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거골의 골연골 병변에 대한 관절경적 골연골 성형술

        민상혁,정홍근,김유진,김영재,유문집,Min, Sang-Hyuk,Jung, Hong-Geun,Kim, You-Jin,Kim, Young-Jae,Yoo, Moon-Jib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6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0 No.2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functional results of the osteochondral lesions of the talus (OLT) treated with arthroscopic osteochond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was based on 25 cases (25 feet) of osteochondral lesion of talus that were treated with arthroscopic osteochondroplasty from May 1997 to June 2005 with at least 1 year follow-up. Follow-up period was average 21.8 months. The average age was 37.2 years old. Male patients were 22 while female were 3. Postoperative evaluation was performed with American Orthop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Functional score, patient satisfaction and complications. Results: Ninety-two percent of patients had trauma history. Seventy-two percent of the lesions were located at the medial dome. As for the cartilage classification, 56% were fibrillation/fissure lesions while 44% were flap tears. Visual analogue scale (VAS) pain score improved from 6.8 points to 2.2 points, and AOFAS score improved from 71.3 points to 87.3 points. Eighty-eight percent of the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surgery and average period of returning to previous job was 6.5 weeks.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the arthroscopic osteochondroplasty is a viable surgical option for the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 KCI등재

        신경성 파행을 보이는 척추관 협착증을 동반한 골다공증성 척추체 압박골절 환자의 치료 시 척추체 성형술에 추가로 시행한 선택적 신경 차단술의 임상결과 및 효용성

        민상혁(Sang-Hyuk Min),윤성현(Sung-Hyun Yo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3

        목적: 신경성 파행을 보이는 골다공증성 척추체 압박골절 환자의 치료 시 척추체 성형술에 추가로 시행한 선택적 신경 차단술이 새로운 인접 부위 척추체 골절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신경성 파행을 보이는 골다공증성 척추체 압박골절로 진단받은 환자 중 척추체 성형술만 시행한 환자군 40명과 추가로 선택적 신경 차단술을 시행한 환자군 40명을 최소 1년 이상 추시 관찰하였다. 결과: 두 군 사이에 나이, 성별, 척추관 협착증 정도, 골밀도, 요추전만각, 천추경사각, 골반경사각, 골반 투사각, 척추체 높이 회복정도, 기존 척추체 골절, 추간판 내 골시멘트 누출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그러나 새로운 인접 부위 척추체 골절이, 척추체 성형술만 시행한 환자 40명 중 13명, 추가적 선택적 신경 차단술을 시행한 환자 40명 중 4명에서 발생하여 새로운 인접 부위 척추체 골절의 발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결론: 신경성 파행을 동반한 골다공증성 척추체 골절 환자의 치료에 있어 척추체 성형술에 추가로 시행한 선택적 신경 차단술이 새로운 인접 부위 척추체 골절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치료 옵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selective nerve root blocks with vertebroplasty in treatment of patients with osteoporotic compression fracture accompanied spinal stenosis showing neurogenic claudication. Materials and Methods: Of 80 patients admitted to our orthopedic department for osteoporotic 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accompanied by neurogenic claudication due to spinal stenosis between May 2010 and September 2011, 40 patients who underwent only vertebroplasty and 40 patients who also underwent an additional selective nerve block were studied with a minimum follow-up period of one year.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for their age, sex, grade of spinal stenosis, bone mineral density (BMD), lordotic angle, pelvic tilt, sacral slope, pelvic incidence, restoration rate of vertebral height, preexisting fracture, intradiscal cement leakage, and for new adjacent vertebral fractures during a follow-up period of at least one year.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17.0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termined using the Student t-test and chi-square test with p<0.05. Result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age sex, grade of spinal stenosis, BMD, lordotic angle, pelvic tilt, pelvic incidence, restoration of vertebral height, preexisting fracture, and intradiscal cement leakage was observed between the vertebroplasty only group and the additional selective root block group. However, the incidence of new adjacent vertebral fractures between the groups was 13 of 40 patients in the vertebroplasty only group and four of 40 patients in the selective nerve block addition group;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was observed in the nerve block group (p<0.05). Conclusion: In treatment of patients with osteoporotic compression fracture with neurogenic claudication due to spinal stenosis, addition of selective nerve block to vertebroplasty can lessen pain and the resulting postural change, thereby mitigating dynamic sagittal instability, which in turn results in reduced incidence of new adjacent vertebral fractures. As such, selective nerve block should be considered as a safe, simple, and effective tool for use in prevention of new adjacent vertebral fractures in patients with osteoporotic fracture who are suffering from neurogenic claudication.

      • KCI등재

        저도 전위 척추 전방전위증에서 최소침습적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

        민상혁(Sang-Hyuk Min),이대희(Dae-Hee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4

        목적: 저도 전위 척추 전방전위증 치료에서 최소침습적 경추간공 척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하여 임상적 결과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고, 일측성 및 양측성 접근법에 따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척추 전방전위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최소침습적 경추간공 척추체간 유합술을 시행받고 최소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27예(일측성 접근법 16예, 양측성 접근법 1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혈량, 수술 후 배액량, 수혈량, 수술시간을 조사하였고, 임상결과는 시각통증등급, Oswestry 장애지수, SF-36의 신체요소종합점수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방사선학적으로는 수술 전후 및 최종 추시 관찰 시 측정한 추간판 높이와 전위 정도, 전위각을 각각 조사하였다. 결과: 접근법에 따른 비교에서 수술 전후 및 최종 추시 시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결과는 두 비교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일측성 접근법에서 양측성 접근법보다 출혈량, 수술 후 배액량, 수혈량, 수술시간이 유의하게 적었다(p<0.05). 일측성 접근법을 시행하였던 예 중 정복나사못을 이용하여 정복하는 과정에서 척추체에 고정한 척추경 나사못이 후방으로 빠져 나온 예가 1예에서 있었다. 결론: 최소침습적 일측성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은 양측성 접근법에 비해 수술시간을 단축시키고 실혈량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We wanted to analyz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minimally invasive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MI-TLIF) in patients with low grade spondylolisthesis, and we also compared the unilateral and bilateral approache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examined a consecutive series of 27 patients who underwent one-level MI-TLIF (16 cases of the unilateral approach and 11 cases of the bilateral approach) and the follow-up data was compared with a minimum 1-year follow-up. The amount of intraoperative blood loss, the postoperative drainage, the transfusion requirement and the surgery time were investigated. The clinical outcomes were analyzed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and the SF-36 Physical Composite Score (SF-36). The preoperative, postoperative and last follow-up changes in the height of the disc, the degree of the slipping and the slip angle in the fused segments were radiologically analyzed.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at the last follow-up. But the unilateral approach-group was found to have less blood loss, less postoperative drainage, a lesser requirement for transfusion and a shorter duration of surgery. During the reduction process in 1 patient among the cases that had the unilateral approach used, the pedicle screw fixed to the vertebral body fell out. Conclusion: The unilateral MI-TLIF can shorten the operation time and reduce the blood loss as compared to the bilateral approach.

      • KCI등재
      • KCI등재

        추궁하 감압술에 의한 최소침습적 일측성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

        민상혁(Sang-Hyuk Min),황성수(Sung-Su Hw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4 No.1

        목적: 최소 침습적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에서 일측성 접근법과 양측성 접근법의 임상적 결과와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척추관 협착증으로 단 분절의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 후 1년 이상의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47예(일측성 접근법26예와 양측성 접근법 21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측성 접근법은 추궁하 감압술 및 반대측의 신경공 감압술을 포함하여 시행한 예를 적용하였다. 환자 나이, 실혈량, 수술 후 배액량, 수혈량, 수술 시간을 조사하였고, 임상적 결과는 시각통증등급, SF-36의 신체요소 종합점수, Oswestry 장애지수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방사선학적으로는 수술 전 후 및 최종 추시 관찰 시 측정한 추간판 높이와 추간판 각의 변화, 요추전 만도를 각각 조사하였다. 결과: 술 후 최소 1년 추시한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결과는 두 비교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일측성 접근법에서 양측성 접근법보다 출혈량, 수술 후 배액량, 수혈량, 수술시간이 유의하게 적었다(p<0.05). 결론: 수술 술기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면 일측성 접근법은 양측성 접근법보다 여러 면에서 유리한 수술적 방법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is is a comparison of the unilateral and bilateral approaches for minimal invasive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TLIF), and we did so by measuring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examined a consecutive series of 47 patients who underwent one-level TLIF (26 cases of the unilateral approach and 21 cases of the bilateral approach to the lumbar spine) and the follow-up data was compared with a minimum 1-year follow-up. Sublaminar decompression and contralateral foraminectomy were done in all the case of using the unilateral approach. The age of each patient, the amount of intraoperative blood loss, the postoperative drainage, the transfusion requirement and the surgery time were investigated. The clinical outcomes were analyzed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the SF-36 Physical Composite Score (PCS) and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The preoperative, postoperative & last follow-up changes in the height and angles of the disc in the fused segments and the lumbar lordotic angles were radiologically analyzed.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at the last follow-up. But the unilateral approach-group was found to have a less blood loss, less postoperative drainage, a lesser requirement for transfusion and a shorter surgery time.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unilateral approach can be the better way if the technical problems are solved.

      • KCI등재

        사행성 경추 추골 동맥에 의한 추간공의 확장

        민상혁(Sang-Hyuk Min),윤성현(Sung-Hyun Yoon),이준열(Joon-Yeul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3

        사행성 경추 추골 동맥은 증상을 일으키지 않는 경우가 많아 임상적으로 발견하기 어려운 병리소견이다. 이번 증례에서는 후 경부 동통 및 양측 상지의 방사통을 주소로 내원한 72세 여자 환자의 단순 경추 방사선 촬영, 자기공명영상 촬영에서 추간공의 확장 및 추골동맥의 변형 소견을 발견하였으며, 전산화 단층촬영 혈관조영술을 이용하여 사행성 경추 추골 동맥을 진단하였다. 이에 대하여 환자의 임상적 증상과 병리소견과의 상관관계가 일치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였던 사례에 대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ortuousity of the vertebral artery is clinically uncommon because it rarely causes symptoms. We described a patient with pain in the neck and both upper extremities in whom diagnosis of intervertebral foraminal widening and deformity of the vertebral artery were suggested by results of radi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We confirmed the tortuous vertebral artery by results of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Correlation of the patient’s symptoms and abnormalities was not clear; conservative treatment was administered.

      • KCI등재

        다분절 최소침습적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의 안정성 및 효용성

        민상혁(Sang Hyuk Min),유재성(Jae Sung Yoo),윤성현(Sung Hyun Yoon),이철우(Chul Woo Rh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7 No.6

        목적: 유합된 분절의 수에 따라 최소침습적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을 전통적 후방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한 경우와 비교하여 다분절 최소침습적 유합술을 통해 출혈량을 감소시킬 수 있었는지, 술 후 합병증 감소 및 빠른 회복에 기여하였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척추관 협착증 환자 중 최소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367명(최소침습적 유합술 170명, 전통적 유합술 197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두 비교군의 실혈량, 수술 후 배액량, 수술시간, 시각통증등급(visual analogue scale score), 술 전, 후의 단백질 및 알부민 수치, 술 후 침상 안정 기간을 조사하였고, 수술 주위 기간의 합병증의 발생 여부를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두 군을 각각 유합된 분절의 수에 따라 비교 분석한 결과 출혈량은 최소침습군에서 전통적 유합술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으며, 유합된 분절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두 비교군 간의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p〈0.05). 반면에 수술 시간은 최소침습군에서 전통적 유합술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유합 범위가 증가할수록 두 비교군 간의 차이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p〈0.05). 전체 합병증의 발생은 최소침습군에서 7.1%, 전통적 유합술군에서 15.2%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분절 간의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론: 수술 시간의 단축을 통하여 최소침습적 유합술의 문제점이 보완된다면 다분절 최소침습적 경추간공 요추 추체간 유합술은 실혈량과 합병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용한 술식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ways to reduce bleeding through minimally invasive multi-segmental fusion by comparing the results of minimally invasive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versus those of conventional posterior interbody fusion depending on the number of fused segment. Moreover, the study identified how the new method of fusion contributed to reducing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to fast recovery. Materials and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conducted on 367 spinal stenosis patients who had been followed up for at least one year (170 patients underwent minimally invasive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and 197 patients underwent conventional posterior interbody fusion). The study examined blood loss volume, postoperative drainage volume, operation time, visual analogue scale score, pre- and post-operative levels of protein and albumin, as well as postoperative bed rest period between the two groups. Moreover, the study analyzed the presence of complications during the peri-operative period. Results: The minimally invasive fusion group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intraoperative bleeding than the conventional infusion group when the number of fused segments in each group was compared.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the two group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s the numbers of fused segments rose (p<0.05). On the other h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was shown in the operation time between the minimally invasive fusion group and the conventional fusion group. The difference in the two group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as the distance of fused segments was extended (p<0.05). Conclusion: Minimally invasive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is thought to be a useful surgical method to minimize bleeding when the limitations of minimal invasive fusion are supplemented by shortening the operation time.

      • KCI등재

        골다공증에 의한 척추체 압박골절에 대한 경피적 추체 성형술 260예 대한 임상 치험예

        민상혁 ( Sang Hyuk Min ),김명호 ( Myung Ho Kim ),박희곤 ( Hee Gon Park ),백호동 ( Ho Dong Paik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3

        목적: 골다공증에 의한 척추체 압박골절에서 경피적 추체 성형술의 효과와 안정성을 확인하고 임상적 결과 및 합병증 등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7월부터 2004년 7월까지 골다공증에 의한 척추체의 압박골절을 치료하기 위해서 경피적 추체 성형술을 시행하였던 2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55명, 여자가 205명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69.4세 (55-91세)였다. 골 시멘트를 이용한 경피적 추체 성형술을 시행하였으며, 시술 전후로 통증의 등급표를 작성하여 이를 기준으로 통증의 변화 정도를 관찰하였다. 시술 후 단순 방사선 사진과 컴퓨터 단층촬영, 동맥혈검사, 단순 흉부 방사선검사 촬영을 통해 합병증 여부를 평가하였다. 1주째 추시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였고 환자의 증상 호전 정도 및 시술 후 합병증 등을 파악하였다. 외래추시 1년마다 골밀도 검사를 하였으며 2년 이상 골다공증약 투여를 권장하였다. 1년째 외래추시상 평가한 임상결과는 우수, 양호, 저하, 불량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또한 VAS (visual analogue scale, 0∼10) 동통점수를 이용하여 시술 1주째와 1년째에 대해 변화를 평가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SPSS (version 11.0)을 사용하여 t-test를 이용하였고 p<0.05를 통계적 유의 수준으로 하였다. 결과: 시술 후 증상의 호전 정도는 1주째에 우수 73명 (28.3%), 양호 123명 (45.5%), 보통 45명 (17.8%), 불량 23명 (8.5%)으로 전체 대상 환자의 73.8%에서 양호 이상의 호전을 보였으며 1년 추시상에서 우수 76명 (29.3%), 양호 120명 (44.3%), 보통 43명 (16.8%), 불량 25명 (9.6%)으로 전체 대상 환자의 73.6%에서 양호 이상의 호전을 보여 시술 직후와 1년 추시상 결과에 큰 차이가 없었다. 합병증으로 혈흉으로 인한 사망이 1예, 부정맥이 발생이 4예 있었으며, 인접 추체의 추가 압박 골절이 15명 (21추체)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골 시멘트를 이용한 경피적 추체 성형술은 골다공증성 척추체 압박골절 환자의 치료에 있어 수술 후 즉각적인 통증의 완화와 장기 추시상 큰 차이가 없어 고령의 환자에서 장기간의 견인술 및 침상 안정에 따른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으며, 보조기 착용 없이 조기보행이 가능하여 골다공증에 의한 척추체 흉요추부 압박 골절 환자의 치료에 유용한 술식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retrospectively the results regarding pain relief, complication after percutaneous vertebroplasty, for an osteoporotic compression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260 patients (male 55, female 260, mean age 69.4 years old) treated by percutaneous vertebroplasty in Dankook University Hospital from July 1997 to July 2004 were reviewed. We performed percutaneous vertebroplasty and observed the degree of pain relief using pain scale pre-/postoperation. we evaluate the complication by plain radiographs and computed tomography, ABGA and chest X-ray. we evaluate pain relief and complication for 1 week by follow- up plain radiographs. we recommended BMD follow-up per 1 year and osteoporosis medication at least 2 years. A clinical result was evaluated as excellent, good, fair, poor and visual analogue scale (VAS 0∼10) for 1 year. We prefaced a statistical analysis by T-test using SPSS (version 11.0) correlating 1 week and 1 years effects. Results: 73 (28.3%) of the patients were evaluated as excellent: 123 (45.5%), as good: 45 (17.8%), as fair; and 23 (8.5%), as poor, show 73.8% over good in 1 week. 76 (29.3%) of the patients were evaluated as excellent; 120 (44.3%), as good; 43 (16.8%), as fair; and 25 (9.6%), as poor in 1 year, show 73.6% over good result. 1 week follow-up and 1 year follow-up show similar results. 1 patient had death (hemothorax), 4 patients had arrhythmia, 15 patients (21 vertebrae) had fracture around vertebroplasty. Conclusion: Percutaneous vertebroplasty using PMMA is valuable method in the treatment of osteoporotic compression fracture, providing immediately pain relief, long term pain relief, prevention of complication originated from long term traction and bed rest, unwearing brace and early ambulation.

      • KCI등재

        자가골 및 수산화인회석을 이용한 최소침습적 경추간공 추체간 유합술에서 골이식의 혼합비율 및 양에 따른 유합률의 차이

        유재성(Jae-Sung Yoo),민상혁(Sang-Hyuk Min),윤성현(Sung-Hyun Yoon),이준열(Jun-Yeul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5

        목적: 최소침습적 경추간공 추체간 유합술에서 골이식의 혼합비율 및 양에 따른 유합률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최소침습적 경추간공 추체간 유합술을 시행 받은 9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가골만을 이식한 환자를 I군, 수산화인회석을 혼합하여 이식한 환자 중 자가골의 비율이 50% 이상인 환자를 II군, 50% 미만인 환자를 III군으로 분류하였고, 골이식량이 12 ml 미만인 환자를 A군, 12 ml 이상인 환자를 B군으로 분류하여 유합률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시각통증등급 및 Oswestry 장애지수를 이용하였고, 골유합의 평가는 Burkus의 분류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혼합 비율에 따른 I, II, III군의 유합률은 90.9%, 86.5%, 86.2%로 자가골 비율이 높을수록 높은 유합률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p=0.16). 골이식량에 따라 나눈 A, B군의 유합률은 81.5%, 92.5%로 골이식량이 12 ml 이상인 군에서 유합률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p=0.03). 결론: 최소침습적 경추간공 추체간 유합술에서 12 ml 이상의 골이식을 시행한 경우 유의하게 높은 유합률을 보였으며, 만족스러운 유합률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12 ml 이상의 골이식량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usion rate according to the mixture ratio and the amount of bone graft in minimally invasive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 (MI-TLIF).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92 subjects who underwent MI-TLIF.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either group I, in which patients received transplantation with only autogenous bone, group II, in which patients received transplantation with hydroxyapatite mixed with autogenous bone by more than 50%, or group III, in which patients received transplantation with hydroxyapatite mixed with autogenous bone by less than 50%. For analysis of the correlation of amount of bone graft with fusion rate, patients were divided into group A, having less than 12 ml of bone graft, and group B, having more than 12 ml of bone graft. Visual analogue scale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were used for clinical assessment, and Burkus’ classification method was used for evaluation of bone fusion. Results: Fusion rates of groups I, II, and III according to the mixture ratio were 90.9%, 86.5%, and 86.2%, respectively. The fusion rate increased as the autobone ratio became higher;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p=0.16). The fusion rates were 81.5% and 92.5% in group A and group B, respectively, which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volume of bone graft, showing a significant increase in groups with bone graft volume more than 12 ml (p=0.03). Conclusion: A significantly high fusion rate was observed when bone graft volume was more than 12 ml in MI-TLIF. More than 12 ml of bone graft volume is essential for achievement of a satisfactory fusion rate.

      • KCI등재

        경피적 척추체 성형술 후 새로 발생한 인접 척추체 골절의 위험 인자

        김명호 ( Myung Ho Kim ),민상혁 ( Sang Hyuk Min ),전숙하 ( Suk Ha Jeon ) 대한골절학회 2007 대한골절학회지 Vol.20 No.3

        목적: 경피적 척추체 성형술 후 인접 척추체에서 새로운 골절이 발생하는 것과 관련된 인자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본원에서 경피적 척추체 성형술을 시행 받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296명의 환자들 중 인접 척추체 골절이 발생한 환자 16명과 골절 없이 추시되고 있는 환자들 중 추출된 30명에 대해 각각 시술 전후의 골절 척추체의 높이 회복률(%)과 후만각 (kyphotic angle) 회복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경피적 척추체 성형술 후 인접 척추체 골질이 발생한 16명의 평균 척추체 높이 회복률 및 후만각 회복정도는 평균 16.7%와 2.53도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의 경우 각각 평균 7.07%와 4.2도로 나타났으며, 높이 회복률이 높을수록(p<0.01) 후만각 회복 정도가 적을수록(p<0.05) 인접부위 척추체 골절의 위험이 증가하였다. 특히 척추체 전망부보다 중심부의 높이 회복률이 클수록 인접 척추체의 골절 위험도가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all p<0.05, Logistic regression test SPSS 13.0). 결론: 척추체 성형술시 시술 후 추체 높이 회복률이 클수록 인접추체 골절의 위험이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new fractures in adjacent vertebrae after verteb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46 patients in whom 296 patients were performed during last 9 years. We were especially concerned with the restoration rate of vertebral height and kyphotic angle and estimated them on simple X-ray films. Results: In patients experienced subsequent vertebral fractures and no subsequent vertebral fractures after vertebroplasty, the mean height restoration rate of treated vertebra were 16.7% and 7.07%, and the kyphotic angle difference were 2.53 degree and 4.2 degree. The greater degree of height restoration of the vertebral body, especially in middle vertebral height and the lesser degree of kyphotic angle difference increased the risk of adjacent vertebral fracture risk. This results were available statistically (all p<0.05, Logistic regression test, SPSS 13.0). Conclusion: It may be thought that the vertebral body height restoration rate will become risk factor of adjacent vertebral frac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