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金達寿の「日本語創作論」からみる 在日朝鮮人社会の〈民族〉と〈言語〉

        閔東曄(민동엽 Min, Dong-Yup) 한일민족문제학회 2016 한일민족문제연구 Vol.31 No.-

        재일조선인 작가 김달수는 지금까지 해방 후 ‘재일조선인 문학의 효시(嚆矢)’로 알려져 왔다. 최근 연구에서는, 이러한 그에 대한 평가가 그가 ‘일본어’로 작품을 써 왔기 때문에 가능했으며, 그러한 평가가 조선어 창작과 일본어 창작을 병행하거나 혹은 조선어 창작을 해온 ‘그외 다수’의 재일조선인 작가들을 ‘재일조선인 문학’으로부터 후경화 또는 보이지 않게 했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재일조선인 문학’에 있어서 김달수는 결코 ‘대표’가 아닌 ‘특이’한 존재이다. 그러나 그가 ‘특이’한 존재라는 것이 재일조선인 사회에 있어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그리고 왜 그가 해방 직후 ‘일본어창작’을 주장하게 됐는지에 관해서는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국어=조선어’의 회복이 자명한 명제였던 해방 직후에 유일하게 ‘일본어 창작’의 필요성을 주장했던 사람이 김달수였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해방 직후 김달수가 주장하는 ‘일본어 창작론’의 내재적 이해를 위해, ‘일본어 창작’의 전제가 되는 언어 ‘일본어’에 주목하여 해방 전후의 그의 언어적 경험과 함께 살펴보았다. 이러한 김달수의‘일본어 창작론’ 이해를 통해서 해방 직후 재일조선인 사회의 ‘민족’과‘언어’가 어떤 의미로서 작용하고 있었는지에 대해 되묻고자 했다. 내면화된 언어로서의 ‘일본어’가 유일한 창작 언어였던 김달수는 해방 직후의 ‘일본어 창작론’에 있어서 ‘자기’와 ‘수단’이라는양립 불가능한 두 개의 일본어를 설정했다. 하지만 그로 인해, ‘자기’로서의 일본어는 타자화되어 갔다. 이러한 김달수의 언어관은 재일조선인 사회에서 ‘민족=언어’의 원칙을 부수는 행위로서 오해받게 되지만, 사실 김달 수의 ‘일본어’는 같은 원리로부터 생성된 것이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볼 때, 그의 ‘일본어 창작론’은 포스트 콜로니얼 임계점에서 발생하는 재일조선인 사회의 ‘민족’과 ‘언어’를 둘러싼 복잡한 양상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Zainichi Korean writer Kim Dalsu is considered a “representative” of Zainichi Korean Literature. According to recent research trends, he was evaluated as such because he wrote his works in “Japanese.” However, these evaluations are considered to diminish the worth of people who write in both Japanese and Korean or in the Korean of “Zainichi Korean Literature.” It is true that Kim Dalsu is “unique” in Zainichi Korean Literature, and not just as its “representative.” This is why we need to focus on his writings in “Japanese” and consider the significance of “Japanese” for him. In that sense, we also need to consider why he strongly argues for writing in Japanese after the liber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even though restoration of ethno-language is important for the Korean people in Japan.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reason he emphasized on writing in Japanese and the significance of “Japanese” for him based on his linguistic experience. In this context, I try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Nation” and “Language” in Zainichi Korean Society after the liber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its complicated political and historical circumstances. Kim Dalsu, who had only the creative language of “Japanese” as an internalized language, set two Japanese which are incompatible with self-identification and means in the “Japanese Writing” theory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As a result, Japanese as self-identification became unified and became invisible. Such Japanese view of Kim Dalsu s “Japanese” was misunderstood as a destruction of the “Nation=Language” principle in Zainichi Korean society in Japan, but Kim Dalsu s “Japanese” was made based on the principle of “Nation=Language” in that sense, we can capture one aspect of complex aspects of “Nation” and “Language” at the post colonial critical point in Zainichi Korean society from his theory of “Japanese Writing.”

      • KCI등재

        김달수의 `일본어 창작론`을 통해서 보는 재일조선인 사회의 <민족>과 <언어>

        민동엽 ( Min Dong-yup ) 한일민족문제학회 2016 한일민족문제연구 Vol.31 No.-

        재일조선인 작가 김달수는 지금까지 해방 후 `재일조선인 문학의 효시(嚆矢)`로 알려져 왔다. 최근 연구에서는, 이러한 그에 대한 평가가 그가 `일본어`로 작품을 써 왔기 때문에 가능했으며, 그러한 평가가 조선어 창작과 일본어 창작을 병행하거나 혹은 조선어 창작을 해온 `그외 다수`의 재일조선인 작가들을 `재일조선인 문학`으로부터 후경화 또는 보이지 않게 했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재일조선인 문학`에 있어서 김달수는 결코 `대표`가 아닌 `특이`한 존재이다. 그러나 그가 `특이`한 존재라는 것이 재일조선인 사회에 있어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그리고 왜 그가 해방 직후 `일본어창작`을 주장하게 됐는지에 관해서는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 `국어=조선어`의 회복이 자명한 명제였던 해방 직후에 유일하게 `일본어 창작`의 필요성을 주장했던 사람이 김달수였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해방 직후 김달수가 주장하는 `일본어 창작론`의 내재적 이해를 위해, `일본어 창작`의 전제가 되는 언어 `일본어`에 주목하여 해방 전후의 그의 언어적 경험과 함께 살펴보았다. 이러한 김달수의 `일본어 창작론` 이해를 통해서 해방 직후 재일조선인 사회의 `민족`과 `언어`가 어떤 의미로서 작용하고 있었는지에 대해 되묻고자 했다. 내면화된 언어로서의 `일본어`가 유일한 창작 언어였던 김달수는 해방 직후의 `일본어 창작론`에 있어서 `자기`와 `수단`이라는 양립 불가능한 두 개의 일본어를 설정했다. 하지만 그로 인해, `자기`로서의 일본어는 타자화되어 갔다. 이러한 김달수의 언어관은 재일조선인 사회에서 `민족=언어`의 원칙을 부수는 행위로서 오해받게 되지만, 사실 김달수의 `일본어`는 같은 원리로부터 생성된 것이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볼 때, 그의 `일본어 창작론`은 포스트 콜로니얼 임계점에서 발생하는 재일조선인 사회의 `민족`과 `언어`를 둘러싼 복잡한 양상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Zainichi Korean writer Kim Dalsu is considered a “representative” of Zainichi Korean Literature. According to recent research trends, he was evaluated as such because he wrote his works in “Japanese.” However, these evaluations are considered to diminish the worth of people who write in both Japanese and Korean or in the Korean of “Zainichi Korean Literature.” It is true that Kim Dalsu is “unique” in Zainichi Korean Literature, and not just as its “representative.” This is why we need to focus on his writings in “Japanese” and consider the significance of “Japanese” for him. In that sense, we also need to consider why he strongly argues for writing in Japanese after the liber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even though restoration of ethno-language is important for the Korean people in Japan.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reason he emphasized on writing in Japanese and the significance of “Japanese” for him based on his linguistic experience. In this context, I try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Nation” and “Language” in Zainichi Korean Society after the liber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its complicated political and historical circumstances. Kim Dalsu, who had only the creative language of “Japanese” as an internalized language, set two Japanese which are incompatible with self-identification and means in the “Japanese Writing” theory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As a result, Japanese as self-identification became unified and became invisible. Such Japanese view of Kim Dalsu`s “Japanese” was misunderstood as a destruction of the “Nation=Language” principle in Zainichi Korean society in Japan, but Kim Dalsu`s “Japanese” was made based on the principle of “Nation=Language” in that sense, we can capture one aspect of complex aspects of “Nation” and “Language” at the post colonial critical point in Zainichi Korean society from his theory of “Japanese Writing.”

      • KCI등재

        기계학습 알고리즘 기반의 인공지능 장기 게임 개발

        장명규,김영호,박기현,민동엽,이승수,우종우 한국IT서비스학회 2017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16 No.4

        Researches 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en explosively activated in various fields since the advent of AlphaGo. Particularly, researchers on the application of multi-layer neural network such as deep learning, and various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re being focused actively. In this paper, we described a development of an artificial intelligence Janggi game based on reinforcement learning algorithm and MCTS (Monte Carlo Tree Search) algorithm with accumulated game data. The previous artificial intelligence games are mostly developed based on mini-max algorithm, which depends only on the results of the tree search algorithms. They cannot use of the real data from the games experts, nor cannot enhance the performance by learning. In this paper, we suggest our approach to overcome those limitations as follows. First, we collects Janggi expert’s game data, which can reflect abundant real game results. Second, we create a graph structure by using the game data, which can remove redundant movement. And third, we apply the reinforcement learning algorithm and MCTS algorithm to select the best next move. In addition, the learned graph is stored by object serialization method to provide continuity of the game. The experiment of this study is done with two different types as follows. First, our system is confronted with other AI based system that is currently being served on the internet. Second, our system confronted with some Janggi experts who have winning records of more than 50%.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rate of our system is significantly hig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