations are 6 genera distributed into 11 species. Conodonts found from limestones of the Manhang Formation are Idiognathodus delicatus, Hindeodus minutus, Streptognathodus sp., Diplognathodus coloradoensis, N. bothorops, and N. medexultimus. This conodont fauna can be assigned to the Neognathodus bothrops Zone. This conodont biozone indicates that the geologic age of the Manghang Formation is the Atokan stage of the Middle Carboniferous Period. Conodonts came from limestones of the Geumcheon Formation are Idiognathodus delicatus, N. medexultimus, N. roundyi, N. dilatus, Diplognathodus edentulus, Hindeodus minutus, Streptognathodus elegantulus, and Gondolella bella. These conodonts permit them to be assigned to the Neognathodus roundyi Zone. This Conodont biozone indicates that the geologic age of the Geumcheon Formation is the Desmoinesian stage of the Middle Carboniferous Period.

      • KCI등재

        강원 지역에 분포하는 석회석 자원의 특성과 부존환경: 충북 가창산 지역의 갑산층을 중심으로

        박수인,이희권,이상헌,Park, Soo-In,Lee, Hee-Kwon,Lee, Sang-Hun 한국지구과학회 2000 韓國地球科學會誌 Vol.21 No.4

        The Middle Carboniferous Gabsan Formation is distributed in the Cheongrim area of southern Yeongwol and the Mt. Gachang area of Chungbuk Provinc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lithological characters and geochemical composition of the limestones and to find out controlling structures of the limestones of the formation. The limestones of the Gabsan Formation are characterized by the light gray to light brown in color and fine and dense textures. The limestone grains are composed of crinoid fragments, small foraminfers, fusulinids, gastropods, ostracods, etc. Due to the recrystallization, some limestones consist of fine crystalline calcites. The chemical analysis of limestones of the formation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ntents of CaO, MgO, Al$_2$O$_3$, Fe$_2$O$_3$ and SiO$_2$. The content of CaO ranges from 49.78-60.63% and the content of MgO ranges from 0.74 to 4.63% The contents of Al$_2$O$_3$ and Fe$_2$O$_3$ are 0.02-0.55% and 0.02${\sim}$0.84% , respectively. The content of SiO$_2$ varies from 1.55 to 4.80%, but some samples contain more than 6.0%. The limestones of the formation can be grouped into two according to the CaO content: One is a group of which CaO content ranges from 49.78 to 56.26% and the other is a group of which CaO content varies from 59.36 to 60.38%. In the first group, the contents of Al$_2$O$_3$, Fe$_2$O$_3$ and SiO$_2$ range very irregularly according to the CaO content. In the second group, the values of MgO, Al$_2$O$_3$, Fe$_2$O$_3$ and SiO$_2$ are nearly same. Detailed structural analysis of mesoscopic structures and microstructures indicates the five phase of deformation in the study area. The first phase of deformation(D$_1$) is characterized by regional scale isoclinal folds, and bedding parallel S$_1$ axial plane foliation which is locally developed in the mudstone and sandstone. Based on the observations of microstructures, S$_1$ foliations appear to be developed by grain preferred orientation accompanying pressure-solution. During second phase of deformation, outcrop scale E-W trending folds with associated foliations and lineations are developed. Microstructural observations indicate that crenulation foliations were formed by pressure-solution, grain boundary sliding and grain rotation. NNW and SSE trending outcrop scale folds, axial plane foliations, crenulation foliations, crenulation lineations, intersection lineations are developed during the third phase of deformation. On the microscale F$_3$ fold, axial plane foliations which are formed by pressure solution are well developed. Fourth phase of deformation is characterized by map scale NNW trending folds. The pre-existing planar and linear structures are reoriented by F$_4$ folds. Fifth phase of deformation developed joints and faults.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limestones is mostly controlled by F$_1$ and F$_4$ folds. 강원도 영월 남부 지역의 청림 일대와 충북 가창산 일대에는 중기 석탄기의 갑산층이 북북서 방향으로 길게 분포한다. 이 연구는 갑산층 내의 석회암의 구성 입자와 조직 및 지화학적 특징, 그리고 석회암의 부존 상태를 규제하는 지질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갑산층의 석회암은 대체로 담회색 내지 담갈색을 띠며, 세립질의 치밀한 조직을 갖는다. 석회암의 구성 입자는 해백합, 유공충, 방추충, 개형충, 복족류 등의 파편으로 이루어졌다. 부분적으로 재결정 작용을 받아 세립의 결정질 방해석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갑산층 석회암의 CaO, MgO, Al$_2$O$_3$, Fe$_2$O$_3$ 및 SiO$_2$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CaO 함량의 범위는 49.78 - 60.63%이며, MgO는0.74에서 4.63% 까지 변화한다. Al$_2$O$_3$와 Fe$_2$O$_3$는 각각 0.02${\sim}$0.55%, 0.02${\sim}$0.84% 까지 변화한다. 이들은 CaO의 함량이 비슷한 경우 이들의 값도 매우 비슷한 양상을 보여 준다. SiO$_2$는 대부분이 1.55${\sim}$4.80% 범위 내에서 변화하나 일부 시료에서 6%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낸다. CaO의 함량을 기준으로 할 때 석회암은 크게 49.78${\sim}$56.26%(A군)와 59.36${\sim}$60.38%(B군)의 범위 내에 분포하는 2개의 군으로 구분된다. A군의 석회암은 CaO의 함량 변화에 따라 Al$_2$O$_3$, Fe$_2$O$_3$ 및 SiO$_2$는 매우 불규칙하게 변화하며, MgO는 대체로 거의 비슷한 값을 갖는다. B군의 석회암 경우 MgO, Al$_2$O$_3$, Fe$_2$O$_3$ 및 SiO$_2$는 매우 비슷한 값을 나타내는 특징을 보여 준다. 연구 지역의 갑산층 석회석 자원의 부존 상태를 규제하는 지질구조 요소들은 적어도 다섯 번의 변형작용에 의해 형성되었다. 첫 번째 변형작용은 등사습곡구조를 형성시켰으며, 연구 지역 전역에 걸쳐 발달된 층리면과 평행한 엽리는 축면엽리로서 축을 갖는 노두규모의 습곡구조와 그와 관련된 축면엽리, 파랑습곡구조, 파랑엽리, 교차선구조 등의 지질구조 요소를 형성하였다. 세 번째 변형작용 동안에는 압축응력축의 방향이 대체로 동서 방향으로 바뀌었으며, 노두규모의 습곡구조, 파랑습곡구조, 파랑엽리, 교차선구조 등의 지질구조 요소를 형성하였다. 네 번째 변형작용은 세 번째 변형작용과 동일한 응력환경하에서 거의 연속해서 일어난 것으로 여겨지며, 지질도 규모의 향사구조 및 배사구조를 형성하였다. 다섯 번째 변형작용은 네 단계의 변형작용 중에 형성된 지질구조 요소들을 절단하는 취성 단층운동으로 특징된다. 이 중에서 갑산층 석회암의 분포는 첫 번째 변형작용 중에 형성된 등사습곡과 네 번째 변형작용 중에 형성된 지질도 규모의 향사 및 배사구조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 KCI등재

        강원도 태백 지역의 중기 석탄계의 코노돈트와 고생태

        박수인,오재경,Park, Soo-In,Oh, Jae-Kyung 한국지구과학회 2000 韓國地球科學會誌 Vol.21 No.3

        강원도 태백 일대에 분포하는 중기 석탄기의 만항층과 금천층은 주로 셰일, 사암 및 석회암으로 구성되며, 이 층들의 석회암에서 코노돈트, 방추충, 해백합, 완족류, 산호, 태선동물, 개형충 등이 풍부하게 산출된다. 이 연구는 연구 지역의 만항층과 금천충의 석회암 암상을 조사하고 이들 석회암에서 산출되는 코노돈트의 종류와 수를 조사하여 코노돈트의 고생태를밝혔다. 또한, 만항층과 금천층에서 산출되는 여러 종류의 화석을 바탕으로 이들의 퇴적환경을 구명하였다. 연구 지역에 분포하는 만항층과 금천층의 석회암은 해백합과 여러 종류의 생물 파편을 많이 포함한 와케스톤(wackestone)과 팩스톤(packstone)으로 구성된다. 특히, 금천층 일부 석회암 내에서는 따뜻한 천해환경을 지시하는 Chaetetes산호화석이 발견된다. 연구 지역의 석탄계에서 발견된 코노돈트는 6속 12종이며, 이들 코노돈트는 대부분 생물 파편을 많이 포함한 팩스톤이나 와케스톤에서 많이 산출된다. 만항층 석회암에서는 Neognathodus bothrops, N. medexultimus, Hindeodus minutus, Diplognathodus coloradoensis, D. edentulus, Idiognathodus delicatus, Streptognathodus elegantulus, S. sp. 등이 산출되며, 금천층의 석회암에서는 Neognathodus medexultimus, N. roundyi, N. dilatus, Gondolella bella, Diplognathodus coloradoensis, D. edentulus, Hindeodus minutus, Idiognathodus delicatus, and Streptognathodus elegantulus 등의 코노돈트가 산출된다. 이들 코노돈트 중 Hindeodus minutus, Diplognathodus coloradoensis, D. edentulus, 등은 얕은 바다에서 생성된 석회암에서 산출되는 종들이다. 따라서 연구 지역의 만항층과 금천층 석회암의 암상과 이들 석회암에서 산출되는 코노돈트는 이들 석회암이 해수의 순환이 좋은 얕은 바다에서 퇴적되었음을 지시한다. The Middle Carboniferous Manhang and Geumcheon formations in Taebaek area consist of sandstones, shales, and limestones. The limestones of the formations contain abundant conodonts, fusulinids, crinoids, brachiopods, bryozoans, corals, etc.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microfacies of limestones and conodont faunas of the formations and to determine their paleoecology in detail. The limestones of the Manhang and Geumcheon formations of the study area consist of wackestone and packstone which are composed of crinoid fragments and other various fossil fragments. Some limestone beds of the Geumcheon Formation consist of only Chaetetes corals which indicate that the limestones deposited in a warm shallow sea. Conodonts found from limestones of the Manhang Formation are Neognathodus bothrops, N. medexultimus, Hindeodus minutus, Diplognathodus coloradoensis, D. edentulus, Idiognathodus delicatus, Streptognathodus elegantulus, and S. sp. And conodonts found from the limestones of the Geumcheon Formation are Neognathodus medexultimus, N. roundyi, N. dilatus, Gondolella bella, Diplognathodus coloradoensis, D. edentulus, Hindeodus minutus, Idiognathodus delicatus, and Streptognathodus elegantulus. Among these conodonts, Diplognathodus coloradoensis, D. edentulus, and Hindeodus minutu, are found generally from limestones which deposited in the shallow seas. According to the limestone facies and conodont faunas of the Manhang and Geumcheon formations of the study area,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limestones of the formations deposited in the shallow sea.

      • SCOPUSKCI등재

        연구 논문 : Perfluoropolyether (PFPE)로 처리된 표면의 생물오손 방지 특성 연구

        박수인 ( Soo In Park ),권순일 ( Sun Il Kwon ),이영민 ( Yeong Min Lee ),고원건 ( Won Gun Koh ),하종욱 ( Jong Wook Ha ),이상엽 ( Sang Yup Lee ) 한국공업화학회 2012 공업화학 Vol.23 No.1

        해조류 및 따개비 등의 해양 생물에 의한 선박 및 해양 구조물 표면의 생물오손(biofouling)은 선박 운영비를 증가시키고 구조물을 유지, 보수하는데 어려움을 가져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생물오손 방지 또는 생물오손 제거(foulingrelease)를 향상시키는 방안으로 불소계 화합물인 perfluoropolyether (PFPE)를 이용하여 해양 생물의 표면 점착을 억제하는 방법이 연구되었다. 우선 생물오손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서 물방울 접촉각이 측정되었다. 아민그룹으로 처리된 친수성 표면이 갖는 46.7°의 물방울 접촉각이 PFPE 처리 후 64.5°로 상승하여 표면의 혐수성이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초기에 따개비 포자 및 해양 미생물의 점착이 친수성 카르복실 표면과 비교시 약 15% 억제되었다. 또한 표면 코팅시 평탄면이 형성되어 PDMS로 처리된 표면 굴곡이 있는 표면보다 점착된 미생물의 제거가 용이하였다. 이러한 점착 억제 특성은 물리화학적 방법을 통해 측정된 물성들과 비교, 분석되었으며, 표면에 점착된 미생물의 염색을 통한 형광도 측정을 통해 표면 점착도가 정량적으로 분석되었다. PFPE가 갖는 가공의 용이성과 저독성 특성으로 인해 PFPE는 향후 단기간 생물학적 방오염이 필요한 해양 구조물 이외에 단백질 점착 억제가 요구되는 의료용 장비 등에 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iofouling by marine organisms such as algae and barnacles causes lots of significant problems in marine systems such as a rise of the maintenance-repair cost for the ship and the marine structures. In this work, a fluoropolymer, perfluoropolyether (PFPE), was applied as an anti-biofouling coating material that prevents the adhesion of marine organisms and facilitates the removal of them. Water contact angles of various surfaces were tested to examine the hydrophobicity of the PFPE-modified surface. The PFPE-modified surface showed the water contact angle of 64.5° which is a remarkable rise from 46.7° of amine-treated surface. When the substrate was treated with PFPE, the adhesion on the of the barnacle and other marine organisms were repressed around 15% by the enhanced hydrophobicity. In addition, the removal the of the adhered marine organisms were better comparing to that of the surface prepared by PDMS. Surfaces of the substrate treated by PFPE were characterized through physical and chemical methods to analyze the biofouling results. Degree of biomolecular adhesion to the substrate was quantified by the measurement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marine organisms dyed with green fluorescence. PFPE is expected to be applicable not only to anti-biofouling systems but also to medical devices where the prevention of protein adhesion is required.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도시를 짓는 말의 철학적 여정: 플라톤의 『국가』와 자기반성적 이성

        박수인 ( Soo Enn Park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5 韓國 政治 硏究 Vol.24 No.2

        이 글은 『국가』의 도시 건설 서사는 동시에 독특하게 자기반성적인 로고스, 즉 철학적 이성의 자기 발견 여정의 서사로 읽을 수 있음을 제안한다. 『국가』의 이상도시는 언어로 만드는 도시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논리적 필연성을 헤아리고 그에 대해 화자들이 서로 동의함을 확인하며 논의를 진전시키는 추론적 언어로 만드는 도시이다. 『국가』 화자들의 논의는 정의(正義)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철인통치 도시가 이상적 도시라는 결론에 도달한다. 그러나 이 주장은 제5권에서 제7권에 걸친 긴 논의를 통해 소크라테스가 철학이라는 행위 자체를 추론적 이성의 한계를 넘어서는 직관의 성취로 규정함으로써만 완성된다. 그래서 역설적으로 『국가』의 정치적 주장을 추동하는 추론적 이성은 자신의 주장의 완결과 동시에 그 자신의 한계에 대한 자각에 이르게 된다. 추론적 이성작용의 성취와 한계를 동시에 보여주는 서사 구조 분석을 통해 『국가』의 현대적 의의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city-building narrative of Plato’s Republic doubles as a narrative of self-discovery by the philosophically inclined reason of its own innate limitations regarding philosophical knowledge. The city-building narrative of the Republic culminates in Socrates’ radical suggestion that political power and philosophy should coincide. Socrates completes this radical argument by characterizing the philosophers as those who come to the contemplation of the idea that no longer lends itself to rational discourses performed in the manner of the city-building speech shared between Socrates and his young interlocutors. The final philosophical knowledge depends on what Socrates calls, in contrast to rational deliberation (dianoia), noesis-a deeply individual and fundamentally ineffable experience of cognition. Therefore, even as the city-building speech completes its argument for the beautiful city, kallipolis, where philosophers rule, the speech itself is revealed as an inappropriate medium for such cognition as it proposes to be the end of philosophy. The Republic presents us a philosophical journey of a rational speech that reaches a self-reflective understanding of the end it cannot but at once aspire to and fall short o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