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YOLO 알고리즘 기반 국토위성영상의 선박 모니터링 가능성 평가 연구: 부산 신항과 캘리포니아 오클랜드항을 대상으로

        박상철,박영빈,장소영,김태호,Park, Sangchul,Park, Yeongbin,Jang, Soyeong,Kim, Tae-Ho 대한원격탐사학회 2022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8 No.6

        Maritime transport accounts for 99.7% of the exports and imports of the Republic of Korea; therefore, developing a vessel monitoring system for efficient operation is of significant interest. Several studies have focused on tracking and monitoring vessel movements based on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data; however, ships without AIS have limited monitoring and tracking ability. High-resolution optical satellite images can provide the missing layer of information in AIS-based monitoring systems because they can identify non-AIS vessels and small ships over a wide ran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vessel monitoring and small vessel classification systems using high-resolution optical satellite images.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ship monitoring systems using Compact Advanced Satellite 500-1 (CAS500-1) satellite images by first training a deep learning model using satellite image data and then performing detection in other image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the learning data was acquired from ships in the Yellow Sea and its major ports, and the detection model was established using the You Only Look Once (YOLO) algorithm. The ship detection performance was evaluated for a domestic and an international port. The results obtained using the detection model in ships in the anchorage and berth areas were compared with the ship classification information obtained using AIS, and an accuracy of 85.5% and 70% was achieved us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models,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 that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can be used in mooring ships for vessel monitoring. The developed approach can potentially be used in vessel tracking and monitoring systems at major ports around the world if the accuracy of the detection model is improved through continuous learning data construc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국경을 넘는 전자상거래의 법적 쟁점과 정책적 시사점 - 소위 "해외직구" 와 "역직구"를 중심으로 -

        박상철 ( Sangchul Park ) 한국유통법학회 2015 유통법연구 Vol.2 No.1

        전자상거래 수입(소위 "해외직구")은 정부의 물가 정책에 따른 통관 혜택에 힘입어 급증하고 있다. 관련하여 전자상거래법 등 국내 규제 법령의 해외 전자상거래 사 업자에 대한 역외적용이 쟁점이 되고 있다. 역외 사업자의 국내에서의 사업 활동에 준하는 지향된 행위가 존재할 경우 규율관할권이 인정된다는 견해가 유력하나, 국제 수준에 비해 지나치게 엄격하고 특이한 국내의 규제를 먼저 합리화하여야만 비로소 국제예양과 공평성의 원리에 비추어 역외적용이 긍정될 수 있을 것이다. 국내수입 업자에 의한 유통 구조를 해외 직배송 구조에 비해 불이익하게 취급하는 현 통관및 규제 체계 또한 개선할 필요가 있다. 전자상거래 수출(소위 "역직구")의 경우 수출 장벽으로 작용하는 내국 규제의 적용을 배제하는 등 활성화 정책을 강화하여야 한다. Cross-border online shopping by Korean Consumers is growing rapidly, supported by the Korean government``s policy to stabilize consumer prices by facilitating direct purchases from overseas merchants. 1his raises questions about the extraterritorial application of Korea``s e-commerce and other trade regulations to offshore online retailers. According to a prevailing view, offshore online retailers`` targeted activities, as tantamount to doing business within the Korean territory, may justify Korea``s prescriptive jurisdiction, as compared with the position for traditional international trades. However, given exceptional stringency and peculiarity of Korea``s e-commerce regulations, rationalization of such regulations should take precedence, to ensure international comity and fairness. In addition, discriminatory treatment of the local distribution structure, as compared with the overseas direct delivery structure, calls for a reconsideration of the cement Customs and regulation system. On the other hand, cross-boder online sales by Korean retailers should be exempted from local regulations, as the regulations would otherwise function as export barriers.

      • KCI등재

        근대국어 과거 시제 ‘-엇-’의 담화 내의 기능

        박상철(Sangchul Park)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018 언어학 Vol.0 No.81

        This paper contrasts newly introduced past tense -es- and the pre-existing past tense -∅- in Modern Korean, in respect of their function in discourse. It is well known that Modern Korean past tense -es- was grammatized from the 15th century Korean -e is- which represented the resultative aspect, resulting in Contemporary Korean past tense -ess-. However,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difference between two past tenses -es- and -∅- which co-existed in Modern Korean. After examining Manchu-Korean translation in 〈Samyekchonghay 三譯總解〉(1744), I found a strong correspondence between Manchu past perfective -ha and Korean -∅-, and Manchu present perfect -habi and Korean –es-, respectively. Typologically, it is reported that past perfective is used to represent foregrounded events in succession, whereas present perfect is used to describe backgrounded information. Thus, Modern Korean past tenses -∅- and -es- differ in function in discourse.

      • KCI등재

        만주어 문법서에서 기술한 -ra와 -ha의 의미 ― 시제(時制)인가 양상(樣相)인가

        박상철 ( Park Sangchul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人文論叢 Vol.74 No.3

        본고는 만주어의 시상 어미 가운데 특히 비종결형에서 정연한 대립관계를 보이는 -ha와 -ra가 Comrie (1976, 1985) 등의 일반언어학 이론에서 정립된 시상 범주 가운데 어떤 위치에 속하는지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초기 만주어 문법서에서 만주어의 시상(時相) 어미들은 전통적인 `과거/현재/미래`의 시제 대립을 중심으로 기술되었는데, Avrorin (1949) 이후 이들을 양상(樣相) 대립을 중심으로 기술하는 경향이 생겨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런데 Avrorin (1949) 이후의 소위 `완결된` 상황을 가리키는 -ha와 `완결되지 않은` 상황을 가리키는 -ra의 양상 대립은 Comrie (1976)에서 정립된 완망상(perfective)과 비완망상(imperfective)의 대립과는 차이가 있으며, 상대 시제적인 관점에서 과거와 비과거의 시제 대립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correct positioning of -ha and -ra, which are the only members of participle suffixes in Manchu. Attempts are made to establish if they belong to the categories of tense and aspect, as established in general linguistic theories, such as that of Comrie (1976, 1986). In early Manchu grammars, these suffixes were described mainly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three-way tense distinction of past / present / future. Since Avrorin (1949),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describe these suffixes in aspectual category. However, the aspectual distinction between -ha, which refers to the so-called `complete` situation and -ra, which refers to the `incomplete` situation, differs from the distinction between perfective and imperfective aspect established by Comrie (1976). It can therefore be seen as a tense distinction between past and non-past in terms of relative tense at best.

      • KCI등재

        샌드박스네트워크의 MCN(Multi-Channel Network) 시장 진입 전략

        박상철(Sangchul Park),이신형(Shinhyoung Lee) 한국경영학회 2019 Korea Business Review Vol.23 No.3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시장의 급격한 성장과 맞물려, 크리에이터 매니지먼트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MCN 산업규모도 더불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여러 MCN 기업들의 경쟁 구도 속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이는 샌드박스네트워크에 주목하고 있다. 샌드박스네트워크는 인기 유튜브 크리에이터가 직접 설립한 MCN 기업으로, 동료 크리에이터들에게 보다 나은 창작 환경을 제공하고자 하는 설립 목적을 갖고 있다. 샌드박스네트워크는 창립 이후 3년 만에 누적 투자액 400억 원과 연 매출액 282억 원을 달성하는 등 상당한 재무적 성과를 거두며 업계에 성공적으로 안착하였다. 이는 샌드박스네트워크가 후발주자로 시장에 진입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더욱 놀라운 결과이다. 본 연구는 샌드박스네트워크의 MCN 시장 진입 전략에 대한 포괄적 이해와 분석을 목표로 한다. 먼저 MCN 산업을 개관하고, 샌드박스네트워크의 설립과정, 비즈니스 모델 및 브랜드 전략을 면밀히 분석한 후, 미래 시장에서의 전략적 대응에 대한 제언을 내놓는다. 연구 결과, 샌드박스네트워크를 여타 경쟁업체들로부터 차별화할 수 있었던 창업 초기의 핵심 성공 요인은 ‘도티’라는 크리에이터가 창업주로서 가졌던 선한 창립 이념과 비전, 영향력에 있었다. 그러나 샌드박스네트워크는 한 사람의 인적자원에 의존하지 않고, 확장된 비즈니스 모델과 브랜드 전략을 추구하며 독보적인 시스템을 갖추어 나갔다. MCN에 최적화된 확장형 비즈니스 모델로 다양한 사업을 시도하면서 수익 창출을 극대화하였으며, 직원들의 창의성을 높이는 내부 브랜딩 전략과 주 고객인 Z세대와의 관계를 증진시키는 외부 브랜딩 전략을 동시에 시행함으로써 다른 MCN 기업과 구별되는 입지를 다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관련 실무자와 예비 창업자가 참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increase of the market size of MCN industry—in which companies usually generate their revenues through creator management—has been brought by the rapid growth of online video platform market. Among the companies who compete in the MCN market, Sandbox Network is noteworthy due to its fast growth. Established by a well-known creator who wanted to provide fellow creators with better circumstances for content creation, Sandbox Network has secured the cumulative investment of KRW 40 billion just in the first three years of its founding; its annual sales amounted to KRW 28.2 billion in 2018. These outcomes are surprising given that it entered the MCN market as a late mover. The present study aims to analyze the Sandbox Network’s strategies for the MCN market entry. To this end, along with overviewing the MCN industry, Sandbox Network’s establishment process, business model, brand strategy, and future agendas are carefully analyzed. The results reveal that Sandbox Network’s rapid growth in its very early stage could be attributed to the positive influence of ‘Dotty’, the founder. Moreover, Sandbox Network could maximize its revenue by utilizing the extended business models—optimized for the MCN industry. Finally, Sandbox Network could be differentiated from its competitors by executing not only the internal branding for improving employees’ creativity but also the external branding for enhancing the relationship with its main customers (i.e., Generation Z). Taking these points together,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and prospective founders are suggested.

      • 한국정보법학회 6월세미나토론문

        박상철(Park Sangchul) 한국정보법학회 2015 한국정보법학회 정기세미나 발표자료 Vol.- No.43

        발표문은핀테크가부각된배경을(1) 부가가치의창출,(2) 긴꼬리경제학및1인시장, (3) 내생적성장이론,(4) 법적안정과경제적효율모형, (5) 기술경제학의관점에서분석하면서,핀테크산업활성화방안으로(1) 핀테크산업창업·성장촉진, (2) 국민체감형핀테크서비스, (3) 핀테크인프라구축을들고있다.경제학에서정립된모형들을시의적절하게적용하여최근의현상을탁월하게설명하고있는바,특히법학에대한시사점은다음과같이요약할수있다.

      • KCI등재

        파스파문자로 기록된 〈이달한(李達漢) 문서〉의 이본 조사

        박상철(Sangchul Park) 한국몽골학회 2022 몽골학 Vol.- No.69

        본고는 국내 유일의 파스파문자 자료인 <이달한 문서>의 이본을 대조하여 계통 관계를 밝히고, 선행연구에서 간과한 파스파문자의 자형 차이에 주목하여, Coblin (2007)의 연구에 의거한 새로운 전자(transliteration)를 제안하였다. 1966년에 <이달한 문서>가 대중에 공개된 이후, 모든 연구는 이 자료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는데, 본고에서는 이미 1919년과 1958년에 이 자료의 저본이 되는 다른 판본이 간행되었음을 밝히고, 그들이 순차적으로 모각되었다는 증거를 제시했다. 한편 선행연구에서는 <이달한 문서>에서 사용된 ꡚ와ꡮ, 그리고 ꡜ와 ꡯ를 구별하지 않고 각각 š와 h로 전자하였는데, 본고에서는 이 문서가 한어를 파스파문자로 전사(transcription)한 것임에 주목하여 zh(ꡚ)와 sh(ꡮ), 그리고 h(ꡜ)와 H(ꡯ)로 구별하여 전자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compares different editions of Li-ta-han document, the only existing document of the ‘Phags-pa script in Korea, to discover their relative chronology and to suggest a new transliteration based on Coblin (2007) by focusing on the difference in the letter shapes which had been unnoticed in previous studies. All previous studies on Li-ta-han document had dealt with a single edition of the document which was introduced to the public in 1966. This study clarifies that different woodblock-printed books of the document had been published in 1919 and 1958, and shows with evidence that the three different editions including the previously known edition were serially replicated. While previous studies have not distinguished ꡚ from ꡮ and ꡜ from ꡯ to transliterate ꡚ / ꡮ and ꡜ / ꡯ as š and h respectively, this study proposes the letters must be distinguished as zh (ꡚ), sh (ꡮ), h (ꡜ) and H (ꡯ), emphasizing that the document is a transcription of Chinese, not Mongolian, into the ‘Phags-pa script.

      • KCI등재

        인공지능 등 정보기술을 통한 법의 기술적 구현 과정의 혁신

        박상철(Park, Sangchul) 한국정보법학회 2018 정보법학 Vol.22 No.2

        To innovate, through information technology, the “implementation of law” such as its codification, application, and delivery to the public, we can in the first place endeavor to develop the application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o law. A lot of difficulties should be overcome, however, for a machine to attain a technical level high enough to render an intelligent and credible judicial judgment based on the information retrieved from traditional legal documents. We thus need to advance the transformation of the legal system to a symbolic logic system, which can be called “machine-readable law” or “computational law,” by enhancing its logicality and consistency. The automated application of law, which may not fully replace a human decision unless we, based on extreme legal formalism, deny the indeterminacy of legal terms and judicial discretion, could instead enhance lawyers’ concentration on the creation of law at borderline cases. The civil law system’s tradition of legal conceptualism, which stresses the self-contained and autonomous nature of law, tends to bring a heightened chance of success of this innovation, but such merit is undermined by outdated dogmas that rather impede innovation. The academia’s existing effort to surmount the dogmas can be a starting point for this innovation. Once this preparatory work is done, valuable data can be automatically accumulated so as to efficiently train various statistic models, giving a quantum leap in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law. While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also constrained by ethical issues, it is expected to enhance the consistency and fairness of the judicial proceeding at least in the capacity of an amicus. The steps to realize this innovation can include the systematization of the application of laws, standard contracts, fact-finding, and the assessment of proofs. 정보기술을 통해 법의 축조⋅적용⋅보급 등 법의 기술적 구현과정을 혁신하기 위해서, 인공지능 중 특히 자연어처리 기술의 법에 대한 응용을 고도화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인간 전문가의 지성에 준하는 수준으로 전통적 법률문서로부터 정보 를 추출하여 신뢰성 있는 판단을 내리는 기술 수준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여러 난관들이 극복되어야 하므로, 우선은 자연어로 구성된 법체계를 기호논리 체계로 재구성하고 논리성, 일관성을 강화함으로써 “기계가 읽을 수 있는 법” 내지 “연산 가능한 법”으로 전환하는 작업에 착수할 필요가 있다. 법 적용의 자동화는 법률언어의 미확정성과 법관의 재량을 부인하는 극단적인 법형식주의에 빠지지 않는 이상 인간의 판단을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고, 오히려 법률가들이 경계적 사례에서의 법 창조 용에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그 과정을 효율화하며 조력할 수 있다. 법의 자기완결성과 자율성을 강조하는 대륙법계의 개념법학적 전통은 이러한 기획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나, 구체계가 오히려 혁신을 저해하고 있으므로, 민법 체계의 논리적, 시간적 재편이나 요건사실론 등 구체계를 극복하기 위한 학계의 기존의 노력의 성과물들을 체계적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준비가 완료되어 가치 있는 데이터가 자동으로 축적되고 이로써 통계적 모델이 지속적으로 학습될 경우 사실인정과 증거판단에 있어 인공지능의 응용 가능성 또한 비약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인공지능의 응용 또한 내재적 한계, 윤리적 문제가 있으나, 적어도 전문감정인과 같은 지위에서 사법의 일관성과 형평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른 법계의 혁신을 기다리기 전에 우리 법이 먼저 혁신을 시작할 필요가 있으며, 구체적으로 법령 적용, 계약 관행, 증거판단과 사실인정의 체계화를 통해 이를 구현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플랫폼법

        박상철(Sangchul Park) 한국법학원 2022 저스티스 Vol.- No.188

        전 세계적인 플랫폼의 편재화와 시장집중으로 플랫폼에 대한 경쟁법 집행 강화 논의와 함께 별도의 플랫폼 규제체계의 창설이 논의되고 있다. 우리도 전기통신사업법의 지속적 개정을 통해 고강도의 규제조항들이 추가되고 있을 뿐 아니라 플랫폼법안들이 심의 중이다. 이들 중 플랫폼공정화법안은 빅테크에 시장을 넘겨준 유럽과 일본의 법제를 참고한 이용사업자 보호법안이고, 플랫폼이용자법안은 통신규제의 확장을 지향하면서 포괄적 금지행위뿐 아니라 수수료통제의 근거로 남용될 우려가 있는 이용약관 신고제와 적정수익 배분의무까지 규정하고 있다. 이처럼 입법이 이례적으로 자국 플랫폼을 보유한 우리의 시장구조와 환경을 반영하지 않은 채 과잉·중복규제로 향해가는 상황에서, 규제개편 방향을 이하와 같이 재검토한다. 첫째, 플랫폼이 전기통신사업법상 부가통신사업이라는 해석관행은 체계적 정합성과 정책적 합리성이 없으므로 통신규제의 적용·확장은 중단되어야 한다. 둘째, 플랫폼법안들과 같은 별도 규제체계는 이용사업자의 직접 보호를 중심으로 하는 유럽식 접근을 거쳐 결국 “원조 플랫폼”인 신용카드시장에서의 여신전문금융업법상 적격비용 산출제와 같은 원가기반 수수료통제법으로 퇴행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이러한 계획경제적 처방보다는 본원적 경쟁법을 중심에 두고 사실과 증거에 입각한 법집행에 주력해야 한다. 셋째, 플랫폼 특유의 지배력 전이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과소집행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상시적 경제분석 체제를 갖춰 경쟁법 집행을 고도화해야 한다. 이러한 총론적 검토를 근거로 사후구제와 사전규제 항목들을 시장구조에 대한 접근방식별로 구분하고, 우리의 시장환경과 정책목표에 부합하는 합리적인 정책 처방을 선별한다. 특히, 이용사업자의 직접 보호와 준공법적 통제를 중심으로 한 처방들보다는 충분한 사업자 수 내지 잠재적 진입의 확보와 유지, 구체적으로 자국 플랫폼과 빅테크의 공존을 지향하는 끈기 있는 처방을 제안한다. 이어 규제일변도의 법안들에 가리어 간과되었던 입법과제인 플랫폼의 국가기능 수탁의 합리화 문제를 재조명하고, 관련 규정과 법리들을 정보통신망법에 모아 체계화하여 디지털서비스법으로 개편할 것을 촉구한다. 이로써 플랫폼의 전체적인 기능과 소비자와 소상공인의 후생을 균형 있게 고려하면서 자국 플랫폼의 존속 및 혁신 역량도 놓치지 않는 법제개편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As digital platforms get ubiquitous and grow their market power, the world is plunging into a debate over how to strengthen antitrust enforcement or create new regulatory regimes to control them. Korea’s legislature is not only adding a series of stringent provisions to the Electronic Communications Business Act (ECBA) but is on the way to pass a couple of new platform regulation bills: the Platform Fairness Act, a merchant protection law modeled after the EU and Japan’s platform-to-business regulations, and the Platform User Protection Act, a common carrier regulation regime that includes a potential legal mandate for direct commission control. Without considering Korea’s unique market situation where local platforms fiercely compete with the Big Tech, the bills aim to tightly regulate platforms based on public law principles. In this context, this paper proposes a complete reversal of policy. First, Korea must stop applying and extending common carrier regulations to platforms as they are information service providers that do not fall under value-added networks under the ECBA. Second, Korea’s legislative moves are likely to follow in the footsteps of a cost-based commission control regime as applicable to the credit card industry, but the arbitrary price control must give way to evidence-based and fact-driven antitrust enforcement. Lastly, Korea’s competition agency must effectively cope with platforms’ leveraging abuses and underdeterrence through a regular economic analysis system. Based on this agenda, this paper reviews each item of potential remedies and regulations to sort out those suited for Korea’s market status. Doing so, it proposes market-based solutions aiming at preserving market dynamics rather than hastily transplanting a Europe-style merchant protection regime, so as to balance consumer and merchant welfare without stifling innovation and competition.

      • KCI등재

        데이터 소유권 개념을 통한 정보보호 법제의 재구성

        박상철(Sangchul Park) 한국법경제학회 2018 법경제학연구 Vol.15 No.2

        정보 주체의 개인정보 등 데이터 소유권의 핵심은 때로는 데이터를 교환수단으로 거래에 제공하여 무료 디지털 서비스 등 경제적 이익을 얻거나(데이터의 재화적 측면), 때로는 이러한 경제적 이익을 반납하고 데이터를 시장으로부터 회수하여 오남용과 보안 침해의 위험을 제거하고 스스로를 세상으로부터 다시 숨길 수 있어야 한다는 것(데이터의 비재화적 측면)이다. 법제도는 정보 주체의 소유권 행사와 관련한 이러한 선택들을 존중하고, 표준화, 옵트아웃 제도 등을 통해 거래비용을 낮춤으로써 이에 조력해야 한다. 현행 정보보호법 체계의 중핵을 이루는 사전 고지·동의 요건은 거래비용을 높여 데이터 소유권 행사를 방해하는 잘못된 거래규제이며, 법제도는 대신 데이터 활용에 고도의 위험성이 수반되어 예외적으로 외부성이 존재하는 사례들에 규제를 집중해야 한다. The gist of data ownership is a person’s capability of (i) placing data (as “goods”) on the market in return for economic value such as free or discounted digital service, and (ii) retrieving data (as “bads”) from the market by returning the economic value so as to avoid the risks of misuse and security breach and to conceal him/herself from the world. The legal system should respect those choices and facilitate them by reducing transaction costs through standardization and the opt-out regime. The “informed consent” requirement, the most salient feature of the current regime, is a misplaced trade regulation that obstructs the exercise of data ownership by increasing transaction costs, and the public enforcement should instead be targeted at the use of data that involves a high level of risks and negative externa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