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근세민중종교사상에서의 생명 이해와 선(仙)

        민영현(Min Young-Hyun) 한국정신과학학회 2008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8 No.-

        19세기 한국의 민중종교는 생명에 관한 특이한 이해를 보여주고 있다. 이들 생명의식에 있어 주요한 이해는 죽음이란 개인의 경우에 나타나는 생명현상이고, 선ㆍ후천이 교체되는 개벽이란 우주적 차원에서 진행되는 생명현상이라는 점이다. 개벽 이후에 새로운 후천의 세계가 열리는 것처럼, 개인의 경우에도 죽음 이후에 새로운 저승의 삶이 있다고 이해한다. 곧, 천지 음양의 교호로써 그들은 생명의 원리를 이해하고 있다. 이로부터, 창교주들은 우주적 운동에 참여함으로써 생명은 온전하고 영원할 것임을 말하고 또한 상생의 세계를 강조한다. 모든 것은 함께 묶여 있다. 즉 낳고 또 낳아 쉼이 없는 것이며, 낳고 또 낳기에 相生이라 하는 것이다. 어머니 대자연은 만물을 낳고 기른다. 모든 것은 이로써 한 가족이 되는 셈이다. 또한 자연이 나를 낳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나 또한 자연을 재창조한다 하였다. 그렇게 자연과 나는 서로가 서로를 창조하고 발전시키는 것이다. 그들은 이를 개벽과 상생으로 말한다. 생명은 결국 쉬지 않고 운동하며, 또 다른 운동을 조성한다. 그러나 이 운동은 단순히 입자적으로 떨어진 것이 아니라, 파동과 같이 침투하고 스며들어 함께 작용한다. 이러한 생명의 운동을 통해 만물은 최종적인 전체를 향해 간다. 그리고 생명의 우주적 운동과 함께 함으로써 인간은 스스로의 생명성을 확장시켜 간다. 이것은 인간의 길이요, 이를 이룬 인간을 그들은 선(仙)이라 부르고 있다. The most important life theory of the KNR is Kae-Byuk (開闢). Kae-Byuk is the thoughts of the changing world or universe. It is characterized by the eternal alternation of pre-universe (or pre-heaven) and post-universe (or post heaven). So the alternation of it is eternal. The Universe is not one time of creation and extinction. The Universe is going through the new process over and over again through cycling and exchanging. The outlook on the world of Kae-Byuk considerably reflects the thoughts of the TanKun myth. We can say that death is a individual process and phenomenon, but the Kae-Byuk is a universal process. In this way, after individual death man encounters a new life of the other world. The founders of the KNR thought that the Kae-Byuk was a basic principle of life and Cosmos. Namely, it is the cosmic nature. From this they said that ??the man must unify the Cosmos and participate in the movement. If you do it, your life will be whole and long.?? And they emphasized the practice of Sang-Shaeng because they thought that everything is related with multiple connections.

      • KCI등재

        한국민족종교사상의 선(仙)개념과 그 철학적 인간학에 관한 연구

        민영현(Min, Young-Hyu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4 道敎文化硏究 Vol.40 No.-

        철학적 인간학은 인간이 자기 자신에 대한 성찰 그리고 삶에 대한 이해 및 신과 세계 사이에 존재하는 인간 자신의 존재규정이라는 과정을 통해, 일정한 형이상학적 측면과 만나게 된다. 이로부터 인간이 스스로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고, 자신의 본질에 관한 의문을 던지면서, 이에 대한 답을 구하는 경우, 그 답이 무엇이든 간에 그는 새로운 인간학적 이해를 추구한다고 하겠다. 동양 전통의 사상사적 흐름 속에서, 儒 佛 仙으로 던져진 일련의 개념들 또한 철학적 인간학에 있어 동양적 이해와 그 해답으로 주어진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곧 聖人 君子가 되고, 깨달은 사람[覺者]이 되며, 天人合一을 통해 자연과 동화된 사람 등등, 이 모두는 결국 동양의 문화와 철학이 던져준 인간에 대한 하나의 이해가 된다. 여기에 한국사상이 말하는 하나의 이해와 해석이 있다. 이는 19세기 민족사회 위난의 시기를 맞이하여, 민중의 지지를 통해 등장한 민중 내지 민족종교사상에서 말하는 <선(仙)>의 개념과 그 이해이다. 19세기 민족종교사상의 선(仙)은 사실상 그 연원을 항상 저 멀리 고대의 신화적 시대, 곧 단군의 사상과 이념에서 그 뿌리를 찾는 것이 보편적인 현상이다. 이는 어쩌면 일반적으로 알려진 신선사상의 중국적 연원과는 그 궤를 달리하는 한국적 사유와 문화의 특질이 숨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 19세기 민족사상의 창도자들은 서구나 중국과는 다른 한국적 특수성과 그 문화적 차별성을 인지하였다는 점에 주목한다. 바로 이 점에서 과연 그들이 바라본 선(仙)의 세계는 어떠한 것이었는가를 살펴볼 이유가 있다. 곧 민족사상의 창도자들은 더 이상 소중화의 조선으로서가 아닌 새로운 한국적 주체성의 철학과 그 인간학적 이해를 요구하고 있다. 여기에 더하여 근원적으로 이의 사상적 모티브를 제공한다고 여겨지는 것이 있으니, 이는 일반적으로 한국 고대의 神仙도(道)?교(敎)라 이해되는, 고유한 古神敎나 古仙道가 바로 그것이다. 실로 한국의 선(仙)은 고유하고도 독자적인 것으로, 중국과 다르게 출발하였고 또 그 사상적 맥락은 한국적 상황과 역사적 현실 속에서 특수하게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仙의 개념은 기본적으로 孤雲 崔致遠이『鸞郞碑序』에 언급한 風流道와 仙史라는 기록에 크게 의지한다. 이에 19세기 한국민족종교사상의 탄생과 그 흐름 또한 크게 벗어날 수 없으며, 이들을 달리 한국 근세의 선맥(仙脈)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논란이 될 수는 있겠지만 만일 이러한 선맥을 용인할 수 있다면, 민족종교사상의 철학적 인간학은 사실상 한국의 독자적인 인간이해라는 새로운 의미 또한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한국문화 역시 더 이상 중국문화의 영향과 그 전승이라는 측면에서만 논의되지는 않을 것이다. 사실 한국사상사 전체를 통해서도 19세기 민족 내지 민중종교사상은 독자적이면서도 특수한 철학적 스펙트럼을 드러내고 있으며, 선과 관련된 그 개념과 이해는 한국의 철학적 인간학에 대한 새로운 담론을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Most of human cultures derive from the understanding on men"s life and death. The Korean culture is not an exception.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a series of religious groups had formed in Korean society. We call them the Korean National Religions(for short, KNR). They had a special character. If we want to know the life thoughts of Koreans, we should understand the KNR because they were the thoughts spontaneously generating and growing naturally in Korean society in the 19th century. Also they maintained the mental power of the Korean character in the spirit world. Especially, if we consider that the KNR relate with the culture of Sam-Shin(三神: Three Gods) in Korea, we can say that they take charge of the essential life thoughts which the Korean general public have had. The most important character of their thought is the trend toward unification and synthesis. The main doctrines of each group are as follows. The text of Tong-hak presents Hanwool(the One God of Korea) and the Kaebyuk of post-heaven (後天開闢). The followers of Jeungsan-kyo believe in the Emperor God and cultivating bio-energy in the immortal beings. The books of Daejong-kyo present the Three-One theory of Tan-kun(檀君; the founding father of the Korean nation) philosophy and insist on the self-sufficiency of Korean society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n there is a conception that the KNR repeatedly give a self-definition. This conception is Sun(仙: the immortal beings or god-man). Here, the traditional Sun of Korea is considered as the new human being. Namely, that is the Neo?human?ism. The Sun succeeds the philosophical trends of Korea in which the East is like the roots of a tree. In other words, the two ways have acted as the hidden mental energy to the foundation of Korean culture.

      • KCI등재

        고유사상으로서의 풍류도(風流道)와 한국선도(韓國仙道)의 상호연관 및 그 실체(實體)에 관한 연구

        민영현 ( Young Hyun M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6 선도문화 Vol.20 No.-

        반만년 한민족문화와 한민족사에 있어 그 뿌리 되는 생각과 의식이 없을 수 없다. 곧, 한국 자생의 전통과 고유철학의 존재가 그것이다. 대개 집단 속에서 무의식적 정신 에너지로 자리해 온 것을 ‘사고의 原本’, 즉 정신의 ‘Arche-type(原型)’이라 하고, 이와 같이 한국문화의 심층에 자리하면서, 그 정신적 고유성과 자생성의 사상을 여기서는 일단 고유사상이라 하는 것이다. 사실 하나의 문화에 내재된 정신적 토대를 점검하는 것은 또 다른문화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따라서 이는‘한류의 本質’과도 관계하는 것으로 생각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固有思想과 전통사상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사상사에서 고유사상은 곧바로 전통사상으로 연결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다만 최치원이 언급한 ‘玄妙한 道로서의 風流’에서 한민족 고유사상의 존재를 확인한다. 바로 이 풍류도의 언급 덕분에 자생적인 민족 고유사상의 존재를 말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이는 한민족문화의 정신적 특성이 되어 중국이나 몽골 또는 일본과 다른한국적 성격을 추적하는 단초가 되기도 하는 것이다. 韓國仙道 역시 이와 같이 고유한 玄妙之道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으며, 사실상 한국 선도의 전개에서도 신선낭가의 흐름을 부인하기는 어렵다. 그리고 이제 이 둘은 만나야만 한다. 기본적으로 <仙道>란 개념의 의미와 명칭은 단군신화에서 비롯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나라에 원래 현묘한 도가 있다는 지적은 한국문화의 사상적 모티브와 근원성이 자생적이며 동시에 이는 민족의 고유성 속에서 발견되어야 함을 말하는 것으로, 국조 단군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풍류를 통해, 이것이 신선과 같은 소요유의 경계를 보며, 밝은 마음과 정신으로 즐긴다는 의미에서 風月이라 가차한 것임을 추측해본다. 이 경우, 고유성으로서의 仙道란 또한 민간의 순수사유요, 생활의 관념이라 할 한민족 ‘살림살이의 문화’를 만들어 온 ‘그 무엇, 곧 정신적 토대’로 변형되어 온 것은 아닐까 한다. 그야말로 한민족의 전 역사적 과정을 통하여 고유사상은 각각의 시대와 상황마다 새롭게 이해되어 왔고, 이는 오늘에 있어 다시금 재분석 재파악 되어야 할 ‘그 무엇’으로 변형 계승되어 왔다. 그리고 한민족이 지닌 활달성과 역동성은, 민족의 고유한 기상이 민초들과 더불어 ‘신(神)바람’을 만났을 때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실로 오늘에 있어 새롭게 전개되고 있는 韓流의 신바람역시 고유한 風流.神仙郎家의 세계와 만나야만 할 것이다. 그리고 이제 三敎를 포함하고 조화시킨 風流道와 인간의 긍정적인 변화를 요구해온 韓國仙道의 수련과 수행의 정신세계 및 그 실체에 대한 이해는 우리가 잃어버린 고유한 사상들을 다시 찾게 해 줄 것이라 기대해보는 것이다. There is the ancient Korean thoughts and the traditional system of culture with the originality. In brief, the Sun means the good man at the same time the outlook on the human in Korea. The thoughts of Sun or Sun-ism is the Korean philosophy with originality. The short history of Sun is same to the next. Long long time ago, there is a man in Korea. His name was Tankun Wangkeom(檀君 王儉; the Royal ancestor of Korea above mentioned). He defined himself as a Sun. So the Sun was a concept of self-definition. From this the thoughts of Sun was started. As the result of it, it made a philosophical system of Koreans’ outlook on the man and world. We call it the Kooksun(國仙) or Sundo(仙道). In the Korean academic world, it is called by the Ko-Shinkyo(古神敎; the ancient Korean religion of believing the divine spirits) or Ko-Sundo(古仙道; the ancient Korean Tao of Sun). It became the spirits that binds all Koreans together in ancient period. Kowoon-the other name of Choi, Chiwon(857-?), said the history of Korean Sun. He said that there is a miraculous Tao in Korea originally. The Rhanlang-biseo(鸞郞碑序; the inscription of Rhanlang which Kowoon recorded) described the Fungryudo(風流道; the Tao of Fungryu-that is Baedal and the ground of light, which means the earth of promise). Also in the Rhanlang-biseo, it records that there is a miraculous thoughts which creates the life at any point of contact with other beings in Korea. This means that the natural philosophy had operated as a life theory in ancient Korean society. It is a principle which makes the various heterogeneity to the One of homogeneity. Later the Sun have specialized two ways. The one is a series of the training thoughts as the philosophy. We call it the Tan-hak(丹學; the study of Tan, bio-essence which is located in abdomen) or Sundo(仙道). The other is the folk faith and customs or shamanism as the religion. In this case, the shamanism means the white shaman of east Asia and it is called by Mu(巫) in Korean.

      • KCI등재

        한국근대민중종교에 나타난 개벽(開闢)사상의 이상사회론(理想社會論)에 관한 연구 -附 선(仙)과 선경(仙境)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민영현 ( Young Hyun M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3 선도문화 Vol.14 No.-

        한국근세의 민중 종교사상들은 <후천선경과 개벽>을 말한다. 한편, 한국 민간에는 기본적으로 신화에서 유래한 개천의 사상이 있어 왔다. 신시(神市)는 새 하늘 새 땅이 열리면서 비로소 시작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천의 의미가 변형되어 19세기 새로운 세상을 갈망하는 민중의 염원을 간직하면서, 새롭게 개벽의 사상으로 나타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개벽은 결코 종말론이 아니다. 과거에도 개벽은 있어왔고, 지금도 있으며, 앞으로도 영원히 개벽은 존재할 것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개벽사상은 19세기 한국 민중사상 속의 <이상사회론>과 그 개념을 공유하면서, 미래를 위한 거대한 문화·문명적 변혁에 대한 한국 내지 한민족의 대응이라는 의미를 강하게 지닌다. 또한 개벽 이후의 선경이 의미하는 것처럼, 이곳에서 살게 될 사람은 ``선인(仙人)``이란 개념에 가깝다. 곧 수운과 증산, 소태산 등에 의해 언급된 개벽속에는 전통적인 한국 신선낭가에서 말해 온 仙의 이념이 강하게 개입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새로운 세상에 대한 민중의 열망은 늘 있어 왔으며, 이러한 열망은 이상사회의 현실적인 도래라는 대목에 주안점을 두어왔다. 여기에 19세기 한국의 민중종교사상들은 개벽과 후천이라는 개념을 제기한 것이다. 이 같은 후천개벽사상의 특징은 대체적으로 인간의 변화, 즉 신인간의 출현과 더불어 이루어질 것임을 말한다. 곧, 기본적으로 인간의 변화를 요구하는 것이다. 어쩌면 인간의 변화 없이 개벽은 도래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그렇기에 개벽의 대망을 가지는 한, 인간은 생활 실천의 측면에서 ‘일신(日新)우(又)일신(日新)’ 하는 수양의 길을 가야만 한다. 역으로 나 자신이 스스로 변하여 선(仙)이 된다면, 개벽은 이미 우리 곁에 와 있을지도 모른다. 후천개벽의 사상은 민중의 개념이요, 변혁의 이념이다. 물질 개벽과 정신개벽, 결국 이것은 생사를 넘나드는 인생의 길에서 창도자들이 당시의 민중들과 함께 새로운 사회와 변혁을 꿈꾼 흔적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a series of religious groups had formed in Korean society. We call them the Korean National Religions (for short, KNR). They displayed the special social religious phenomena of the modern history of Korea. Through the 19th century, the Korean general public were abandoning feudalistic authority and the power of Western capitalism. However, they choose the KNR under these conditions spontaneously because the KNR were the only salvation and vision of the Korean masses. The most important life theory of the KNR is Kae-Byuk(開闢). Kae-Byuk is the thoughts of the changing world or universe. It is characterized by the eternal alternation of pre-universe (or pre-heaven) and post-universe (or post heaven). It is like Eum-Yang(陰陽: yinyang, in Chinese) or thesis-antithesis. Nevertheless it operates through the principle of three. So the alternation of it is eternal. The Universe is not one time of creation and extinction. The Universe is going through the new process over and over again through cycling and exchanging. They advocated that “if man lives with sincerity, he will encounter the wonderful new world”. The message of paradise is the prophecy given by the founders. It is the theory of the new world. It is called the thoughts of Kae-byuk(開闢). It is a series of the Koreans` outlook on the world. The thoughts of Kaebyuk are developed and supported by the theory of Jeong-Yeok which Ilboo made. But, the outlook on the world of Kae-Byuk considerably reflects the thoughts of the Tankun myth. There is the Thoughts of the new Heaven Opening in Korean myth. They called these alternations of birthing life as the Kae-Byuk.

      • KCI등재

        홍익인간(弘益人間)과 한국문화

        민영현 ( Young Hyun Min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0 동양문화연구 Vol.6 No.-

        Long ago, there was a man in Korea. His name was Tankun Wangkeom. He defined himself as a Sun. Especially the Tan-kun myth speaks of Jaeshe-Ihwa(在世理化: the going well beings by reasoning in the world). Kowoon represented Hongik-Inkan(弘益人間: the extension of human welfare and harmony) as Jeophwa-Kunshaeng(接化群生: to breed and expand life when the man encounters the beings) and he spoke of the Tao of Hyunmyo(玄妙之道; the Tao of miracle, it is same to the Tao of Fungryu which had existed in Korea). The Rhanlang-biseo described the Fungryu-do. It is the ancient Korean thought and the traditional system of culture with originality. It was represented to include the essential contents of the oriental three thoughts together. It is a principle which made the various heterogeneity into the One of homogeneity. From mediation, life makes the separate two matters meaningful themselves. We call it ‘Woori(우리, in Korean).’ You and I make ‘the We.’ So ‘the We’ can be separated by elements, but ‘Woori’ cannot be severed because ‘Woori’ is the concept of the whole operating. It is not separate from anything else. And most Koreans hope to become ‘Woori.’ When one man can tolerate the other, they become all of us, namely Woori. In Korean myth, it is called Hongik-Inkan (弘益人間). This means the seeking of human welfare and the expanding of life. And it connects the expanding of life value in all beings.

      • KCI등재

        한국 「仙」과 甑山사상의 특징 및 그 도교성에 대해

        민영현(Min Young-hyun) 한국도교문화학회 2007 道敎文化硏究 Vol.26 No.-

        生命이란 인간이 철학하게 되는 여러 가지 난문 중에서도 가장 핵심에 있는 의문이다. 한국학의 사유세계 속에서도 이 문제에 대한 끊임없는 해명이 시도되어졌다. 그 가운데 한국철학의 세계 속에서 우리는 ?仙?이라 부를 그 무엇을 통해, 생명에 대한 하나의 해결점을 찾아볼 수 있다. ?仙?이란 한국문화의 중추적인 세계 속에 담겨진 한국자생의 사상이자 철학의 세계를 의미한다. 이는 神話의 시대로부터 나타나, 한민족에 의해 전승 보존 유지되어 내려와 오늘에 이르고 있는 한국인의 자기의식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의 연원은 모든 것을 하나에로 귀일시키는 ?한사상?적인 특질을 갖고, 인간의 내적 정체성을 仙으로 파악하는 것이며, 그 신앙적 특질로서 巫神敎적인 자기성격을 지니는 것이다. 이는 그래서 古仙道 또는 古神敎라고도 불리는 것이며, 이후의 변천을 통해 한국도교와의 만남ㆍ불교와 무속과의 결합 그리고 조선단학과 민족종교사상으로 이어진 國仙과 화랑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다만 이는 그 역사적 전개과정을 통해 언제나 잊혀지고 핍박받은 한국인의 기층적 사유세계로 존재함으로써 오늘 현재 그 남겨진 맥락을 이어가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 존재성과 사상성은 여전히 뚜렷한 자취를 남기고 있으니, 이를 통해 우리는 ?仙? 그리고 한국인의 자체적인 생명사상에로의 탐색을 시도해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仙?의 맥락 속에서 가장 특기할 것은 甑山의 사상세계이다. 그는 ‘참 동학’의 세계를 주창하는데, 실로 이는 무속의 자체적인 세계를 긍정한 것이며, ?仙?의 빛나는 흐름을 밝힌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속에서 한국적 생명사상의 세계는 보다 명확해지고 있다. 그것은 존재와 생사 그리고 관계성과 영원성의 원리라고 할 그 무엇이다. 동시에 이는 생사의 等價的 이해와 神明의 존재를 통한 精誠과 至誠의 정신세계를 밝혀주고 있다. 그리고 증산은 일심으로 ‘하나됨의 원리’를 보여줌으로써 전통적인 한국적 하나 됨의 철학세계를 담보하고 있다. 곧 인간의 生老病死나 천지의 生長斂藏이나, 일년 4계절의 春夏秋冬은 다 그대로 자연으로 존재하고 있다. 아니 이들은 그대로 자연일 따름이다.생사 또한 그와 같다. 그렇기에 이러한 자연을 그대로 따르고 긍정함을 통해서, 인간은 천지와 합일하고 그로써 영원한 세계의 흐름과 운동에 함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그대로 ?仙? 사유 즉 不死와 長生의 자기세계가 되며, 또한 한국문화 속의 無往不復之理, 그리고 도가의 返者道之動과 같은 궤적을 그리는 생명에의 이해가 되고 있다. The problem of life is an essential question in philosophy. So many answers on the life problem have been given to the human-beings from ancient times. Also, Korean have had a kind of solutions in its own way. One of them can be traced into the theory of the Sun(仙). The Sun(仙) is a supernatural being and immortal being. It seems like to the sun and the light. So, I call it as <the Sun(仙)>. The principle of the Sun (仙) is based on the Korean myths. And Korean myths have become an origin in Korean-ism. So, we can say that the Sun(仙) is the origin and the nature of the Korean philosophy. The Sun's nicknames are Ko-Shinkyo(古神敎) or Ko-Sundo(古仙道) or PungRyu-do(風流道) etc. The Sun(仙) means the light, free and immortal man. It is the dualistic oneness, that is the Sun(仙) has the divine nature and human nature, homogeneously. In principle, the core of Sun's life theory is the eternity, forth and liberty. So, we can say that the mans who have acquired its faculties are the Sun(仙). The life of the Sun(仙) is a powerful movement and everlasting existence. The Sun's inheritance is not broken in the history of Korean-ism. This connections have had the Korean-Shaman and the National-Sun(國仙). And they made the groups, that is the monastic life(?家), Korean Taoism, Tanhak (丹學) and modernistic National Religions of Korean-ism. Finally, we can find the real Sun's world in JeungSan, which is one of Korean based religion. In Jeungsan, we can find the principle of the ‘living, growth, riping, conclude(生長斂藏)’ and the theory of complete. This principles are the nature of natures. In order to understand its principle, we must know the holy ghosts and the theory of mutual life saving. So, the living is the moving and power of the nature. And, in its principle, also the life and death are the phenomena of the nature. Thus, it can be said that JeungSan have succeeded successfully the true nature of the Sun(仙). The principles of JeungSan and the Sun(仙) will be an unique alternative in the new milllenium.

      • KCI등재

        道敎의 지평에서 본 ‘命理의 學과 術’

        민영현(Min, Young-Hyu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3 道敎文化硏究 Vol.38 No.-

        대개 인간을 일러 知的 生命體라 한다. 이 경우 인간의 모든 지적 작업은 근본적으로 생명의 유지 존속에 관계한다. 그리고 이 같은 지적 산물의 총체가 바로 學問이다. 학문이란 삶과 관계한 인간 앎의 총체인 것이다. 그런데 오늘의 학문은 合理性과 現實性의 기준을 따르면서, 다양한 인간 지성의 산물들이 비학문적인 것으로 치부되는 상황을 맞고 있다. 이 외 ‘學術’이란 용어는 학문과 기술의 양자를 지칭한다. 결국 學問이 學術이기 위해서는, 그 지식이 인간 삶에 있어 얼마나 살아 숨 쉬고 있느냐에 달린 것이라 하겠다. ‘道敎的’이라 부르는 용어는 대개 잡다성이란 말과 유사하다. 이런 가운데 도교 최대의 화두는 생명이며, 무병장수라는 가장 기본적인 자연적 생명을 향한 민간의 이해를 보인다. 따라서 이와 가장 흡사한 것이 민간신앙이라 할 것인데, 여기에 비집단적 신앙과 신흥종교, 민간의료 등이 있으며 또한 사주팔자와 간지술을 토대로 한 命理의 세계가 있다. 대개 명리란 먼저 주어진 하늘의 명을 알아간다는 지명의 이론을 그 근저에 두는데, 여기에 가장 깊숙이 개입하는 것은 易學과 自然哲學이다. 이때 가장 중요한 힘은 기氣와 관련된 신神 그리고 인간에게 갈무리 된 정精이다. 곧 사회적 조건들에 이 같은 정기신이 관계하면서 만들어 나가는 제 상황들을 일종의 운명으로 추리해내는 것이 명리인 것이다. 이로부터 생명과 관련한 도교와 명리학의 세계는 사실상 내 스스로 나의 생에 대한 태도는 어떠해야 하는가를 묻고 답하는 것과 같다. 이로써 참되게 배우는 자는 자신의 삶을 해명하고 수긍하는 心學 내지 精神哲學의 상태로 들어가 스스로의 생활방식을 결정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를 단순히 점복이나 비논리적·비학문적인 것으로만 치부하는 것은 잘못된 일이다. 이제 우리는 역과 결부한 명리학에 대하여 도교의 지평에서 보다 새로운 이해를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과학과 학문 그리고 도교의 관계를 설정하는 일 또한 서로가 다른 영역의 인간 삶을 다루고 있음을 승인함으로부터 출발해야만 한다. 명리는 易과 만나고, 天地人 三才의 道와 만난다. 자연 운행의 도를 취하여 그 몸을 지키고 천수를 누릴 것을 요청하는 것이 명리라 하였으니, 도교의 양생 수련과도 그 궤를 같이하는 것이라 생각해본다. 도교가 지닌 다양성과 융합의 특징은 다른 학문들이 쉽게 흉내 내기 힘든 부분이다. 그리고 도교가 명리의 세계를 안지 못한다면, 과연 어떤 것이 명리학과 만날 수 있을 것인가. 도교와 명리가 누군가에게는 상담학으로서의 역할을 해낼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명리를 통해 이를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경지는 ‘安分自足’의 상태이기 때문이다. Long long time ago, there are many methods for knowing the fortune in the world. In Orient, here are also many skills and principles from ancient age. I call it MyungRi-Hak(命理學: the study on the theory of destinies) or "the Faith of Prayer for Good fortune". Perhaps fortune is the most mysterious in the human life. So we hope to know the secret of the fortune or destiny or fate. But it is not rational almost. From this, it has been treated that MyungRi-Hak is not valuable in scholastic world. But I think it is like to Taoism in common conditions. I-Jing(易經) said that the Cosmos don"t rest for the living and living. Everything come and go, go and come. So to live is life and to die is also life.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value of life. Because to die and to live are the other phenomenons of one life. The man knows the difficulty of livelihood. Nevertheless, he hopes to exist in the state which the vital energy is filled up. At last he hopes to expand the life and relations with the world. The purpose which he hopes may be to sublime the dimension of existence. To sublime is to pursue the final perfection of exist and life. In this case, here are Jeong(精), Ki(氣) and Shin(神). In other words, the one God acts the three realities. When a man has faith with the One, he will arrive at the condition of full activity and vitality. Though it is difficult to represent, the God becomes a vital energy[氣化:the changing energy in beings]. The God(Shin:神) and the Ki(氣) interchange mutually. Also the Seong(性), Myung(命) and Jeong(精) are going to interact. Each has related and effected among. Anyway all of those knowledges are to solve the difficult problem of the man"s life. So I think that MyungRi-Hak is also significant. And I hope to study on the MyungRi-Hak deeper and deeper with the Taoistic view.

      • KCI등재

        도교적 사유체계와 그 상동(相同),상이(相異)에 관한 연구 -도가(道家), 도교(道敎), 선(仙) 그리고 한국 민족종교사상의 비교론적 관점에서-

        민영현 ( Young Hyun M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09 선도문화 Vol.7 No.-

        도교적 사유체계에는 도가와 도교 및 무속과 신선술 등 잡다한 요인들이 개입되어 있다. 중국 도교는 비록 道家哲學의 이론을 차용해 왔다 하더라도, 본질적으로는 도가의 이론과는 무관하게 교단을 중심으로 한 민중종교적 성격을 지닌다. 중국에서의 도교는 교단을 중심으로 金丹道, 즉 內·外丹의 세계를 무차별적으로 설파하면서 여러 이론적 측면과 그 실천을 강화시켜 온 데 비해, 한국의 仙과 巫는 제대로 된 이론체계를 구축하는 데 실패한다. 이런 도교적 사유 속에 확실하게 대비되는 것은, 그 민중성의 유사성을 제외한다면 중국도교와 `한국 仙`은 서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곧 중국의 도교적 사유와 한국의 선적 사유는 그 기원부터 다르며, 그 내용 또한 상당한 차이를 내포하고 있다. 비록 학계에서 한국도교라는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기는 하지만, 사실상 이는 전혀 다른 각도에서 이해하여도 무방할 정도로, 중국에서 등장한 도교사상과 한국의 仙道는 다양한 측면에서 그 차이점을 노정시키고 있다. 우선 중국도교에서 일반 백성은 神과의 관계에 있어 대부분 방관자적인 존재로 등장하며, 대개 이를 매개하는 것이 道士요·道館이요·종교적 신앙이다. 이로부터 중국의 도교사상은 이론체계와 신앙체계 사이에서 오히려 속신적 신앙체계를 더욱 강화함으로써 교단도교의 체제로 유지 전승한다. 그러나 한국의 仙에서 神과 人間은 근본적으로 합일되어 있다. 따라서 여기에는 어떤 다른 매개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오직 자기 자신의 자각과 실천만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민간화한 중국도교나 한국의 仙이 종교화한 무신교적인 민간신앙의 측면에서 보면, 이 양자가 희구하는 바는 원칙적으로 동일하다. 그것은 곧 現世福樂의 획득이요, 禳災招福이며, 無病長壽라 할 것들이다. 이러한 것들은 대부분의 인간이 희구하는 그런 자연적 종교심성과 정신현상에 바탕을 둔 원본(原本:arche-type)적 사유로서, 이 양자가 갖는 핵심사상은 공통적인 내용을 담보하고 있다. 이로부터 가장 흡사하면서도 서로 다른 형식과 내용으로 각각의 민중들에게 하나의 종교적 철학적 정신세계로서 민간의 신앙과 사상을 형성해 온 것, 이것이 바로 중국적인 도교사상과 한국의 仙이다. There are two thoughts in the Chinese Taoism. The one is a philosophy of Tao(道), we call it as `the thoughts of Lao and Zhang(老莊)` in general. The other is a religion of Tao, generally we call it as `the Taoism`. In Taoism, they said the three gods that is the Won-Shin(the God of origin), Shik-Shin(the God of wisdom) and Jin-Shin(the God of truth or essence). They have understood it as the principle of life. However in Korea, Sam-Shin is understood on the one almighty God at the same time three gods. So the thoughts of Sam-Shin is connected with the theory of Korean trinity especially. And, there is a thoughts of Sun(仙) in Korea. Really the thoughts of Sun has started in ancient Korea. It had been spread through the cultural exchange from Tong-ie(東夷; the name of ancient Korean race) to Hwaha(華夏; the name of ancient Chinese race). Later it re-imported in Korea with the Taoism and Taoistic books. In brief, the Sun means the good man at the same time the outlook on the human in Korea. The thoughts of Sun or Sun-ism is the Korean philosophy with originality. The short history of Sun is same to the next. Long long time ago, there is a man in Korea. His name was Tankun Wangkeom(檀君 王儉; the Royal ancestor of Korea above mentioned). He defined himself as a Sun. So the Sun was a concept of self-definition. From this the thoughts of Sun was started. As the result of it, it made a philosophical system of Koreans` outlook on the man and world. We call it the Kooksun(國仙) or Sundo(仙道). In the Korean academic world, it is called by the Ko-Shinkyo(古神敎; the ancient Korean religion of believing the divine spirits) or Ko-Sundo(古仙道; the ancient Korean Tao of Sun). It became the spirits that binds all Koreans together in ancient period. Later the Sun have specialized two ways. The one is a series of the training thoughts as the philosophy. We call it the Tan-hak(丹學; the study of Tan, bio-essence which is located in abdomen) or Sunhak(仙學). The other is the folk faith and customs or shamanism as the religion. We call it as the Korean National Religions(KNR). Thus the Sun of KNR is not newly in 19th century. It origins from the ancient Korea.

      • KCI등재

        남북한 민족동질성 회복에 있어 단군학(檀君學)의 의미와 그 역할 - 부(附). 단군교포명서(檀君敎佈明書)와 삼일철학(三一哲學)의 이해를 중심으로

        민영현 ( Min Young-hyu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8 탐라문화 Vol.0 No.58

        전쟁만은 결코 안 된다는 절박한 목소리에도 불구하고, 현재 남ㆍ북의 긴장 상태는 매우 위험한 상황에 처해 있다. 따라서 지금은 군관민이 모두 합심하여 상호 이질적인 사회 문화적 차이를 좁히고 그 同質性을 확보하면서 평화를 지켜 나갈 해법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는 때이다. 곧, 상호 交感을 통한 화해와 협력의 방안을 찾아야만 하는 것이다. 여기에 민족동질성과 화해를 위한 토대로서의 檀君學연구의 중요성과 철학적 談論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 경우 檀君學은 단순히 檀君實在와 결부된 역사학적 논란을 넘어서야 하고, 현실적이면서도 실천적인 영역들을 확대해 나가야만 한다. 즉, 단군 실재의 문제는 역사와 고고학에 맡기더라도, 문화ㆍ정치ㆍ사회 및 철학과 인문학적인 의미에 관한 연구는 계속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는 통일을 위한 준비로서도 필요하며, 민족사회 구성의 새로운 이념으로서도 필요하다. 여기에 다시금 남북으로 갈라지기 이전 구한말의 <檀君敎佈明書>에 주목하게 된다. <포명서>는 韓民族의 구심점으로서 檀君을 제기한다. 이로부터 韓民族의 이념을 ‘나라’라는 공동체와 ‘민족’이라는 동질성 즉 ‘한가족, 一家’의 개념에서 찾는 것이다. 또한 이를 공표한 大倧敎에는 三一의 哲學과 三神의 문화가 들어 있다. 三神의 문화는 지금도 여전히 남북 양쪽에 공히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이제 國祖檀君의 상징과 檀君學의 철학 속에서, 오늘 남과 북의 이념적 이질성을 극복할 韓民族同類의 정신적 토대를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오늘 젊은 세대에게는 檀君과 檀君學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제대로 주어지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사실상 대한민국 國學敎育의 실패라 할 것이다. 그리고 현재 북쪽의 檀君관련 연구 상황은 정확히 알기 어렵다. 하지만 韓民族이 동일한 문화를 통해 장구한 세월을 존속해 왔음은 역사가 증명하는 바이다. 또한 문화에는 심층적인 정신 요소가 자리한다. 따라서 한국인의 민족적 동질성과 생활문화 속에 자리한 사상들을 남과 북의 檀君을 통해 확인하는 일은 檀君學은 물론 韓國固有思想에 대한 이해도 가능케 할 것이다. 지금은 남과 북이 갈라져 많은 것이 서로 어긋나 있다. 하지만 민족의 저변에 흐르는 ‘화해와 우리의 정신’은 여전히 남겨져 있다. 民族은 결국 하나이기 때문이다. 아마도 檀君學과 함께 전통적인 ‘살림살이의 B6 Despite the desperate voice that war is never going to happen, the tension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re in a very dangerous situation. So now the military, government, people have to work together narrowing the gap between socio-cultural and heterogeneous. It is time to find a solution, to secure the anchor and keep peace. We must find ways to reconcile and cooperate through mutual knowledge. Here, as a foundation for national homogeneity and reconciliation, is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the Tan-Kun Studies and the need for philosophical knowledge. In this case, ‘The Tan-Kun Studies’ must go beyond historical controversies associated with reality of Tan-Kun. We must expand the real and practical areas of studies. In other words, even if the problem of reality of Tan-Kun is left to history and archeology, the studies on culture, politics, society, philosophy and humanistic meaning should continue. It is also necessary as a preparation for reunification and a new ideology of national society. So, this paper is noted ‘The document of Tan-Kun religion(below: The document)’ which has been distributed before the split between North and South, early 20th century. ‘The document’ propose ‘Tan-Kun’ as the center of the idea in the Korean people. From this, ‘The document’ found the idea of the community of ‘Korean people’ and the homogeneity of ‘Nation’ in the concept of ‘one family’. Also the Daejonggyo which announced ‘The document’ contains Sam-Il's philosophy(Three One Theory) and Sam-Shin's(Korean Trinity, Three God) culture. The Sam-Shin's culture is still believed that both sides of the North and South are still present. Today, we want to find the spiritual foundation of the Korean people's same group to overcome the ideological heterogeneity of the South and the North, in the symbol of Tan-Kun and the philosophy of the Tan-Kun Studies. Despite this, today's younger generation is not given the right understanding on Tan-Kun. This is in fact a failure of Korean national education. And now, it is difficult to know exactly what is happening on the Tan-Kun Studies in the north. But History proves that the Korean people have lived through the same culture for many years. There is also a deep mental element in cul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ideas of Koreans in the homogeneity and life culture through the knowledge on Tan-Kun of the South and the North. It will also enable understanding of Korean unique ideas as well as Tan-Kun Studies. Now the South and the North are divided, and many things are out of line. But ‘the reconciliation and Our Spirit’ that flows under the people still remain. Because the nation is one after all. With the Tan-Kun Studies, to study the traditional ‘Spiritual World of Living Life’ in Korea will let us find many things we have lost today.

      • KCI등재

        『참전경(參佺經)』 해제(解題)와 그 문화사상적 의의

        민영현 ( Young Hyun Min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09 선도문화 Vol.6 No.-

        『참전경(參佺經)』은 조선 중종 때 이맥(李陌)에 의해 엮어진 『소도경전본훈(蘇塗經傳本訓)』에 그 이름과 유래 및 8개의 강령되는 일들에 대한 간단한 해설이 실려 있다. 이에 따르면, 참전계경이 세상에 알려진 것은 을파소선생이 이를 전하였고, 태평성대가 곧 참전의 이룬 바가 아님이 없다라고 하였다. 이는 고구려의 재상 을파소가 한울에 기도하고 얻었다고 한다. `참전(참佺, 參佺)`에서 `전(佺)`이란 대개 그 뜻이 옛날의 신선을 이르는 말이고, 또 그 글자를 분석해보면 `사람으로서 온전함`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그러므로 `참전계경(參佺戒經)`이란 전(佺)에 참례(參禮)하는데 필요로 하는 생활의 계율과 심신의 수련 및 연마를 위한 가르침의 경전이란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따라서 경(經)의 내용 또한 대부분 일상생활 및 개인 수련 그리고 심성연마의 지침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곧, 仙人修鍊之法참佺爲戒라는 것이다. 이러한 『참전경』이 가지는 철학적 이해와 실천 생활 윤리학적 가치는, 오늘 철학의 부재와 정신 학문의 빈곤 속에서 그 의의가 자못 크다. 더욱이 근·현대 자본주의의 물신숭배 속에서 상실되어가는 인간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라도 『참전경』의 가치는 결코 작지 아니하다. 모든 것이 계량화 되고 숫자화 된 세상 속에서, 『참전경』은 인간 행위의 정당성과 삶의 질에 대한 가르침을 보여준다. 여기에는 상고시대 단군의 종교와 사상과 일치하는 점이 발견된다. 심지어 `홍익인간(弘益人間) 재세이화(在世理化)`라는 신시(神市)개천(開天)의 이념은 물론, 대종교에서 말하는, `조화, 교화, 치화`의 삼화(三化)작용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는 것이다. 『참전경』은 한국적 삶의 가치와 실천 생활, 즉 한국인의 살림살이의 마음가짐과 태도를 전해준다. 마치 유대인들에게 탈무드가 있는 것처럼, 한민족에게는 『참전경』의 생활 철학이 있는 것이다. 실로 『참전경』에 대한 접근에 있어, 이의 역사적이거나 서지비평적인 시시비비는 사실상 이차적인 것일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참전』의 이치를 설명하는 여러 대목들은 오히려 보다 진지한 실천윤리학적 함의를 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얼마 되지 않은 천착의 결과만으로도, `살림살이의 문화, 그리고 한국생명문화의 특성`을 보다 잘 이해하는 것이 더욱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The Chamjeon-Kyung(참佺經: The practical bible of the entering immortality) is the life theory and the bible of Sodo(蘇塗) in ancient Korea. It is organized by eight chapters. So it is called by the Palli-hun(八理訓: The Ethics or Teachings of eight fields in life) as the other name. The compiler of this book is known as Eul-Paso(乙巴素). He was the Prime Minister of Ko-Kuryo. Ko-Kuryo was the super-power of the East-Asia during three hundred years in ancient. He is recognized as the founder of this periods. In this case, the first policy was education. The Chamjeon-Kyung had accepted as the main theory of practical ethos. It represents the theory of Three-One and the One-Three. In this case, the Three becomes the God of life and changes the ultimate three elements. It is the heaven, the earth and the man. From this, the theory of `One is Three, Three is One` represents the original thought of Korean. We say it as the culture of Sam-shin. The Sam-shin(三神, the Three God, and the God of life) is a Korean archetypical God. Most of Koreans have heard the Sam-shin. The book, 『Taebaik-ilsa(太白逸史)』 includes various stories on the Sam-shin and the Chamjeon(참佺). The Chamjeon means the entering of the way of Jeon(佺: the ancient immortality). So the Chamjeon-Kyung shows the various methods to the immortality. The immortality is the good-man or true-man by the explanations of the Chamjeon-Kyung. Also the three ancestors of the Korea, Han-in, Han-woong, Han-Kum, have been understood as the symbol of Sam-shin and Jeon(佺). It has become the thought of Korean trinity. When a man has faith with the One, he will arrive at the condition of full activity and vitality. The Jeon(佺) is in this condition always. Like this, the Chamjeon-Kyung explains the theory of universe and man. So it is regarded as the book of original philosophy of Korean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