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적상상력을 이용한 내러티브 6단계 비평 연구

        박남정(Park, Nam-J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10 美術敎育論叢 Vol.24 No.2

        본 연구는 하나의 작품을 다양하게 해석하고 감상하게 되는 원인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역사적으로 이미 미술과 상상력의 관계는 검증되었지만 상상력이 감상자의 비평 활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다. 예술가는 자신의 생각이나 내면세계를 상징적인 조형언어로 가시화하는 과정에서 내적상상력을 발휘하며, 감상자는 작품을 자신의 시각적 언어로 재개념화 하는 과정에서 내적상상력을 발휘한다. 이에 본 연구는 눈에 보이지 않는 상상력 즉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특수한 상상력의 실체를 비평 활동 과정에서 직접 확인함으로써 내적상상력과 비평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내러티브 6단계 비평모형을 개발하였으며, 그 적용 결과를 토대로 내적상상력을 활용한 비평수업 논의에 화두를 던지고자 한다. This research starts with the question what makes various interpretations and appreciations from one work. Although the correlations between arts and imaginations have been verified historically,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in how imaginations affect an appreciator’s critique. Artists use internal imaginations in creating one’s thoughts or inner world into symbolic formative art, appreciators use internal imaginations in reconceptualizing a work into one’s own visual language. Therefore this research is to close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imaginations and critics by checking non- visual imaginations-so called the substantiality of specific imaginations that individuals possess-in the process of criticizing activity. Besides, it provides narrative 6-level critic model to be applied to field of education based on its verified details. Narrative 6-level critic is to structuralize art-critic activity through narratively thoughts with narrative investigations. First, 1-level is a course of explaining the work of art into writings. Second, 2-level is a course of drawing image after reading the writings that include descriptions for the work of art. Third, 3-level is a course of drawing picture after listening to the explanation of work of art. Forth, 4-level is a course of investigating the work of art, which means an activity to draw picture by using visual memory after appreciating the work of art for a short period of time. 5-level is a course of analyzing․re-interpreting, that is, representing the existing work of art newly. Lastly, 6-level is a course of re-making existing critics with one's own terms after investigating art-related terms.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으로 살펴본 미술교육의 미래교육 방향 탐색

        박남정(Park Nam-J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16 美術敎育論叢 Vol.30 No.3

        교육부는 2015년 9월에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이하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고시하였으며 미술과는 총론의 핵심역량을 토대로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 교과 역량을 도입하였다. 국가 교육과정은 교육의 기본 구조이자 미래사회에 대한 설계도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은 앞으로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바를 표명한 것으로 특히 ‘심미적 감성 역량’의 도입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사회를 전망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탐색함으로써 미술의 미래교육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미래에는 저출산․고령화, 다문화 가족의 증가, 특히 정보통신과 융합과학 기술이 고도화될 것이다. 이제 학교는 지식과 과학기술 혁명으로 인한 인간성의 재탐색, 개인성 극대화로 야기될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감성, 공감 등의 정서적 가치에 주목해야 한다. 미술은 본질적으로 정서와 직결되어 삶의 의미와 살아가는 힘을 길러주는 교육이다. 미술교육은 인간에 대한 이해, 자존감과 자아효능감, 상상력과 감성, 진로․직업의 기본소양, 뇌의 균형적 발달 등을 위한 중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the Outline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a for the cultivation of core competencies in September 2015(Hereafter, referred to as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Art Subject introduced subject competencies to cultivate ‘creative and convergence talent’ that the future society requires based on the core competencies in the Outline. The national curriculum is the basic structure of education and a blueprint for the future society. The core competencies and subject competencies proposed by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xpress objectives at which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education should aim in the future, and especially, the introduction of the ‘competency of aesthetic sensitivity’ receives positive reviews. This study attempted to check the direction of the future direction of art by forecasting the future society and explor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the future, low birth rate, aging and multi-cultural family will increase, and especiall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and convergence scientific technology will advance. Now, schools should pay attention to emotional values such as sensitivity and sympathy in order to re-search humanity with knowledge and science technology revolution and to solve various social problems caused by the maximization of individuality. Art essentially is directly connected to emotions, which is an area that develops the meaning of life and the force for living, and art education is a core education for the understanding of human and the cultivation of self-esteem, self-efficacy, imagination, sensitivity, and the basic knowledge about career and job.

      • 장애영유아통합교사의 감정노동 경험에 관한 연구

        박남정 ( Park Nam-jung ),최정혜 ( Choi Jeong-hye ) 경상대학교 교육연구원(구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9 현대교육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장애영유아통합교사가 교육의 현장에서 경험하는 감정노동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이 겪는 감정노동의 본질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에 거주하는 장애 영유아통합교사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26개의 의미단위 요약과 12개의 하위주제, 5개의 대주제가 도츨 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애영유아통합교사의 감정노동 경험의 첫 번째 대주제는 장애영유아통합교사와 학부모간의 갈등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주제는 소통이 어려운 학부모, 교사를 신뢰하지 못하는 부모, 일방적인 부모 등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대주제는 장애영유아 통합교사의 내적 갈등으로서, 하위주제는 통합교육의 어려움 및 두려움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대주제는 장애영유아 통합교사의 스트레스이며, 하위주제는 동료교사와의 관계스트레스, 과중한 업무스트레스, 감정의 부조화로 인한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네 번째 대주제는 장애영유아 통합교사의 보람으로, 하위주제는 보람과 감사함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대주제는 장애영유아통합교사을 위한 지원으로서, 하위주제는 심리적 지원과 제도적 지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애영유아통합교사의 감정노동을 규명하였으며, 이를 위한 정책지원을 제안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study looked at emotional labor experienced by integrated teachers in the field of integrated education for disabled young children and tried to identify the nature of the emotional labor they were experienc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26 semantic unit summaries, 12 subtopics, and 5 main topics were derived. First, the first main topics concerning on the experience of emotional labor of disabled young children integrated teacher was the conflict between disabled young children integrated teacher and their parents. Second, the second main topics on the experience of emotional labor of young children integrated teacher is the internal conflict of disabled children's unified teachers. Third, the third main topics on the experience of emotional labor of disabled young children integrated teacher was the stress of disabled young children integrated teacher. Fourth, the fourth main topics on the experience of emotional labor of the disabled young children integrated teacher is the reward of the disabled young children integrated teacher. Fifth, the fifth main topics on the experience of emotional labor of disabled young children integrated teacher is support for disabled young children integrated teac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