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술경영]한국의 서비스업에서 기술혁신전략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 - 기업수준의 연구

        박성근(Song-kun Park),김병근(Byung-keun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1 기술혁신학회지 Vol.14 No.2

        한국의 서비스산업을 대상으로 기술혁신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우위혁신전략과 비용우위혁신전략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이 서비스업의 섹터별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기업수준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모형은 Bogliacino와 Pianta(2010)의 연구모형에 기반하고 있으며 자료는 과학기술 정책연구원(STEPI)의 서비스업기술혁신조사표(2006)를 이용하였다. 실증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모든 섹터의 기업에서 수요증가가 고용증가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부섹터 기업에서는 기술혁신전략이 고용증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과학기반형 기업에서는 기술우위혁신전략이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전문공급자형 기업에서는 비용우위혁신전략이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규모 및 정보집약형 기업에서는 임금증가율이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공급자지배형 기업에서는 수요증가만이 고용증가에 강한 긍정의 영향을 주었는데 이들 두 섹터의 기업들에서는 비용우위 혹은 기술우위의 혁신전략이 모두 고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한국의 서비스업을 대상으로 한 기업수준의 분석에서도 이처럼 산업유형의 특성에 따라 서비스기업들은 기술혁신의 고용효과가 달랐는데 비교적 혁신수준이 높은 과학기반형 기업들과 전문공급자형 기업들은 유럽 주요국과 동일한 양상으로 혁신의 고용효과를 보였으나 나머지 유형의 기업들은 혁신수준이 현저하게 떨어지므로 혁신전략자체가 고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We have analysed the impact of innovation on the employment in the Korean Service sector using KIS 2006 data. Our study is based on Bogliacino and Pianta (2010)’s model, which involves two main innovation strategies,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d cost competitiveness, as the main explanatory innovation variables for the employment dynamic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an increase in demand was the strongest driver for an increase in employment in all four service sectors, including science-based, specialized supplier, size and information intensive, and supplier dominated. Innovation strategy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at the firm level;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in science based sector while cost competitiveness appeared to give a negative effect in specialized supplier sector. The firms in size and information intensive sector showed that increase in wages gives negative impact on their employment. However, cost competitiveness did not give any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dynamics of firms in size and information intensive sector and supplier dominated sector. This finding is different from the research of Bogliacino and Pianta (2010) on the European countries. One possible explanation would be that innovation strategy does not affect employment of firms in size and information intensive sector and supplier dominated sector since the level of innovativeness of these sectors in Korea fall behind that of European countries.

      • KCI등재

        인접성과 사회적 자본이 한국중소기업의 기술협력성과에 미치는 영향: 공동연구개발과제를 중심으로

        박성근 ( Song Kun Park ),김병근 ( Byung Keun Kim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3 中小企業硏究 Vol.35 No.3

        지금까지 지리적인 인접성이 기술혁신을 촉진할 것이라는 믿음 하에 많은 정책담당자들은 산업집적단지,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지원하는데 집중해 왔다. 그런데 단순히 기술협력 대상과의 지리적인 인접성만으로 상호작용과 암묵적 지식의 교환이 활발해지고 기술협력이 촉진되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자본이 인접성과 기술협력 성과 사이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된 국내의 연구들은 매우 부족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술적, 지리적, 제도적 차원에서의 인접성이 중소기업의 공동연구개발과제의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중소기업의 사회적 자본에 따라서 그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에 관한 실증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194개의 각 중소기업에 재직 중이면서 최근 3년 안에 공동연구개발과제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194명으로부터 받은 설문조사 응답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공급사슬 내부 파트너(고객사, 공급사)와의 기술협력인 경우는 기술적 인접성이 클수록 과제성과에 긍정적이었으며 사회적 자본은 기술협력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지나치게 높으면 경우에는 오히려 부정적 영향을 미쳐서 역 U자형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한편 공급사슬 외부 파트너(대학, 연구소 등)와의 기술협력인 경우에는 오히려 기술적 인접성이 낮을수록 과제성과에 긍정적이었는데 이는 기술지식의 보완성이 과제 성과에 중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파트너와의 제도적 인접성이 클수록 과제성과에 긍정적이었는데, 특히 사회적 자본의 수준이 높을수록 그 영향력이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도적 인접성 즉, 공동연구개발을 통해 창출된 새로운 지식의 활용방식과 보상시스템의 상이함에서 오는 갈등관계를 어떻게 보완할 수 있느냐가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며 또한 사회적 자본이 중요한 촉진수단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상의 실증연구결과는 중소기업이 다른 유형의 파트너와 기술협력을 할 때에 다양한 차원의 인접성과 사회적 자본의 영향력이 과제성과에 다르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중소기업의 기술협력 전략은 단순히 기술의 보완성이나 지리적 인접성 외에도 다양한 차원에서의 인접성 요인과 사회적 자본 요인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Geographically proximity guarantees neither an active interaction nor the sharing of knowledge between partners of R&D collaborations. There were few studies on uncovering the linkages among proximities, social capital and the performance of R&D collaborations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Korean SMEs. This study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dimensions of proximity and social capital on R&D collaboration by analyzing 194 joint R&D projects of Korean SME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ypes of partners; As for the partner inside the supply chain, technological proximity appear to show a positive impact, while social capital exhibits inverted “U” shaped impact on project performance and social capital moderated posi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geographical proximity and project performance. On the contrary, technological proximity exhibits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and institutional proximity appears to be a major factor that gives strong positive impact on project performance in the case of partner outside of the supply chain, which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maintain a high level of novelty in knowledge base from actors outside of the supply chain. Institutional proximity is another important factor which must be managed carefully. There might be a relatively high level of institutional differences for partners outside of the supply chain and it showed that social capital can boost the positive impacts of the institutional proximity on project performance. All of these results can giv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on the strategy of R&D collaborations of Korean SMEs.

      • KCI우수등재

        중소기업에서 기술협력, 전유수단과 지식일출이 기술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병근(Byung Keun Kim),박성근(Song Kun Park) 한국경영학회 2014 經營學硏究 Vol.43 No.1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MEs` innovative activities in Korea. It is widely accepted that SMEs have to utilize various external sources of innovation due to their limited internal resources. However, there has been few systematic empirical studies on the effects of incoming knowledge spillover, technological collaborations, appropriability mechanisms on the innovation performance. We have analysed 117 Korean SMEs (KIS 2010 data) to unc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and innovation performance, especially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atent activities. Main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vertical collaboration network appear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novation performance while the network with partner outside of the supply chain shows a negative impact. Second, the strategic appropriability mechanisms appear to show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innovation performance. Third, patent activities exhibit tw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it shows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ertical collaboration and innovation performance, and it shows a positive on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ing knowledge spillover and innovation performance. The results suggest that SMEs need to develope different technological collaboration strategies according to types of their partners. Strategic appropriability methods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than patent to appropriate the innovation outputs. Additionally, it suggests that patent activities can have negative impact on technological collaboration network in some case, especially when it deals with commercially sensitive information with vertical partners. Finally, patent activities can affect(or reflect) the firm`s knowledge management capability, which is essential to make use of incoming knowledge spillover to innovation performance. All of these findings can provide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s to the Korean SMEs`s innovation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