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복부자상 환자의 개복술결정에 있어 다중검출전산화단층촬영의 유용성

        박대홍,최승준,정유미,김형식,최혜영 대한영상의학회 201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8 No.1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well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 scans predict the need for a laparotomy in patients with anterior abdominal stab injuries. Materials and Methods: Eighty patients with abdominal stab injuries who underwent MDCT scans were enrolled. MDCT was performed to identify active bleeding and injured organs and to assess the accuracy between MDCT and the laparotomy findings. MDCT was considered positive or negative with respect to the need for an exploratory laparotomy.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MDCT for identifying the need for laparotomy was estimated. Results: MDCT predicted bowel and mesentery injuries in 31 of 80 patients and 28 patients were truly positive. MDCT predicted active bleeding in 23 of 80 patients and 19 patients had active bleeding. MDCT predicted the need for laparotomy in 43 of 80 patients. A laparotomy was performed in 55 of the 80 patients and 42 were therapeutic. Overall, a MDCT scan predicted the need for laparotomy with 95% sensitivity, 92% specificity, and 93% accuracy. Conclusion: MDCT scans can be used to identify active bleeding and injured organs and are an effective tool for determining the need for surgical exploration. 목적: 전복부의 자상 환자의 개복술을 결정하는 데 있어 다중검출전산화단층촬영(multi-detector CT; 이하 MDCT)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전복부자상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 MDCT를 시행한 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MDCT를 이용하여 급성출혈 및 장기손상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수술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여 실제 수술소견과 비교하여 개복술을 결정하는 데 있어 MDCT의 민감도, 특이도 및 정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 MDCT에서 내장 및 장간막손상이 의심된 31예 중 28예가 수술실에서 실제 손상으로 확인되었고 급성출혈이 의심되었던 23예 중 19예에서 급성출혈을 확인하였다. 80명 중 43명에서 MDCT에서 수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했고, 37명에서 수술이 필요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실제 개복술을 시행한 55명의 환자 중 42명에서 수술이 필요했으며 나머지 13명은 수술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였다. MDCT는 개복술을 결정하는데 95%의 민감도, 92%의 특이도, 93%의 양성예측도, 94%의 음성예측도와 94%의 정확도를 보였다. 결론: MDCT는 장기손상과 급성출혈을 진단하는 데 효과적이며 이를 토대로 전복부자상 환자의 개복술을 결정하는 데 효율적인 검사방법이라 하겠다.

      • KCI등재

        생체간이식 후 발생한 담도협착 환자에서 경피적 풍선확장술과 도관유지술

        박대홍,변성수,김정호,김건국,황희영,김형식,최혜영,재형 대한영상의학회 201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8 No.4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therapeutic efficacy of the percutaneous balloon dilatation and catheter maintenance (BDCM) method for postoperative biliary strictures following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 (LDLT). Materials and Methods: Eighteen patients (14 duct-to-duct anastomosis and 4 hepaticojejunostomy) with post-LDLT biliary stricture were treated by the percutaneous BDCM method. A good response was defined as residual stricture over 3.5 mm after repetitive BDCM and refractory response as residual stricture below 3.5 mm. If they demonstrated good results on follow-up studies after catheter withdrawal, all the patients quit the therapy. We evaluated the technical and clinical success rates, major complication rate, mean total procedure time and mean follow-up duration. Results: The percutaneous BDCM method was technically successful without major complication. Nine patients improved biliary stricture (good response, mean 5.5 mm), and the other 9 patients showed residual stricture with the diameter below 3.5 mm (refractory response, mean 2.5 mm). However, all the patients were improved clinically without significant complication. The total procedure time was 1-15 months (mean 7.3 months) and follow-up duration was 6-54 months (mean 24 months). Conclusion: The percutaneous BDCM method for post-LDLT biliary strictures was an effective therapy even in the patients showing a refractory response. It seemed that total procedure time could be reduced if the response was determined earlier. 목적: 생체간이식 후 발생한 담도협착 환자에서 경피적 풍선도관술(풍선확장술과 도관유지술)의 치료적 효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생체간이식 후 발생한 담도협착으로 경피적 풍선도관술을 시행받은 1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담도-담도 문합술 14명, 간-공장 문합술 4명). 반복적인 치료 후 잔류협착이 3.5 mm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를 호전군이라 하였고, 잔류협착이 3.5 mm 이하로 유지되는 경우 불응군으로 하였다. 호전군과 불응군 모두 도관을 협착 부위에서 제거한 후 추적 검사에서 이상이 없을 때 시술을 종료하였다. 기술적 및 임상적 성공률, 주요합병증, 총 시술시간을 알아보았다. 결과: 풍선도관술은 모든 환자에서 기술적으로 성공하였고 주요 합병증은 없었다. 9명의 환자에서 협착은 호전을 보였고(호전군, 평균 5.5 mm), 나머지 9명의 환자에서 잔류협착이 3.5 mm 미만으로 유지되었다(불응군, 평균 2.5 mm). 그러나 모든 환자는 시술 종료 후 의미 있는 합병증 없이 임상적으로 호전되었다. 총 시술기간은 1~15개월(평균 7.3개월)이었고, 추적 관찰 기간은 6~54개월(평균 24개월)이었다. 결론: 경피적 풍선도관술은 생체간이식 후 발생한 담도협착 환자에서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불응군에서도 경피적 치료는 효과가 있었으므로 시술에 대한 반응을 빨리 결정하면 총 시술시간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외상성 손상 환자에서 경도관동맥색전술의 효능

        박대홍,김정호,변성수,김형식 대한영상의학회 2012 대한영상의학회지 Vol.67 No.5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echnical and clinical outcomes and identified factors associated with clinical success in trauma patients that underwent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TAE) in a single regional hospital.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of 106 patients with a variety of trauma who were suspected of active arterial bleeding and underwent angiography. Technical success was defined as non-visualization of extravasation and pseudoaneurysm in injured arteries. Clinical success was defined as the patient was not expired within 30 days from the date of TAE. Electronic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The risk factors between groups of clinical success and failure were analyzed statistically. Results: Technical and clinical success rates of TAE were 96% (102/106) and 70% (74/106) respectively. Of the factors we assessed, age, older than 60 years, systolic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at admission and after TAE, and combined brain injur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Old age, low systolic blood pressure after TAE, and combined brain injur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oor prognosis in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 TAE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active arterial bleeding of the traumatic injury patient. 목적: 단일 지역 병원 내 경도관동맥색전술을 시행받은 외상성 손상 환자에서 기술적 및 임상적 결과와 임상적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외상으로 인한 동맥성출혈이 의심되어 혈관조영술을 시행받은 10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시술의 기술적 성공은 색전술 후 손상 동맥이 폐색되어 혈관 외 유출이나 가성동맥류가 소실된 것으로 정의하였다. 임상적 성공은 시술일로부터 30일까지의 환자상태를 추적관찰하여 사망하지 않은 경우로 정의하였다. 환자의 병력을 조사하여 임상적 성공군과 실패군 사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하여 통계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경도관동맥색전술의 기술적 성공률과 임상적 성공률은 각각 96%(102/106), 70%(74/106)였다. 임상적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환자의 연령, 60세 이상 고령 여부, 내원 당시 수축기 혈압 및 심박수, 시술 후 수축기 혈압 및 심박수, 동반된 뇌손상 여부였다(p < 0.05). 다변량 분석 결과 고령, 시술 후 낮은 수축기 혈압, 뇌손상 동반시에 낮은 임상적 성공률을 보였다. 결론: 동맥출혈을 동반한 외상성 손상 환자에서 경도관동맥색전술은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 핸드볼 선수들의 주의집중형태와 경쟁상태불안과의 관계

        박대홍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5 No.5

        The purpose of thi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attentional style and competitive state anxiety according to the sex. Performance level, career, and position. The subjects were selected out of the university handball player's 162 and semi-professional handball plyer's 126. out 288, For this study, Nideffer's "TAIS" test and Marten's "CSAl-2" test were used. The study method was used to statistic analysis using SPSS 11.0 window program. The analysed result are as follow : In attentional sty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ex, Female play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men's player's in "BET",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level, Elite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non-elite group in "OIT" and "RED" Elite group was higher than non-elite group in "MAR". In competitive state anxiety, non-elit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Elite group in cognitive state anxiety and physical state anxiety. But elite group was higher than non-elite group in self-confidence. in attentional style. over 16lyears career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low career group in "BET", "BIT" and "WAR". But below 10year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ver 16years career group in "OET", "OIT" and "RED". The higher scored group in self-confidence got higher score in BET, BIT and MAR but got lower score in OET, OIT and 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