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名臣에서 近臣으로- 1794년 다시 모사된 許穆 초상

        민길홍 국립중앙박물관 2023 미술자료 Vol.- No.103

        1794년 모사된 <허목 초상>의 원본은 1676년(숙종 2)에 처음 그려졌다. 허목이 우의정이 되고 耆 老所에 들어간 것을 기념하고자 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렇게 제작된 82세 허목 초상은 경기도 연천 恩居堂에 보관되어 왔는데, 118년이 지난 1794년 정조가 오래도록 흠모하였다고 밝히며 허목 초상을 구해 들여올 것을 지시하면서 모사가 시작되었다. 蔡濟恭(1720~1799)은 은거당에서 허목 82세상을 들여와 당시 최고의 초상화가 이명기에게 허목 초상을 모사하도록 하였다. 완성된 초상은 정조가 열람하였으며, 첩장본을 추가로 모사하여 궁궐 내 에 두도록 하였다. 정조는 이를 통해 先代의 名臣을 자신의 近臣으로 삼아 탕평책을 강화하고 남인 들의 지지를 얻을 수 있었다. 정조와 대신들은 논의를 거쳐 영주 紹修書院을 비롯하여 경기도 연천 과 전남 나주에 소재한 서원에 봉안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이러한 내용은 채제공의 문집을 비롯하여, 소수서원과 미천서원 관련 기록에 남아 전한다. 본고에서는 기록과 현존 유물을 통해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 첩장본으로 다시 모사된 본, 미천 서원, 미강서원에 봉안된 본, 총 4점과, 종손가에 소장되어 온 반신상 1점까지 총 5점이 1794년에 모 사된 것으로 결론지었다. 허목 사후에 바로 그를 모신 서원이 세워졌지만 초상은 봉안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이며, 1794년 모사본 제작이 되면서 봉안되었음이 확인된다. 모사를 위해 은거당 원본이 연천에서 도성 안으로 들어오던 날과, 모사된 초상이 도성 밖으로 떠나던 날에 남인들은 채제공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회합을 가졌다. 초상화 제작은 서원 봉안이라는 의미를 넘어, 정치적으로 학맥을 결합하고 결속을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 소수서원이 허목을 모신 서원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대 신들이 허목 초상을 소수서원으로 보내야한다고 주장했던 것은 초상의 모사와 봉안의 과정을 통해 李滉(1502~1571)에서 鄭逑(1543~1620)로, 다시 허목으로 이어지는 학문의 정통성을 정립하고자 했 기 때문이었다. 정조의 입장에서도 선대 왕의 명신이었던 허목 초상을 모사함으로써 채제공 및 남인 들의 지지를 얻을 수 있었다는 의미에서, 近畿南人의 대표 허목을 그의 근신 그룹으로 끌어온 것과 마찬가지 효과를 이루었을 것이니, 이렇게 정조와 남인은 각각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초상화 는 원본이 낡았을 경우나 서원 봉안을 목적으로 모사되었던 전통이 있었는데, 허목 82세상은 그러한 전통적인 모사 맥락을 넘어서, 정조의 전략과 남인들의 학맥 결집이라는 정치적 맥락 속에서 재탄생 하였다는 중층적 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후보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형록필 책가도 : 덕수4832 <책가도>를 중심으로

        민길홍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5 동원학술논문집 Vol.16 No.-

        책가도는 책을 비롯하여 당시 귀중했던 여러 가지 물건들을 함께 그린 그림을 말하며, 책거리도라고도 한다. 조선시대에는 책에 대한 중시와 관심도가 매우 높았다. 과거에 급제하고 출세하기 위해서는 책을 많이 읽어야 했고, 책을 읽어 쌓이는 문인으로서의 소양은 조선시대 선비 문화 전반에 깔려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책가도뿐만이 아니라, 신선도, 풍속화 등 다른 회화 장르에서도 책이 표현되고 있다. 그 결과 책가도는 궁중에서부터 민간에까지 광범위한 계층에서 모두 애장하던 그림이 되었다. 궁중화원이 진채(眞彩), 계화(界畫) 기법 등으로 그린 궁중회화에서부터, 이름 없는 화가가 그린 민화까지 폭이 매우 넓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는 총15점의 책가도가 소장되어 있으며, 그 가운데 조선시대 최고의 책가도 화가인 이형록(李亨祿, 1808~1883 이후)이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그림은 총 두 점이다. 본고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 책가도 소장 현황을 정리하고, 그 가운데 덕수4832 <필자미상기구도(筆者未詳器具圖)>를 이형록이 그린 책가도로 비정하고, 이형록을 이 책가도의 화가로 추정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등장하는 소재의 상징성과 표현 기법 등을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Referring to a scholar's accoutrements, chaekgado or chaekgeorido is a painting of books and various objects of value in the period depicted. Books were highly valued and attracted much attention in the Joseon Dynasty. To pass the civil examination and lead successful lives, people of the Joseon era had to read many books, and the importance of knowledge accumulated through reading among the literati can be said to have influenced the overall scholarly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In turn, paintings depicting scholarly accoutrements were treasured from the court to commoners alike. A wide range of paintings existed at the time, from court paintings drawn using the technique of deep-coloring or gyehwa, ruler painting by royal artists, to folk paintings by unknown artists.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as confirmed to possess 15 pieces of chaekgado.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currently houses two artworks assumed to have been drawn by Lee Hyeongrok (1808-1883), who was known as the best chaekgado painter in Joseon Dynasty. In this paper, the author summarizes the National Museum of Korea's current status of possession with regards to chaekgados, and newly defines the Painting of Objects previously of unknown artist as a work of Lee Hyeongrok.

      • KCI우수등재

        채용신蔡龍臣 평생도平生圖: 편집된 기억의 시각화를 통한 자의식의 표출

        민길홍 한국미술사학회 2023 美術史學硏究 Vol.320 No.320

        석지 채용신(1850~1941)의 일생을 담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평생도> 10폭병풍(고 이건희 회장 유족 기증)은 8세에 아버지에게 글을 배우기 시작하여 31세에 결혼을 하고 37세에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오르고, 51세에 태조 어진을 그리고, 칠곡군수, 정산군수 등을 역임하고 1910년 61세에 회갑연을 여는 장면을 마지막으로 구성되었다. 채용신은 자신의 평생을 10폭으로 그려 관직 생활을 무난하게 완수하고 어진 제작에 참여했던 경험을 그려넣음으로써 개인의 영광을 자손에게 보이고 가문 대대로 전하고자 했다. 그 과정에서 기억은 선택되고 재편집되어 시각화되었다. 권철수가 1924년 쓴 글이 평생도와 내용이 부합되며, 인물, 건물 등 묘사가 채용신의 다른 그림과 유사하다는 점, 70세부터 80옹으로 스스로 일컬었다는 점 등을 통해, 평생도는 채용신이 1920년경 주도적으로 관여하여 그린 것으로 보았다. 또한 장독대의 흰 버선본, 이정표 역할의 장승 등 곳곳에 당시 생활 문화가 충실하게 반영되어 있어 민속학적으로 우리나라 근대 생활문화를 알려주는 시각자료로서 의미가 크다. Pyeongsaeng-do, Paintings of an Ideal Life by Chae Yong-sin, a part of the Lee Kun-hee Bequest now stored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s a ten-panel folding screen that depicts scenes from the painter’s life: at eight years old, he learns to read from his father; at thirty-one, he marries his wife; at thirty-seven, he passes Kwagŏ,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takes up a government position; at fifty-one, he paints a posthumous portrait of King Taejo; he serves as governor to Ch’ilgok-gun and Chŏngsan-gun; and celebrates his 60th birthday in 1910. On the ten panels, Chae Yong-sin depicted important events of his life such as his successful career and participation in the production of King Taejo’s portrait, to present to and commemorate with his progeny his moments of glory. Important events were carefully chosen, edited, and drawn on each screen. The correspondence of represented events with the record of Chae’s life made by Kwŏn Ch’ŏlsu in 1924, the similarity in style of the people, buildings and other motifs to his other paintings, and the fact that he referred to himself as “an old man of eighty years” since he was seventy years old, all suggest that Chae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making of this ten-panel painting around 1920. In addition, the painting faithfully reflects contemporary culture—the white patterns for pŏsŏn, changsŭng that acted as a signpost—, serving as an important visual document to how people lived in early modern Korea.

      • KCI등재후보

        模寫를 통한 家傳과 傳承, 조선시대 〈南池耆老會圖〉 - 국립제주박물관 소장본을 중심으로 -

        민길홍(閔吉泓) 국립중앙박물관 2019 미술자료 Vol.- No.95

        〈南池耆老會圖〉는 1629년(인조 7) 6월 5일 李貴(1557~1633), 李好閔(1553~1634), 李惟侃(1550~1634) 등 11명의 노인이 숭례문 밖에 있던 洪思斅(1555~1634)의 집에서 가졌던 사적인 모임을 화원화가 李起龍(1600~?)이 그린 계회도다. 현재 서울대학교 박물관 소장본(보물 제866호) 등 총 9점이 남아 전한다. 원래 참석 예정자 12명은 68세부터 81세까지 연령대가 다양했다. 당일 실제 참석자는 11명이었으나, 그림은 12본이 제작되었고, 인물도 12명을 그려 넣었다. 모임 장면의 그림, 張維(1587~1638)의 발문, 참석자 명단인 座目, 화면 좌우에 적힌 李景稷(1577~1640)의 序文으로 구성되었다. 모임 당시 그려진 원본으로 추정되는 서울대학교 박물관 소장본(보물 제866호)을 비롯하여 현재 남아있는 여러 본 가운데, 국립제주박물관 소장 〈남지기로회도〉는 참석자 중 하나였던 이유간의 8대손이었던 李奎遠(1833~1901) 제주목사 후손 가문에서 2003년 국립제주박물관에 기증한 것이다. 제목은 빈 자리로 남겨두었고, 사물의 위치와 공간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착오가 보이며, 화풍상 민화에 가깝다. 본고에서는 제작 시기를 19세기 후반경으로 보았다. 또한, 모임 당시로부터 200여 년이 흐른 후에도 선조의 중요한 유물이 지속적으로 모사되어 전해지고, 때로는 원본이 없는 상태에서도 모사본이 또다른 모사본을 탄생시키는 전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각별한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가전화첩』이라는 형식으로, 명망 있는 가문에서 선조대의 중요한 업적이나 행사를 그림으로 그려 대대로 전해지게 한 예는 『愛日堂具慶帖』, 『宣寧南氏家傳畵帖』, 『大邱徐氏家傳畵帖』 등이 있다. 그런데, 여러 가문 내에서 동시에 한 작품을 지속 적으로 모사한 것은 〈남지기로회도〉가 거의 유일하다고 할 수 있다. 남지기로회도의 참석자들은 후대 19세기까지 세도가문의 중추를 이루었던 인물들로, 학파와 가문의 내력을 중시하던 당시의 가전화첩 제작 문화 속에서 다른 어느 그림보다도 반복 제작되었던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즉 궁중의 기로소처럼 70대가 넘은 전현직 고위관료들의 모임이면서, 정치적 지향점과 풍류와 우애를 나누던 이들의 모임은 19세기에 이르러 어떤 행적보다 가문의 영광이 될 만 했고, 그러한 영광스러운 순간이라는 과거는 가문의 현재 결속과 미래를 위해 지속적으로 그림으로 모사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Painting of a Gathering of Venerable Officials by Namji Pond produced by the court painter Yi Gi-ryong(1600~?) depicts a private gathering of eleven senior men, including Yi Gwi(1557~1633), Yi Ho-min (1553-1634), and Yi Yu-gan (1550-1734), at the house of Hong Sa-hyo (1555-1634) outside the Sungnyemun Gate of Seoul on the fifth day of the sixth lunar month of 1629. Nine copies of this painting, including one o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remain today. Twelve people ranging in age from sixty-eight to eighty-one were invited to this gathering, but eleven eventually attended. Only retired senior officials over age of seventy could join the Giroso(Hall of Venerable Officials). However, since this was a private gathering, sixty-eight-year-olds were allowed to take part, a reflection of the tradition of the Gathering of Nine Elders on Mount Xiangshan in China. This painting includes a title written in seal script (in some of the nine copies the space for the title is left blank), a depiction of the gathering, a colophon by Jang Yu (1587-1638), a list of attendees, and a preface by Yi Gyeong-jik (1577-1640), the son of Yi Yu-gan, on separate sheets are attached at the left and right borders of the painting. Although eleven people actually joined the gathering, the painting depicts all twelve invitees. Among the several existing copies of Painting of a Gathering of Venerable Officials by Namji Pond, the version i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Treasure No. 866) is presumed to be the original produced at the time of the gathering. The copy in the collection of the Jeju National Museum was donated in 2003 by descendants of the Jeju county magistrate Yi Gyu-won(1833-1901), an eighth-generation linear descendant of Yi Yu-gan, who attended the gathering. Soon after the painting was donated, it was displayed at a special exhibition. This paper attempts to shed new light on this painting. The space for the title in this copy is left blank, as can also be seen in the version in the Korea University Museum. The Jeju copy fails to realistically position and spatially perceive objects, reflecting the original. The painting style is similar to that of folk painting. In this paper, I argue that Painting of a Gathering of Venerable Officials by Namji Pond in the Jeju National Museum was copied at some point around the late nineteenth century. Together with the other extant copies and related records, this painting carrie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embodies the tradition of continuously copying precious antiquities passed down for more than 200 years and reproducing duplicates of missing originals. Prominent families produced gajeon hwacheop (family biography pain ting albums) illustrating the great achievements of their ancestors and major family events. These albums were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Examples include Album for the Parents of Aeildang, Painting Album of the Family Biography of the Nam Clan in Uiryeong, and Painting Album of the Family Biography of the Seo Clan in Daegu. However, Painting of a Gathering of Venerable Officials by Namji Pond is the sole example of a work copied repeatedly by several families. The attendees of the gathering of seniors at Namji Pond belonged to families that remained influential until the late nineteenth century. Given the cultural context of powerful families producing family biography painting albums, the version at the Jeju National Museum must have been copied more repeatedly than any other painting. At the time, family histories and schools of thought were paramount. Thus, the gathering in 1629 was not only a get-together for active and retired high-ranking officials over the age of seventy, like the Giroso, but a meeting of those who shared political opinions and tastes in the arts and cultivated mutual friendships. By the nineteenth century, such gatherings were regarded by the families of their attendees as highly honorable. Accordingly, this

      • KCI등재

        이당(彛堂) 조병헌(趙秉憲)(1876~1938) 집안 전래 회화(繪畫) ― 석정(石亭) 이정직(李定稷)(1841~1910)과 전북 근대 화단의 일면

        閔吉泓 ( Min¸ Gil-hong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5 No.-

        조선시대 서화 전통의 맥은 전라북도 근대 서화로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까지는 전북 지역에 서화로 이름난 인물은 거의 없었다. 그래서 石亭 李定稷(1841~1910)은 마땅히 그림을 배울 스승을 찾지 못해 독학을 했던 것이다. 오늘날 ‘藝鄕’으로 전라북도를 꼽게 된 것은, 이정직이 그 시작이었다고 할 수 있다. 많은 이들이 제자가 되고자 이정직을 찾아왔고, 그렇게 점점 커진 물결은 근대 전북 화단을 만들었다. 彛堂 趙秉憲(1876-1938)은 김제 출신으로, 이정직의 제자 가운데 하나로 알려져 왔지만, 다른 제자들에 비해 생애에 대해 알려진 기록이 많지 않고 현전하는 작품도 거의 없어, 그동안 조명받지 못했던 서화가다. 족보와 관련 기록을 통해, 서울로 올라가 서화가들과 官界 인물들과 교유를 했고 느즈막히 고향 김제로 내려와 聲慶廟 參奉에 제수되었다는 점 정도가 알려져 있었다. 본고에서는 집안에 전래되어 온 유물들을 통해 전북을 넘어서 서울화단까지 이르는 조병헌 일가의 교유관계를 확인하고, 조병헌이 서예와 묵죽에 특장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장내력이 확인되는 유물들이라는 점에서 유물 자체가 가지는 미술사적 의미를 넘어서 시공간적으로 서로 관계맺음 속에서 작품이 가지는 의미를 고찰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컬렉션 전체를 통해 조병헌과 조송 부자의 서화를 온전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근대에서 현대로 이어지는 전북 예술사의 큰 흐름에서 한 조각 비어있던 부분인 조병헌을 찾아내어 퍼즐을 맞출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It can be said that the tradition of calligraphy and painting in the Joseon Dynasty was carried on to modern calligraphy and painting in Jeollabuk-do. There was no one famous for calligraphy and painting in Jeollabuk-do in Joseon Dynasty. Therefore, Yi Jeong- Jik would have been self-taught because he could not find a teacher to teach painting for him. At the beginning of the selection of Jeollabuk-do as ‘Art town(藝鄕)’, there was Yi Jeong-jik(1841~1910). Many people came to him to become a disciple, and the growing wave created the modern Jeonbuk art history. Jo Byeong-heon趙秉憲 (1876~1938) was born in Gimje and has been known as one of Lee Jeong-jik’s pupils. According to genealogy records and related records, it was known that he went to Seoul to interact with calligraphers and related officials, and he in later years, came down to his hometown of Gimje and enjoyed his life reading books and so on. In this paper, through the relics handed down through the famil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extensive relationship of the Jo Byung-hun family from Jeollabuk-do to the Seoul art gallery and it was found that Jo Byung-hun was specially good at his calligraphy and bamboo painting.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lies in solving the puzzle in the large flow of art history in Jeonbuk from the modern era to the present, by finding the missing piece, Cho Byung-hun.

      • KCI등재

        朝鮮 後期 唐詩意圖

        閔吉泓(Min Kil-hong) 한국미술사학회 2002 美術史學硏究 Vol.- No.233·234

        唐詩意圖 (Tangsiyido) refers to paintings inspired by Tang Poetry. In China, Korea, and in Japan, artists often illustrated or expressed the scenes or mood described and suggested in a poem. In the late Chosen period, such prose poems as Tao Y?anming's Homecoming odes, and Su Shi' s Red Cliff odes were adopted as a theme of painting. But it was Tang Poetry which was most popular among the paintings. The surviving paintings inform us of the fact that the adoption of Tang Poetry as an inspiration for painting had gained more popularity in the late Chos?n period. It seems that the late Chos?n period painters considered Wang wei and Du fu (杜甫, 712-770)' s poems as the most important for their paintings. Many of them correspond to examination topics for painters-in-waiting (差備待令畵員, Chabidaery?ng hwaw?n) at Kyujanggak (奎章閣) in the late Chos?n period. The popularity of Tangsiyido was brought about by the popularity of Tang poetry in the late Chos?n period. While there were no publication of Song poetry, many selections of Tang poetry were published, reflecting the contemporary literary taste. The introduction of various painting manuals such as The Manual of Painting Tang poetry and The Mustard Seed Garden Manual of Painting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creation of paintings inspired by poetry done in the style of Southern School painting. It is highly probable that most literati painters tended to pick one of their favorite poems for the theme of their paintings, and that professional painters tended to illustrate a poem selected by their patrons such as literati, or middle people (中人) who pursued literati's life style, These two groups' paintings, that is, one by literati paintings and the other by professional paintings, show a definite difference in the way they visualize the couplets from a poem, For example, Kang Sehwang (姜世晃, 1713-1791)'s 〈Landscape〉, H? Pil(許?, 1709-1761)' s 〈Painting inspired by Du Fu's poem〉 and Ch?ng S?n and Kim H?igy?m (金喜謙, 18세기)'s 〈Peach Blossom Spring 桃源行〉 reveal differences in the choice of poems and the way they were portrayed. Kang Sehwang' s 〈Landscape〉, even when inspired by Wang Wei's poem, did not truly betray the contents of the poem, but followed the generalized style in painting manuals, H? Pil's 〈Painting inspired by Du Fu's poem〉 did not portray a bird, a dog, or a bamboo wood, mentioned in the inscription, Literati painters expressed their own interpretation of a poem, In contrast to those, paintings of Ch?ng S?n and Kim H?igy?m‘s 〈Peach Blossom Spring〉, which take its theme from Wang Wei's 〈Peach Blossom Spring〉, betray an awareness of the specific context of couplets in the original Tang poem, These paintings had the possibility of having been patronized by someone, Each couplet that they inscribed on the painting generally contains the most concrete image of the poem, In the late Chos?n period, true-view landscape paintings flourished more than in any other period. It was opposed to imaginary landscapes or traditional landscapes which were based on themes taken from Chinese literature or from chinese painting manuals, The demand for this traditional and imaginary mode of painting was continued in the late Chos?n period while true-view landscape painting was flourishing, During that period, there was a polarity whose poles were. on one hand, the kind of idealized painting constructed out of conventional forms, and on the other hand, the kind that aims at a reasonably faithful portrayal of a passage of natural scenery, It i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those two kind of painting style co-existed reciprocally in the late Chas?n period,

      • KCI등재

        Sectional curvatures of the Siegel-Jacobi space

        양재현,Young-Hoon Yong,허수나,신정희,민길홍 대한수학회 2013 대한수학회보 Vol.50 No.3

        In this paper, we compute the sectional curvatures and the scalar curvature of the Siegel-Jacobi space H1 × C of degree 1 and index 1 explici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