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고층아파트 거주층에 따른 주거이동 선호에 관한 연구

        박서니(Park, Sunny),최정민(Choi, Jung-Min) 한국주거환경학회 2014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2 No.1

        Super High-Rise Apartment (SHR-APT) buildings have been steadily increased in Korea over the decades. It is notable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living condition and SHR-APT living space resulted from the "housing consciousness" of the residents. There are however lack of researches on housing mobility and residents’ housing consciousness of SHR-AP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residents’ housing consciousness and housing mobility, we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 focused on residence floor in SHR-APT. The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 Firstly, the experience in SHR-APT affects residents’ preference floor and housing types such as SHR-APT that will be continuously increasing in the future. Secondly, the analysis of residents’ satisfaction related to preference floor indicates that the boundary floor for the relation between level of floor and satisfaction level is 21th floor. The residents’ satisfaction level differs depend on the age, actual their own living floor, space structure, the type of past housing, and housing values of the resident, etc. Thirdly, the cluster analysis illustrates that two groups of residents’ housing consciousness were divided into: the ‘Group 1’ prefers “urban / apartment / high-rise floor”, whereas the ‘Group 2’ prefers “suburb / detached house / low-rise floor”.

      • KCI등재

        스마트워치에 대한 소비자의 혁신저항과 수용의도: 효용·비용 인식에 따른 소비자유형을 중심으로

        이진명 ( Jin-myong Lee ),박서니 ( Sunny Park ),나종연 ( Jong-youn Rha ) 한국소비자학회 2017 소비자학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워치의 효용·비용 요인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소비자집단을 유형화하고, 소비자유형별 선행변수 및 결과변수의 차이를 분석하고, 스마트워치에 대한 소비자의 혁신저항과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20대에서 40대 소비자 총 528명의 응답 자료를 군집분석, 분산분석, 중회귀분석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워치 인식에 따라 소비자집단을 유형화한 결과 무관심형(12.7%), 효용중심형(40.7%), 비용중심형(23.1%), 양가형(23.5%)의 네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소비자유형 간 스마트워치효용과 비용에 대한 인식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유형별로 소득수준, 기술준비도, 성과모호성, 신제품 출현기대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결과변수인 혁신저항과 수용의도 또한 소비자유형별로 뚜렷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워치에 대한 소비자의 혁신저항과 수용의도에의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기술 혁신성과 신제품 출현기대는 혁신저항을 낮추고 수용의도는 높이며, 반대로 기술 불안감은 혁신저항을 유의하게 높이고 수용의도는 낮추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기술에 대한 불편감과 성과모호성은 수용의도를 높이지는 않으나 혁신저항을 유의하게 높이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효용중심형에 비해 무관심형과 비용중심형의 혁신저항이 유의하게 높고 수용의도는 유의하게 낮았다. 양가형의 수용의도가 효용중심형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스마트워치의 잠재 수용자로서 양가형 소비자 집단의 중요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워치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 반응뿐만 아니라 비용 인식, 혁신저항과 같은 부정적 반응을 파악하고 관련 변인들을 이해하는 것을 통해 기술과 소비자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확장하는 것은 물론, 산업적 측면에서 혁신제품의 잠재적 소비자와 세분시장을 이해하는데 기여한다. Smartwatch has received much attention as an innovative new product that connects the next generation of smart phones. This optimistic prospect is still valid, but consumers’ responses to smartwatch are quite different from market expectations. This study amis 1) to derive consumer types based on the perception of benefits and costs of smartwatch, 2) to analyze the differences among consumer types, and 3)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consumers’ resistance and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es. For this purpose, data was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rated online survey of 528 consumers and analyzed the data through k-means cluster analysis,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identified four distinctive consumer types according to the levels of perceived benefits and costs of smartwatch: ‘Indifferent type’(12.7%), ‘cost-centered type’(23.1%), ‘benefit-centered type’(40.7%), and ‘Ambivalent type’(23.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martwatch benefits and costs perception among the consumer types. Second, antecedent variables including income level, technology readiness (TR), performance ambiguity, and expectation of new product emergence among consumer types were all significantly different. The perception of four sub-dimensions of TR was lowest in the indifferent type and the highest in the ambivalent type. Comparing the cost-centered type with the benefit-centered type, the innovativeness was high in the benefit-centered type, and the discomfort and anxiety were high in the cost-centered type. The performance ambigu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benefit-centered type than in the other three types, and the expectation of new product emergence was the lowest in the indifferent type and the highest in the ambivalent typ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innovation resistance and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 by consumer type. The ambivalent type, which perceives both the benefits and the costs of smartwatch as high, showed low innovation resistance and the highest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 Fourth, us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d variables that impact the consumers’ innovation resistance and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 Consumers’ innovativeness and expectation of new product emergence influenced innovation resistance negatively but influenced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 positively. On other hand, technology anxiety influenced innovation resistance positively but influenced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 negatively. Technology discomfort and performance ambiguity only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ffected consumer resistance to smartwatch. The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 of the ambivalent 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benefit-centered type,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ambivalent consumer group as potential user of smartwatch.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that it analyzes not only consumers’ positive responses to smartwatch such as perceived benefits and adoption but also negative responses such as perceived costs and innovation resistance, and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ntecedent and outcome variables. This study ha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expanding the discussion on technology and consumers, and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ntributing to the understanding of potential consumers and subdivision markets of innovative products including smartwatch.

      • KCI등재
      • KCI등재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이용의도에 따른 소비자 유형에 대한 연구

        나종연 ( Rha Jong-youn ),이보한 ( Lee Bohan ),박서니 ( Park Sunny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3

        친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하나의 친환경 제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던 매장에 제품군을 추가하는 형태의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이 등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의 이용의도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이용의도로 소비자를 유형화하고, 이에 따른 유형별 예측 요인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8년 11월 3일부터 11월 7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20~40대 소비자 465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에는 k-평균 군집분석, 카이제곱검정,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에 대한 방문의도, 체류의도, 구매의도로 구성된 이용의도에 따라 소비자 유형은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선호 집단, 유사 선호 집단,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비선호 집단의 세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선호 집단은 전체 응답자의 30.8%인 143명, 유사 선호 집단은 전체 응답자의 262명인 56.3%,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비선호 집단은 전체 응답자의 60명으로 12.9%로 구성되었다. 둘째, 유사 선호 집단과 비교하여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선호 집단에 속할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소비자가 지니고 있는 소비가치, 친환경 제품에 대한 지각된 효용, 그리고 매장 관련 변수로 매장의 매력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이미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성별, 연령, 학력 수준, 소득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유사 선호 집단과 비교하여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 비선호 집단에 속할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매장의 매력도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매장의 매력도가 한 단위 증가할 때 소극적 소비자 집단에 속할 승산은 0.62배 낮아졌다. 본 연구는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에 대한 이용의도에 따라 소비자를 유형화함으로써 친환경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친환경 라이프스타일이 하나의 소비 행태로 자리 잡고 있음을 실증하였다. 또한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의 이용의도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매장의 매력도가 중요하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밝혀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매장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 lifestyle store is a retail type that sells a variety of products meeting the consumer's specific value. In recent years, eco-friendly lifestyle stores such as Patagonia, 10 Corso Como Milano have emerged as consumer interest in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has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sumer's general level of eco-friendly consumption. Also,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consumers can be typ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eco-friendly lifestyle stores, and to demonstrate predictive factors for each type. We collected data from 465 Korean consumers through online surveys from November 3 to November 7, 2018. K-means cluster analysis, t-test and chi-square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sumer typ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eco-friendly lifestyle store preference group(30.8%), indiscriminative group(56.3%), and eco-friendly lifestyle store non-preference group(12.9%) depending on the intention to visit, stay, and purchase.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eco-friendly lifestyle store preference group compared to the indiscriminate group were consumer value, perceived benefits of eco-friendly product, and store ima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level, and incom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s compared with the indiscriminate group, only the attractiveness of the store was found to affect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eco-friendly lifestyle non-preference group. This study has shown that consumers' interest in environmentally friendly lifestyle is increasing by classifying consumers according to usage intention for eco-friendly lifestyle store, and that eco-friendly lifestyle has become one consumption behavior. Also, it was meaningful that the attractiveness of the store is important because it predicts the intention to use the eco-friendly lifestyle st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academic understanding of the eco-friendly lifestyle store which is getting more attention recently.

      • KCI등재

        온라인 트래킹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정책적 시사점

        이진명 ( Lee Jin Myong ),나종연 ( Rha Jong Youn ),김지혜 ( Kim Jihye ),박서니 ( Park Sunny ),이보한 ( Lee Bohan ),조은선 ( Cho Eunsun ) 한국소비자학회 2018 소비자학연구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트래킹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 행태, 의견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 트래킹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일반 소비자 20명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을 실시하여 온라인 트래킹에 대한 반응을 정성적으로 탐색하고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총 645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양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은 다양한 맞춤형 광고나 서비스를 통해 온라인 트래킹을 경험하고 있었으나 온라인 트래킹의 목적, 방법 등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는 피상적으로만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소비자들은 정보유용성, 편의성, 유희성을 온라인 트래킹의 효용으로 인식하였으며, 프라이버시 위험, 통제권 제한, 불완전 기능을 비용으로 인식하였다. 대체적으로 효용보다 비용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트래킹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수용의도는 낮은 편이었으며, 트래킹 차단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쿠키를 삭제하는 등 적극적인 방법으로 온라인 트래킹을 차단하려는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비자들은 온라인 트래킹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해야 할 책임이 사업자에게 가장 크다고 여겼으며, 정부, 소비자 개인, 소비자단체 및 학계, 언론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안전한 온라인 트래킹 환경 조성을 위하여 노력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다섯째, 소비자들은 보다 강력한 온라인 트래킹 규제정책을 요구하고 있으나 동시에 이를 신경 쓰고 싶어 하지 않는 양가적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보주체인 소비자들의 무력감을 극복하고 선택권과 통제권을 강화할 수 있는 실효적 방안 모색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또한 온라인 트래킹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법과 정책이 소비자 권익을 보호하는 동시에 산업의 혁신을 저해하지 않는 적절한 조화점에 대한 고민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온라인 트래킹 환경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및 논의의 단초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정책적 의의를 갖는다. Online tracking, which refers to practices that collect, store, and utilize behavioral information about consumers online, is essential to develop personalized and customized services. Rapid advances in tracking technology may provide considerable convenience and benefits to the consumer. However, consumers’ privacy concerns and actual security risks may have increased since it has become increasingly difficult to know how information about individuals is traded, aggregated, and utilized. Therefore, protecting consumer privacy is a subject that should be studied and discussed more deeply in the changing market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erceptions and response to online tracking of Koreans, to draw up policy implications to protect consumers from online tracking, and to provide a basis for a cooperative dialogue between the government, corporations, and consumers so consumer privacy can be adequately protected. For this purpos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participants on June 2-3, 2017. Online surveys were also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objectivity of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A total of 645 completed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June 30 to July 4, 2017. The major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sumers were not clearly aware of what information about themselves is being tracked and used by whom, where, and for what purpose. To develop and expand online tracking, consumer information must be utilized. Therefore,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consumers about the concept, mechanism, and influence of online tracking. Second, consumers are emotionally and behaviorally negative about online tracking and intend to actively block online tracking by using ad-block software or by deleting cookies. This resul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perceived risk and anxiety of consumers about online tracking through efforts such as protecting consumer privacy and ensuring the right to control their personal information. Third, consumers regarded the right of choice and control as the basic principle of personal information in online tracking and as very important. However, they recognized that these rights were not really guaranteed and would be formal, even if guarante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n effective way to overcome consumers’ powerlessness about privacy protection and to strengthen their rights to control what and how information is used. In addition, considering the privacy paradox,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to reflect consumers' preferences without demanding too much effort from them. Fourth, when setting up online tracking, consumers prefer to configure privacy preferences in the browser rather than going to individual sites, to opt-in rather than opt-out, legal and policy regulation rather than self-regulation, and pre-regulation rather than post-regulation. The policy for consumer protection from online tracking should not be too loose to infringe the interests of consumers, but it should not hinder the innovation of the industry by becoming a new entry barri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roper harmony between consumer protection and industrial innovation in preparing online tracking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