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토마스 아퀴나스의 미 이론 연구

        문한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work is about the aesthetic theory of Thomas Aquinas (1224 ~ 1274). Aquinas is the first philosopher who overcame the long habitual thinking according to which the aesthetic is in the same line with the good and revealed the unique meaning of the aesthetic. He laid the foundation for theological thinking through the aesthetic. Aquinas had looked at the aesthetic in the metaphysical and theological dimension rather than in the sensual dimension. In his theory, the aesthetic is the reflection of a form existing in the spirit of God and appears in the characteristic of a substantial form (forma), the existence principle of an object. An object is beautiful because of its form. It is considered that something that has a form, or something that exists, is beautiful. Aquinas' thinking about the aesthetics is developed in the trial of revealing an entity's own universal prescriptivity and an entity's original value. He dealt with the aesthetic in the relation between the truth and the good, which are considered to be transcendentals that all entities have on their own. In so doing, philosophically and theologically, he maintained that the aesthetic is not any specific position of an object, but the value that an object has on its own as a creature of God. Aquinas defines the aesthetic as things that give pleasure to the eye (quae visa placent), or things that satisfy a desire when recognized. The aesthetic tradition in the Middle Ages saw the aesthetic in the same way as the good. But, By distinguishing the aesthetic from the good, Aquinas considers the good to be that the good itself is desired, and the aesthetic to be that recognition is desired. That is, he considers that, although, like the good, the aesthetic gives the satisfaction of a desire and pleasure to human beings, it is put the recognition object of the intellect ahead of the object of a desire. Unlike the good, the aesthetic does neither possess nor absorb the object, but gives satisfaction and pleasure to human beings only through the recognition of itself. Pleasure goes with the activities originating from natural instinct. Like intake of nutrients and preservation of the species, it follows the activities taken on the ground of the biological necessity regardless of rational thinking. Since the activities are instinctive and are closely related to an egoistic disposition, Aquinas thought that the pleasure accompanies the duty of abstinence. Nevertheless, he also referred to the possibility of another type of pleasure only human beings have, which is the pleasure attendant upon the recognition. Aquinas regarded the indifferent pleasure experienced in the recognition itself, regardless of the purpose of self-preservation, in the same light with the aesthetic pleasure. The aesthetic pleasure is gained by the acceptance of an object's form regardless of any actual profit or availability. According to Aquinas, the aesthetic has the characteristic of the truth as the recognition object of the intellect. He didn't separate the recognition of the aesthetic with the recognition of the truth. The aesthetic recognition, or vision (visio), is not the immediate reaction of the sense, but the cognitive reaction in which the intellect intervenes. According to the epistemology of Aquinas, human beings head toward the recognition of universal intelligence from individual sensible perception. Human intelligence reaches the knowledge about an object after coming to the judgement through the abstraction of sensible perception and intelligence. Aquinas also understands the aesthetic recognition in the same way. The aesthetic of an object is recognized only by the intervention of the intellect rather than the intuition. And, the recognition accompanies the pleasure. The aesthetic pleasure is not the sensual pleasure without the intellect, but the pleasure gained through the recognition reaction to accept an object's form. When human beings try to recognize an object itself as a purpose, rather than follow the object's availability and purpose, they come to realize the object's beauty and experience pleasure. Standing in the line of realism tradition, Aquinas regarded the aesthetic as actual being. Based on the understanding, he chose proportion, perfection, and clarity as the objective conditions that cause aesthetic experience. He not only dealt with the three conditions in the empirical dimension, but expanded their concept in the dimension of ontology. Originally, the proportion has quantitative meaning. But, Aquinas sees it a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anings. To him, the proportion is not simply a given numerical percentage, but the concept of the suitability to one's true character. The proportion making an object beautiful means the congruity of an object's unique form and its external appearance.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a form, he refers to the perfection suggested as the meaningful content of the good, as a condition of the aesthetic. The perfection means the state where an object is equipped with everything that it should have at the request of its true character. When an object is perfectly equipped with the external form defined by the internal form, and when it fits its own purpose at the request of the form, it is beautiful. The third condition of the aesthetic is the clarit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cept that the aesthetic is the object of the recognition. Aquinas defined the recognition as that the intellect accepts the truth of an object, and considered that hegemony of the recognition is possessed not by the intellect, but by an object itself. The clarity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aspect. The clarity is light coming out of an object's actual form, and means the revelation characteristic of an object that reveals itself to the intellect. Because of the light, the intellect can experience the beauty of an object. In Aquinas' thinking, the aesthetic is the reflection of one's true character. Through the beauty of a form, he overcame the long-existing dualism according to which the world is regarded as inferior and materialistic one, established the aesthetic value of the real world and the beauty of existence itself, and regarded the beauty as the value that a creature of God has. That all existent things are beautiful is not because of the unintelligence or ignorance of the world evil, but because of the utterance to the beauty, 'nevertheless'. It is the aesthetic thinking coming from the Christian religion in which God is the basis of the world and the root of each existence. His theory of the aesthetic is not the outcome of speculative interest or romantic sensitivity, but the outcome of the sincere theological thinking about the world he faced. The aesthetic theory of Thomas Aquinas provides significant insight which is essential in establishing the theological aesthetic, despite the changes in the aesthetic thinking appearing in the modern aesthetic. 본 논문은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 1224 ~ 1274)의 미 이론에 대한 연구다. 아퀴나스는 미를 선과 동일한 것으로 여겨온 오랜 관습적 사유를 극복하며 미의 독자적 의미를 밝힌 최초의 사상가로서 미를 통한 신학적 사유의 중요한 토대가 된다. 아퀴나스는 미를 감각적 차원이 아닌 형이상학적이고 신학적인 차원의 문제로 바라보았다. 그의 이론에서 미는 하나님의 정신 안에 있는 형상의 반영이자 사물의 존재 원리인 실체적 형상(forma 形相)의 특징으로 나타난다. 사물은 그 형상으로 인해 아름답다. 형상을 지닌 것이라면 즉 존재하는 것이라면 모두 아름답다고 본 것이다. 아퀴나스의 미 사유는 존재자 자체의 보편적 규정성, 존재자의 근원적 가치를 밝히려는 시도 가운데 전개된다. 미가 사물의 특정 국면에 대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창조물로서 사물 자체에 있는 가치임을 철학적, 신학적으로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아퀴나스는 미를 보여질 때 즐거움을 주는 것(quae visa placent) 즉 인식될 때 욕구를 만족시켜주는 것으로 정의한다. 중세 미학 전통에서 미는 본래 선과 동일한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아퀴나스는 선이 그 자체로 욕구되는 것이라면 미는 그것의 인식이 욕구된다는 것으로 둘을 구분한다. 미 역시 선과 마찬가지로 인간에게 욕구의 만족과 즐거움을 주지만 미는 욕구의 대상이기에 앞서 지성의 인식대상이 된다고 본 것이다. 미는 선과 달리 대상을 소유하거나 흡수하지 않고도 그 인식만으로 인간을 만족시키고 즐거움을 준다. 즐거움은 본래 자연적 본능에서 비롯되는 활동에 동반된다. 영양의 섭취나 종족보존의 경우처럼 이성적 사고와는 무관하게 생물학적 필요에 근거하여 작동하는 활동에 따르는 것이다. 이러한 활동은 본능적이며 이기적인 성향과 밀접하기 때문에 아퀴나스는 이러한 즐거움에는 절제의 의무가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그는 인간에게만 있는 다른 즐거움의 가능성을 말하는데 이것이 바로 인식에 따르는 즐거움이다. 아퀴나스는 자기 보존의 목적과 무관하게 인식 자체에서 경험하는 무관심적 즐거움을 미적 즐거움과 동일시했다. 미적 즐거움은 어떤 실제적 이득이나 유용성과 무관하게 사물의 형상을 받아들이는 것에서 얻어진다. 아퀴나스에 따르면 미는 지성의 인식 대상으로서 진리의 성격을 지닌다. 그는 미의 인식을 진리 인식과 별개로 보지 않았다. 미적 인식 즉 미적 봄(visio)은 즉각적인 감각의 작용이 아니라 지성이 개입되는 인식작용인 것이다. 아퀴나스 인식론에 따르면 인간은 개별적인 감각적 지각으로부터 보편적인 지성의 인식으로 나아간다. 인간 지성은 감각적 지각과 지성의 추상작용을 거쳐 판단에 이르러서야 사물에 대한 앎에 도달할 수 있다. 아퀴나스는 미적 인식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이해한다. 사물의 아름다움은 직관이 아닌 지성의 개입으로만 인식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에는 즐거움이 따른다. 미적 즐거움은 지성을 거치지 않은 감각적 쾌락이 아니라 사물의 형상을 받아들이는 인식작용을 통해 얻는 기쁨이다. 인간은 대상을 유용성이나 목적을 따라서가 아니라 그 자체를 목적으로 알고자 애쓸 때 사물의 아름다움을 알게 되고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다. 실재론 전통에 서있던 아퀴나스는 미를 실재하는 것으로 보았고 이러한 이해에 따라 미적 경험을 발생시키는 객관적 조건들로 비례, 완전성, 광채를 꼽는다. 그는 이 세 가지 특성을 경험적 차원에서 다루는 것에 그치지 않고 존재론적 차원의 개념으로 확대시켰다. 원래 비례는 양적 의미를 지니는 것이었으나 아퀴나스는 이를 견지하면서 동시에 질적인 의미에서 말한다. 그에게 비례란 단순히 정해진 수적 비율이 아니라 자기 본성과의 적합성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사물을 아름답게 하는 비례란 사물 안에 있는 고유한 형상과 외적 생김새가 일치하는데 있는 것이다. 또한 그는 본래 형상의 특징으로서 선의 의미내용으로 제시되는 완전성을 미의 조건으로 언급한다. 완전성은 사물이 자기 본성의 요구에 따라 지녀야할 것들을 모두 갖추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사물은 내적 형상에 의해 규정되는 외적 형상을 완전하게 갖출 때, 그리고 형상의 요구에 따라 자기 목적에 적합하게 될 때 아름답다. 세 번째로 언급되는 미의 조건은 명료성이다. 명료성은 미가 인식의 대상이라는 것과 밀접한 개념이다. 아퀴나스는 인식이란 사물의 진리를 지성이 수용하는 것으로서, 인식의 주도권은 지성이 아닌 사물 자체에 있다고 보았다. 명료성은 바로 이런 측면과 관련된다. 명료성은 사물의 실체적 형상에서 나오는 빛으로서 지성에 대하여 자기 자신을 드러내는 사물의 계시적 성격을 의미하며, 이러한 빛으로 인해 지성은 사물의 아름다움을 경험할 수 있게 된다. 아퀴나스 사유에서 미는 본질 형상의 반영에 있다. 그는 형상의 아름다움을 통해 이 세계를 열등한 물질적 세계로 보는 오랜 이원론적 사고방식을 극복하고 현실 세계가 지닌 미적 가치, 존재 자체가 지니는 아름다움을 확립하면서 동시에 그 아름다움이 하나님의 창조물로서 지니는 가치임을 나타내고자 했다. 모든 존재하는 것들이 아름답다는 것은 세상의 악을 모르거나 외면하기 때문이 아니라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름답다고 말하는 것이다. 이는 하나님이 세상의 바탕이요 각 존재의 근원이라는 기독교 신앙에서만 나올 수 있는 미적 사유이다. 그의 미 이론은 사변적 관심이나 낭만적 감수성의 산물이 아니라 자신이 처했던 세계에 대한 진지한 신학적 사유의 결과물이었던 것이다. 이러한 아퀴나스의 미 이론은 이후 근대 미학에서 나타나는 미 사유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신학적 미학을 세우는 데 간과할 수 없는 유의미한 통찰을 제공해준다.

      • 비만인에 대한 태도, 충동성, 효능감과 섭식장애행동의 연관성

        문한나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비만인에 대한 태도, 충동성 및 체중조절 효능감이 섭식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508명의 남녀 대학생이었으며, 이들에게 비만인에 대한 태도질문지, 체중조절 행동에 대한 효능감 척도, EDI-2의 '충동성' 하위 척도, 섭식태도검사(EAT-26)를 실시했다 연구결과, 비만인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다이어트와 폭식행동을 더 많이 했고, 충동성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모든 섭식장애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체증조절 효능감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폭식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인에 대한 부정적 태도와 체중 조절 효능감 변인의 상호작용은 폭식행동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만인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높은 집단의 경우, 체중조절 효능감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에 비해 폭식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그러나 비만인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낮은 집단은 체중조절 효능감에 따른 폭식행동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앞으로의 연구 방향이 논의 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attitude towards obese people, impulsivity and efficacy of weight control on disordered eating behavior. In this study, 508 university students (254 women and 254 men) filled out several questionnaires(0bese people attitude questionnaire, Efficacy of weight control test, impulsivity subscale of EDI-2 and EAT-26). High negative attitude group had more bulimic and dieting behaviors than low. For impulsivity, high impulsivity group had more disordered eating behaviors of all kinds. And high efficacy of weight control group had more bulimic behavior than low. Two-way interaction between negative attitude and efficacy of weight control were significant only for bulimic behavior. High negative attitude group did more bulimic behavior when efficacy of weight control was low. However, low negative attitude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ies.

      •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핵심역량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문한나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는 인터넷과 네트워크가 발달됨에 따라 4차 산업 혁명 시대가 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 발맞춰 다양한 교육 혁신을 시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최근의 교육 동향은 새로운 상황에 적응할 수 있는 미래 인재를 키워내기 위한 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 흘러가고 있다. 2015년 교육과정은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개정되었고, 6가지 핵심역량을 제시하여 각 교과에 맞게 교과 역량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미용 교과의 경우, NCS(국가직무능력표준)를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관한 핵심역량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핵심역량은 인재 양성 교육 시 필요한 요건이므로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에서는 NCS를 기반으로 한 미용 교육과 더불어 미래 사회를 대비할 수 있는 역량 교육을 통해 미용 전문인을 양성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교사, 미용 산업체들이 생각하는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핵심역량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하여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에게 필요로 하는 핵심역량을 제안하고, 향후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핵심역량을 활용한 미용 교육과정 및 방법 설계 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첫째,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핵심역량 중요도와 실행도를 알아본 결과,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 교사, 미용 산업체 모두 의사소통역량이 다양한 미용 현장에서 미래 사회를 대비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핵심역량이라 하였고, 현재 미용 현장에서 가장 많이 실행하고 있는 핵심역량이라 하였다. 이는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용 전문인을 양성하는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의 특성상 의사소통역량을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핵심역량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과 미용 산업체는 자기관리역량으로 나타났고,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교사는 창의적 사고 역량으로 나타났다. 즉, 중요한 역량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실행되지 못하는 역량인 자기관리역량과 창의적 사고 역량의 실행도를 높일 수 있는 각각의 인식 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셋째, IPA 매트릭스에서 주목해야 하는 제2사분면은 집중개선 영역으로 최우선적이게 노력을 집중할 필요가 있는 부분으로써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은 자기관리역량, 미용 산업체은 지식정보처리역량으로 나타났다. 이 두 가지 핵심역량의 하위요소들을 포함한 미용 교육 과정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넷째,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 교사, 미용 산업체 모두 핵심역량의 중요도는 높게 인식되고 있으나, 실행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되고 있다. 즉, 핵심역량을 중요하게 여기는 인식은 높으나 이를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방법 및 방안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이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시행하는 단순 교과 또는 NCS 위주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미래 사회를 대비할 수 있는 미용 교과 핵심역량 교육을 적용·보완한 미용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대학교육비 지출 실태와 대학교육비가 가계재무에 끼치는 영향

        문한나 충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학교육비는 매년 가파르게 상승하여 연간 등록금 천만원 시대에 이르게 되었다. 2007년 현재 우리나라 4년제 사립대학의 연평균 등록금은 689만원에 달해 월평균 가계수입의 2배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매년 대학등록금의 인상폭은 가계소득의 증가율보다 훨씬 높은 수준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물가상승률의 2~3배에 달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 가계가 대학교육비로 인하여 가계재무의 압박을 받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즉, 과중한 대학교육비는 교육비 이외의 다른 가계소비지출의 위축, 가계저축의 위축, 혹은 가계부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과도한 대학교육비의 부담은 대학생 자녀를 가진 부모의 은퇴 후 노후자금 마련에도 어려움을 주어 가계경제에 연쇄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실제 대학교육비가 우리나라 가계재무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끼치는가를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자녀를 가진 가계를 대상으로 대학교육비 지출 실태 및 대학교육비가 가계재무에 끼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계의 대학교육비 부담을 효과적으로 사회가 공유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대학교육비로 인한 가계재무 부담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제언을 이끌어 내는데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한국노동연구원의「한국노동패널」8차 자료(2005년 조사, 2007년 데이터 출시)를 이용하였으며, 대학생 자녀가 있다고 답한 770가계만을 대상으로 하되 그 중에서 대학교육비 지출 내역이 있는 563가계를 최종 조사대상 가계로 선정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2.0 for Windows와 SAS 9.1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전체 조사대상가계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재무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이용하였다. 또한 전반적인 대학교육비 지출 실태 및 소득수준과 대학유형에 따른 대학교육비 지출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였으며 집단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test와 F-test(Duncan 사후검증)를 실시하였다. 대학교육비가 가계재무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회귀분석 및 Heckman의 2단계 추정모델(Heckman's two-step estimation)을 이용하여 1단계 Probit 분석, 2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와 이에 기초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가계의 대학교육비는 연 1,109만원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등록금은 연 617만원(55.6%), 사교육비는 연 492만원(44.4%)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특히 대학교육비는 연가계소득(4,050만원)의 37.4%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교육으로 인한 우리나라 가계의 재무 부담이 매우 클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실제 본 연구결과의 내용 중 가계 경제에 부담이 되는 지출 항목에 대한 복수 응답 조사결과 50.4%의 가구가 교육비에 대해 부담스럽다고 응답하였으며, 대학등록금에 대해 56.8%가 매우 부담, 27.7%가 약간 부담된다고 응답한 결과 등이 이를 뒷받침 해 주고 있다. 둘째, 가계의 소득수준을 상, 중, 하로 나누어 소득수준별 대학교육비, 그리고 대학교육비의 세부항목인 등록금과 사교육비 지출액을 살펴본 결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소득수준이 높은 가계일수록 필요로 하는 대학교육비, 특히 사교육비를 충분히 지출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반면, 소득에서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여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대학교육비로 인한 높은 재정적 부담을 반영하고 있으며, 특히 소득수준 하집단의 경우 교육비 지출이 소득의 75.0%로 이 중 등록금이 45.2%, 사교육비가 29.7%를 각각 구성하고 있었다. 또한 교육비를 포함한 소비지출액이 소득의 166.1% 수준을 보여 대학교육으로 인한 재정부담 정도가 매우 심각함을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대학유형을 국립과 사립으로 구분하여 대학교육비 지출 실태를 살펴본 결과 국립대 연 798만원, 사립대 연 1,168만원으로 나타나 사립대가 국립대에 비해 약 1.5배 정도의 비용을 더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가 사립대에 재학 중인 가계의 소득수준(연 4,145만원)이 국립대에 재학 중인 가계의 소득수준(연 3,552만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소득이 높은 가계의 경우 그렇지 않은 가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녀의 대학 진학 결정시 높은 등록금이 제한 요인이 되지 않음을 시사하고 있었다. 넷째, 대학교육비를 구성하고 있는 등록금과 사교육비가 가계의 소비지출액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를 살펴본 결과, 매우 유의한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등록금과 사교육비의 수준이 높을수록 소비지출액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교육을 위한 소비지출은 다른 가계의 소비지출을 위축시키는 결과를 가져옴이 밝혀졌으며, 이는 자녀의 대학교육비 지출이 부모의 은퇴준비 역시 위축시킬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다섯째, 대학교육비를 구성하고 있는 등록금과 사교육비가 소득대비소비지출(교육비제외)비율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를 살펴본 결과, 등록금은 유의한 영향을 끼치지 않았지만 사교육비가 부정적인 영향, 즉 사교육비의 수준이 높을수록 교육비를 제외한 가계의 소비지출액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대학교육비를 구성하고 있는 등록금과 사교육비가 가계의 저축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가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대학유형이 유의한 영향을 끼치고 있었으며, 즉, 사립대학 자녀가계에 비해 국립대학 자녀가계가 저축을 더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등록금의 경제적 부담정도가 낮을수록 저축을 더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대학교육비로 인한 직접적인 영향보다 심리적 부담감이 가계저축에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등록금과 사교육비는 가계부채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조사대상가계의 재무적 특성 중 부채의 원인을 질문한 결과 20.4%가 교육비라고 응답하여 대학교육비가 가계부채에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예상한 바와 다른 결과로 해석된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자녀 가계의 가구주 연령이 40~50대가 대부분이며, 은퇴준비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 시기라는 점을 고려할 때 과중한 대학교육비는 부모의 은퇴준비에 커다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음이 분명하다. 이는 정부정책 측면에서 미국을 비롯한 유럽의 대학교육비 지원시스템에 관심을 가지고, 현재 정부의 재정보증 프로그램의 수정 및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임을 시사한다. 둘째, 사립대학 등록금 수준은 국립대학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학등록금 자율화정책의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대학교육비가 가계재무에 끼치는 영향은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소득을 통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나, 소득이 충분한 집단은 대학교육비의 부담이 커도 괜찮지만 소득이 낮은 집단은 대학교육비에 대한 부담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교육비 특히 국립대학의 교육서비스는 공공재의 성격을 갖는다는 차원에서 소득에 의해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를 박탈당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특히,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대학교육비 지원시스템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소득에 따른 교육의 차별화를 해소하기 위해 장학제도, 기부문화, 정부지원 등 다양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저소득층의 경우, 등록금은 물론 사교육비 지출 역시 가계재무에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학생 자녀가 스스로 사교육비를 충당할 수 있도록 대학생의 의식을 바꾸어 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대학생들이 방학동안 할 수 있는 아르바이트, 인턴십 등을 정부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정책은 저소득층의 대학교육비의 부담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취업에도 도움이 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대학교육비의 부담이 경감 된다면 일반 가계의 삶의 질이 실질적으로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녀교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켜 간접적으로는 출산율 저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With surging university tuition fees, it is assumed that Korean households with college students may suffer from the heavy burden of expenditures on university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hat are the expenditures on university education and how the expenditures on university education affects household finance, that is, total household expenditure, savings, and debts respectively.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8th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conducted by the Korean Labor Institute, and th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t-test, F-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OLS, and Heckman's two-step estimation were utilized by SAS 9.1 and SPSS 12.0 statistical packages for Window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nnual university tuition fees averaged 6,170,000 won, annual personal spending including allowance, private education fees, cost of living etc, 4,920,000 won, and the total annual expenditures for university education 11,090,000 won. The amount of expenditures for university education comprised 37.4% of annual household income (40,500,000 won). These results reflected the extent of the financial burden on households with university students. Second, the households have been grouped by their annual income levels as high, middle and low income group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household income level, the more spent on university education, whereas the higher the household income level, the lower the household expenditure-to-university education ratio.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high income household group could have more and more varied educational opportunities than their counterparts. Third, the type of university affected the household expenditures for university education, as a result of different tuition fees. That is, total annual expenditure for university education was 7,980,000 won for public university, and 11,680,000 won for private university (1.5 times that of public university). Fourth, it was found that tuition fees and the cost of private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had a negative impact on household expenditures, not including university education. This result implies that university education may negatively influence parents' financial retirement plans. Fifth, it was found that the cost of private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ratio of household expenditures (not including university education) to household income. Sixth, it did not appear that the expenditures on university education affected household savings. However, the households with public university students had more savings than those of their counterparts.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lower financial burden of tuition fees, the more savings, and that psychological financial strain from tuition fees might affect household savings. Seventh, it was not found that the expenditures on university education affected household debt. However, the finding that 20.4% of households answered that they had debts because of children's education still implies that the cost of university education causes household debt. Based on these conclusions, some sugg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with university students are generally aged between 40 and 50 (middle age), and the middle-aged should consider their retirement financial plans seriously. Thus, the university education expenditure could be a big stumbling block for parents' financial retirement plans. Government policymakers should consider and benchmark school (university) loan plans (systems) after universities in America or Europe. Second, given that private university tuition fees are much higher than those of national university, government policymakers should consider modifying the current university tuition systems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surging private university tuition fees. Third, household income might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university education expenditures. This means poor households may have disadvantages resulting from lack of university education, and this kind of situation may repeat over the generations. To eliminate such social problems, government policymakers should consider educational support systems for low-income households, such as scholarships, donations, a special government support system, etc. Also, university children from low income households should try to solve their financial problems by themselves through part-time jobs and internships. Fourth, it is expected that lower university education expenditures might relieve the household financial burden with children’s education and furthermore, improve quality of life and the low birth rate.

      • 접시를 이용한 등마사지가 안면비대칭 변화에 미치는 영향

        문한나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접시마사지가 안면비대칭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인천, 경기, 수도권에 거주하는 20대 초, 중반의 여대생 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안면비대칭 측정 기준점인 연조직 비근점에서 눈 외측 안각, 전비점에서 비익점, 연조직 B' point에서 입술 구석으로 구성하고 PRIMOS Face & Body SCAN 3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접시마사지 전문가 2명이 연구대상자의 체형 분석에 따른 쿠션을 배치하여 스트레칭 관리 동작을 취하게 한 후 전문가용 엑스빌더 XA형, XB형으로 1회 20동안 등마사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조직 비근점에서 눈 외측 안각, 전비점에서 비익점 측정 기준에서는 전체 평균 실험 전과 실험 후 비대칭 비율이 증가하였으나, 30분경과 후 비대칭 비율의 감소로 측정 기준 개선율이 증가되었다. 연조직 B' point에서 입술 구석 측정 기준에서는 실험 전, 실험 후 그리고 30분경과 후 전체에서 안면비대칭 비율이 유의한 값으로 감소하여 측정 기준의 개선율을 증가시켰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접시를 이용한 등마사지가 안면비대칭 변화에 미치는 효과는 실험 전과 비교하여 안면비대칭 비율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p<0.05). 외과적 수술 및 시술뿐만 아니라 피부미용영역에서의 다양한 분석에 따른 근본적인 원인제시, 테크닉, 프로그램 개발, 마케팅으로 활용되어 현대인의 사회문화적 분위기 개선, 외모적인 아름다움과 자아존중감을 위한 선택적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에 접시마사지가 유익한 미용요법으로 활용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an effect of jeobsi massages on change of facial asymmetry targeting 10 females aged from early and middle twenties living in In-Cheon, Gyung-gi and capital areas. We set reference point of facial asymmetry as from soft tissue of nasion to eye lateral canthus, from pronasale to nasal ala, from soft tissue B' point to labial commisure, and measured them using Face & Body SCAN 3D. 2 specialists of plate massaging arranged cushions followed by body shape analysis of experiment objects, and they let them pose stretching movements. Then, they conducted back massages for 20 minute per one set using exbuilder XA and XB types for specialists. As a result of research, By looking from standard points of from soft tissue of nasion to eye lateral canthus, from pronasale to nasal ala, ratio of asymmetry increased when compared before a total average of experiment and after. By looking from standard point of from soft tissue B' point to labial commisure, ratio of asymmetry decreas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nd it even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30 minute of experiment, increasing improvement rate of reference point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 confirmed that back massages using plates can decrease facial asymmetry ratios significantly when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p<0.05). I consider that this massaging should be made full use of it not only in surgeries and treatments but also in skin cares such that it can be used for suggesting fundamental cause of asymmetry followed by various analysis, techniques, program development and marketing. Thus, it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to people living in these days for improving sociocultural atmosphere and promoting people's external beauties and self-worth. I, henceforth, believe that this plate massaging can contribute to modern society as a useful cosmetic therapy.

      • 잡지 애드버토리얼의 레이아웃 특성과 소구유형에 대한 내용분석 연구 : 국내 유명 리빙 잡지를 중심으로

        문한나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광고를 접하는 소비자들은 대부분 광고 문구를 회피하는 성향이 있어 신문과 같은 인쇄매체의 경우 기사에만 주로 관심을 가질 뿐 하단의 광고나 전면광고에는 관심을 주지 않고, 잡지를 볼 때에도 광고가 실려 있는 페이지는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소비자들이 광고를 회피하는 상황에서 기업들은 사람들의 관심을 확보하기 위해 제품과 브랜드 홍보 전략을 세우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이러한 광고홍보의 새로운 전략으로 등장한 애드버토리얼은 광고와 언론 매체의 장점을 융합한 것으로 기사와 같은 편집방식으로 광고가 게재된다. 따라서 뉴스나 기사에 몰입하여 능동적인 정보처리를 하는 수용자는 애드버토리얼 역시 뉴스나 기사로 인식하고, 애드버토리얼 메시지에 주목한다. 지금까지 진행된 애드버토리얼 관련 연구는 대부분 신문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본 연구는 한국 리빙 스타일 잡지로서 선두를 유지해오고 있는 '메종', '행복이 가득한 집‘, ‘CASA 리빙’ 3가지 종류의 리빙 잡지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애드버토리얼의 내용별, 애드버토리얼의 레이아웃 구성요소별, 소구유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2016년 2월 10일부터 2016년 4월 10일까지 2014년과 2015년에 출간된 3가지 종류의 잡지에 게재된 애드버토리얼 1,134건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빙 잡지에 나타난 애드버토리얼의 내용을 살펴본 결과, 리빙 잡지의 주 구독자가 여성들인 관계로 뷰티와 생활용품에 대한 비중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문화와 강연과 같은 트렌드 흐름을 소개하여 기업의 이미지를 강조하기 보다는 광고의 고유 목적, 즉 새로운 브랜드에 대한 소개를 목적으로 광고가 진행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리빙 잡지에 게재된 애드버토리얼의 레이아웃의 구성요소로 주로 50:50 비율 구성과 무채색, 일반 텍스트, 국문과 대칭적 균형이 주로 많이 사용되어 광고보다는 기사라는 인식을 보다 강하게 부각시켜 애드버토리얼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빙 잡지에 나타난 애드버토리얼의 소구유형은 감성적 소구유형보다는 이성적 소구유형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용별 분석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리빙 잡지의 애드버토리얼이 새로운 브랜드 소개를 주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제품에 대한 세밀한 소개를 우선으로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와는 달리 리빙 잡지에 게재된 잡지 애드버토리얼의 레이아웃 특성과 소구유형을 파악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 진행을 위한 시간적 한계로 인해 잡지 전체가 아닌 일부 리빙 잡지만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도하였기 때문에 분석 결과를 잡지 전체로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종류별로 다양한 잡지를 분석하여 애드버토리얼의 레이아웃 특성과 소구유형을 파악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Most of consumers meeting advertising have the disposition to evade advertising phrases, and in case of print media like newspaper, they have some interest only chiefly in the article but pay no attention to the advertising in the bottom or a full-page advertisement, and when they see a magazine, they pass by a page with advertisements in many cases. In the situations where consumers evade the advertising, companies take pains to set the publicity strategy of products and the brand to secure people’s concern. The advertorial which appeared as a new strategy of this advertising publicity is a fusion of the merits of advertising and press media where the ads are run with the editing method like articles. Therefore, a consumer who is absorbed in news or articles and is doing an active information processing recognizes advertorial as news or articles as well, and pays attention to an advertorial message. The researches related advertorial progressed up to the present have been mostly progressed centered on newspaper, but this study selected 3 types of living magazines named ‘Maison’, ‘A House Full of Happiness’, ‘CASA Living’ which are Korean living style magazines keeping the lead as the object of research, and analyzed them by classifying by the content of advertorial, by the layout components of advertorial, and by the appeals type. For the analysis from February 20, 2016 to April 10, 2016, we analyzed 1,134 cases of advertorial run in 3 types of magazines published in 2014 and 2015. The result of analysis thereon is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review of the content of advertorial appeared in living magazines, as the main readers of living magazines are women, it could be known that the weight as to beauty and living supplies was high. In addition, we could figure out that companies progressed the advertising top introduce a new brand for the unique purpose of advertising rather than emphasizing the images of the companies by introducing the flow of trend like culture or lectures. Second, as for components of layout of advertorial run in the living magazine, chiefly 50:50 ratio composition and achromatic color, general text, symmetrical balance with Hangeul were chiefly much used, so it appeared that they highlighted the recognition of articles rather than more strongly and reflected the characteristic of advertorial. Third, it appeared that the message type of advertorial appearing in the living magazine used rational message types more than emotional message types. As seen in the result of analysis by the content, this suggests that the advertorial of the living magazine mainly aims to introduce a new brand and presents a priority to relay a detailed introduction of the products. This research has its significance in figuring out the layout property and appeals type of magazine advertorial run in a living magazine unlike previous preceding researches. Nonetheless, owing to the limit of time for the progress of the research, we attempted the analysis targeting only a part of living magazines instead of the whole magazines and there is a limit in generalizing the result of analysis into all the magazines. In future, our study raises the necessity to grasp layout property and appeals type of advertorial by analyzing varied magazines by the typ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