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경용 철쭉재배품종의 형태적 특성 및 분류기준

        최재진,박석곤,Choi, Jae-Jin,Park, Seok-Gon 한국조경학회 2014 韓國造景學會誌 Vol.42 No.2

        본 연구는 조경용으로 주로 이용되는 철쭉재배품종(이하 철쭉류)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해 분류기준을 마련하고자 실시되었다. 공시재료로서 철쭉류 생산농가에서 대량 재배되는 주요 철쭉류를 수집하였다. 그 후에 국립종자원의 철쭉 신품종심사를 위한 특성조사요령에 준하여 철쭉류의 질적 양적 형질특성을 조사하여, 철쭉류의 재배품종 분류 및 분류기준을 마련하였다. 현재, 조경용 철쭉류는 재배품종명이 정립되어 있지 않았으므로 생산농가 등에서 사용하는 명칭대로 데이터를 정리하였다. 그 결과, 전남 순천지역에 조경용으로 주로 재배되는 철쭉류는 베니, 대왕, 쓰리, 자산홍, 한철, 산철쭉, 겹산철쭉, 백철쭉, 아까도, 석암 등 10개였다. 이 중에 베니, 대왕, 쓰리 품종은 생산농가에서 영산홍으로 통칭해 불리며, 잎과 꽃의 형태가 유사해 구분이 쉽지 않았다. 특히 베니의 화색은 '밝은 빨강'이었고, 대왕은 '선명한 자주', 쓰리는 '밝은 자주'로 조사되었다. 또한 자산홍과 한철은 그 형태가 비슷하였으나, 한철은 자산홍에 비해 꽃의 반점 발현정도와 잎 앞면의 광택이 강한 편이다. 산철쭉은 다른 철쭉류에 비해 4월 초에 꽃이 일찍 피었다. 겹산철쭉은 산철쭉의 기본종으로 모든 형질이 산철쭉과 유사하였으나, 꽃이 겹꽃으로 피었다. 백철쭉은 꽃이 흰색으로 피어 쉽게 구분되었지만, 잎이 아까도 품종과 비슷하여 두 재배품종의 구분이 쉽지 않았다. 아까도 품종은 다른 철쭉류에 비해 5월 초에 개화시기가 늦었고, 꽃의 직경이 백철쭉, 산철쭉과 함께 넓은 편이었다. 마지막으로 석암 품종은 잎 크기가 다른 재배품종에 비해 비교적 작아 쉽게 구분되었으며, 아까도 품종과 함께 늦게 개화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ose Azalea Cultivars(hereinafter, Azalea Cultivars) that are mainly used for landscaping in Korea in order to prepare classification criteria. As testing materials, major Azalea Cultivars cultivated in large quantities by its producing companies were collected. Thereafter,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the traits of Azalea Cultivars were investigated in the way of characteristic investigation for new cultivars of azalea used by the Korea Seed and Variety Service in order to classify them and prepare the classification criteria. Since cultivar names have not been established for Azalea Cultivars for landscaping thus far, the data were compiled using the names used by cultivating companies. According to the results, Azalea Cultivars cultivated in Suncheon, Jeonnam mainly for landscaping were 10 in number; Beni, Daewang, Three, Zasanhong, Hancheol, Sancheoljuk, Gyeobsancheoljuk, Baekcheoljuk, Akado, and Seok-am. Among them, the cultivars Beni, Daewang, and Three could not be easi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ecause they are commonly called Yeongsanhong by cultivating companies and the shapes of their leaves and flowers are similar to each other. In particular, the flower color of Beni was 'bright red', that of Daewang was 'vivid purple', and that of Three was 'bright purple'. In addition, Zasanhong and Hancheol were similar to each other in shape the degree of expression of spots on the flowers and the gloss on the front side of the leaves of Hancheol were higher and stronger compared to that of Zasanhong. Sancheoljuk flowered in early April, earlier compared to other Azalea Cultivars. Gyeobsancheoljuk is an elementary species of Sancheoljuk and it had double flowers although all other traits were similar to those of Sancheoljuk. Although Baekcheoljuk was easily distinguished because it had white flowers, its leaves were similar to those of Akado the reason why these two cultivars could not be easi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he cultivar Akado flowered early May later compared to other Azalea Cultivars and its flowers were relatively large in diameter as with Baekcheoljuk and Sancheoljuk. Finally, the cultivar Seok-am was easily distinguished because it had smaller leaves compared to other cultivars and it flowered late as with the cultivar Akado.

      • 제5분과 : 계획관리 및 서비스 ; 자연관찰로 입지 선정 및 조성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무등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조우 ( Woo Cho ),기경석 ( Kyong Seok Ki ),박석곤 ( Seok Gon Par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1

        「자연관찰로(nature trail)」는 ‘길’의 한 유형이며 ‘길’ 중에서 공원시설인 탐방로에 속하고 ‘자연생태계, 문화자원 및 자연경관 등의 감상, 관찰, 학습활동을 지원하고 이해 및 흥미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관찰 테마에 따라 노선을 설계하여 해설시설, 편의시설 등을 계획적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규정할 수 있다. 무등산국립공원의 경우 2013년 3월 4일에 새롭게 국립공원으로 지정됨에 따라 무등산의 자연·문화 자원을 체험할수 있는 현장교육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무등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탐방문화 개선 및 탐방서비스 인프라 구축을 위한 자연관찰로 입지 선정 및 조성계획을 수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연관찰로 입지 선정은 무등산국립공원의 전체적인 자연자원, 인문자원을 분석결과와 국립공원사무소 측에서 최근까지의 관리경험과 공원의 관리방향 등을 고려하여 제시한 후보지를 종합하여 총 10개의 자연관찰로 조성 가능지를 도출하였고 이후 10개 대상지에 대하여 현지조사 및 문헌고찰, 청문조사를 종합하여 주요자원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자연관찰로 조성 후보지는 광주권역 3개소, 전남권역 7개소로 선정되어 광주권역은 증심사, 원효사, 장불재 지구의 노선이 해당하였고 전남권역은 너릿재, 만연사, 너와나목장, 도원마을, 유둔재, 함충재, 정곡리 야영장지구가 해당되었다. 광주권역의 경우 증심사지구는 광주권역 주진입공간으로 접근성이 높은 탐방 밀집지역이었다. 원효사지구는 장불재를 향하는 탐방로와 연결되어 있으며 장불재, 입석대, 서석대 등의 무등산 핵심 지질 자원이 분포하고 있으나 산림고지대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나쁜 한계가 있었다. 전남권역의 경우 너릿재지구의 노선은 제13회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 수상 숲길이나 접근성이 다소 떨어지는 상황이었고 만연사 지구의 노선은 전남권역의 핵심 탐방공간이었다. 너와나목 장지구 노선은 현재 탐방지원센터를 조성하고 있어 이를 활용할 수 있으나 경사가 급한 한계가 있었다. 도원마을지구 노선은 공원마을지구의 지역활성화 측면과 화순군 자연학습장과 연결이 가능한 구간이었다. 유둔재지구 노선은 호남정맥 통과구간이라는 가치가 있었으며 함충재지구 노선은 독수정 등 가사문화권 해설자원이 풍부하였다. 정곡리 야영장지구 노선은 현재 야영장 부지이면서 네이쳐센터 후보지역으로 거론되고 있어 이와 연계한 자연관찰로 조성 필요성이 높은 지역이었다. 자연관찰로 입지 선정을 위한 평가기준은 자원성, 접근성, 이용성, 경관성, 재해 안정성, 이용거리 및 시간의 6개 항목을 선정하였다. 자원성은 해설자원의 분포 정도를 접근성은 주요 공원 시설로부터의 도보 접근성 정도, 이용성은 탐방객의 집중적 이용 가능성, 경관성은 우수 경관의 가치, 재해 안정성은 자연재해로부터의 위험성 정도, 이용시간 및 거리는 도보로 탐방할 수 있는 노선 길이의 적정성을 평가 하였다. 순위 평가는 평가항목별로 매우 높음, 높음, 보통, 낮음, 매우 낮음을 점수화하여 이를 합산한 결과로 순위를 나열하였다. 무등산국립공원 자연관찰로 조성은 지역적 배분을 고려했을 때 광주권역과 전남권역에 각각 1개소씩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이를 고려하여 광주권역 3개소와 전남권역 7개소를 각각 평가하여 최고점수를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평가결과 광주권역에서는 증심사지구 계곡 구간이접근성, 이용성, 재해안정성, 이용시간 및 거리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전남권역에서는 만연사지구 노선이 평가 항목별 고르게 높은 점수를 획득하여 최종 대상지로 선정되었다. 증심사지구 자연관찰로는 구간의 현황과 입지특성, 무등 산국립공원 지정이후 최초로 조성되는 자연관찰로의 상징성을 고려하여 「석수장이와 함께 떠나는 ‘무돌뫼 자연관찰로’」로 명명하였다. 증심사지구 자연관찰로의 조성개념은 무등산국립공원의 대표적인 특성인 지질학적 가치를 탐방객들에게 알리고 그 밖에 해당 노선에서 볼 수 있는 숲생태와 무등산 문화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설 주제 및 컨텐츠를 구상하였다. 무돌뫼 자연관찰로의 기본구상은 크게 무등산 지질학적 특성, 숲생태, 무등산 문화의 세가지 테마로 정하여 세부컨텐츠를 구상하였다. 무등산의 지질학적 특성으로는 1. 주상절리의 이해, 2. 너덜지대의 이해, 3. 용혈의 이해, 4. 토양의 기능과 역할로 무등산국립공원의 전체적인 지질학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숲생태는 1. 큰 나무의 규모체험, 소나무 생태형의 이해, 숲의 층위구조 이해, 숲의 변화과정 이해로 증심사 자연관찰로 구간에서 체험할 수있는 내용으로 제시하였다. 무등산 문화는 1. 무등산 이름의 유래, 2. 무등산과 제1수원지, 3. 편백숲과 자연치유, 4. 생태발자국의 개념 이해, 5. 허백련화백과 무등산, 6. 무등산수박, 7. 무등산 차(茶 )문화로 구성하였으며 무등산과 관련된 문화와 자연의 치유효과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만연사지구 자연관찰로는 본 구간이 화순군에서 조성한 오감길과 연계된다는 점과 만연산에 조성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오감만족 ‘만연 자연관찰로’」로 명명하였다. 만연 사지구 자연관찰로의 조성개념은 시각, 청각, 미각, 촉각, 후각의 다섯가지 감각의 체험으로 만연사 계곡의 생태와 문화를 배울 수 있는 체험형 자연관찰로 구현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만연사지구 자연관찰로의 기본구상은 크게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 기타의 6가지 해설방향을 설정하고 세부주제를 구상하였다. 시각 주제로는 1. 식생군락 식별, 2. 묵밭의 식생변화 단계 인지, 3. 토양단면구조 파악, 4. 계곡의 구조 인식으로 설정하여 시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해설내용을 제시하였다. 청각 주제로는 1. 자연의 진동체험 1개를 설정하여 계곡부의 물소리, 바람소리, 새소리 등을 쉽게 체험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하도록 구상하였다. 촉각 주제는 1. 목본 수피 촉감 체험, 2. 초본 촉각 체험, 3. 암석 촉각 체험으로 손으로 대상물을 만져봄으로써 체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후각 주제는 1. 피톤치드 냄새체험, 2. 식물 냄새 체험으로 구간 내에 피톤치드 발생량이 높은 편백숲과 연계하여 편백나무 정유를 이용한 냄새 맡아보기 시설을 조성하고 누리장나무, 산초나무 등의 냄새나는식물을 체험할 수 있도록 구상하였다. 미각 주제는 1. 식물맛 체험를 주제로 설정하여, 뱀딸기, 산딸기 등 먹을 수 있는 식물의 맛을 체험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기타 주제로는1. 무등산과 호랑이, 2. 무등산 무등풀, 3. 무등산의 자연훼손과 회복이라는 주제로 무등산의 중요성과 훼손현황을 알리고 탐방객의 자연보전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또한 만연사와 관련하여 만연사 창건설화와 괴불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편백림의 하층식생 특성 분석

        박석곤 ( Seok Gon Park ),강현미 ( Hyun Mi K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2

        편백에서 발생하는 피톤치드의 유용성이 알려지면서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편백의 조림면적이 증가하는 추세다. 편백림에 대한 사회적 수요증가로 인해 무분별한 편백 조림및 편백으로의 수종갱신은 생육불량 및 고사로 조림 실패로이어지고 있다. 한편, 편백림과 같이 상록침엽성 인공림은높은 울폐도로 인해 임상으로 들어오는 입사광이 적으며, 타감작용으로 인해 하층식생의 종다양성이 낮아 생물종다양성 및 바이오매스 감소가 문제시 되고 있다. 더불어, 편백순림은 하층식생의 발달 미흡 및 분해가 늦은 낙엽층 등은강우에 의한 토양침식으로 이어져 산림환경이 심각하게 훼손될 수 있음을 많은 연구에서 지적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남지역에 조림된 편백림의 하층식생을 대상으로 식생구조 및 종다양성을 밝히고 생태학적으로 안정적인 편백림의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조사지로서 고흥군 팔영산, 광양시 느랭이골, 광주광역시 무등산국립공원 증심사지구, 순천시 낙안면, 보성군, 순천시 봉화산, 장성군 축령산 및 병풍산 등 7곳을 선정하였다. 편백림의 하층식생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상대우점치분석 자료를 토대로 TWINSPAN에 의한 군집분석과 DCA서열분석으로 45개 조사구의 식생조사데이터를 몇 개의 식물군락으로 그룹화하였다. 또한, 흉고직경 분석을 통해 식생의 수령 및 임분동태를 파악하여 산림천이의 양상을 추정하였다. 그룹화된 조사지별로 종구성의 다양한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인 종다양도는 Shannon의 수식을 이용하여 종다양도 등을 분석하였다. 45개 식생조사데이터를 TWINSPAN기법을 적용하여 군락별 종조성과 식별종을 중심으로 한 군락분리를 실시하였는데 총 5개 군락으로 유형화되었다. TWINSPAN기법의 군락구분은 환경요인을 간접적으로 반영하는 식별종(indicator species)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식별종으로 제시된 수종들은 산초나무, 초피나무, 수리딸기, 두릅나무, 조록싸리, 비목 등으로서 군락별 환경요인을 간접적으로 대변하는 수종이라 말하기 모호했으며, 5개 군락별로 환경특성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았다. 식별종들은 양수성 수종이거나 주로 천이초기단계에 출현하는 수종으로서 편백림의 간벌에 의해 임상으로 광량이증가하면서 유입되어 발생한 수종일 것으로 보인다. 이는교목층의 편백이 우점하는 가운데 하층식생이 발달하기 시작하는 초기상태라고 판단된다. 서열분석 DCA기법에서는 지표면을 덮는 마삭줄, 담쟁이덩굴, 송악 등이 출현하는 군락Ⅴ는 제1축을 기준으로오른쪽에 독립적으로 분포하여 다른 군락들과 확연한 불연속성을 보였다. 그 외 4개 군락(Ⅰ∼Ⅳ)은 일부 불연속적으로 분포하는 것처럼 보이나 제 1축을 기준으로 4개 군락의중앙에 연속적으로 분포하였다. 4개 군락(Ⅰ∼Ⅳ)이 좌표상에 연속적으로 넓게 분포하는 것은 군락의 하층식생이발달 초기라서 군락별 종구성이 다양하고 서로 중첩되기있기 때문일 것이다. 수령 및 임분 동태의 간접적인 표현으로 식생천이의 양상을 추정하기 위해 5개 군락에서의 주요 우점종에 대한 흉고직경급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적으로 편백은 흉고직경2~47㎝에 걸쳐 분포하였으며, 군락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흉고직경 12~32㎝의 계급구간에서 집중적으로 분포하였다. 조림된 편백을 제외한 자생수종은 흉고직경 12㎝이하의 중소경목으로 분포하였다. 군락Ⅰ은 아직 간벌작업을 실시하지 않거나 잡초목(경쟁 자생수종)을 제거한 직전이라서 편백 이외에는 다른 수종의 출현이 낮았을 것이다.군락Ⅱ∼Ⅳ은 흉고직경 7cm이하의 중소경목 자생수목이주로 분포하였는데 간벌작업 이후에 시간경과로 다양한 자생수종이 유입되어 상호 경쟁으로 어느 정도 안정되거나경쟁하는 식생발달 초기라서 이러한 양상을 보였을 것이다. 군락Ⅴ의 편백림은 수령이 약 76년생으로 성숙림에 들어섰고 편백의 대경목이 주로 분포했고, 휴양림으로서 인위적간접으로 인해 합다리나무 등의 특정 소경목이 나타났다. 종다양도지수는 각각의 군락에 대해 단위면적당(100㎡) 평균치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평균 종다양도지수는1.6409, 군락별 종다양도지수는 0.6871~2.1261로서 우점종이 편백이라는 동일조건 하에서도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군락 Ⅲ, Ⅳ는 2.1261, 2.1049로 다른 군락에 비해 높았고, 군락Ⅰ이 0.6871로 가장 낮았다. 편백의 임목밀도에 의한 임상 광량, 하예작업 시기, 입지조건 등에 따른 자생식물유입정도 및 식생발달 단계에 따라 종다양성의 차이를 보일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군락Ⅰ과 성숙단계인 군락Ⅴ은 타지역에 비해 종다양성지수가 낮은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하예작업 또는 인간의 인위적인 간섭으로 인해 종유입이방해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편백의 하층식생 식생구조 및 종다양성, 흉고직경별 분포는 편백림의 조림방법 및 육림시업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조림지에서는 기존 수목을 개벌 등을 실시한후에 2-4년생 편백 묘목을 ha당 1천5백∼3천주씩 고밀도로 식재한 후에 잡초목에 의해 피압을 당하는 것을 막기 위해편백 이외 잡초목을 제거하는 하예작업을 2-3년간 실시한다. 편백이 어느 정도 성장하여 상관이 울폐되면 치수보육작업을 실시하는데 이 작업에서는 보육 대상목을 선정하고, 조림목 생육에 방해되는 방해수종, 덩굴성 식물, 피해목 등을 제거한다. 편백의 수고생장과 함께 수관층이 울폐되는 유령림 단계에 들어서면, 임상이 어두워지고 낙엽층이 두꺼워지면 하층식생이 거의 발달하지 않는다. 이후 편백의 직경생장을 위해 간벌작업으로 실시하여, 수관층이 열리고 임상에 광량이 증가하여 자생수종이 급격하게 유입되어 다양한 수종간의 경쟁양상을 보이기 시작한다. 다시 말해, 조림지 개벌과 하예작업은 하층식생을 식생발달의 초기상태로 되돌리며, 편백의 생장에 따른 교목층 울폐는 하층식생 발달이 저해되거나 정체상태를 만든다. 이 상태가 지속되다가간벌작업 이후에 임상의 빛환경이 개선되면, 다시 편백림의하층식생이 발달하는 패턴이 반복되었을 것이다. 한편, 편백림의 문제점으로서 생물종다양성 및 바이오매스의 감소, 토양양분의 감소, 토양침식 등에 의한 산림환경이 훼손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급한 비탈지, 하층식생의발달미약 등의 임지에서 낙엽 및 유기물이 함유한 표층토양이 사면하부로 이동하면서 유기물이 감소와 함께 임상의토양침식으로 이어진다. 특히, 임목밀도가 높은 편백림에서는 하층식생의 발달이 미약하여, 낙엽층의 분해가 양분순환이 늦어 강우에 의한 토양침식이 쉽게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에서 벗어나고자 생물종다양성이 풍부한 인공림으로 유도하는 생태적 관리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편백림의 숲가꾸기, 어린나무가꾸기 등으로 육림사업의 일환으로 하층식생을 일관적으로 제거하는 것은 생물종다양성 및 바이오매스 감소, 토양침식 등의산림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지양해야 할 것으로 본다. 유령림 단계에서 간벌 등으로 적절하게 임목밀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자생수종 유입에 의한 하층식생 발달이되면, 토양양분 축적 및 물질순환, 편백의 임목생장 측면에서 더 유익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서남해안 도서지역의 난온대 식생유형화 및 훼손등급

        박석곤 ( Seok-gon Park ),성찬용 ( Chan-yong Sung ),강현미 ( Hyun-mi K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5 No.6

        전남 서남해(진도·완도·강진·고흥·여수)의 여러 도서지역을 조사하여 식생을 유형화했고,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의 우점도·출현종수를 기준으로 난온대림의 훼손등급 평가기준을 제안했다. 이를 통해 훼손등급별 복원유형과 복원기법을 제시하여, 도서지역의 난온대림 복원계획을 수립하는 데 활용하고자 했다. 307개의 식생조사 데이터를 이용해 TWINSPAN기법으로 식생유형화를 시도했는데 8개 식물군락으로 구분됐고, 각 군락별 상록활엽수종의 출현 특성을 파악했다. 군락Ⅰ은 해발 86.6m의 사면하부에 위치했고 참식나무와 구실잣밤나무가 우점했다. 군락Ⅱ·Ⅲ은 해발 10.5∼22.5m 이하의 저지대 해안가에 출현하는 군락으로서 후박나무·생달나무·참식나무·구실잣밤나무가 우점했다. 군락 Ⅳ·Ⅴ는 해발 71.9∼153.4m 사이의 사면 하부·중부에 분포한 군락으로서 구실잣밤나무가 우점하는 군락이었다. 군락Ⅵ는 해발 166.9m의 사면 하부·중부에 위치하며 교목층과 아교목층에 참식나무가 우점했고, 마지막 군락 Ⅶ · Ⅷ은 해발 187.8∼246.2m의 사면중부에 붉가시나무·참가시나무가 출현했다. 정리하면, 후박나무·생달나무·참식나무 등이 우점한 상록활엽수림은 주로 해안가 저지대에 출현했고, 구실잣밤나무군락은 이 군락보다 더 높은 내륙지역에 분포했다. 이 두 군락보다 더 높은 곳의 내륙 고지대에는 붉가시나무·참가시나무 등의 가시나무류 군락이 나타났다. 상록활엽수의 교목층 상대우점치와 교목성 상록활엽수 종수에 따라 훼손등급을 0∼Ⅴ로 구분했다. 그 훼손등급에 따라 복원유형(보존형, 유도형, 갱신형, 조성형)과 복원기법을 제안했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types of vegetation in warm temperate-climate zones, vegetation was investigated in several island areas in Jeollanam-do (Jindo, Wando, Gangjin, Goheung, and Yeosu). The evaluation standard for degraded level of warm temperate forests were proposed based on the importance percentage (IP) in canopy layer of the evergreen broad-leaf forests and the number of arboreal evergreen broad-leaf species. Through these measurements, the restoration types and techniques for each degraded level were estimated, and it is intended to be used in establishing restoration plans for the southwest coast island area. The vegetation was analyzed using the two-way indicator species analysis (TWINSPAN) method using survey data of 307 plots. As a result, it was divided into 8 communities, and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of evergreen broad-leaf species were identified in each community. Community I was located on the lower slope at an altitude of 86.6 m, and Neolitsea sericea and Castanopsis sieboldii were dominant. Communities II and III were the vegetation types that appear on the coast below an altitude of 10.5 to 22.5 m, and Machilus thunbergii, Cinnamomum japonicum, N. sericea, and C. sieboldii were dominant. Communities IV and V were vegetation types that appeared in the lower and middle slops between the altitudes of 71.9 to 153.4m, and C. sieboldii was dominant. In community VI, the N. sericea was dominant in the lower and middle slops at an altitude of 166.9 m. The last communities VII and VIII were the vegetation types that appeared on the middle slop at an altitude of 187.8 to 246.2 m. Also, Quercus acuta and Q. salicina were present. In summary, the evergreen broad-leaf forests dominated by M. thunbergii, C. japonicum, and N. sericea appeared mainly in the coastal areas of the lowlands. The community of C. sieboldii was distributed higher inland than this community. The communities that appeared mainly in the inland highlands at levels above these two communities were Q. acuta and Q. salicina. The degraded level was classified as 0 to V, according to the IP of arboreal evergreen broad-leaf species and the number of arboreal evergreen broad-leaf species. According to the degraded level, the restoration types (preservation, induction, improvement, creation) and the restoration techniques were determined.

      • KCI등재

        지리산국립공원 조릿대의 입지환경 및 생장특성 분석과 하층식생에 미치는 영향

        박석곤 ( Seok Gon Park ),이명훈 ( Myung Hoon Yi ),윤정원 ( Jung Won Yoon ),신현탁 ( Hyun Tak Si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온대 낙엽활엽수림 임상내 조릿대군락의 입지환경요인과 그 생장특성을 밝혀내고, 조릿대군락이 하층식생 및 천연갱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지리산국립공원 중산리지역의 낙엽활엽수림에서 조릿대군락이 분포하는 지역을 조사대상지로 설정하여 식생조사 및 환경요인을 조사했다. 이곳에서 조릿대의 생장특성으로서 조릿대의 우점도 및 높이, 잎층두께를 조사했고, 환경요인으로서 관목층과 지피층의 광합성광량자속밀도(PPFD),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조사했다. 또한 조사구에서 지피층에 출현하는 식물상, 목본의 개체수 및 높이를 조사했다. 그 결과로서 낙엽활엽수림 임상내 조릿대군락의 높이 및 잎층두께는 빛조건과 밀접한 관계지만, 특정입지환경이나 식생 등의 영향이 단순하게 조릿대 분포 및 생장특성을 결정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조릿대가 영양번식식물로서 복수의 지상간이 지하경으로 연결된 상태로 산림내의 불균질한 자원환경에서 광범위하게 분포할 수 있는 조릿대의 독특한 생존전략과 깊게 관련되어 있을 것이다. 또한, 밀생하고 높게 자란 조릿대는 지피층의 PPFD를 차단하는 것으로 치수발생 및 생장을 방해해 하층식생의 종다양성을 떨어뜨렸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Sasa borealis community inside a temperate deciduous forest and reviewed its effect on the lower vegetation and natural regeneration. The S. borealis community in the Jungsan-ri region of Jirisan National Park was chosen as the study area, and the vegetation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were investigated. The dominance value, height and foliage layer thickness were investigated as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S. borealis in the area. As the environmental factors, we investigated the photosynthesis photon flux density (PPFD) of the shrub and ground layers as well as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oil. Additionally, we investigated the flora on the ground layer of the area as well as the number and height of woody plants. The result showed that the height and foliage layer thickness of the S. borealis was closely related to the light conditions but the distribution was not determined simply by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 or vegetation of the particular area. This may be deeply related with the unique survival strategy of S. borealis, a vegetably propagated plant, that it can extensively distributed on a heterogeneous resources environment in a forest as multiple culm are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rhizomes. The dense dominance and great height of S. borealis reduced the plant species diversity in the ground layer by decreasing the PPFD on the ground surface.

      • 전남 편백림에서의 입지환경요인과 연륜생장량의 상관성 분석

        박석곤 ( Seok Gon Park ),유한춘 ( Han Choon You ),오찬진 ( Chan Jin Oh ),최우경 ( Woo Kyong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2

        인공림은 단일종으로 구성된 단순식생구조로서 편백림은 임목밀도가 높아 임상으로의 광투과율이 낮으며, 타감작용으로 인해 종다양성이 낮아 생물종다양성 및 바이오매스감소가 문제시 되고 있으며, 오랜 기간 생태적 천이가 중단되어 자연생태계 교란요인이 된다. 특히, 편백순림은 임상이 어두워 하층식생의 발달이 미약하여 낙엽공급량이 적고, 편백의 낙엽 분해속도가 늦어 토양양분으로의 환원을 감소시킨다. 또한, 편백의 낙엽은 비늘잎(麟葉) 파편으로 강우충격에 쉽게 유실되어 유기물 집적이 어려워 강우에 의한토양침식으로 이어져 산림환경이 심각하게 훼손될 수 있음을 많은 연구에서 지적해 왔다. 한편, 산림생태계내의 양분축적량과 양분순환량은 기후조건, 지형, 모암, 산림의 구성종 등에 의해 달라진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산림토양의 지력은 임상으로 공급되는 낙엽시기 및 공급량, 낙엽의 질, 낙엽 분해속도, 집적양식 등에따라 토양양분이 크게 달라진다. 산림토양내 이화학적 성질차이는 임목생장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이 때문에 과거부터식생 변화가 토양양분 특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가 관심사였고, 복수의 수종간 비교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편백림의 경우 낙엽수에 비교해, 침엽수로서 낙엽의 분해속도가 늦고, 하층식생 발달 미흡으로 바이오매스가 적어 임상으로공급되는 낙엽량이 적다. 이로 인해 편백림의 토양은 지력감소로 이어져 편백의 생장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남지역에 조림된 편백림을 대상으로 출현종의 개체수 및 종다양성, 종수 등의 식생요인과 토양요인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편백의 입지환경이 연륜생장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편백의 임목생산에 적합한 적지조건과 동시에 생태적으로 안정적 편백림의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편백림의 식생 및 입지환경 요인과 연륜생장량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대규모로 조림되거나 생육상태가 양호한편백림을 8곳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여 2012년 5월부터2014년 8월까지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이곳에서 식생조사, 입지환경, 편백의 연륜생장량은 조사하였다. 편백림의식생요인(종수 및 종다양성지수, 편백 및 활엽수종의 개체수)과 토양요인(토양산도, 유기물함량, 총질소, 유효인산, 치환성 양이온함량, 양이온치환용량, 전기전도도) 변수간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로 분석되었다. 편백의 연륜생장량과 입지환경요인(임목밀도, 해발고, 사면방위, 사면경사, 연간강수량, 연평균온도)의 변수간 상관관계도 분석했다. 또한, 연륜생장량에 영향력이 큰 입지환경요인을 찾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단계선택법으로 독립변수를 제거하여 회귀모형을 구하였다. 편백림에서의 종다양성지수(Shannon index)와 유효인산, 치환성 K+, 양이온치환용량(CEC) 사이에서는 강한 정의 상관관계(P<0.01)를 보였다. 또한, 종수와는 유효인산, 치환성 K+, 치환성 Mg2+, 양이온치환용량이 강한 정의 상관관계(P<0.01)를 보였다. 한편, 개체수와 토양요인의 상관관계의경우, 편백 개체수와 양이온치환용량 사이에서는 결정계수가 0.402로 낮았으나 유의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활엽수의 개체수와 치환성 Ca2+ 사이에는 강한 유의적 정의 상관관계(P<0.01)를 나타났다. 편백의 연륜생장량과 입지환경 요인간의 상관분석 결과(Table 3), 유효인산, 양이온치환용량(CEC), 전기전도도(EC), 유기물함량은 연륜생장량과 강한 정의 상관관계(P<0.001)로 보였다. 반면, 토양산도와는 강한 부의 상관관계(P<0.001)를 보였다. 그 외 입지환경및 토양요인과는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연구에서는 토양의 보비력 및 비옥도의 척도가 되는 양이온치환용량과 전기전도도, 유기물함량이 정의 상관관계라는 결과는 편백이 비옥한 토양에서 생장량이 높다고 볼 수 있다. 편백의 연륜생장량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치환성 K+, 토양산도, 유기물함량이었으며, 회귀모형의 설명력(R2)은 74.4%로 높은 수준이었다. 이 모형에서는 치환성K+과 유기물함량이 높을수록 편백의 연륜생장량이 많았지만, 토양산도는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다시 말해, 편백의 연륜생장량은 유기물함량, 치환성 K+ 등의 토양지력이 유효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편백림의 토양지력은 편백의 하층식생으로부터의 낙엽공급이 유익한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조사지가 주로 전남지역으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입지환경보다 토양요인이 편백의연륜생장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편백림의 문제점으로서는 토양지력 저하 및 토양침식 등에 의한 산림환경 훼손 및 임목생산력 저하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편백 조림적지로서는 인근에 낙엽활엽수림이 위치해 있어 편백림으로의 낙엽공급이 예상되는 곳이나, 토양양분 축적량이 높은 계곡부나 강우에 의해 토양침식이 잘 일어나지 않는 완만한 지역이 유리할 것이다. 더불어, 유령림단계에서 간벌 등으로 적절하게 임목밀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자생수종이 유입되어 하층식생이 발달하면, 다양한 낙엽활엽수로부터 낙엽공급이 늘어나 토양지력이 상승하여 편백의 임목생장 측면에서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편백림의 식생구조 특성 분석

        박석곤 ( Seok Gon Park ),강현미 ( Hyun Mi K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9 No.6

        본 연구에서는 인공조림된 편백림을 대상으로 식생구조 및 식생천이, 종다양성의 특성을 밝히고자 전남지역의 8곳에 편백림을 대상으로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식생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군집분석 및 서열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 군락으로 단순화되었다. 군락Ⅰ은 다른 군락에 비해 종다양성지수가 상당히 낮았는데 이는 교목층에 우점한 편백의 수관이 울폐되어 하층식생이 발달하지 않았거나 잡초목(경쟁 자생수종) 제거로 하층식생이 거의 남아있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반면, 군락Ⅱ∼Ⅳ는 하층에 다양한 자생수종이 유입되어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 서로 경쟁하여 어느정도 안정되거나 식생발달 초기라서 종다양성지수가 높은 편이었다. 마지막, 군락 Ⅴ는 휴양림으로서 이용강도가 높아 식생구조가 단순하였다. 또한, 임상에 유입되는 광합성유효광과 출현종수·종다양성지수 사이에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편백림의 식생구조 특성은 과거 개벌 이후 묘목심기, 솎아베기, 풀베기 등의 산림시업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편백림의 산림시업에 의한 교란빈도와 함께 식생천이프로세스 회전시간에 따라 군락별 식생구조와 종다양성은 약간의 차이를 보였지만, 천연림에 비해 편백림은 단순한 식생구조를 보였다. 인공림은 생물다양성이 낮고 생태계서비스가 취약하기 때문에 공익적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인공림으로 전환하는 한 가지 수단으로써 생태적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vegetation succession, and species diversity of artificially planted Chamaecyparis obtusa (CO) stands. The study was carried out by performing vegetation survey for eight CO stands located in Jeollanam-do Province, Korea. Analysis on vegetation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s of the stands was conducted using the data from the vegetation survey, and as a result, the stand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of communities. Community I showed a considerably lower index of species diversity when compared to other communities because the canopy of the dominant CO was so highly dense that the low-height vegetation was not able to develop or the low-height vegetation almost disappeared due to elimination of weed trees. Meanwhile, the Community II - IV had relatively higher indices of species diversity because various native tree species mixed with the low-height vegetation and competed with each other in the understory and shrub layers to some degree of stability or in their early stage of vegetation development. Community V, lastly, showed higher use intensity as a recreational forest, thus developing simpler vegetation structure on account of artificial intervention.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hotosynthetically active radiation entering the forest floor, number of observed species and index of species diversity. Such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in CO stand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forest management and prescription for planting reforestation, thinning, and brush cutting in the past.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vegetation structure and species diversity by communities, based on rotation time of the vegetational succession, process of disturbance frequency and disturbance, development, and maturity by planting CO stands. However, when compared to natural forests, the CO stands showed simpler vegetation structure. Because artificial forests are vulnerable in ecosystem service with lower species diversity, a drive for ecological management is needed for such forests to change into healthy ecosystems that can display functions of public benefit.

      • 식생 발달에 따른 무등산국립공원의 너덜지대 변화 특성

        박석곤 ( Seok-gon Park ),김동효 ( Dong-hyo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2

        우리나라 산지 비탈면에 넓게 바위 더미가 쌓여있는 것을 애추, 암괴류, 암괴원이라고 하며, 순우리말로 너덜겅 또는 너덜이라고 말한다. 과거 너덜지대의 생성 원인과 형태론적 측면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Oh et al., 2012). 특히 1970년대 이후 한반도의 주빙하 지형 형성과정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오면서 한반도 너덜지대는 신생대 4기 후반에 주빙하기후환경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밝혀냈다(Ki, 2002; Oh, 2006). 무등산국립공원 비탈면에 넓게 펼쳐져 독특한 경관과 미기 후를 형성하는 너덜지대 또한 주빙하 기후환경에 영향을 받았다(Oh et al, 2012). 해발 1,187m의 무등산 최고봉인 천왕봉과 서석대ㆍ입석대ㆍ광석대 등 주상절리대와 덕산ㆍ지공너덜은 독특한 자연자원으로 지질학적 보전 가치가 우수하다(Kim et al,. 2016). 특히 너덜지대에 발달하는 풍혈은 여름철에는 찬 공기가 나오거나 얼음이 얼고, 겨울에는 바람구멍이나 바위 틈에서 따뜻한 바람이 나오는 독특한 미기상학적 현상으로 중요하다(Kim et al., 2016). 이뿐만 아니라 너덜지대의 크고 작은 틈새는 작은 동물의 서식처로 중요하며, 지질학적 경관자원으로 가치가 크다. 이런 산지 비탈면에 발달한 너덜지대는 가장자리에 발달한 산림에서 산포된 수목이 자라나 너덜을 피복하여 경관상 너덜의 면적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 무등산의 항공사진을 활용하여 너덜지대 경관상 면적 변화를 산출했고, 그 면적 변화에 미치는 지형적 환경 요인을 분석했다. 현 무등산국립공원을 공간적 범위로 한정하여 과거(1966년 기준)와 현재(2017년 기준)의 너덜 면적 변화를 알아보고자 1966년에 촬영한 항공사진과 2017년 항공사진을 서로 비교해 너덜 면적을 산출했다. 국립지리원에서 제공하는 1:5,000 수치 지형도를 이용했고, 수치지형도에서 고도데이터를 추출하여 QGIS 3.2를 이용하여 레스터(Raster)형태의 DEM데이터를 제작했다. DEM데이터에서 1픽셀(pixel)은 5m×5m 규격으로 제작하였으며, DEM 자료를 통해 사면향(Aspect)와 사면경사(Slope), 고도(Heigh) 데이터로 변환했다. 연구대상지의 너덜 지역 데이터는 1966년과 2017년도 제작된 영상을 이용하여 너덜지역을 폴리곤(Polygon)으로 구축했다. 사면향 데이터는 DEM을 통해 경사향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데이터를 너덜 지역의 폴리곤(Polygon)파일로 QGIS의 클립(Clip)기능을 이용하여 폴리곤데이터 마다 각각 사면향 데이터를 추출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면경사와 고도, 크기(면적) 데이터를 추출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면향, 사면경사, 고도 그리고 크기 데이터는 레스터의 형식이기 때문에 1pix의 면적은 25㎡이다. 따라서 라인형태의 폴리곤을 이용하여 클립(Clip)할 경우에는 해당 폴리곤이 레스터 데이터를 나누는 위치와 폴리곤내 포함된 면적에 따라 레스터 데이터가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 있으므로 폴리곤 객체의 면적과 추출된 레스터 면적은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너덜지역의 증감은 (’66년 너덜면적-’17년 너덜면적)/(’66년 너덜면적)×100으로 계산했다. 과거(1966년)에 무등산국립공원의 너덜 면적은 1,535,725㎡이었는데 현재(2017년 345,600㎡)는 ¼수준으로 상당히 많이 줄어들었다. 무등산이 인구가 많은 광주에 인접해 있어 땔감 채취, 산불 등의 인위적인 교란으로 식생 발달을 방해하여 너덜이 넓게 보였을 것이다. 1966년에 정상부가 군사시설 보호구역으로 통제되고, 1972년 무등산도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인위적인 교란이 적어 식생이 발달함에 따라 너덜 면적이 급격하게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파편화된 너덜의 면적분포를 해발고로 나눠 살펴보았는데 과거ㆍ현재 모두 너덜 면적의 80% 이상이 해발 400∼800m 사이에 집중했다. 너덜 면적의 감소률이 가장 큰 곳은 해발 200∼400m(6.3→1.7%)의 저지대이었고 해발 1,000m 이상 (3.2→8.2%)의 비율은 약간 늘어났다. 과거에는 북동, 남, 남서, 서향 등의 순으로 비율이 높았는데 현재에는 서, 남서, 남향이 전체면적의 70%를 차지해 다른 경향을 보였다. 과거에는 사면경사 15∼35° 사이가 89.1%로 집중했는데 현재는 91.0%의 너덜이 20∼35° 사이에 나타나 약간 급경사지에 집중했다. 20° 미만 사면에 너덜이 대부분 사라졌다(16.2→4.4%). 너덜 개소별 면적 분포변화를 보면, 과거에는 면적 1,500㎡ 이상의 너덜 비율이 34.6%로 가장 높았고, 면적 500∼8,500㎡ 사이에 46.6%가 분포했다. 현재에도 1,500㎡ 이상이 31.2%로 가장 높았지만, 500㎡ 미만과 500∼2,500㎡의 작은 너덜 비율이 50.9%로 절반을 넘었다. 너덜 면적별 개수는 500㎡ 이상의 너덜 비율은 과거보다 많이 줄어들었는데 500㎡ 미만의 너덜은 오히려 늘어났다. 이 결과를 종합해 보면, 1966년에 비해 무등산국립공원의 너덜 면적은 ¼수준으로 줄어들었고, 감소속도는 2.3ha/년이었다. 이 속도는 앞으로 늦어질 것으로 보이는데 현재 남아 있는 너덜이 면적이 넓어 상대적으로 식생 피복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해발고가 낮고 완경사지의 면적이 비교적 작은 너덜이 식생 피복으로 경관상 사라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또 너덜지대로 식생이 침입하여 피복함에 따라 큰 너덜이 파편화되면서 500㎡ 미만의 너덜 비율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현재 서, 남서, 남향에 너덜의 70%가 식생에 덮이지 않고 남았는데 이곳은 상대적으로 일사량이 많아 고온건조의 미기후가 형성함에 따라 수목 생육에 불리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런 까닭으로 넓은 너덜지대에 섬처럼 형성된 식생은 기존 산림과 다른 특징을 보일 것이다. 향후 경관상 너덜의 면적 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식생의 특성 분석이 필요하다. 바위 더미인 너덜지대는 토양이 부족하고 일사량이 많아 건조한 조건이라서 산림지대와 다른 식생 특성을 보일 거라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