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등재지역 농업유산의 특성 분석

        정명철 ( Jeong Myeong-cheol ),문효연 ( Mun Hyo-yun ),윤순덕 ( Yoon Soon-duck ),김상범 ( Kim Sang-bum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6 농촌계획 Vol.22 No.4

        Since FAO introduced the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GIAHS) in 2002, 36 sites of 15 countries so far have been listed on GIAHS. This study aims to find the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s of Korea and to prepare the methods for them to be selected as GIAHS. We have analyzed the proposals of the 36 GIAHS listed in order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components of the agricultural heritage which worked for being selected. To analyze the components of the agricultural heritage first, agricultural heritage was classified into 13 types and 42 components in light of GIAHS criteria. Then central themes were set to analyze the relevant contents in the proposals. They were, the type of GIAHS Site, significant agricultural landscape, the agriculture-forestry-fisheries-livestock linkage systems, the multi-layered, inter-cropping, circulation cultivation systems, the soil and water management systems, the conservation of agrobiological diversity and genetic resources, the history of the agricultural heritage, the succession of traditional farming techniques, the cultural diversity and so on. Most GIAHS are located in mountains, grasslands, rivers and coasts, desert than in plains, through which GIAHS assure us that it is the heritage of human challenge to overcome the harsh geographic environment and maintain a livelihood. In these sites the traditional farming techniques are carried on, such as mountain clearings, terraced rice paddies, and burn fields, and the unique irrigation systems and agricultural landscapes are well maintained, and the eco-friendly traditional farming techniques utilizing abundant forest resources and agriculture are well handed down. The origin or home of crop growing, a variety of genetic crop storage, the world’s largest crop producer and preserving cultural diversity are also important factors for the selection.

      • 농업유산 등재기준에 따른 농촌 무형유산 분류체계 연구

        정명철 ( Myeong Cheol Jeong ),문효연 ( Hyo Yun Mun ),김미희 ( Mi Heui Kim ) 한국농업사학회 2014 농업사연구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농촌 무형유산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 유네스코의 민속과 무형문화유산,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의 전통지식, 그리고 우리나라 문화재청의 무형문화재와 민속문화재에 대한 정의를 비교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농촌 무형유산의 위상과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의 농업유산 2개를 포함한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31개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GIAHS에 등재된 세계 각국의 무형유산은 전통지식과 기술이 통합된 형태를 띤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는 유사하지만, 지역의 환경과 집단의 적응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농촌 무형유산 분류체계를 설정하기 위해, 먼저 GIAHS의 5가지 등재기준인 “식량·생계수단의 확보”,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의 기능”, “전통적 지식·농업기술의 계승”, “농업문화와 사회제도·관습”, “수려한 경관, 토지·수자원 관리특성”을 분석하여 무형유산과 관련된 세부내용을 추출하였다. 이와 함께 유네스코와 한국의 무형유산 관련 제도의 등재기준과 그 내용을 분석하였고 농촌진흥청의 한국전통지식자원분류안(kTKRC), 국립 민속박물관의 민속아카이브 등의 분류체계와 세부목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농촌 무형유산 분류체계는 GIAHS 등재기준의 표준정의와 해당범위를 준용하여 크게 5가지로 대분류하였으며, 유네스코와 우리나라의 무형유산 분류와 세부내용을 참조하여 하위항목을 설정하였다. 분류안의 구조는 열거형 분류법을 채택하였는데, 이 방식이 주제에 맞게 범주화하기 용이하고, 계층적으로 전개하여 항목 간의 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무형유산이 지닌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여 본 연구에서는 농촌무형유산을 식량안정성, 생물다양성, 생업기술, 농업문화 및 사회제도, 경관관리로 대분류하고, 하위항목을 중분류 19개, 소분류 50개로 구분하여 그 세부목록을 정리하였다. In this study, we performed a comparative analys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the rural intangible heritage : the definition of the folklore(UNESCO), the definition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UNESCO), the definition of the traditional knowledge(WIPO), the definition of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and folk cultural property of korea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n, we surveyed 31 cases of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GIAHS) including the two agricultural heritages of Korea to analyze the status and contents of rural intangible heritage. Through this, We found it fundamentally similar that the intangible heritages of the world listed on GIAHS had the integrated form of traditional knowledge and skills. Also, we could confirmed that their diversities had been made according to adaption ways of ethnic groups in different environment. First, we investigated the five selection criteria of GIAHS which include “food and livelihood security”, “biodiversity and ecosystem function”, “knowledge systems and adapted technologies”, “Culture, value systems and social organizations” and “remarkable landscapes, land and water resources management features” to set up a classification scheme of intangible heritage, and extracted contents relevant to it. In addition, we analyzed the selection criteria and the materials of the Intangible heritage related institutions of UNESCO and Korea. And aside from this, we went over the korean Traditional Knowledge Resource Classification (kTKRC) of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he Folklife Archives of the National Folk Museum. We classified the rural intangible heritage largely into five main categories in compliance with the standard definition and the corresponding scope of the GIAHS criteria. Afterward we configured sub-items with reference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UNESCO and of Korea. Finally, we divided the rural intangible heritage into food security, biodiversity, livelihood technologies, agri-culture, social systems and landscape management as subsection. And we arranged them after subdividing 19 class and 50 subclass.

      • KCI등재

        전통농업기술의 현대적 활용 가치-고농서의 전통지식을 중심으로-

        정명철 ( Jeong Myeong-cheol ),김수지 ( Kim Su-ji ),문효연 ( Mun Hyo-yun ) 남도민속학회 2016 남도민속연구 Vol.33 No.-

        친환경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전통농업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농업생물다양성을 지속적으로 증진하면서 농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의 농업기술로 인정받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Delphi) 기법을 이용하여 현대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전통농업기술을 선발하고 그 가치를 평가하였다. 델파이조사에 앞서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의 조선시대 고농서에 수록된 전통농업기술을 분석하여 유형별로 정리한 『고농서의 현대적 활용을 위한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 1~10권을 문헌고찰 자료로 선정하여 현대적으로 활용 가능한 전통농업기술 96건을 1차적으로 선발하였으며, 현대적 활용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학계, 연구, 지도 등 농업 분야의 전문가 20인에게 3회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우선순위에 따라 작부체계(作付體系), 골각회(骨殼灰)의 선택제초성(選擇除草性), 수조비(水藻肥), 겨거름과 분강수비(粉糠水肥), 채소 벌레 방제, 똥오줌에 대한 과학적 이해, 녹비작물, 과일나무 벌레 방제, 새삼(?絲) 방제, 콩류 최소경운재배 등 현대적으로 활용 가치가 높은 전통농업기술 10건을 최종적으로 선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농서에 수록된 전통농업기술 중 우선적으로 유용성과 과학성을 규명하기 위한 실증 대상 농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토대로 실증연구를 추진하여 현대적 도입이 가능한 농업기술을 개발하여 영농현장에 보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더 나아가 우리나라 전통농업기술 DB구축에 활용될 수 있고, 유용성과 과학성이 규명된 전통농업기술을 국제사회에 공표하여 나고야의정서에 따른 이익 공유와 국제적 지식재산권 분쟁에 대비하는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 growing interest in eco-friendly agriculture, traditional agriculture technology that had been formed for long time has attracted attention. It has been recognized as alternative agricultural technology that could secure food safety along with improving agrobiodiversity continuously. In this study, traditional agriculture technology for modern utilization was selected using Delphi method and its value was evaluated. Prior to Delphi survey, total 10 volumes of Ongoyijisin for modern utilization of old agriculture book were selected as literature data. The books are classified by category after analyzing traditional agriculture technologies written in old agriculture books of Joseon Dynasty era from 15C to 19C. 96 items of traditional agricultural technologies for modern utilization were chosen at first. Delphi survey was implemented 3 times to 20 experts who work in academia, research and instruction, etc. Through this, we selected total 10 of traditional agriculture technologies as priority, which are of great value neoteric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ble to be used as a empirical target farming to identify utility and scientific efficiency firstly among the traditional agriculture technologies. Based on this, to implement empirical research leads to develop agriculture technologies for modern utilization. Therefore, it is believed to be able to apply to agricultural field. Furthermore, korean traditional agriculture technologies could be used to accumulate DB. Identified traditional agricultural technologies would be announced to international community. It should also be used as references to prepare for benefit-sharing and dispute on international intellectual property under Nagoya Protoc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