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친사회적 교육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박복숙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지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서지능은 일생동안 인간행동의 바탕이 되는 중요한 요소라고 본다. 유치원에서조차 인지적 측면을 강조하는 우리 나라의 교육 현실을 볼 때, 유치원에서 친사회적 교육활동 경험을 통하여 유아의 정서지능(EI)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친사회적 교육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정서 인식 및 자기정서 조절능력, 자기 동기화 능력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가? 2. 친사회적 교육활동 프로그램은 유아의 타인정서 인식 및 감정이입 능력과 대인관계 기술능력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가? 3. 친사회적 교육활동 프로그램은 유아의 정서지능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 울주군에 위치한 P초등학교병설유치원 2개 학급의 만 5세를 대상으로 실험처치의 유무에 따라 실험집단 38명, 통제집단 38명, 모두 76명으로 선정하였다. 사전검사의 유무에 따라 각각 실험집단1, 2, 통제집단1, 2로 솔로몬 4집단 설계를 이용했다. 사전검사는 실험집단1, 통제집단1만 검사하고 실험집단에게만 친사회적 교육활동 프로그램을 13주에 걸쳐 총 36회를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후에 실험집단1, 2, 통제집단1, 2에게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정서지능의 측정은 유아의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이병래(1997)가 제작한 정서지능 체크리스트(만 5세용)를 기초로 하여 수정하고 첨부한 후 지도교수, 원장, 유치원 교사 등 5인이 개발한 총 40문항의 정서지능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분석은 SPSS 프로그램에 의해 각 변인의 사전·사후 검사의 평균 및 편차를 산출하였고,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값을 구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유아의 정서지능을 돕기 위해 개발된 친사회적 교육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친사회적 교육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는 참여하지 않은 유아보다 자기정서 인식능력(p<.001), 자기정서 조절능력(p<.001), 자기 동기화 능력(p<.001)이 증진되었다. 2. 친사회적 교육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는 참여하지 않은 유아보다 타인정서 인식 및 감정이입 능력(p<.001), 대인관계 기술능력(p<.001)에서도 증진되었다. 3. 친사회적 교육활동 프로그램과 정서지능(p<.001)과의 관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즉 친사회적 교육활동 프로그램은 자기정서 인식능력, 자기정서 조절능력, 자기 동기화 능력, 타인정서 인식 및 감정이입 능력, 대인관계 기술능력에 영향을 주었으며 정서지능 향상에 뚜렷한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실험집단만큼이나 정서지능이 향상되지는 않았지만 통제집단도 역시 정서지능이 약간 향상되었다. 이것은 일반 유아교육을 통해서도 정서지능이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친사회적 교육활동 프로그램은 유아의 정서지능 향상에 뚜렷한 효과가 있다. In this study,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is highly valued and it is considered that EI(Emotional Intelligence) is an important factor to form the basic character in their behavior through the whole life. Even in kindergarten, the development of apprehensive faculties and getting knowledge are regarded as top priorities in Korean education system. However,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which can raise child's EI and prove its effects by means of pro-social education activity experience in kindergarten. With the purposes mentioned above, here are the issues that were settled to study. 1. Is Pro-social Education Activity Program effective in knowing the child's Self-awareness, Self-management and Self-motivating? 2. Is Pro-social Education Activity Program effective in knowing the child's recognize Other's emotions or Empathy and Social skill? 3. Is Pro-Social Education Activity Program effective in improving child's EI?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 public kindergarten located in Ulzu-gun, Ulsan-city. The study target groups were 2 classes which 5-year-old children attended. There were 76 children, which were divided into 2 parts (an experi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by whether the program would be adopted or not. There were 38 children in each group. Then, by whether pre-tests would be given or not, they were divided into 4 groups (experiment group 1, experiment group 2, control group 1, control group 2). Solomon's 4 group plan was applied. Pre-tests were given only to experiment group 1 and control group 1, and pro-social education activity program was applied only to experiment groups 36 times over 13 weeks. After applying the program, post-tests were given to all 4 groups. For hypothesis verification, EI checklist containing 40 questions, which was based on EI checklist (for 5-year-old children) made by Lee Byung-Rae, modified, attached, and then developed by the professor in charge, the chief of the kindergarten and 5 teachers in the kindergarten, was adopted as the way of children's EI measure. The average and the deviation of the each group's collected data from the pre and post tests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SPSS program. Additionally, t-test was given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e following: 1. The child's involved in the Pro-social Education Activity Program showed progress of the ability to recognize Self-awareness(p<.001), Self-management (p<.001), and Self-motivating(p<.001) much more than those who were not involved in the program. 2. The child's involved in the program showed the improvement in recognizing Others' emotional awareness or Empathy(p<.001) and Social skill(p<.001) much more than those who were not involved in the program. 3. Statistically, Pro-social Education Activity Program and Emotionai Intelligence (p<.001)were highly related. According to results of the survey, Pro-social Education Activity Program helps child's know their own emotions, manage them, recognize others' emotions, and handle them, and surely improves their EI. However, control groups also showed a slight improvement in EI although it was not as much as experiment groups. This means that EI can be improved even through general young child education program.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ro-social Education Activity Program has a distinct effect on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improvement.

      • 아동집단상담에서 이중관계 집단과 비이중관계 집단의 상담효과 비교

        박복숙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s the effects of pro-sociality enhancement group counseling on the group cohesiveness and pro-social behavior of groups in dual relationship and in non-dual relationship group. To meet the goal of the study, study questions were designed as follows. First, in dual relationship, is there a difference in group cohesiveness and pro-social behavior observed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I who had taken pro-sociality enhancement group counseling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in none-dual relationship, is there a difference in group cohesiveness and pro-social behavior observed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II who had taken pro-sociality enhancement group counseling and the control group? Third, will there be a difference in effectiveness of group counseling between the groups in dual relationship and the groups in none-dual relationship? To verify the study questions above, this study selected each groups as follows: 10 students from a children center in A region, Junglang-gu, Seoul where group counseling is provided and counseling form dual relationship for experiment group I, 10 students from a children center in B region where group counseling is provided and counselors do not form dual relationship for experiment group II, and 10 students from a children center in C region where group counseling is not provided for control group. This study program is composed of 8 stages. Pro-sociality enhancement group counseling is provided for experiment group I and II while it doesn't for control group. To compare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between the groups in dual relationship and in none-dual relationship, group cohesiveness test paper and pro-social behavior test paper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To look into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after estimating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of experiment group I, II and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study conducted t-test, and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different groups, ANOVA was used.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cohesiveness in dual relationship between experiment group I and control group. Also, in pro-social behavior, experiment group I displayed relatively higher average than control group,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n ducal relationship,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up cohesiveness and pro-social behavior were observed between experiment group II and control group. Third, the group cohesiveness and pro-social behavior of experiment group I and II in dual relationship appeared to be higher than in none-dual relationship,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Fourth, as for the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dual relationship and none-dual relationship and control group, there observ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up cohesiveness and pro-social relationship.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group counseling in dual relation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 by improving their group cohesiveness and at the same time it improves group cohesiveness and pro-social behavior. Thus the group counseling appeared to have positive effects in both of dual relationship and none dual relationship.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group counseling have treatment effects in both of dual relationship and none-dual relationship thus suggesting either of dual relationship and none-dual relationship group counseling will have positive effects on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친사회성 증진 집단상담이 이중관계에서 집단과 비이중관계에서 집단이 집단응집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이중관계에서 친사회성 증진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Ⅰ은 통제집단에 비해 집단응집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둘째, 비이중관계에서 친사회성 증진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Ⅱ는 통제집단에 비해 집단응집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셋째, 이중관계의 집단과 비이중관계의 집단에서 집단상담은 효과 차이를 보일 것인가? 위의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 중랑구 소재 상담자가 자원교사로 이중관계를 형성하며 집단상담을 실시하는 실험집단Ⅰ인 A지역아동센터와 상담자가 이중관계를 형성하지 않으며 집단상담만 실시하는 실험집단Ⅱ인 B지역아동센터, 아무런 실험처치도 실시하지 않는 통제집단인 C지역아동센터의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실험집단Ⅰ, 실험집단Ⅱ, 통제집단 각각 10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 프로그램은 8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험집단Ⅰ과 실험집단Ⅱ에는 친사회성 증진 집단상담을 실시하며,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집단상담도 실시하지 않는다. 본 연구의 주된 관심사인 이중관계에서 집단과 비이중관계에서 집단의 상담효과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집단응집력 검사지와 친사회적 행동 검사지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고, 실험집단Ⅰ과 실험집단Ⅱ,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고 세 집단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여 처리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중관계에서 친사회성 증진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Ⅰ과 통제집단 간에 집단응집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친사회적 행동에서는 실험집단Ⅰ이 통제집단에 비해 평균이 많이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비이중관계에서 친사회성 증진 집단상담에 참여한 실험집단Ⅱ와 통제집단 간에 집단응집력과 친사회적 행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이중관계에서의 집단과 비이중관계의 집단인 실험집단Ⅰ과 실험집단Ⅱ 간에 집단응집력과 친사회적 행동의 평균이 모두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이중관계의 집단과 비이중관계의 집단, 통제집단의 세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집단응집력과 친사회적 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이중관계에서 집단상담은 집단응집력을 향상시켜 아동에게 상담에 이로운 효과가 있으며 비이중관계에서 집단상담은 아동에게 집단응집력을 높이고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그리하여 이중관계에서의 집단상담과 비이중관계에서의 집단상담은 둘 다 상담에 유익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들을 아동의 집단상담에서 이중관계가 내재되어 있는 집단과 이중관계가 포함되지 않은 비이중관계의 집단 모두 상담에 유익한 영향을 주어 치료적 효과가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으로 사회복지 현장인 지역아동센터에서 이중관계나 비이중관계에서 집단을 진행하여도 아동들에게 이로운 상담의 효과를 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