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복의 의미와 조건에 관한 논의와 오스트레일리아의 지리교과서의 행복 내용 분석

        박선미 ( Sunmee Park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는 통합교육과정에서 제시된 행복의 의미와 조건을 살펴보고 지리교육에서의 접근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행복의 의미를 삶의 만족도, 삶의 질과 안녕의 개념으로 정리하고 이들 개념 간 차이를 분석하였고, 행복의 조건을 소득, 소득불평등, 정부의 질, 사회 자본, 정주환경의 질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오스트레일리아 10학년 지리교과서에 행복 내용이 어떻게 조직되었는지를 분석한 후 행복의 의미와 조건에 관한 지리교육의 내용 구성 방향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행복의 의미는 삶의 만족감과 주관적 안녕에서 삶의 질과 안녕의 의미로 확장되어 사용된다. 둘째, 저소득 국가에서는 소득 수준과 행복 수준이 비례하는 반면, 고소득 국가에서는 소득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든다. 행복의 조건으로 소득 못지않게 불평등과 정부의 질, 정주환경이 중요하다. 셋째, 오스트레일리아의 지리교과서는 행복의 개념을 삶의 만족도보다 삶의 질이나 안녕으로 해석하고, 삶의 질과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해하도록 조직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 and condition of happiness presented in integrated education courses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approach in geography education. To this end, the study summarized the meaning of happiness into concepts of satisfaction of life, quality of life and well-being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concepts. Also, it looked at various conditions of happiness including income, income inequality, quality of government, social capital, and the qua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 It then explored ways to organize the content of geography education on the meaning and conditions of happiness after analyzing how happiness was discussed and organized in the Australian 10th grade geography textbook.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happiness has been extended from lif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to quality of life and well-being. Second, while level of income and level of happiness are correlated in low income countries, the impact of income on happiness decreases in high income countries. Inequality, the quality of government and the qua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 as well as income are important for happiness. Third, geographical textbooks in Australia interprets the concept of happiness as quality or well-being of life than the satisfaction of life, and is organiz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and well-being of life.

      • KCI등재

        예비교사교육 방법으로서 ‘행위 중 반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박선미(Sunmee Park)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0 사회과교육 Vol.49 No.3

        본 연구는 실천적 지식 습득 방법으로서 행위 중 반성이 예비교사 프로그램으로 적합한지를 이론적으로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첫째, Schon의‘행위 중 반성’의 개념과 속성을 살펴보고, 둘째, 행위 중 반성이 학습될 수 있다는 Schon의 논리를 Wittgenstein의 사적 언어에 대한 논리로 분석하였다. 셋째, 행위 중 반성을 다른 반성과 구분되도록 하는 사고와 행위의 즉시성이 과연 실행 가능한지를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Schon의 행위 중 반성 개념이 교사교육 프로그램에 접목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식론적으로 볼 때 행위 중 반성 과정에서 요구되는 느낌, 감각, 뉘앙스 등 사적 감각이나 감정은 언어적 전달 가능성이 적어 가르치기 어렵다. 둘째, 수업 중에 심사숙고하여 반성하고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는 Schon의 행위 중 반성은 그것이 갖는 즉시성과 상황 맥락성이라는 속성으로 인해 실행가능성이 낮다. 셋째, 행위 중 반성을 적용한 대학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보면 행위 중 반성보다는 행위 후 반성에 초점이 맞춰지고 반성을 익혀야 할 일종의 기술로 구조화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행위 중 반성을 정확하고 정교하게 프로그램화하지 못한 결과라기보다는 앞서 살펴본 행위 중 반성이 갖는 인식론적 모순과 내적 한계의 결과로 해석된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oretically the relevance of the reflection in action as a method of acquiring practical knowledge to be used as a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is, the paper first introduces the meaning of reflection in action argued by Donald. A. Schon, analyzes Schon’s argument by using Wittgenstein’s notion of private language, explores feasibility of immediateness of thinking and acting, and evaluate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Schon’s concept of reflection in action into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s a result, the paper finds (1) the private emotions and sense such as feelings, sense, and nuance that we have during the process of reflection in action do not have language delivery function in terms of epistemology, so they are difficult to teach. (2) the feasibility of Schon’s concept of reflection in action is seriously limited due to its immediateness and situation context. (3) the actual college level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reflection in action focuses on reflection on action not on reflection in action, and treats reflection as a sort of skill that we have to acquire. This is not because they fail to develop a sophisticated program for reflection in action, but because reflection in action itself has some fundamental limitations in terms of epistemology.

      • KCI등재

        2015 개정 중학교 사회과교육과정개발 과정의 의사결정 구조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박선미 ( Sunmee Park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6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2015 개정 중학교 사회과 지리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5 중학교 사회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에서 재현된 교육부와 총론 중심의 표준화된 교육과정 개발 체제가 교과교육 전문가의 전문성을 훼손시킨 과정을 기술하고, 2015 중학교 사회과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추가된 독점적인 의사결정구조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교육부와 총론 중심의 의사결정구조는 교과교육 전문가의 판단 재량을 제한함으로써 그 역할을 축소시켰다. 특정 이해집단이 지배하는 독점적 교육과정 의사결정구조는 민주적 숙의과정을 통제함으로써 소모적인 집단 간 갈등을 유발하였다. 교육과정 의사결정 구조가 교과교육 전문가의 전문성을 인정하지 않거나 불공정한 압력과 배제가 가능한 구조라면 지리교육계는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 참여하기 전에 의사결정 구조의 플랫폼을 좀 더 개방적이고 민주적이며 공정하게 만드는데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is paper provides a critical review on the decision making structure of the 2015 national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development. It illustrates how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standardized curriculum making system damaged the specialty of the qualified persons in charge as before and points out the authoritarian decision making process especially found in the 2015 process. It finds that the excessive rol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standardized curriculum making system put constraints on the discretion of the qualified persons with specialty. Also, monopolized decision making structure dominated by specific group of persons sharing their interests has generated unnecessary inter-group conflicts by limiting the democratic deliberation process. If the monopolized decision making becomes a perpetual problem in the future, participants representing geography education should put more efforts on changing the decision making structure into a more democratic, open, and fair one instead on simply accepting the top-down decisions.

      • KCI등재

        한국의 중학교 사회교과서에 나타난 영국, 프랑스, 독일의 국가이미지

        박선미(Sunmee Park) 대한지리학회 2015 대한지리학회지 Vol.50 No.5

        본 연구는 한국의 중학교 사회교과서에 나타난 영국, 프랑스, 독일의 국가이미지를 도출하고 이들 국가의 이미지 구성 요소를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지적 요소, 규범적 요소, 관계적 요소로 구성된 분석틀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별로 가장 많이 다룬 내용은 영국의 경우 민주적 정치 제도이고, 프랑스의 경우 인권 존중이며, 독일의 경우 지속가능한 환경에 관한 내용이었다. 둘째, 한국 중학교 사회교과서에서 나타난 영국, 프랑스, 독일에 대한 내용 중 인지적 요소가 가장 많았고, 규범적 요소, 관계적 요소 순이었다. 셋째, 영국은 교과서에 역사와 전통이 깊은 민주주의 국가이면서도 사회 불안과 분쟁이 발생하는 나라로 묘사되었다. 넷째, 프랑스는 인권 존중 및 탄압, 첨단산업의 잠재력을 지닌 나라이자 유럽의 최대 농업 국가라는 이미지로 묘사되었다. 다섯째, 독일은 그들이 추구하는 전자기술 및 과학·정보기술 국가라는 이미지보다는 지구 환경을 생각하는 선진국 모델로 그려졌다. This study aims to illustrate the national images of United Kingdom, France, and Germany based on the descriptions in the Korea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in comparative perspective. In order to identify and compare the national images of the three countries, the author uses a framework for analysis consisting cognitive, normative, and relational factor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ly shown topics and issues are democratic institutions in the case of United Kingdom, respect for human rights in the case of France, and sustainable environment in the case of Germany. Second, for all the three countries, the most frequent factor among the three is cognitive one, followed by normative and then relational factors. Third, United Kingdom is described as a country of social unrest and conflict as well as a democratic country with long history and tradition. Fourth, France is described as a country of respect/abuse of human rights, potential for high tech industry, and largest agricultural state in Europe. Fifth, Germany is described more as a country of a leading country for global environmental protection than as a country with electronic and information technology.

      • KCI등재

        편견감소교육 방향 모색을 위한 외국인과의 접촉빈도와 편견 간 매개효과 분석

        박선미 ( Sunmee Park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5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에서 함께 살아가야 하는 외국인에 대한 편견을 줄이기 위한 교육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외국인과의 접촉빈도가 그들에 대한 편견에 미친 영향과 그 과정에서 나타난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5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집단과의 접촉빈도는 자아불안감과 타자불안감에는 부적인 영향을, 자기노출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집단과의 접촉빈도가 외집단 편견에 미치는 영향에서 타자불안감과 자기노출은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나 자아불안감은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외집단과의 접촉빈도가 높을수록 타자불안감은 낮아지고 자기노출은 높아져 외집단 편견이 감소한다. 셋째, 외집단과의 접촉빈도가 외집단 편견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노출은 타자불안감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자불안감이 자기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 매개효과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볼 때 편견감소교육을 위해서 외국인들과의 접촉빈도보다 불안감을 줄이고 자기노출을 늘릴 수 있는 접촉의 질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order to search for a new direction of education, designed to alleviate prejudice on foreigners,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effect of out-group contact frequency on out-group prejudice and the mediating effect presented within this process. For this, a survey has been conducted to 561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ly, out-group contact frequency exerted negative influence on self-anxiety and other-anxiety, positive influence on self-disclosure. Second, considering the effect of out-group contact frequency on out-group prejudice, a full mediating effect has been observed in both other-anxiety and self-disclosure. However, mediating effect has not been found in self-anxiety. Hence out-group frequency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disclosure,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otheranxiety, which means that increased other-contact frequency entails decreased out-group prejudice. Thirdly, regarding the effect of out-group contact frequency on out-group prejudice, self-disclosure exerts a greater influence compared to out-group anxiety. Also, a dual mediating effect, which is out-group anxiety affecting self-disclosure, has been confirmed. As seen above, the contact frequency with foreigners is not the crucial factor. Instead, other-anxiety and self-disclosure were the important factors.

      • KCI등재

        교사의 다문화교육 경험이 다문화적 인식에 미친 영향

        박선미(Sunmee Park),성민선(Minsun Sung)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1 사회과교육 Vol.50 No.3

        본 연구는 인천의 다문화지정 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교육 경험이 그들의 다문화적 인식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교육에 대하여 알고 있다는 인식이 높고 인식의 방향도 상당히 긍정적이었다. 교육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그렇지 않은 교사들보다 다문화교육을 잘 알고 있다는 인식이 높았다. 둘째, 다문화교육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이었으나 실천을 요구하는 항목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교육 경험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었다. 셋째, 다문화교육 목표로 타민족에 대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편견 극복, 다문화가정에 대해 배려 등을 강조하였고 다문화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인식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다문화교육 내용으로 소수민족의 문화전통이나 우리 사회의 차별과 불평등 사례 등을 가르치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소극적이었다. 다섯째, 다문화적 자기효능감을 조사한 결과 일반적 기능과 인간관계에 대한 항목에 대해서는 높은 효능감을 보였으나, 구체적인 실행 능력을 묻는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반응을 보였다. 다문화교육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그렇지 않은 교사들에 비하여 수업 실행에 대한 높은 자신감을 보였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teachers’ experi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on their multicutural awareness based on a survey of 325 teachers who work in specific schools designated as a multicultural education school by the Inch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verall, teachers recognize that they understand multicultural education well and their perspective on multicultural education is positive. Teachers who have multicultural educational experience are more positive than teachers who do not have multicultural educational experience. Second, the teachers’ attitude is positive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overall, but they are relatively negative on some specific items which require practical action. There is very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attitude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 overall, teachers think multicultural education’s goals are to reduce student’ prejudice on different culture and to make them care for minorities than to foster critical thinking capacity to solve social inequalities.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awarenes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goals. Fourth, they think that minor ethnic groups’ traditional foods, dress, family life and beliefs as well as the case of social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are not appropriat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Fifth, they show higher multicultural efficacy at general skills and human relation areas than practical teaching skill areas. Teachers who have multicultural educational experience have higher self-confidence than teachers who do not have multicultural educational experience.

      • KCI우수등재

        우리나라 중학교 지리교육과정의 지역 학습 내용과 그 조직 방법의 변화

        박선미(Sunmee Park) 대한지리학회 2017 대한지리학회지 Vol.52 No.6

        본 연구는 교수요목기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중학교 지리교육과정에 나타난 지역의 의미와 지역지리 내용 조직의 변화를 분석하고 그 특징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요목기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중학교 지리교육의 외적 여건은 배당된 시수 감축, 통합 교육과정 요구등으로 인해 점점 불리해졌다. 둘째, 교수요목기부터 제7차 교육과정까지 중학교 지리 내용은 지역지리의 비중이 약 100~70%를 차지할 정도로 지역지리를 중심으로 조직되었다. 이 시기에는 우리나라 지역학습과 세계 지역학습이 별도로 구성되었고, 일관된 논리가 불분명한 상태에서 대규모 지역을 먼저 학습하기도 하였고, 소규모지역을 먼저 학습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지역 규모와 상관없이 자연환경, 자원과 산업, 인구와 취락이라는 고정된 학습 내용을 배우도록 하였다. 셋째, 2007 개정교육과정 이후 중학교 교육과정은 계통적 주제를 중심으로 조직되었다. 그 결과 지역지리 비중은 급감하였고 지역은 사례 수준에서 취급되었다. 그리고 지역 간 상호작용과 지역 변화가 주제나 쟁점을 중심으로 다루어졌으나 지역이 전면에 부각되지는 못했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changes in the meaning of region and the structure of contents in Korean middle school geography curriculum from the Syllabus period to the 2015 version of the national geography education curriculu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verall, geography education in the whole period has had to cope with difficulties from outside such as the reduction of assigned credit hours and pressures such as integrated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Second, from the period between Syllabus and the 7th National Curriculum, regional geography took the majority part of the whole geography education ranging from 70 to 100 percent. Also, in this period, Korea and other regions were separated in the curriculum and there was no systematic consideration for priority of learning between large regions such as continents and small regions such as states. The contents of learning were typical such as natural environment, resources and industry, and population and settlement regardless of the scale of region. Third, after the re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2007, the curriculum was organized according to themes of systematic geography not to regions. As a result, regions became less important and were considered as specific cases. Interactions between regions and regional changes were included only in context of topics and issues and became marginalized.

      • KCI등재

        사회교과서에 나타난 국가별 스테레오타입

        박선미(Sunmee Park),우선영(Sunyoung W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9 사회과교육 Vol.48 No.4

        본 연구는 8종의 제7차 고등학교 사회교과서에 언급된 각 국가에 대한 횟수와 기술된 내용을 분석하여 국가별ㆍ대륙별 스테레오타입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북아시아, 서ㆍ북유럽, 북아메리카가 차지하는 비중이 약 70%로 매우 높다. 서ㆍ북유럽이 29.0%, 동북아시아가 21.8%, 북아메리카가 21.1%를 차지한다. 국가별로 살펴볼 때 미국, 일본, 독일, 영국 등 대체로 선진국을 중심으로 내용이 기술된다. 둘째, 교과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북아메리카, 동북아시아, 서ㆍ북유럽, 오세아니아의 국가들은 합리적이고 본 받을 만한 또는 잘사는 나라로 그려지고 있어서 학생들의 긍정적 스테레오타입을 강화한다. 반면 교과서에서 적은 비중으로 다루어지는 남아메리카, 동남아시아, 남부아시아, 서남아시아, 동유럽, 아프리카의 국가들은 가난하고 분쟁이 잦으며 인플레이션에 시달리고, 전통에 매여 현대적 제도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나라로 그려져 이들 대륙에 대한 부정적인 스테레오타입을 강화한다. This paper aims to identify national and continental stereotypes by analyzing frequency and contents of referred nations shown in the 8 different Social Studies textbooks published according to the 7th High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stern and Northern Europe, Northeast Asia and North America takes 70 percent of the whole referred regions, respectively taking 29 percent, 21.8 percent, and 21.1.percent. Most of the countries in these regions are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s States, Japan, Germany, and Great Britain. Second, The descriptions on these countries and regions produce positive national stereotypes such as rational society, advanced countries, countries that we have to learn, and so on. On the other hand, only a small portion of descriptions is assigned to describe countries in Latin America, Southeast Asia, Southwest Asia, Eastern Europe, and Africa. They are described as countries with conflicts, poverty, inflation, less modernized, and thus backward. Therefore, these descriptions project negative national stereotypes on these countries in the text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