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네트워크시대 국가도서관의 협력과 미래 정책방향성에 관한 연구 - 국회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박미향,Park, Mihya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4 No.4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olicy orientations of national library collabor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ree types of resource such as information, human, and space. For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carried out the analyses of foreign cases, the related laws and national policy, case review of various cooperation by library types and resources. In the end, the three policy orientations are proposed for development of national library: sharing public values, securing specialized contents, and having leadership in the global network. 본 연구는 국가도서관의 현재 자원들을 정보적, 인적, 공간적 차원에서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협력사업의 정책적 과제와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외국 사례, 국가도서관관련 법령과 국가정책, 관종별 도서관협력과 국회도서관의 자원별 대외협력사업의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국가도서관 협력사업의 미래방향으로 가치개발, 특화콘텐츠확보, 해외네트워크 리더십확보 등 세 가지 정책방향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박세당 저술을 둘러싼 논쟁과 소통

        박미향(Park Mi-Hyang) 역사문화학회 2011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4 No.2

        인간의 삶과 역사에서 논쟁은 보편화된 일상으로, 소통의 한 방식이다. 인간은 논쟁을 통해 나와 다른 의견을 가진 이들에 대한 비판과 수용을 하며, 인식을 수정 또는 확정한다. 조선시대의 주요한 정치적 문제인 '黨議' 또한 이러한 논쟁의 측면에서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17세기는 논쟁이 치열한 시기였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17세기는 '논쟁의 시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논쟁으로 점철된 시기이다. 청나라에 대한 입장의 문제로 빚어진 주화·척화논쟁을 비롯해, 禮에 대한 이해방식의 차이로 인한 예송논쟁과 같은 문제는 물론이고, 성리학 해석을 두고 벌어진 개개인 간의 논쟁까지 전사회적 현실문제가 모두 쟁점화 되었다. 본 연구는 17세기 논쟁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斯文亂賊'으로 몰렸던 西溪 朴世堂(1629~1703)을 둘러싼 논쟁의 측면을 살핀 것이다. 박세당은 조선이 처한 현실적 문제를 풀기 위한 학문연구를 주장하였고, 그에 걸맞은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思辨錄』을 저술했다. 이 과정에서 박세당은 당대 성리학적 이해기반에서 부족한 부분을 노장학과 불교를 통해 선택적으로 수용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박세당의 사유방식은 주자 절대주의를 내세우며, 교조적인 성향을 지닌 송시열과 같은 사고를 지녔던 집단에게는 이해받을 수 없는 지점이었다. 때문에 박세당을 중심으로 한 이들과 송시열을 따르는 자들 사이에 논쟁이 불 붙들 수밖에 없었다. 결국 이 논쟁으로 인해 박세당은 남다른 사유를 가졌다는 것만으로 유배형을 받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과정은 조선 유자들의 논쟁이 단순히 사상논쟁에만 그친 것이 아니라 黨議에 의한 정치적 이해관계까지 긴밀하게 얽혀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박세당을 둘러싼 논쟁의 과정 속에서 그를 옹호하는 집단과 비판하는 집단 간의 논리적 근거에서 당시 치자들의 사유 지점과 소통의 문제를 찾고자 했다. 두 집단은 논쟁의 근거를 '公論'에 두었다. 공론이란 사림세력의 이상적인 정치제로서, 왕조차 복종해야 하는 절대적 통치원리를 말한다. 공론은 유가의 사상적 기원인 天命과 人心에 합당한 정치적 지향점으로, 유가에서 내세우는 '도덕적 성인군자'의 면모를 갖춘 인물이 공론의 담지자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공론이 갖는 추상성 때문에 이를 근거로 한 논쟁은 분명한 척도가 없이 개개인간의 이해기반에 따라 얼마든지 다르게 해석될 수 있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때문에 유가적 공론에 입각한 논쟁은 소통을 위한 지점으로 나아가기 보다는 사적인 갈등만 조장될 수 있다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박세당을 둘러싼 논쟁 역시 이를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In human life and history, a dispute is universalized daily life as a way of communication. Humans criticize or accept others' opinions through debates, and change or confirm one's recognition. It is worth reviewing a party policy which was a major political issue in Chosun Dynasty from a viewpoint of such disputes. Especially, the 17th century should be examined as the period is known for hot disputes enough to be called "The age of disputes". All kinds of practical matters were in debates all over the society that time: they included ranging from quite big issues such as Juhwa (For Chung)/Chukhwa (Against Chung) Dispute raised by different positions on Chung Dynasty, and Yesong (kind of national ceremony) Dispute caused by the different way of understanding on Ye(Ceremony), to individual debates on the interpretation of New-Confucianism. For a specific review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utes in the 17th century, this study examined the dispute centering around Seogae Park Se-dang (1629~1703), who was driven to 'Samunnanjeok(斯文亂賊)'. Park Se-dang suggested an academic research to solve practical problems Chosun Dynasty faced that time and wrote [Sabyeonrok] to present the directions. In the process, he seems to have accepted some part of Neo-confucianism selectively through Taoism and Buddhism. But, such Park Se-dang's thought was never been accepted by the group standing on the doctrines of Chu-tzu absolutism like Song Si-yeol's thought with doctrinaire disposition. Thus, this caused heated controversy between the groups centering around Park Se-dang and that around Song Si-yeol. At the end, Park Se-dang was forced to go into banishment by reason of his different thought. This means that the dispute in Chosun Dynasty was not limited to the thought itself, but extended to a political interest according to a party policy.

      • KCI등재

        상호동료교수법을 이용한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간호술 수행자신감,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박미향(Park, MiHy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2

        본 연구는 상호동료교수법을 적용한 기본간호학 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자기 효능감, 간호술 수행 자신감,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실험설계연구이다. 연구는 2015년 3월 19일부터 5월 26일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기본간호학실습 과목을 수강하는 D광역시 소재 간호학과 2학년 학생 53명(실험군 27명, 대조군 26명)이다. 연구결과, 상호동료교수법을 적용한 기본 간호학실습 교육 후 실험군에서 자기효능감(t=2.67, p =.010), 간호술 수행자신감 (t=2.18, p =.034), 실습만족도(t=2.31, p =.026)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성찰일지를 통한 주관적 평가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 간 눈높이 교육, 즉각적인 피드백, 수업에 대한 흥미, 이해도, 성취감 등이 향상되었다고 표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상호동료교 수법은 기본간호학실습 교육에서 간호학과 학생들이 가르치고 배우는 동료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기효능감 및 수행 자신감을 향상시켜 기존의 실습교육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앞으로 동료교수의 전문적 역할 수행을 위해 사전훈련 과정을 체계적으로 계획하고 다양한 실습 교과목에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효과성에 대한 반복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apply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program to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and to evaluate on self-efficacy, confidence in performance , satisfaction. The study was conducted 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perios for this study was from March 19th to May 26th in 2015. The participants were 53 students(27 in experimental group, 26 in control group)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who take fundamental nursing practicum cours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udy,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 in self-efficacy(t=2.67, p=.010), confidence in performance(t=2.18, p=.034) and satisfaction(t=2.31, p=.026) was significantly high after taking fundamental nursing practicum course applying reciprocal peer tutoring. Beside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ubjective evaluation through reflective journal, it was mentioned that eye level education between learners, prompt feedback, interest in course, understanding and sense of achievement and the likes improved.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is expected to be able to make up for weak points of conventional practicum by improving self-efficacy and confidence in performance through interaction with peer that nursing majors are taught by and teach in the basic nursing practicum through this study.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carry out a replication study on effectiveness by systematically planning a pre-training process to play a specialized role of peer tutoring and actively introducing this to various practicum courses.

      • KCI등재

        외른 뤼젠(Jörn Rüsen)의 역사의식 이론

        朴美香(Park, Mihyang) 역사교육연구회 2019 역사교육 Vol.150 No.-

        This paper deals with Jörn Rüsen’s theory of historical consciousness. Rüsen succeeded Karl-Ernst Jeismann’s theory of historical consciousness, but he attempted to theorize historical consciousness by emphasizing the productive and constructive feature of learner’s activity through narrative theory. Rüsen worked with the extended concept of narrative by Arthur Danto and was informed by Paul Ricoer’s narrative theory. Consequently, Rüsen understood history as meaning-making in time-experience through the process of narrative, and the work of historian as a kind of historical narrative. In this narrative process where time-experience is combined with intention, time of nature is transformed into human time and the human being is set in time. In addition, Rüsen emphasized the role of memory in historical narratives, arguing that intentionally remembered past affects both present and future. To sum up, Rüsen describes historical consciousness as “all mental operations-including emotional, cognitive, unconscious and conscious ones- by which time-experience is processed into orientations of the life-practice, with memory as a medium”. He tried to establish history as science related to life through narrative theory. His theory of historical consciousness has great significance in history education.

      • KCI등재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독일 역사교육의 사례 : 역사적 사고 지향의 FUER모델을 중심으로

        박미향(Park, mihyang) 한국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연구 Vol.- No.40

        독일은 국제학업성취도 평가인 PISA에서 독일 학생들의 저조한 성적에 대한 극복 방안으로 2000년대 중반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도입하였다. 이에 역사과목의 역량모델들이 개발되었는데, FUER모델(2006/2007), 한스 위르겐 판델 모델(Hans-Jürgen Pandel)(2005), 페터 가우치 모델(Peter Gautschi)(2009), 독일역사교사협회의 교육표준(2006, 2010)이 그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역량모델들 중에서 가장 체계적인 모델로 인정받으며 독일 각 주의 역량개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FUER모델을 중심으로 독일의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독일 역사교육에서 논의되었던 역사의식 이론들이 FUER모델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 지를 고찰하였다. FUER모델은 학생들의 생활세계에서도 전이가능하고 적용 가능한 ‘역사적 사고의 과정’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과정으로부터 역사적 역량을 도출하였다. FUER모델에서 제시한 역사적 사고 과정은 학생들이 과거와 역사에 대해 스스로 질문을 제기하고, 비판하면서 해체하고, 자료들을 토대로 과거를 재구성하여 그것을 삶에 적용하는 그런 일련의 ‘과정’이다. 질문제기, 재구성과 해체, 방향설정 과정과 이러한 과정에서 이해해야할 역사적 원리, 개념 등에 대한 지식을 토대로, FUER모델은 역사적 질문역량, 역사적 방법역량, 역사적 방향설정역량, 역사적 사실역량을 도출했던 것이다. 이렇게 역사적 사고를 하나의 역동적인 과정으로 이해한 것은 역사의식 이론의 영향이라 할 수 있다. 역사의식을 역사해석에 대한 성찰적이고 비판적인 ‘활동’으로 이해했던 야이스만과 역사의식을 합리적인 역사서사 ‘행위’로 이해했던 뤼젠의 이론이 그것이다. 이러한 영향으로 역사의식이 역량중심 교육과정에서는 역사적 사고의 ‘과정’으로 치환되었다. 역사적 역량은 역사적 사고의 학습으로 정의되었다. 이러한 결론에 이르기까지 독일 역사교육은 다음과 같은 근원적인 질문들을 제기했다: 역사교육은 학생들에게 ‘무엇을’ 가르치는 것인가? 역사를 학습하고 난 이후 학생들은 무엇을 할 수 있어야 하고, 어떤 능력이나 역량을 가질 수 있어야 하는가? 학생들에게 그러한 역량을 키워주기 위해서 역사수업은 어떤 방식으로 조직되어야 하는가?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적용해야 할 한국의 역사교육 역시 이러한 근본적 질문들을 피할 수 없어 보인다. 구체적인 역사적 역량들은 그 답을 찾는 과정에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Germany introduced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since the mid-2000s as a way to overcome the poor grades of German students in PISA,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As a result, competency models for history subjects were developed: FUER Model (2006/2007), Hans-Jürgen Pandel Model(2005), Peter Gautschi Model (2009), Educational standards of the Association of History Teachers in Germany(2006, 2010). Among these competency models, this paper examines the German competency-based curriculum centering on the FUER Model. At the same time, how theoretical discussions on historical consciousness are applied to the FUER Model were examined. The FUER model presented a ‘process of historical thinking’ that is transferable and applicable even in the social life of students, and historical competence was derived from this process. The historical thinking process presented by the FUER model is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students ask questions about the past and history themselves, deconstruct it while criticizing it, reconstruct the past based on data, and apply it to their lives. Based on the process of questioning, reconstruction, deconstruction, and direction setting and knowledge of historical principles and concepts to be understood in these processes, the FUER model derived historical questioning competence, historical method competence, historical direction setting competence, and historical fact competence. This understanding of historical thinking as a dynamic process can be said to be the influence of previous theories of historical consciousness. These are the theories of Jeismann, who understood historical consciousness as a reflective and critical ‘activity’ for historical interpretation, and Ruesen’s theory, who understood historical consciousness as a rational historical narrative ‘action’. As such, in German history education, historical consciousness was understood as an ‘activity’ or ‘action’ rather than any substance, theory, or philosophy, so it was reduced to a ‘process’ of historical thinking i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As suggested by the FUER Model, Germany s history education seems to have taken a major direction in defining historical competence as the learning of historical thinking. Until this conclusion, Germany s history education faced and discussed the following fundamental question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What does history education teach students? What should students be able to do after studying history, and what abilities or competencies should they have? How should history lessons be organized in order to develop such competencies in students? History education in Korea, which should apply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also seems to answer these fundamental questions.

      • KCI등재

        암환자 외상 후 성장을 위한 중재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박미향(Park, Mi Hyang),박정숙(Park, Jeong Sook) 대한종양간호학회 2016 Asian Oncology Nursing Vol.16 No.1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ffect size of the intervention studies for posttraumatic growth in patients with cancer. Methods: A total of 871 studie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14 were identified by searching Ovid-Medline, CINAHL, PubMed, Scopus, PsycARTICLES, Cochrane library, RISS, and KISS. 15 studies were selected for inclusion in the meta-analysi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mprehensive Meta-Analysis (CMA) Ver. 3 program and the effect sizes were shown using Hedges’s g score. Results: Intervention studies included 5 studies on Cognitive Behavioral Stress Management (CBSM), 4 studies for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MBSR), 2 studies for couple-based intervention, and 1 study each for health coaching, building resilience, yoga and painting intervention. The overall controlled effect size was 0.335 (95% CI=0.231, 0.438), using a fixed effects model. The most effective intervention was the couple-based intervention (0.368, 95% CI=- 0.146, 0.883), followed by MBSR (0.340, 95% CI= 0.172, 0.508) and CBSM (0.314, 95% CI= 0.139, 0.490). Conclusion: Cancer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traumatic events that affect patients’ lives, a few cancer patients have been known to have posttraumatic growt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ursing interventions to increase posttraumatic growth for cancer patients such as couple-based intervention, MBSR and CBSM.

      • KCI등재

        라인댄스 참가자의 성별, 연령, 참여동기가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박미향 ( Mi Hyang Park ),권욱동 ( Wook Dong Kwon ) 한국무용과학회 2013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9 No.-

        이 연구는 라인댄스 참가자의 성별, 연령, 참여동기가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S시와 D시에 거주하는 20대 이상의 성인들 중 라인댄스 참가 기간이 3개월 이상이며 주 1회 이상 참여하는 285명의 설문지 자료를 대상으로 SPSS 17.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요인분석 (factor analysis),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및 회귀분석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성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 요인인 자기존중감, 외모, 유능성, 건강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연령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요인인 외모에서 20대가 40대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유능성, 건강 그리고 자기 존중감에서는 20대가 40대와 50대 이상 참가자들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수준을 보였다. 30대는 건강과 자기존중감에서 50대 이상 참가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셋째, 라인댄스 참여자의 참여동기가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정서적동기는 자기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동기는 자기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Line-Dance participants`` gender, age, and motives for participating on physical self-concept by analyzing 285 Line-Dance participants who are over 20 year old and have at least 3 months participating experience and participate in Line-Dance at least once a week by using SPSS 17.0 program with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revealed the following things. First, men showed significantly high level of self-esteem, appearance, competence, and health in physical self-concept than women. Second, the twenties showed high level of appearance than the forties, and showed high level of competence, health, and self-esteem than the forties and fifties. The thirties showed high level of health and self-esteem than the fifties. Third, emotional motives have an positive(+) influence on self-esteem, and social motives have an negative(-) influence on self-este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