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장애인이 이용한 고용서비스 경험의 제도적 상호관계 탐색 - 제도적 문화기술지의 적용 -

        박광옥(Park Kwangok),이동석(Lee Dongsuk)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8 한국장애인복지학 Vol.42 No.42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고용서비스 이용 경험을 통해 취업 진입과 유지에 어려움을 발생시키는 제도적 상호관계를 탐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제도적 상호관계를 탐색하는 데 많이 사용되는 제도적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총 20명의 발달장애인과 총 11명의 관련인을 대상으로 심층면접, 현장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시퀀스 분석으로 탐색된 제도적 상호관계를 기술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장애인은 고용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나를 배제한 대화의 장’, ‘낯선 도구평가라는 관문’, ‘나도 모르는 나의 계획’, ‘기한이 없는 직업준비 과정’, ‘알아야 할 정보가 누락되는 단순중개’, ‘원하지 않아도 참여해야 하는 과정’, ‘발달장애인 근로자를 위한 옹호 부재’, ‘장애인고용제도 안에서도 힘을 잃는 지원’ 등의 경험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경험들은 실천 현장의 서비스 서식, 관련법과 제도 등 제도적 텍스트 간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고 있었다. 결국 발달장애인의 입장에서 본 고용서비스의 실제는 제도 안에서 발달장애인 주체를 찾기 어려웠으며, 그들의 다양성과 근로자성이 인정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정책적으로 장애인 고용영역의 사회적/자립생활 모델로의 전환, 발달장애 특성에 기반한 다양한 지원체계 구축 및 제도 간 연계 강화, 고용촉진과 유지를 위한 균형 있는 정책 설계 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천적으로 발달장애인 이용자의 서비스 공동계획을 위한 근간 마련, 쉬운 버전의 서비스 서식 사용, 자립역량 중심의 직업적응훈련 개편, 발달장애인의 옹호 기능 확대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ocial organization of the employment service experienc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difficulties they face in finding and maintaining a job in relation to their experiences with employment service. Social organization implies the governing relationship that influences and controls the experiences of individuals. To this end, the study applied the institutional ethnography which is widely used to explore institutional relationships in applied studies within an institutional environment. Data were collected by the depth interview and the spot observation into the 20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fficulties and 11 workers. As a result of sequence analysis, this study find out the social organization of the employment service experienc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uch as ‘discussion on me without me’, ‘gateway filled with a strange assessment instrument’, ‘my plan that I don`t know’, ‘endless preparation for job’, ‘simple brokerage that omitted necessary information’, ‘course that I should reluctantly participate in’, ‘no advocacy for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fficulties’ and ‘support that have no power even in employment servic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se experiences happen through the interaction among policy texts. After all,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s no independence in the institution and the institution does not accept the diversity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r respec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employee in the real world. Finally, it draws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analysis.

      • KCI등재

        발달장애인 지원에서 공동생산(Co-production) 접근 가능성 탐색 : Löffler의 공동생산 원칙 적용을 위한 실행연구

        박광옥(Park, Kwangok),김미옥(Kim, Miok)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1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1 No.51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co-production approaches and the environments necessary for maximizing user-centeredness in supporti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this end, the study used action research in an attempt to realize Löffler s(2009) four co-production principles of ‘equality’, ‘diversity’, ‘accessibility’ and ‘reciprocity’ which are premised on using co-production approaches, and examined the applicability and the necessity of co-production in the process. The study found that the co-production approach was applicable and that it helped in empoweri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service providers, forming partnerships among service providers and between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local residents, diversifying communication support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mproving relationships with people in the community and building a supportive environment, and exploring the need for a co-production approach in line with paradigm shifts. On the other hand, in applying the co-production approach to the current support environment, the study found that the power and dependenc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users, a fixed service environment centered on experts, and a lack of solidarity regardi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region were the limitations.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a change of mindset and continuous development of partnerships between institutions and workers, reorganization of policies and practice environment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xpansion of support for daily communic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culture of solidarity with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region were suggested.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 지원에서 이용자 중심성(User-centeredness)을 극대화하는데 유용한 공동생산 접근(Co-production approach)의 적용 가능성과 필요한 제반 환경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행연구방법(Action research)을 통해 공동생산 접근에 전제가 되는 Löffler(2009)의 4가지 공동생산 원칙인 ‘평등’, ‘다양성’, ‘접근성’, ‘상호의존성’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들을 시도하고, 그 과정에서 공동생산의 적용 가능성과 필요 기반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공동생산의 원칙을 적용하면서 발달장애인에게 서비스 주체로서의 권한 부여, 서비스 제공자, 발달장애인, 지역주민 간의 파트너십 형성, 발달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지원의 다각화, 지역사회 다양한 주체와의 관계 형성과 지지환경 구축의 가능성과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공동생산 접근의 필요성이 탐색되었다. 반면, 현 지원 환경에서 공동생산 접근을 적용하는데 있어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 간의 권력과 의존관계, 전문가 중심의 고착화된 서비스환경, 지역 내 발달장애인 문제에 대한 연대 의식 부족 등이 한계로 나타났다. 이러한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기관 및 종사자의 파트너십에 대한 사고 전환과 지속적인 학습, 발달장애인을 위한 정책 및 실천 환경의 재편, 일상적 의사소통 지원의 확대, 지역 내 발달장애인과의 연대문화 확립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이 인식하는 괜찮은 일자리 유형에 관한 연구

        박광옥(Park Kwangok),김선형(Kim Sunhyung)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9 장애와 고용 Vol.29 No.1

        This study applied Q-methodology to analyze the types of perception of decent works by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First of all, 23 Qsamples were selected from 125 Qcollection groups collected through document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 and with 30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s target, Q classification was carried out.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ypes of perception of decent works by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ere found to be total of 4 types. Type 1 is ‘rights base guaranteed type’, and the works where workers are safe and convenient and basic rights are guaranteed and the works providing integrated work environment that can expect individual growth were recognized as decent works. Type 2 is ‘individual satisfaction pursuing type’, and the works with convenient travel to/from the work, working with joy and the works that you can learn new things and pursue your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were recognized as decent works. Type 3 is ‘performance-oriented type’, and the works followed by adequate compensation for the outcome and the works that can have positive influence on others or the country were recognized as decent works. Type 4 is ‘interrelationship accompanied type’, and the works that are helpful for others and the relationship with close people are respected, rather than work environment or compensation, were recognized as decent works. Lastly, based on such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implication required for creating decent works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as presented. This study result presents the data on decent works directly by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so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tail discussion on the quality of employment and to establish effective support plan.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발달장애인들의 괜찮은 일자리에 대한 인식유형과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선 문헌조사와 심층면접을 통해 125개의 Q모집단을 수집하고, 23개의 Q표본을 선정하여 발달장애인 30명을 대상으로 Q분류를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발달장애인의 괜찮은 일자리에 대한 인식유형은 총 4가지로 나타났다. 유형 1은 ‘권리 기반 보장형’으로 개인의 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 통합적 근로 환경에서 근로자의 안전과 기본적 권리가 보장되는 일을 괜찮은 일자리로 인식하였다. 유형 2는 ‘개인 만족 추구형’으로 출퇴근 등이 편리하며, 즐겁게 일할 수 있고, 새로운 것을 배울 수 있는 자신의 편의와 만족을 추구할 수 있는 일을 괜찮은 일자리로 인식하였다. 유형 3은 ‘성과 중심 지향형’으로 일의 성과에 적절한 보상이 따르고, 타인 또는 국가의 이익에 기여할 수 있는 일을 괜찮은 일자리라고 인식하였다. 유형 4는 ‘상호 관계 수반형’으로 근로 환경과 보상보다는 근로자 개인과 타인이 서로 도움이 되는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일을 괜찮은 일자리로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유형별 특성을 기반으로 발달장애인의 괜찮은 일자리 창출에 필요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발달장애인 당사자가 인식하는 괜찮은 일자리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고 있어, 고용의 질에 대한 실효성 있는 논의와 지원방안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탈시설 장애인의 주거이동 패턴 분석 : 주거 형태와 핵심 동기를 중심으로

        오욱찬(Oh, Ukchan),박광옥(Park, Kwangok),김성희(Kim, Seonghee),오다은(Oh, Daeun)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1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2 No.52

        이 연구는 탈시설 장애인이 거주시설에서 나와 지역사회에 정착하는 과정에 초점을 두고, 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주거이동 패턴의 유형과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탈시설 후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장애인 2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당사자와 사례담당자에 대한 면접 조사를 통해 출생에서부터 현재까지의 모든 주거이동을 조사하였다. 주거이동 패턴은 크게 주거 형태의 이동 패턴과 주거이동의 핵심 동기에 의한 패턴의 두 가지 단위로 분석되었다. 주거이동 패턴을 분석하고 유형화한 결과, 주거 형태의 이동에서는 ‘전환주거를 통한 탈시설 패턴’, ‘그룹홈을 통한 탈시설 패턴’, ‘독립적 탈시설 패턴’, ‘재입소 후 독립주거 패턴’이 도출되었다. 주거이동의 핵심 동기에 의한 패턴은 경제활동, 주거 환경, 가족 형성, 사회적 관계를 핵심 동기로 하는 패턴으로 유형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필요한 주거 형태와 주거이동의 동기에 따라 차별화된 탈시설 지원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에 대한 탈시설 지원에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정책적․실천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movement among persons with disabilities who left residential institutions and analyzed the housing movement patterns through a case study method. Twenty-five persons with disabilities living in the community after experiencing deinstitutionalizat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ll housing movements from birth to the present were investigated through interviews with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case manager. The pattern of housing movements was classified by two perspectives: patterns by the housing type and the core motives of housing movement. As a result of the typology of housing movement patterns, in terms of the housing type, deinstitutionalization through transitional housing, deinstitutionalization through group-home, independent deinstitutionalization, deinstitutionalization after re-entry patterns were derived. And the core motives of housing movement were categorized as labor participation, residential environment, family formation, and social relations. These results imply that a differentiated approach to support for deinstitutionalization is needed according to the required housing type and motive for housing mo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everal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to be considered in the support for deinstitutionalization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