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교사의 로봇 기술 및 로봇 활용 교육에 대한 효율적 방안의 고찰

        박광렬 光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初等敎育硏究 Vol.26 No.1

        Recently, much literature and research on robot education has dealt with the robot-technology and robot-utilized educations. And various ways and many approach of education robot has been develop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 we need to review about the proper contents, coursework and robot hardware for elementary schoo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review and to propose the proper approach and methods for robotics education. In this paper, (1)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robot-education coursework and system is reviewed, (2) the practical case study about robotics and robot-utilizes education are demonstrated and (3) the proper approaches for robot education contents, software and hardware a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스캔봇을 활용한 로봇 프로그래밍 학습 시스템의 설계와 개발

        박광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4 實科敎育硏究 Vol.20 No.3

        이 연구는 센서와 모터로 구성된 로봇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프로그램을 작성해 볼 수 있는 학습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수 행되었다. 제안된 시스템은 바코드 인식에 의한 방식으로 컴퓨터 언어에 대한 선행학습이 필요 없으며 컴퓨터와 로봇을 여러 명의 학생이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개발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작성을 컴퓨터 키보드 입력과정 대신 명령어 카드를 나열하는 방식을 구안하 였다. 따라서 여러 학생들이 동시에 프로그램 작성이 가능하다. 둘째,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가 장착된 스캔봇을 구성하였으며 간단한 조작 만으로 모터가 장착된 작동 로봇이 프로 그램에 의해 작동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셋째, 스캔봇으로 인식한 프로그램을 한글 스크립트로 자동 변환 및 수정, 시뮬레이션하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넷째, 개발 단계에서는 기본적인 사용과 활용에 대한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적용 및 평가 과정에서 교과 교육과 연계할 수 있 는 다양한 학습 자료의 추가 개발이 이루어졌다. 연구에서 제시된 시스템은 현재 초등학교 영재반의 로봇 교육과정과 자유학기제의 중고등학생들의 체험활동 등에서 운영 중 이며 융합 교육을 위한 활용도 기대하고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developing the efficient system for robot programming education. The system support sharing a computer and robots by using bar code scanning so that students can program without knowledge about programming languag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ew programming tools are developed by using scan-bot and plastic cards so that students can skip the key- in process to write a program codes. Second, proposed system support sharing the robots and computer for learning the programming of robot by using scan-bot and working robot. Third, th system supports two way of programming : scanning the bar-code card and writing the script-code. And it use Korean scripts for controlling the robot. Third, the learning materials and contents are developed for study robot programming with proposed system. Proposed learning system has applied in gifted-student education curriculum and other training course for K1~K12.

      • 新羅墳墓 出土 初傳佛敎 關聯 遺物의 檢討(I) : 佛敎 公認 以前

        朴光烈 위덕대학교 박물관 2002 佛敎考古學 Vol.- No.2

        新羅에 佛敎가 國家的 次元에서 公認된 것은 A. D 528年頃으로 볼 수 있지만, 民間次元에서의 導入은 5세기 初葉頃부터로 高句麗와의 관계에서 지속적으로 이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된 佛敎關聯 遺蹟과 遺物들은 대체로 6세기 中葉以前을 올라가지 못하고 있으며, 公認 以後의 연구를 통해서만 初傳佛敎의 실마리를 찾고있는 실정이다. 그것은 5세기대의 佛敎關聯 遺蹟·遺物이 調査되지 않고 있으며, 또한 대부분의 調査와 硏究가 公認 以後의 遺蹟에서 확인되는 定型化된 形式의 자료만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新羅에서 4세기말에 積石木槨墳이라는 새로운 墓制가 導入된 직후, 文獻記錄에서 볼 수 있는 訥祗王代의 初傳佛敎 關聯 記錄보다 先行하는 佛敎資料들이 墳墓에 埋納되었던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그 실례로 慶州의 壺杆塚에서 415년이란 絶對年代를 가진 靑銅製壺杆와 蓮花文이 鑄造된 뚜껑을 가진 靑銅製 注子가 出土되어 新羅 初傳佛敎의 傳來 時期와 經路를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5~6세기초에 造營된 皇南大塚 南墳, 金冠塚, 味鄒王陵地區, 天馬塚, 飾履塚 등 王京에서 最上位 等級에 해당되는 墳墓의 遺物에서 佛敎를 象徵하는 蓮花文 圖像이 다수 확인되었으며, 이 遺物들을 檢討한 결과, 初傳佛敎와의 關聯性이 크므로 이 墳墓의 被葬者들은 新羅에서 佛敎公認 以前에 이미 直間接으로 佛敎와 因緣을 맺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積石木槨墳에서 출토된 蓮花文 圖像이 있는 遺物들을 통하여 新羅社會에서의 初傳佛敎의 性格과 社會相을 검토해 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初傳佛敎의 導入初期는 祈福佛敎的 성격이 있으며, 中後期에는 觀音과 淨土信仰의 성격이 보인다. 둘째, 그들의 來世觀은 蓮花文 圖像이 그려진 遺物과 壁畵에서 볼 수 있듯이 蓮花化生 信仰이 主流를 이루고 있다. 셋째, 佛敎의 導入은 新羅의 邊方地帶와 基層民에서 먼저 도입되어 차츰 王室과 貴族層으로 轉移된 것이 아니라, 最上位階層에 流入되어 民間과 地方으로 차츰 확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初傳佛敎와 관련하여 檢討하였을 때, 皇南大塚 南墳의 被葬者는 實聖王이나 訥祗王陵으로 推定할 수 있으며, 이 王들은 佛敎徒이거나 佛敎와 直間接으로 關聯이 있음을 알 수 있다. Silla's adoption of Buddhism as the state religion was about A.D. 528, hut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nto Shilla from Goguryeo was in the beginning of the 5th century in the nongovernmental field. But, the study of the sites and relics related to Buddhism has been achieved by the middle of 6th century and the study of Shilla's Buddhism after her adoption of Buddhism as the state religion. The relics excavated from Shilla tombs, which were made from the 5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such as Cheonmachong and Hwangnamdaechong and so on have the lotus design which symbolizes Buddhism. As a result, we come to conclude that the people of Shilla formed ties with Buddhism directly and indirectly before her adoption of Buddhism as the state religion.

      • 스테레오 비젼을 이용한 운동 모션의 시뮬레이션 기법에 관한 연구

        박광렬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5 No.3

        Presented in this paper is the methods for simple animation of human motion in sports activities, By using proposed methods, the 3D coordinates of maker positions are calculated very quickly, The low resolution of image is the cause of error rates, The image sample rates are low so that the angular interpolation method is used for smooth animation. Proposed methods are tested with PC and two USB cameras.

      • KCI등재후보

        임베디드 컴퓨팅 전자 보드와 프로그래밍 도구를 활용한 창의 활동 수업의 접근

        박광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1

        이 연구는 임베디드 컴퓨팅 전자키트를 활용하여 창의 교육을 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었다. 아두이노와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를 활용한 로봇, 전기 기술 영역의 창의 활동과 이러한 수업에 대한 피드백을 받아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베디드 컴퓨팅 전자 키트를 활용하여 로봇 등의 기구물을 설계, 제작, 프로그램에 의한 동작을 해 볼 수 있는 수업의 주제와 활동 내용을 구안하고 적용하였다. 둘째, 구안한 수업 주제와 활동이 실과 등의 교과 및 창의 체험 수업에서 활용이 되도록 구성하고, 소프트웨어, 수리 과학 및 창의성 영역의 수업에 적용할 수 있었다. 셋째, 예비교사와 현장 교사 대상의 제안된 수업의 피드백에 의해 교과 교육 및 창의 활동 수업의 적용성과 고학년 과정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finding a new approach to teach creative activity class. Proposed courses of creative activities are developed for learning robot, electronic technology and software programming using Embedded computer(Arduino ki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program were developed for creative activity classes for education of technology area. Second, the proposed program can be applied to regular class of curriculum and after-school program. And positive reponses are obtained about usefulness for software, math, logic, science and creativity education. Third, proposed activity classes were applied to preliminary teachers and field teachers. And the meaningful results are obtained based on feedback of field teachers. To apply the lessons to the proposed site to target prospective teachers and teachers receive feedback on improvements and utilized for this reaction and derived implica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used for further approach of education of technology and creativity.

      • KCI등재

        초등 실과교과의 기술영역 교육을 위한 예비교사 대상의 로봇 활용 교육 과정안 개발

        박광렬 한국실과교육학회 200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1 No.1

        The purposed of this paper is developing an efficient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based on robot craft class. A humanoid-type robot is proposed in this paper. The proposed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y using the concepts of engineering processes, bill of materials(BOM) table and tree, free-hand sketch technique and problem solving methods.Proposed education program was successful at getting undergraduate students to participate in robot design, craft and problem solving activities.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roposed robotics education program make it possible to teach preliminary-teachers the design and mechatronics technology. 본 연구에서는 예비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로 공작 수업을 기반으로 하여 실과 교과의 기술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제안하였다. 특히 인간 형태의 2족 보행 로봇을 만드는 과정에서 스케치 기법과 BOM의 개념을 이용하여 만들는 공학적 프로세스를 이용하였다.본 교육 과정을 적용한 예비 교사들은 로봇의 설계, 제작, 평가 과정을 통하여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는 로봇을 제작하는 활동에 모두 참여하였으며, 제안된 교육 과정에 의해 대상 예비 교사들에게 로봇의 원하는 동작을 위한 기계, 전기적 메카니즘을 학습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Approach of Robot-utilized STEM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Using Post Processor for Hangul Script and Meta Data

        박광렬 한국실과교육학회 201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5 No.3

        Recently, robot-utilized and STEM integrated education are interested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This research was performed for developing an efficient education tool for robot class in elementary schools. In this study, (1) easy-to-learn and hardware-independent programming tool was proposed for support various types of education robot, (2) simple schema is proposed for control the robot by using Korean language (3) and some STEM topics proposed for robot-utilized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The tool is developed by using Borland C++ Builder at PC platform. Robot-utilized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proposed software tool and STEM topics. It was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s still running. It is expected that proposed system is useful tool to run robot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by evaluating teachers.

      • KCI등재

        메이커 활동 기반의 실과교과 소프트웨어 교육

        박광렬 한국실과교육학회 2019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2 No.4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as made software education mandatory in elementary school subjects. Recently, Makers’ Activity has become a new topic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loseness of Practical Arts subject and to propose an approach for software education based on maker activities in the subje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ve themes of Makers’ Activities in connection with the lessons of Practical Arts subject were derived, and software learning elements could be reflected in each subject. Second, we proposed a Modified BOM-tree containing materials, activities, and learning elements for Maker-based software lessons. Third, the Modified BOM-tree for the proposed themes was constructed and applied to the class to confirm its utility. Practical Arts subject includes the use of various computer-related hardware and software in real life. Therefore, the study of Maker-based software education in Practical Arts should be continued in various ways and directions. 2015개정 교육과정은 초등학교의 실과교과에서 소프트웨어교육을 의무화 하였으며, 최근에 메이커 활동이 교육의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이 연구는 실과 교과와 메이커 활동의 밀접성을 확인하고 메이커 활동 기반의 소프트웨어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교과의 단원과 연계한 5가지의 메이커 활동 주제를 도출하였으며, 각 주제에 소프트웨어 학습 요소를 반영할 수 있었다. 둘째, 메이커 활동 기반의 소프트웨어 수업을 위한 재료와 활동 그리고 학습 요소를 포함하는 변형된 BOM-tree를 구안하여 제안하였다. 셋째, 제안된 주제들에 대한 BOM-tree를 구성하여 수업에 적용하여 그 활용성을 확인하였다. 실과 교과는 실생활에서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방법과 방향의 접근으로 메이커스 기반의 실과 교과의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실과교육과정의 소프트웨어 학습 방안

        박광렬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8 實科敎育硏究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learning method based on the introduction of software educa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school. In particular, based on the content of practical subjects, the study of literature for researching computer science theory, thinking technique and practical coding class, and analyzing and analyzing software education platform for real life problem, a plot of lesson plan for software theory and practice class at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iewed that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explanations of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5 and suggested implications based on various approach and analyzing the previous researches. Secondly, various fields of real life in Practical Arts Subject have very heavy convergence factors. And various cases both at home and abroad showed the reasons. Third, we presented the learning topics and elements and the composition of the class so that the software learning based on the Computational Thinking can be achieved in accordance with the revised curriculum standard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ill be used not only as useful lesson plan for software class in elementary school but also as a basic data for new and improved new approach of software education method.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실과교과의 소프트웨어 교육 도입에 효과적인 학습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특히 실과 영역에서 다루는 실생활 문제를 컴퓨팅 사고와 코딩 활동을 통해 해결하는 접근을 모색하였으며, 이를 위해 관련된 문헌에 대한 조사 연구와 다양한 소프트웨어 교육 플랫폼과 컨텐츠 등의 고찰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실과 개정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해설을 고찰하고 다양한 자료의 기준을 토대로 분석 결과와 수업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둘째, 실생활을 기반으로 하는 실과의 다양한 영역은 소프트웨어 과학 및 컴퓨팅 사고력을 위한 수업에서 융합될 요소가 매우 많으며 국내외의 여러 문헌과 자료의 사례를 통해 이를 확인하였다. 셋째, 개정 교육과정의 기준에 준하면서 컴퓨팅 사고력 기반의 소프트웨어 학습 방안을 학습 주제와 요소 그리고 수업 구성 사례와 함께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가 초등학교 실과 교과의 소프트웨어 학습을 위한 도움 뿐 아니라, 더욱 효과적인 실과의 소프트웨어 교육 방안의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