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 텍스트 읽기의 평이성 조건에 대한 연구 : 조병화의 작품을 중심으로

        민재원 ( Jae Won Min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1 문학교육학 Vol.35 No.-

        A Study on Plainness of Poetry Reading Min, Jae-Won Students get significant experience when they read poetry and make their own poetic world.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conditions of how students get significant experience through reading poetry. In Sartre's theory about being, the world is a being-in-itself and the poet is a being-for-itself. When students read a poem, they take a role analogous to poet-a being-for-itself. Students' cognition of the world in a poetic world is constructed by the intentionality to objects in the poem. At this time, Students make an abstract concept concrete and extract a sense from the concrete object. Byung-hwa Cho's poetry is regarded as plain. But there are many abstract concepts so readers have to make them concrete by considering their own experiences. And even in the case that there is no abstract concept in a poem, readers have to recall their own experiences for extracting a sense which kindle their emotion. Finally, the plainness of Byung-hwa Cho's poetry is on the possibility of concrete-making and sense-extracting, which are depended on a reader's ability. The plainness is confirmed in a relation between a poem and a reader.

      • KCI등재

        현대시 교육에서 학습자의 활동 촉진을 위한 지식의 구체화 방향 고찰(1) - ‘문학’의 정의에 대한 대안적 제시를 중심으로 -

        민재원 ( Min Jae-won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6 국어교육 Vol.0 No.154

        National curriculum of literature education has emphasized knowledge as means to perform literature activity. That is, literature knowledge could be a guide to enjoy literature and to participate in literary community. But knowledge about literature in curriculum or textbooks is not enough to promote meaningful literature activity. Knowledge in curriculum and textbooks mostly present analytic information or ethical propaganda rather than suggest a guide to enjoy literature so as to participate in literary community in practice. Because it is lack of ‘objectifiability of statement,’ ‘leaner’s life-long connectibility` and ‘performance promotibility’. Thus this article explores activities advanced poetry-readers show in their critics to suggest a tractive knowledge for literature activity: literature is what we read and evaluate. This actualization of knowledge shows what leaners could do or should do in their practice of literature activities.

      • KCI등재

        문제제기 중심의 현대시 교수·학습 모형 제안을 위한 이론적 검토

        민재원(Min, Jae-won) 국어문학회 2018 국어문학 Vol.67 No.-

        본 연구는 지속적인 질문의 제기가 현대시교육이 실현되는 한 양상일 수 있음을 보이고 이를 중심으로 한 현대시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에 제시된 ‘문학하기’의 성격을 이론적으로 살피되 그 안에서 ‘부정의 공동체(블랑쇼)’적 모습을 찾을 수 있는 동시에 평등에 기반을 둔 각 주체들의 실천 ‘의지(랑시에르)’가 작용함을 강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기존의 문학 교수·학습 모형들을 ‘중심-주변’의 관계성에 입각한 하향식 모형으로 보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다발적 모형을 구체화시키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이 개별적인 문제의식에 바탕을 둔 작품을 선정하여 교실을 비평장화시키는 방안으로 문제제기 중심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proposes "Problem Presenting Learning(PPL)" as an alternative learning model for modern poetry education. Endless questioning is an essential element in "doing literature" and PPL could help it to be realized. Because PPL is based on critical minds of learners in a class and is not aimed to a certain answer. By PPL Learners can chose poems which telling their own problem and can discuss that problem together in classes. This model that allows plural problems and speakers is different from existing models which are related to top-down angle. Thus PPL could make a classroom an critical-field as a community.

      • KCI등재

        문학 독서에서 자기 질문 생성 양상 연구 대학생 독자의 현대시 읽기를 중심으로

        민재원 ( Jae Won Min ) 한국독서학회 2014 독서연구 Vol.0 No.32

        본 연구는 질문을 언어 활동의 기본적인 조건 가운데 하나로 보고 현대시 읽기의 반응 가운데 질문 생성 양상을 살피고자 하였다. 독서 과정에서 독자 가 세계와 맺고 있는 관계에 따라 질문은 독자 내적 층위, 독자 외적 층위, 독자 잠재 층위에서 진행되며 자기 생성 질문은 독자 내적 층위와 독자 잠재 층위의 긴장을 바탕으로 하여 독자 외적 층위로 나타나 독자와 세계의 관계를 조회하게 한다. 대학생 독자의 현대시 읽기에서 나타난 자기 생성 질문 및 이를 통한 관계 조회의 양상을 살펴보면 기존의 중등교육에서 접했던 작품들에 대한 질문은 독자 잠재 층위에 머물러 있는 경향이 강했으며 독자 외적 층위로 강하게 나타난 질문들은 주로 작품이 독자의 기존 정서 및 인식 구조를 흔들거나 독자가 작품을 통해 자기 발화를 진행하는 기제를 통해 유도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문학 독서에서의 자기 생성 질문이 독자가 세계와 맺고 있는 관계에 따라 다르게 진행될 수 있으며 ‘비평장’에의 참여를 통해 보다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문학 독서의 과정에 대한 교육뿐만 아니라 문학 독서 이후의 활동에 보다 초점을 두는 교육에 대한 관심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regards question as a necessary condition of language activity and aims to explore aspects of self generated question as response to poetry reading. Questions appears in three horizons: in-reader, out of-reader and potential. And self generated question is reader’s inquiry through the tension between in-reader and potential. Undergraduates show two results. First, poems which they learned in secondary school hardly generated question from readers. Second, self generated questions were arisen when works gave a crack to reader or triggered reader``s speech about him/herself. These aspects show us self generated question has diversity because of reader’s diversity and could be revitalized in accordance with participation in the critical-field. Thus this study suggests an education which focuses activities after reading.

      • KCI등재

        중학교 졸업 예정자의 시 교육 인식 연구 -실천 공동체로서의 시 교육 교실에 대한 접근을 중심으로-

        민재원 ( Jae Won Min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5 국어교육 Vol.0 No.150

        This article aims to inspect the result of poetry education in middle school based on survey research and on the notion of community of practice. Learners were up to graduate from middle school. The survey includes their estimation of national curriculum and contents in textbook, and learner`s expectation of learning poetry in high school. Learner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hrough their participation tendencies: ① learners who answered to survey sincerely, ② learners who answered to favorite poem or poet, ③ learners who had their own favorite cultural contents except poetry, ④ learners who had impressional poetry lesson in school. Each group had different location in poetry class community. First and third groups were located far from the center of community. Second and Forth groups were relatively close to the center. But four group were all peripheral participants cause they thought their subjective favor was inferior to reified understanding so they couldn`t propose their own discourses and participate in the community actively. Nevertheless, second group showed possibility of active participation. They had their own poems or poets as cultural property that could turn into reification of their subjective responses. Thus it seems to be important that poetry education in middle school provide opportunities to reify learners` subjective responses and to have their own favorites.

      • KCI우수등재

        대학생 독자의 현대시 선호 양상 연구

        민재원(Min, Jae-won) 국어국문학회 2017 국어국문학 Vol.0 No.178

        본 연구는 중등 교육과정을 통해 경험한 문학 활동이 현재 대학생 독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중등 교육과정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문학 활동에 대해 현재 대학생 독자들이 가지고 있는 인식은 작품 선정 및 그에 대한 평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으며 이를 위해 대학생 독자들이 각자 ‘좋아하는 작품’과 ‘싫어하는 작품’을 선정하고 그 이유를 제시한 25편의 텍스트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 결과 좋아하는 작품의 경우는 주로 자신의 관점과 일치하거나 자신의 경험을 대변하는 성격을 가지는 경우가 많았고 작품의 미적 요인에 주목한 경우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싫어하는 작품의 경우는 자신의 관점과 대립되거나 작품에 대한 이해가 어려운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 외에도 자신의 존재에 대한 균열을 느끼는 경우도 작품을 싫다고 평가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미적형상화의 부적절함이나 작품의 외적 요인을 이유로 그 작품이 싫다는 반응도 일부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대학생 독자들의 현대시 선호 양상은 주로 자신의 관점이나 경험이 작품으로부터 인정을 받음으로써 자신의 욕망이 충족되는 방향으로 이루어졌으며 작품을 읽고 타자나 새로운 세계를 발견하는 방향으로는 좀처럼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중등 교육과정에서 작품의 위상을 삶이나 세계와의 관계에 보다 밀착시키는 관점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is article cogitates on the future of Secondary Education Curriculum(SEC) by analysing 25 essays of university students who completed SEC; on the premise that university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literary activities could be proved through their selecting and estimating poems. For this purpose, students was required to submit two essays: on a poem that he/she likes and on a poem that he/she hates. On the point of preferred types of poem, many of them like poems those speak for themselves or correspond with their own experiences. A few of them like poems those present aesthetical form of language. The other point of refusing types of poem, many of them dislike poems those are contrast to their own sense of value and dislike poems those are difficult to understand. And following responses is additional: students dislike poems ① cracking students being-in-world ② being lack of aesthetic form ③ having negative external factors. Finally, students seldom have experience of exploring and discovering functions of poetry. Based on this analysis, this article propose that we need to reinforce the property of poetry which is strongly related to our life and world in SEC.

      • KCI등재

        문학 교육과정의 보완 방향에 대한 이론적 접근 연구 - 루만의 ‘관찰’ 개념이 가지는 의의를 중심으로 -

        민재원 ( Min Jae-won ) 한국문학교육학회 2021 문학교육학 Vol.- No.70

        본 연구는 현행 문학 교육과정이 학습자들의 실제 문학 활동을 견인하는 데에 더욱 적극적인 방법을 취할 수 있는 보완적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루만의 ‘관찰’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하여 예술로서의 문학을 향유하는 것이 가지는 의의를 살피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개별 작품에 대한 관찰로부터 시작하는 문학 활동은 그 관찰이 필연적으로 수반하는 맹점에 대한후속 커뮤니케이션을 지속적으로 생산함으로써 유지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행 문학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및 일반화된 지식을 검토한 결과 현행 문학 교육과정은 문학을 규정하고 이를 전달하고자 하는 데에 적합한 방식을 취하고 있어 학습자들 사이에 후속 커뮤니케이션을 발생시키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점을 보일 수 있었다. 이에 대한 보완 방향으로 본 연구는 핵심 개념의 축을 ‘지식-수행-경험-태도’에서 ‘관찰-판단-소통-(재)관찰’로 변환함으로써 순환적이면서도 발전적인 후속 커뮤니케이션의 추진이 문학 교육과정의 기본으로 자리를 잡는 관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propose a theoretical complementary standpoint on current national curriculum of literature education. Because the curriculum has failed to make students do their own literature-activity.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a concept ‘observation’ which was proposed by N. Luhmann and was used to present impossibility of an observer’s complete seizing on the world: an observer’s observation always leaves a blind spot behind. Luhmann also mentioned that system of art maintains itself by consequent communication. Thus system of literature needs consequent communication about blind spots which are occurred from observation on a literature work. But core concepts and generalized knowledges of the current curriculum are tend to pass down the regulation standpoints about literature that have been achieved by studies of literature. As a complementary standpoint to the current curriculum, this article propose to change current axis: ‘knowledge - performance - experience - identity’ to alternative axis: ‘observation - judgment - communication - (re)observation.’ This structure is based on promotive standpoint and could cause students’ role as a companion and their literature-activity in the course of circularly developing axis.

      • KCI등재

        시 교육에서의 함축성 개념에 대한 고찰 -백석 시어의 의미 축적 사례를 중심으로-

        민재원 ( Jae Won Min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3 No.-

        시 읽기에서 독자가 마주하게 되는 어려움 중에 하나는 시어의 어려움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어에 대한 이해는 시를 이해하는 데에 있어서 기본적인 조건이 된다. 그러나 시어가 함축성을 가지는 경우에는 시어가 지칭하는 대상을 향한 주체의 태도 및 정서를 복원하는 과정이 추가적으로 따르게 된다. 함축성은 기존에 사용되던 언어의 일반적인 의미에 새로운 의미를 덧붙이거나 전복시키는 기능을 하기도 하므로, 이를 접하는 독자의 능동적인 활동을 요구한다. 이에 본 연구는 백석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하여 작품에서 함축성이 의미를 생성하는 양상을 살피고 이를 통해 시 교육에서의 시사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백석의 작품을 통해 확인한 함축성은 작품 밖에서 형성된 경우와 작품 안에서 새롭게 형성된 것으로 나눌 수 있었다. 두 경우는 작품과 시어에 따라 상대적인 것이기는 하나, 작품 밖에서 형성된 경우에는 그 의미의 구체화가 독자의 시 읽기에서 주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되고 작품 안에서 형성된 경우에는 독자가 새로운 의미를 축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국, 시의 주요 특징 가운데 하나인 함축성은 정서와 관련된 감각적인 요소까지 포함하는 동시에 발산적인 의사소통을 촉진시키는 계기로서의 성격을 가지게 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언어의 함축성이 곧 언어 문화의 전승과 창조에 있어서의 중심 개념으로 기능할 수 있는 만큼, 시 교육에 있어서도 보다 구체적이고 발산적인 문학 독서 담화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properties of connotation in poetry-education. Connotation makes poetic words ambiguous and ambiguity of poetic words makes its sense or meaning plentiful. Connotation in poetic words can give readers new sense and interpretation of the world. But readers often feel difficult in reading poetry cause of connotation in poetic words. To understand the connotational sense of poetic words, readers have to struggle to represent emotion or attitude for the poetic object. Because connotation means that the poetic words get additional or alterative sense. Connotations need reader`s divergent process of thinking for representing the sense of words. Therefore, in the class of poetry-education, teachers have to secure plenty of time to make intercommunication that can evoke specific senses through the literature- reading discourse. In this way, students could get new meaning or deepen their own sense for the world.

      • KCI등재

        문학 교육과정 ‘인접 분야’ 관련 성취기준의 구현 양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 - 2015 개정 교과서의 현대시 제재 단원을 중심으로

        민재원(Min, Jae-won) 국어교육학회 2021 국어교육연구 Vol.- No.77

        본 연구는 문학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 가운데 ‘인접 분야’ 관련 성취 기준이 교과서에 구현된 양상을 비판적으로 살핌으로써 해당 용어가 시 읽기 교육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방식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과서 및 전문가의 읽기 결과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 교과서에 구현된 학습의 방향은 상호 텍스트적인 영향 관계를 확인하는 방향에 집중되어 있었다. 둘째, 실제 전문 독자의 시 읽기 사례를 살펴보면 자신의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삼아 다양한 분야의 배경 지식을 활용하여 작품의 의미를 파악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서로 다른 문제의식을 가진 경우 서로 다른 인접 분야를 선택함으로써 작품의 감상이 더욱 확장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제안할 수 있는 향후 시 교육의 발전 방향으로는 다음의 사항들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인접 분야’라는 용어를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시 읽기 활동은 다양한 항목 중 하나로 자리를 잡을 것이 아니라 시 읽기 활동의 본질적인 속성 중 하나로 자리를 잡아야 한다. 둘째, 문학 작품을 읽을 때 독자가 연결을 짓고 살펴볼 ‘인접 분야’는 각 독자의 관점이나 관심에 따라 다양한 맥락에서 선택될 수 있으므로 시 읽기가 서로 다른 독자들의 다양한 총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되도록, 즉 다양한 분야에 대한 학습 및 경험의 결과를 통해 작품 읽기가 발전되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시 교육의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find a way in which the curriculum-term ‘adjacent field’ could be related to poetry reading education by critically examin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the term in the textbook.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mplemented direction of learning in the actual textbooks was focused on the inter-textual influence relationship. Second, looking at the examples of poetry reading by experts, it was confirmed that they appreciate a poem by using knowledge in various fields which were chosen by their own critical mind. And it came from their experiences as the totality. Third, in case of having different problem consciousness, appreciation of a work was further expanded by flexible selecting different adjacent field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can be suggested. First, the poetry reading activity to be realized through the term ‘adjacent field’ should not be positioned as one of various learning items, but as one of the essential properties of the poetry reading. Second, when reading a literary work, the ‘adjacent field’ to which the reader makes a connection and examines can be selected in various contexts according to each reader’s point of view or interest. In other words, learning of various ‘adjacent fields’ can function as ways to develop the results of reading poetry.

      • KCI우수등재

        현대시 교육에서 학습자의 활동 촉진을 위한 지식의 구체화 방향 고찰(3)

        민재원(Min, Jae-won) 국어국문학회 2017 국어국문학 Vol.0 No.180

        본 연구는 중등 현대시 교육에서 ‘운율’에 대한 교육 내용을 검토하고 보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중등 현대시 교육에서 ‘운율’은 반복성과 관련되어 제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이는 ‘음악성’이라는 설명의 기제가 강하게 작용한 결과라고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접근은 자유시의 다양한 형식을 포괄하는 데에 한계가 있기에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이 ‘호흡’에 주목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호흡선’이라는 개념을 제안하였다. 이는 시를 통한 의사소통이 근본적으로 가지는 구술성에 주목함과 동시에 화자의 정서 및 상황과 맥락을 더욱 깊이 탐색하는 기제로 작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고 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독자는 화자 ‘되기’에서의 배역 연출을 통해 다양한 상상 활동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수 있다고 보았다. ‘호흡선’은 ‘운’과 ‘율’을 모두 포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적용 가능성이 넓다고 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교육 내용 재조직화의 한 방향으로 ‘호흡선’에 대한 정의, 의의, 형성, 성격을 잠정적으로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present a way to overcome a limit of ‘Un-Yul(rhyme and rhythm)’ education. ‘Un-Yul’ in poetry education has been related with repeating or routine something because it was considered with musicality. But it causes a limit that it can’t be applied to modern ‘free-poems’. Thus this paper suggests a notion: ‘Stream of Breath’ based on orality of poetry. ‘Stream of breath’ could help learners to palpate emotions and contexts of utterer in a poem. In the process of palpating, learners could direct or produce an utterer and imagine various and deep figures of utterer. ‘Stream of breath’ could include both ‘rhyme’ and ‘rhythm’ so it could be applied to educational situations broadly. Finally this paper proposes experimental definition, meanings, figuration and some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