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결혼이주여성의 지역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상옥 ( Park Sangok ),함은혜 ( Ham Eun Hye ),이은영 ( Lee Eun Yo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3

        이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지역공동체의식에 대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할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거주기간에 따른 지역공동체의식의 향상 정도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참여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살펴보았다. 다문화가족 지원센터 참여에 대한 지표를 ① 센터 프로그램 참여 횟수(얼마나 지속적으로 참여하는가?), ② 참여 프로그램 유형(어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가?), ③ 센터 참여도(얼마나 적극적으로 참여하는가?)로 구분하였으며,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각각이 지역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센터 프로그램에 참여한 횟수가 많을수록 지역공동체의식이 높았으나, 그 영향은 거주기간에 관계없이 일정하였다. 둘째, 참여 프로그램 중 다문화가족 자조모임 프로그램에 참여한 결혼이주여성의 지역공동체의식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그 효과가 거주기간이 짧은 경우에 뚜렷하게 나타났다. 셋째, 센터 참여도가 높을수록 지역공동체의식이 높았으나, 그 영향은 거주기간에 관계없이 일정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서 결혼이주여성의 지역공동체의식 형성을 위해 다문화센터 프로그램 및 활동에 오랫동안,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지원하고 참여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자조모임과 같이 다문화센터가 결혼이주여성의 긍정적인 자아인식을 지원하는 것이 지역공동체의식을 형성하고 한국 사회의 일원으로 정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multicultural centers) could affect marriage immigrant women’s sense of community. We observed the three measures showing how marriage immigrant women participate in multicultural centers - (a) years of participating in program, (b) types of participating program, and (c) engagement in multicultural center activities. A series of regression analyses with interaction terms were conducted an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years of participating in program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marriage immigrant women’s sense of community, but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years of residence and sense of community. Second, marriage immigrant women who participated in ‘multicultural family self-help groups’ showed higher sense of community on average, and also participating in such groups negatively moderated the effect of years of residence on sense of community. Third, marriage immigrant women’s engagement in multicultural centers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nse of community, but no interac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ears of residence on sense of community was observed. Implications and further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suggested. Findings confirm that it is important to support marriage immigrant women’s continuous and active participation in multicultural center programs and activities and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in order to help them to form a sense of community. In particular, multicultural centers supporting positive self-awarenes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such as self-help groups, can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 sense of community and to these immigrants settling down and living as a member of Korean society.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가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박상옥(Park, SangOk),함은혜(Ham, EunHye),김훈호(Kim, HoonHo),이재준(Lee, JaeJ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3

        이 연구는 평생교육 참여가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시에 거주하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근 3년 간 지역사회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있는 성인과 그렇지 않은 성 인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평생교육 참여는 성인들의 사회적 자본 중 ‘네트워크’와 ‘주인의식’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는 반면, ‘사적신뢰’ 및 ‘공적 신뢰’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삶의 질’ 수준을 통제할 경우 ‘주인의 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또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네 가지 사회적 자본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삶의 질’ 수준을 통제할 경우 사회적 자본의 하위 영역 중 ‘주인의식’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컨대, 평생교육 참여의 효과가 삶의 질 수준과 같은 다양한 사회적 요인들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나, 평생교육 참여가 주인의식이나 네트워크 등의 사회적 자본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지속 적인 관심과 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participation of lifelong learning programs have an effect on building social capital. Approximately 700 females and males participated in our survey,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dividuals’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programs had a positive impact on increasing social capital, specifically network as well as citizenship. After controlling subjective well-being, however, the effect of participating in lifelong learning programs was significant only for network. Second, for those who have participated in lifelong learning programs,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s significantly predicted their levels of citizenship once controlling subjective well-being. Finally, practical expectation of lifelong learning for enhancing social capital was discussed.

      • KCI등재
      • 초고령마을 노인들의 학습과 마을공동체 형성과정

        박진희(Jinhee Park),박상옥(Sangok Park)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연구 Vol.36 No.1

        최근 저출생·고령화, 특히 농촌지역의 고령화와 함께 노인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앞으로 시혜적 성격의 노인교육을 극복하고, 노인을 지역에 기여하는 사람으로 바라보는 인식 전환 및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학습모임을 시작으로 농촌의 마을공동체가 활성화되었던 사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D시 자모마을의 노인 학습모임인 회춘유랑단의 학습과정과 마을공동체의 활성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회춘유랑단 구성원들은 주체적인 학습을 통해 삶의 변화를 느끼고 있었으며, 이들의 학습활동은 마을을 변화시키고 있었다. 회춘유랑단은 초고령 마을인 자모마을의 주민들을 변화시키는 매개체로서 기능하였으며 마을 주민들이 주체적인 주민으로서 참여할 수 있는 동기가 되었다. 이렇게 마을주민은 만남과 소통을 통해 마을활동을 추진하면서 마을의 변화를 만들었다. 또한 지속적으로 마을 주민들은 학습을 통해 마을활동을 이어가고 있었다. 결국 초고령마을에서 노인의 주체적인 학습활동은 사회적 자본으로 중요한 자원임을 알 수 있다. 적극적인 학습자로서 노인과 그들을 통한 마을공동체 형성과 발전과정은 앞으로 고령사회에서의 노인교육의 역할과 노인에 대한 인식 전환을 바탕으로 평생교육 실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Recently, with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especially in rural areas, interest in education for the elderly is increasing.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for a change in perception to view the elderly as those who contribute to the local community, and a new paradigm to overcome the elderly education of benevolent nature.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case in which Maeul-community in rural area were activated, starting with the learning community for the elderly. Specifically, the learning process of the Hoechun-yulangdan, a learning community for the elderly in Jamo-Maeul in D-city, and the activation process of the Maeul-community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embers of the Hoechun-yulangdan felt changes in their lives through subjective learning, and their learning activities changed the village. The Hoechun-yulangdan functioned as a medium to change the residents of Jamo-Maeul, a super-aged village, and became a motive for the villagers to participate as independent residents. In this way, the residents were leading the changes in the village by promoting village activities through meeting and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y continued their village activities through learning. In the end, it can be seen that the learning activities of the elderly in super-aged villages are important resources as social capital. The process of forming and developing a Maeul-community through the elderly as active learner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practice lifelong education based on the transformation of perception and the new role of education for the elderly in the aging society.

      • KCI등재

        ‘마을’ 연계 학교 정책의 문제의식과 가능성 논의

        양희준 ( Yang Heejoon ),박상옥 ( Park Sangok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연구논총 Vol.37 No.2

        본 연구는 ‘마을결합형 학교’, ‘마을학교’ 등 최근 대두하는 ‘마을’ 연계 학교 정책을 이해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먼저 해당 정책이 대두된 맥락과 주요한 문제의식을 살펴보고, 그 가능성과 개념 보완의 과제를 논의하였다. ‘마을’ 연계 학교 정책은 ‘마을만들기’를 통한 사회혁신, 새로운 교육개혁 패러다임으로서의 혁신학교 정책, 공동체 지향의 평생교육 실천 등 세가지 서로 다른 맥락이 교차하는 지점에 존재하는 정책이다. ‘마을결합형학교’는 지역사회 차원의 더 넓은 교육적 네트워크를 강조하는 ‘마을학교’ 개념에 비해 보다 학생들의 성장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특정한 형태의 교육 목적, 내용, 방식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마을결합형학교’ 혹은 ‘마을학교’ 정책이 ‘공존’, ‘협동’과 같은 가치로서의 ‘마을’을 지향하고,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활동에 참여하는 과정이 곧 학습의 과정이 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마을’ 연계 학교 정책의 개념은 몇 가지 보완의 과제를 갖는다. 교육의 주체와 대상으로 주민 전체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사회 내 유의미한 기관으로서 위치와 역할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주민들의 학습공간으로서의 마을에 보다 주목할 것이 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xt and main concept of the new school policies of the ``community related school,`` (CRS) and discusses the challenge of the conceptual supplement for building up the concept of ``CRS.`` ‘CRS’ policy is an intersectional policy, under which three different streams cross: Social innovation through ``Community Building,`` the ``Innovative School`` as a new educational reform paradigm, and community-oriented lifelong education practices. ‘CRS’ is focused on the growth of students and emphasizes a particular type of educational objectives, contents, and methods rather than emphasizing the broader educational network at the regional community level. However, the ‘CRS’ concept needs to be complemented at several points when considering the community’s values, such as ‘co-existence’ and ‘cooperation,’ and recognizing that the participation in activities for community development is in itself connected to the process of learning.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ll of the community members as a subject and object of education for an improved concept of ‘CRS’ and to find out the appropriate position and role for ‘CRS’ as a significant institution within the community. It also helps to recognize the town as a learning space of inhabitants.

      • KCI등재
      • KCI등재

        시민참여 실천조직으로써 남양주시 평생학습매니저의 확장학습 연구

        김종선(Kim, Jong Sun),박상옥(Park, Sangok) 한국평생교육학회 2013 평생교육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문화역사적 활동이론 관점에서 시민참여 실천조직인 ‘남양주시 평생학습매니저’의 활동 속에서 이루어지는 학습매니저들의 확장학습 과정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습매니저의 활동맥락과 활동체계를 분석하고, 활동의 확장과정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학습매니저의 활동은 주체적 참여 정도에 따라 행정에서 일방적으로 제공된 일을 하는 단계에서, 일정부분을 행정과 함께 계획하고 실행하는 단계로, 활동의 주체가 되어서 활동을 계획하고 실행에 참여하는 단계로, 그리고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다양한 주체들과 상호작용하며 공통된 목표를 이루는 ‘지역 거버넌스 형성’의 단계로 확장되었다. 이러한 활동의 확장은 학습매니저가 활동체계의 모순을 극복하고 새로운 활동체계를 생산하는 확장학습의 과정이었다. 그리고 학습매니저는 시민참여 활동을 통해 주체적 시민으로 성장하였다.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주인으로서, 지역과 지역의 이웃에게 관심을 가지고 다가가는 주체적 시민으로 발전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변화는 개인만의 변화가 아니라 공동체에 대한 자부심과 강한 연대의식을 가진 실천공동체를 형성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 발견한 중요한 점은 학습매니저의 활동체계가 확장되면서 인접한 행정의 활동체계에도 영향을 주었던 것이었다. ‘일방적 행정’에서 ‘쌍방향적정’으로, 정책실현을 위한 ‘시민활용’에서 ‘시민참여’로, ‘관 주도형’에서 ‘지역 거버넌스형’의 행정으로 발전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arning managers’ expansive learning process during their operation of Namyangjus’ Lifelong Learning Program, which is a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local community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tivities of the learning managers were expanded into four different phases, according to the levels of voluntary participation. The four phases evolved in the following ways; ‘do as what they are asked to do’, ‘do it together’, ‘do it voluntarily’, and ‘step into principal activities’. This process of expansion was shown when the learning managers overcame the conflict in the activity system and became the subject of the activity. Learning managers learn in every step of activity by adapting to a new activity, at the same time creating a new activity during each step in the learning process. Second, the learning manager has grown into proactive citizens through citizen participation. Going from passive participant of training courses provided by the administration's unilateral demands, learning managers began to take active roles in participating in the development and execution of policies. Third, the administration system adjoining the changes in the learning managers activities also undergo changes. The administration undergoes changes to become interactive instead of unilateral; citizen centric instead of citizen utilization; local governance instead of administrative managed. Also, interaction and participation is formed by partnership between citizens and local administrations, who have to make a plan together.

      • KCI등재

        지역 기반 교사학습공동체 ‘나무학교’의 확장학습 과정 분석

        백순우(Soonwoo Baek),박상옥(Sangok Park) 한국평생교육학회 2022 평생교육학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지역 기반 교사학습공동체인 ‘배움의 숲 나무학교’가 활동체계를 확장해나가는 확장학습 과정을 탐색하기 위해 3세대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으로 불리는 엥게스트롬(Engeström, 1987)의 확장학습이론의 틀로 ‘나무학교’의 활동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활동체계가 어떻게 확장하고 있는지, 확장학습의 의미는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나무학교는 교사의 수업개선을 지향하는 성장교실이란 활동체계를 만들어 활동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나무학교는 성장교실 활동체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모순에 직면하여 이를 해결하면서, 공동체의 확대 및 정체성 지속을 위해 공동체 조직을 전환하였고, 지역교육의 변화를 지향하는 수업축제 활동, 다양한 지향점을 담보하기 위한 소모임 활동 등으로 확장하였다. 이러한 나무학교의 확장학습 과정은 첫째, 활동체계를 확장하고자 하는 수평적인 의사소통과 주체들의 다양한 목소리, 공동체성을 바탕으로 한 확장적 순환이 있었다. 둘째, 학교와 관련된 객체를 지향하는 교사 성장 플랫폼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행위주체로 성장하여 공동체 안과 밖에서 확장학습을 통해 교사 성장의 선순환을 만들어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시대적·환경적 맥락과 상호작용하며 이루어지는 학교혁신에 대한 상향식 운동으로서 의미를 가졌다. 결국 본 연구는 교사학습공동체의 실천을 바탕으로 일어나고 있는 확장학습 과정과 학교혁신의 한 맥락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모순을 딛고 공동체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도를 이어나가는 학습의 가능성을 드러낼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ansive learning process of Namu School, which is local-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 activity system of Namu School was analyzed with the framework of Engeström’s(1987) expansive learning theory, which is called the third-generation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CHAT). We try to explore how the activity system is expanding and what the meaning of expansive learning 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Namu School created an activity system called Growth Classroom that enables teachers to improve instruction. However, while facing various contradictions that exist in the Growth Classroom activity system, Namu School has transformed its community organization to expand the community and maintain its identity, and has expanded to class festival and small group activities oriented toward changes in local education and school. In the extended learning process of Namu School, first, there were expansive learning cycles based on multi-voicedness, democratic reflection and discussion for better practice. Second, the expansive learning of Namu School was forming a teacher platform that aims to change local schools. In this process, teachers create virtuous circles of teacher growth. Lastly, the expansive learning process of Namu School is meaningful as a bottom-up movement for school innovation that interacts with contexts surrounding the school. This study is able to illuminate the context of the expansive learning process and school innovation that is based on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veal the possibility of learning by overcoming contradictions and continuing new attempts based on a sense of community.

      •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와 교육만족도가 사회적자본형성에 미치는 영향

        강정민(Kang, Jeung-Min),박상옥(Park, SangOk)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교육문제연구 Vol.23 No.1

        이 본 연구는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 또는 학습 경험자를 대상으로 평생교육프로그램 학습 참가자의 개인적 특성과 교육프로그램 참여동기 그리고 교육 만족도가 개인의 사회적 자본형성에 어떤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해 실증적 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평생교육 참여 동기가 학습자의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둘째, 평생교육만족 도가 학습자의 사회적 자본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셋째, 학습자의 참여동 기와 교육만족도가 사회적자본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연구결과, 학습자의 사회적자본형성에 유의미한 참여동기는 활동지향요인이고 교육만족도에 가장 유의미한 요인은 직원행정서비스만족 요인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자 본형성에 유의한 동기를 가진 활동지향형 평생학습참가자들은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참여보다 활동 그 자체에 관심을 통해 이루어지는 인간관계와 사회적 상호 작용 증진에도 목적을 두고 있는 것으로 사회적자본의 형성에 효과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how personal characteristics, education program participation motivations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significantly influence personal social capital formation. Social capital is closely related to learning.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nd social capital, based on this, in this study, participation motivations, educational satisfaction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ocial capital was set as an dependent variable.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motivations on social capital formation of learners. Second,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lifelong educational satisfaction on social capital formation of learners. Third,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s and education satisfaction with social capital formation.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Activity-orientation was a participation motivation to significantly influence social capital formation of learners and employee administrative service satisfac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of educational satisfaction. Activity-oriented lifelong education participants with a motivation for social capital formation aimed to improve personal relationships and social interactions through activities rather than achieving specific goals and this shows that lifelong education participation is effective in forming social capital.

      • KCI등재

        시민교육 활동가의 교육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이다현(Lee, Dahyun),박상옥(Park, Sang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시민교육 활동가의 경험에 비추어 시민교육의 다양한 요소에 대해 파악하고 실제의 교육 실천은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이해하고자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시민사회단체, 공공기관, 대학의 시민교육 활동가를 대상으 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시민교육 교수자의 역할과 시민교육 내용과 방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민교육의 교수 활동은 학습자와의 관계 맺기와 활동가의 개인적 신념 실천을 위한 활동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에 대해서는 자신의 문제로 인식하도록 안내하고, 학습자의 마음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교육 방법적으로는 교육 방식 자체가 민주성을 갖고 생각에 참여하도록 촉진하는 활동이 전개되었다. 내용적으로는 실제의 삶의 내용이 다루어져야하며, 학습자가 사회와 자신의 관 계를 연결 지을 수 있도록 지원해야한다. 또한 교육이 실천과 분리되지 않고 진행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시민교육이 그 자체의 목적인 민주성을 담보하기 위해 우리 사회에서 교육에 부여하는 권력에 저항하며 자본주의적 방식의 교육 실천을 경계해 야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 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시민교육 실천 현장의 목소리를 들음으로서 시민교육 실천과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professors, learners, content, and methods of civil education are being carried out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civil education activists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this end, civic groups, public institutions workers, and universities faculties were interviewed. As a result, the teaching activities of civil education have been shown to be activities by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learners and practicing their beliefs. Instruct learners to be aware of their problems and confirm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learners minds. As an educational method, there was an activity that promoted participation in ideas with the democracy of the education system itself. Content should cover the content of real life, support learners to link their relationships with society, and education should proceed without separating them from practice. Finally, it has been confirmed that civil education should resist the power it gives to education in our society to guarantee its own purpose of democracy and be wary of practicing education in a capitalist mann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practice and research of civil education by listening to the voices of civic education practice sites that have not been no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