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사회적 지원과 운동참여 동기 및 주관적 가치가 운동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인과분석

        민경훈(Kyung Hoon Min),박영기(Young Gee Park) 한국체육교육학회 2010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5 No.4

        이 연구는 경기도내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교 아동 530명(남: 282, 여 : 248)을 대상으로 친구와 부모의 사회적 지원, 운동참여동기, 주관적 운동가치와 운동참여 간에 어떤 인과관계가 있는가를 밝히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친구와 부모의 사회적 지원을 외생변인으로 하고 동기, 주관적 운동참여가치와 운동참여를 내생변인으로 한 이론모델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GFI, TLI, CFI 지수 및 χ2/df 값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이 연구에서 설정된 이론모델은 양호한 모델로 나타났다. 세부적 지수를 분석한 결과 친구의 사회적 지원 → 동기, 주관적 가치, 부모의 사회적 지원영향 → 운동참여, 동기, 주관적 가치, 동기→ 운동참여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아동의 운동참여에 부모의 사회적 지원과 유능성 동기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e equation model. This theoretical model were exogenous variables which were constructed parental and best friends` social support, endogenous variables sport motivation of physical activity, subjective values of physical activity, and athletic participation. The subjects were 530 elementary school children(boys: 282, girls: 242) who have live in Kyung-kee province. This study used Fredricks & Eccles(2005)` social support scale, Williams, Ryan, & Deci(2004)`s perceptions of sport motivation, Eccles & Wigfield(1995)` subjective value of physical activity scale, and Sabiston & Crocker(2008)` athletic participation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uggest model was a good fit to data(χ2/df= 2.795, GFI=.923, TLI= .905, CFI=.908, RMSEA=.062(.041~.071)), therefore this structural model was testified significant as a theoretical model. In analysis each path significant, the path of friend`s support → sport motivation, values of physical activity, parent`s social support → athletic participation, sport motivation, and values of physical activity, and sport motivation → athletic participation, values of physical activity → athletic participation.

      • KCI등재

        고등학교 선택과목 ‘음악과 진로’와 관련하여 음악 산업에 관한 내용 및 지도 방법의 논의

        민경훈(Min Kyung 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4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은 진로의 탐색을 강하게 부각시키는 정부의 의지에 따라 고등학교에 새로운 선택과목 ‘음악과 진로’라는 과목을 포함시키고, 2014년도 고등학 교 1학년부터 가르치도록 하고 있다. 특히, 고등학교 시기 청소년들의 인지적 발달의 특성을 고려할 때 고등학생의 수준에는 음악적 현상이나 가치에 대한 비판적 · 분석 적 사고의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시기에 ‘음악 산업’에 관한 효과적인 학습을 통하여 청소년들의 비판적 · 분석적 사고와 음악 산업에 대한 폭 넓은 안목을 이끌어 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다고 본다. 이러한 국면에서 이 연구는 여러 학자들의 이론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고등학교 선택과목 ‘음악과 진로’의 수용적 타당성을 알아보고, ‘음악과 진로’의 수업에서 음악 산업과 관련한 내용들, 즉 음악 산업의 변 천과정 · 음악 산업과 관련된 직업의 종류 · 음반 산업의 구조와 특성 등을 살펴보며, 이와 관련한 효과적인 교수 · 학습 방법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러한 음악 산업에 관한 수업은 학생들이 음악 산업과 관련하여 다양한 정보를 습득하고, 더 나아가 음 악 산업과 연관된 다양한 직업을 탐색해 보는 데에 도움을 줄 것이다. The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in 2009 included a new elective subject Music and Career , according to the strong will by the government to emphasize career searching, and made it to be taught to freshmen in high schools since 2014. Especially, considering cognitiv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eenagers in the high school level, critical and analytical process of thinking about musical events or values are necessary in the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Hence, inducing to youths critical and analytical thinking and extensive eyes for music industry through effective study about music industry may be very meaningful. In this aspect, this study examined accepting validity of the elective subjective Music and Career based on the revised curriculum by 2009 and the contents related to music industry in the classes of Music and Career , which mean the changing processes, the kinds of jobs regarding to music industry, and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phonographic industry, and discussed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bout them. These classes about music industry will help students gain different information about music, and also help them search various kinds of jobs related to music industr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초,중등학교 음악과 평가에 관한 이론적 논의

        민경훈 ( Kyung Hoon Mi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1 예술교육연구 Vol.9 No.1

        오늘날 초·중등학교 음악과 수업의 질적 변화 앞에서 무엇보다도 지금까지의 평가의 역할과 기능에 대하여 반성적 성찰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공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질에 대한 비판과 불신의 목소리가 높아지는 등 학교 음악교육에서 많은 문제점들이 표출되고 있는 현 시점을 감안할 때, 음악과 평가의 새로운 개선이 무엇보다도 시급한 당면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국면에서 본 연구는 음악과 평가에 관하여 논의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같은 목적을 가지고 이 연구는 먼저 음악과 평가의 유형 및 평가의 방법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그 후 음악과 평가에 필요한 평가도구의 제작 및 종류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음악과 평가의 결과에 대한 분석의 중요성과, 이 결과분석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피드백이 음악의 학습지도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에 대하여 논의해 보았다. In preparation for current qualitative changes of music class, above all reflection and examination on the role and function of existing assessment is required. Especially, criticism of and distrust in the quality of music education as public education is getting intense. Considering that many problems of school music education are revealed, it is urgent to improve the assessment of music program. Based on it,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need and methods of music program. With the purposes, first of all the theoretical background on types of assessment of music program and methods of assessment are examined, and then production and types of required assessment tools for the assessment of music program are discussed. And the result analysis of the assessment of music program and the its application are discussed. Finally, the ways to apply the feedback made by reflecting the result analysis of the assessment of music program on music instruction are looked for.

      • KCI등재

        바이마르 공화국 ( Weinmarer Republik ) 이후 독일 음악교육의 발전

        민경훈(Kyung Hoon Min) 한국음악교육학회 1998 음악교육연구 Vol.17 No.-

        Anfang des 20. Jahrhunderts haben die Reformpla¨ne Hermann Kretzschmars und Leo Kestenbergs die Wandlung und Verbesserung der schulischen Musikerziehung eingeleitet. Die Kestenberg-Reform zeigt ihre erzieherischen und methodischen Einflu¨sse auf den Musikunterricht, z.B. durch die Entdeckung des Scho¨pferischen im Kinde und die Selbstta¨tigkeit des Kindes. Nach dem ersten Weltkrieg hat Leo Kestenberg in seiner `Denkschrift u¨ber die gesamte Musikpflege in Schule und Volk` (1923) und in den erlassenen Richtlinien seine Ausfu¨hrungen und Bestimmungen u¨ber die schulische Musikerziehung dargelegt. Wichtige Aspekte aus Reformpla¨nen Leo Kestenbergs sind wie folgt zusammenzufassen : 1) Das Fach hat sich vom technischen Fach `Gesang` zum `Musikunterricht` gewandelt. 2) Trennung von gemu¨tbildenden und wissenschaftlichen Fa¨chern 3) Das wichtigste Ziel ist `Lust am Singen und Musizieren` 4) Erziehung durch Musik und zur Musik 5) Neue Prinzipien sind die Entdeckung des Scho¨pferischen im Kinde und die Selbstta¨tigkeit des Kindes. 6) Nichtbeachtung der damaligen musikalisch technischen Medien 7) Orientierung an vokaler und instrumentaler Kunstmusik 8) Ho¨ren von Musikwerken und Hinwendung zur Tradition Besonders ha¨lt Kestenberg die Kenntnis und Versta¨ndnis der klassischen Instrumentalmusik fu¨r wichtig, well die Sicherung der deutschen musikalischen Kultur und die Zukunft der deutschen Musik von diesem Versta¨ndnis abha¨ngig sein wu¨rde. Nach dem Ende des zweiten Weltkrieges werden die vorla¨ufigen Lehrpla¨ne nach und nach durch Neufassungen ersetzt, bestimmt durch die Alliierten. Die Musikerziehung bleibt jedoch bis spa¨t in die sechziger Jahre am Leitbild der Kestenberg-Reform orientiert. Seit 1950 tauchen einige Erweiterungen in den Lehrpla¨nen auf. Vor allem ist der Reflexionsprozeß in der Musikpa¨dagogik ausgelo¨st. Musikpa¨dagogische Kritiken operierten vorwiegend mit a¨sthetischen, philosophischen und geistesgeschichtlichen Argumenten gegen die Ideologie des musischen Lebens. Zur Zeit ist das pa¨dagogische u¨bergeordnete Ziel in Lehrpla¨nen die wechselseitige Beziehung des kognitiven, affektiven und psychomotorischen Bereiches. Damit sind die Richtziele des Musikunterrichts die Erziehung zur Mu¨ndigkeit und Emazipation. Das engere Ziel ist die Beeinflussung des musikalischen Verhaltens des Individuums. In der musikdidaktischen Fachliteratur werden die musikalischen Ta¨tigkeiten meist folgendermaßen bezeichnet, die Dankmar Venus `Verhaltensweisen` genannt und auf fu¨nf erweitert hat : Produktion, Reproduktion, Rezeption, Reflexion und Transposition. Allgemein la¨ßt sich sagen, daß die neuen Richtlinien und Schulbu¨cher durch Aktualita¨t und Verschiedenartigkeit gekenzeichnet sind. Mittelpunkt ist das bewußte Ho¨ren, und alles Ho¨rbare ist aus der Umwelt des Schu¨lers wie To¨ne, Kla¨nge und Gera¨usche. Musikbeispiele sind aus der vergangenen wie aus der zeitgeno¨ssischen Musik. Die grafische Notation hat Eingang durch fachliche und musikpo¨dagogische Berechtigung in die Lehrpla¨ne und Schulbu¨cher gefunden. Viele Musikpa¨dagogen schlagen neue Unterrichtsinhalte wie to¨nende und gera¨uscherzeugende selbstgemachte Klangerzeuger aus Alltagsgegensta¨nden vor. Technische Mittler werden fu¨r den Unterricht empfohlen. Die Inhalte wie Unterhaltungsmusik (Jazz, Schlager, Popmusik usw.), Lieder anderer Vo¨lker, zeitgeno¨ssische Kunstmusik sind aufgenommen, Neue Richtlinien der Grundschule wie alten Lehrpla¨nen beibehalten das Orff-Instrumentarium weiterhin. Die Musik-Schulbu¨cher des Gymnasiums beachten musikimanente und gesellschaftlich relevante Inhalte sowie vielfa¨ltige Lerninhalte auf wissenschaftlichen Bereichen, z.B. Schallehre, Musika¨sthetik, Musiksoziologie, Musikgeschichte sowie Musikpsychologe usw.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다문화 교육으로서 음악 교육의 필요성과 역할

        민경훈 ( Kyung Hoon Mi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09 예술교육연구 Vol.7 No.1

        이 연구는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와 관련하여 음악 교육이 어떻게 준비하여야 하며 어떠한 역할을 하여야 할 지에 대하여 논의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은 국제결혼의 증가, 노동력 유입 국가로의 탈바꿈, 북한 탈출 난민인 새터민의 꾸준한 증가에 기인한다.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 대부분은 학습 능력이 떨어지고, 문화적 충돌로 인한 소극적인 대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음악 교육은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에 대하여 매우 효과적으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역량을 지니고 있다. 효율적인 다문화적 음악 교육을 위해서는 악곡의 선정이나 지도 방법적인 측면에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즉, 다양한 연주에 대한 동영상 자료, 악기, 행사, 축제, 문화 등과 관련된 다양한 그림이나 사진 등을 제작·개발하여 다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discuss how to prepare music education related to it and what the role of music education is. In Korea,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due to increase of international marriages, change into a country with the influx of manpower, and steady increase of refugees from North Korea. Most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have lowered learning ability, and have passive personal relations because of cultural conflict. Music education has a power that can have influence on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very effectively. For efficient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much study on the selection of musical pieces or methods of instruction is required. That is, it is important to produce and develop video clips about various types of performance, various pictures or paintings related to musical instruments, events, festivals, and cultures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 KCI등재후보

        중,고등학교 음악과 수업 평가 준거 개발

        민경훈 ( Kyung Hoon Mi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0 예술교육연구 Vol.8 No.1

        2010년부터 전국적으로 교원평가제가 실시될 예정이다. 이러한 국면에서 이 연구는 중·고등학교 음악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음악 수업에 대한 평가 준거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우선적으로 이론적 관점에서 수업 평가의 개념과 의의 등을 알아보고, 평가 요소에 대한 학자들의 다양한 견해들을 고찰하였다. 그 다음 수업 평가를 위한 평가 요소들을 추출하기 위하여 평가 준거 개발의 원리에 대하여 논의한 후, 이 원리들을 바탕으로 중·고등학교에 적용시킬 수 있는 음악 수업 평가 준거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수업 평가지는 중·고등학교의 음악 수업을 효과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music class in middle and high schools to increase its quality. To evaluate the music class, it is urgent to develop the evaluation criteria among others. In particular, the issues such as for what purpose the evaluation result will be used and on what need it is evaluated should be identified first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music class evaluation. The methodology to develop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music class includes; first, examining the concept and implication of music class evaluation from theoretical perspective; second, examining various views from many scholars on the evaluation elements; third, discussing the principles i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criteria to derive out the evaluation elements for the class evaluation; finally, based on the principles, developing the music class evaluation criteria that can be used for middle and high schools. The evaluation criteria develop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changing the music class in middle and high schools more efficiently.

      • KCI등재

        초등학생의 운동 목표내용에 따른 심리적 욕구만족이 운동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인과분석

        민경훈(Kyung Hoon Min) 한국체육교육학회 201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6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의 운동 목표내용과 심리적 욕구만족이 운동참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인과관계를 밝힘으로써 초등학교 아동의 운동참여 활성화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1년 현재 광주와 전남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생 1,162명(남: 586, 여: 577)을 대상으로 운동목표 내용척도와 심리적 욕구만족척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변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적목표내용과 외적목표내용은 모두 심리적 욕구만족인 관계성, 유능성, 자율성 및 운동참여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 목표내용과 심리적 욕구만족은 운동참여와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인 간 인과분석 결과 이 연구에서 설정된 운동 목표내용을 외생변인 변인으로 하고, 심리적 욕구만족과 운동참여를 내생변인으로 한 연구모델은 양호한 이론 모델로 나타났다. 세부적 지수를 분석한 결과 외생변인과 내생변인 간 경로인 내적과 외적 목표 → 관계성, 유능성, 자율성, 내적 목표 → 운동참여와 내생변인 간 관계인 관계성 → 유능성, 관계성 → 자율성, 유능성 → 자율성 및 유능성 → 운동참여의 경로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l of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goal content for exercise,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exercise participation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is study constructed structure model which was exogenous variable as the goal content for exercise and endogenous variables were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exercise participation in elementary schol children. This study was to use original GCEQ which was made by Sebire et al.(2008) , PNSC which was made by Cox와 Williams(2008) and it revised for Korea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bjects were 1,162(boys: 586, girls: 577)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y have lived in Gwangju city and Chonnam province now. First, boys showed higher internal and external goal content for exercise, and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than those of girls. Second, in analysis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goal content and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exercise participa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ternal goal content and exercise. Third, in analysis structure equation, general goodness index were more than.90.( χ 2= 369.847, χ 2/df = 2.126, GFI =.901, NFI.915, TLI =.919, CFI =.933, RMSEA =.070). Thus this study model was able to use theoretical model. The pathes of internal and external goal content → relationship, competence, autonomous, internal goal content → exercise participation, and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 exercise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ce.

      • 창의·인성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의미와 실태 분석

        민경훈(Kyung-hoon Min)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 2017 예술과 인간 Vol.3 No.1

        이 연구는 국가가 제시한 ‘창의성과 인성을 갖춘 인재양성’이라는 교육목표에 걸맞은 음악교육을 실현하는데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먼저 창의·인성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의미를 알아보고, 그다음 창의·인성교육과 연관된 음악교육 현장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실태조사는 창의·인성교육과 관련된 초․중․고 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현장의 교사들이 음악 창의·인성교육에 대하여 더욱 더 깊이 있게 이해하고 사고할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음악 창의·인성교육과 관련된 더 큰 노력과 프로그램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음악 교사들에 대한 연수 기회가 더욱 더 확대되어야 한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지 못한다.’는 말처럼, 학생들의 내면에 담겨 있는 창의성과 인성을 ‘음악’이라는 예술 과목을 통하여 발현시키고 발전시켜 창의성과 인성을 갖춘 인재를 길러내기 위해서는 누구보다도 교육에 임하는 교육전문가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 연구가 창의·인성교육과 관련하여 음악교육을 활성화하는데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music education suitable for the national goal of education such as "cultivation of talent equipped with creativity and charact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us and demand of music education related to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in the performance process of this study, it researched opinions of specialists in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among music teachers and core agents of creativity/character for music in each city and province. I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could be suggested like below. First, it would be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teachers in site to more deeply understand/think about music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Second, there should be researches on programs and more efforts related to music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Third, the training chance for music teachers should be more expanded. Just like the words ‘the quality of education cannot exceed the quality of teacher", the education specialists" effort would be the most important thing to cultivate talent equipped with creativity and character by expressing/developing students" internal creativity and character through the art subject of "music".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music education related to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