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MR 서식 및 이미지 형식 기록의 전자인증을 위한 XML 변환

        우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919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전자의무기록) 문서의 전자인증과 저장/관리 및 전자문서 교환을 위한 적합한 문서 형태로 차세대 웹 표준화 문서인 XML을 채택하고 있다. EMR에서 정형화된 데이터중심의 문서(data-centric document)는 XML 문서로 변환이 용이하나, EMR 서식과 같이 비정형화된 데이터 구조가 특징인 문서중심의 문서(document-centric document)는 XML 문서로 변환에 여러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많은 혼합요소를 갖는 문서 중심의 EMR 서식의 모든 논리적 구성요소를 통합하여 하나의 이미지 요소로 만들었다. 이 요소를 MIME에 의해 사용되는 방법들 중의 하나인 BASE64 ENCODING으로 하나의 텍스트 스트링으로 변환, XML 문서 안에 한 엘리먼트로 한꺼번에 저장하게 됨으로써 데이터 중심의 문서와 같이 XML 구조 정의를 단순화 하였다. 이러한 XML 변환 방법으로 EMR 구축시 모든 서식 마다 XML 정의가 필요치 않으므로 개발 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었다. 또한 EMR 서식 및 이미지 형식의 기록들이 XML 문서 안에 통합됨으로써 문서로 저장하거나 참조할 때 통합과정이 필요 없게 되고 XSL 파싱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병원 간의 협진을 위한 EMR 참조시 XML 파일 교환만으로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문장 기반 웹 문서 검색 시스템

        성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919

        매일 엄청난 수의 웹페이지가 새로 생겨나고 있는 정보의 바다에서 필요한 정보를 정확히 찾아 주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나 이를 달성하는 것은 쉽지않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검색 질의문에 가장 적합한 문서 몇 개 만을 찾아주는 문제인 Named page finding 문제를 다루었다. 이 문제에 대한 현재의 정보검색 시스템은 질의문에 포함되어 있는 단어들이 검색 대상 문서에서도 포함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 만을 가지고 판단하기 때문에 그리 좋은 결과를 주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점에 대해 대처하고자 질의문에 있는 단어들에 대해 문서 안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뿐만 아니라 이러한 단어들이 같은 문장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도 이용하는 문장기반 웹 문서 검색 기법을 제안하였다. 질의문에 속한 단어들이 모두 같은 문장에 포함되어 있으면 그렇지 않은 다른 문서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검색 결과로 출력되도록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웹 문서 안의 링크 및 그 링크가 걸린 앵커텍스트가 제공하는 정보도 이용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정보 요구에 정확히 맞는 문서를 찾는 웹 문서 검색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A huge number of Web documents are appearing everyday. It is important to be able to retrieve the right exact documents that are wanted by the user. However, it is not easy to achieve this capability. This thesis is concerned about the related problem called “named page finding” which is to retrieve the Web pages that contain the exact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user. The current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do not show good performance since they make decisions only based on the co-occurrence of words between the document and the query. To improve performance this thesis suggests that co-occurrence of words between the sentences and the query should also be used. The main idea is that a sentence which has many common words with the query is one of the major sources of contribution to the relevance of the document. A document with many such sentences will receive higher relevance score than those without such sentences. This research also makes use of the links and the anchor texts in the Web pages. It has been observed in the experiments that the approach taken by this thesis can greatly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 제주도 하계 조간대 해양미생물의 다양성

        영건 濟州大學校 2009 국내박사

        RANK : 1919

        이번 연구는 제주도 하계 암반 조간대 미생물 다양성을 보기위해 암반 조간대 및 조수 웅덩이에서 서식하고 있는 생물, 저질토 그리고 모래를 채집하여 색소, 단백질분해효소 및 지질분해효소 생성 미생물을 분리하여 생육특성, 생리·생화학적 특성, 색소의 특성 그리고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통하여 계통학적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조간대 4개 지점 12개 지역에서 분리된 미생물은 총 850균주를 분리하였는데 그 중 색소를 생성하는 미생물은 136 균주가 분리되었다. 분리된 균주들은 yellow, red, orange, pink 혹은 violet 등으로 색상이 다양했으며 대체적으로 그람음성균이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운동성 실험에서는 총 136균주 중에 118균주가 운동성을 가지고 있었다. 분리된 미생물은 다양한 온도와 높은 염 농도에서도 성장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가 있었다. 색소를 추출한 뒤 carotenoid 또는 bacteiochlorophyll의 유무를 확인 한 결과 57균주가 carotenoid의 흡광 범위인 450 ~ 540 nm에서 peak를 나타내었다. 제주도 조간대에서 분리된 색소생성 미생물의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계통분류학적으로 어떤 division에 속하는지를 확인 하여 본 결과 제주도 제주시 동부지역에서 분리된 색소생성 미생물들은 Proteobacteria(문)/Gammaproteobacteria(강)의 Pseudoalteromonas속 3균주, Shewanella 속 8균주, Oceanisphaera속 1균주, Vibrio속 1균주, Proteobacteria(문)/Alphaproteobacteria(강)의 Kordiimonas속 1균주, Firmicutes(문)/Bacilli(강)의 Bacillus속 1균주, Bacteroidetes(문)/Flavobacteria(강)의 Tenacibaculum속 2균주가 분리되었다. 제주시 서부지역에서는 Proteobacteria(문)/Gammaproteobacteria(강)의 Pseudoalteromonas속 16균주, Galciecola속 1균주, Shewanella 속 8균주, Vibrio속 3균주, Alteromonas속 3균주, Proteobacteria(문)/Alphaproteobacteria(강)의 Loktanella속 1균주, Tateyamaria속 1균주, Roseobacter속 1균주, Rhodovulum속 1균주, Pseudovibrio속 1균주, Phaeobacter속 1균주, Bacteroidetes(문)/Flavobacteria(강)의 Winogradskyella속 1균주, Cellulophaga속 1균주, Formosa속 1균주, Tenacibaculum속 4균주, Polaribacter속 3균주, Actonobacteria(문)/Actinobacteria(강)/Actinobacteridae(아강)의 Micrococcus속 1균주(JJM12), Firmcutes(문)/Bacilli(강)의 Bacilus속 1균주, Exiguobacterium 속 1균주가 분리되었다. 서귀포 동부지역에서 분리되어진 색소생성 미생물을 분류해 본 결과 Proteobacteria(문)/Gammaproteobacteria(강)의 Pseudoalteromonas속에 포함되는 6균주, Shewanella속 4균주(JJM33, JJM61, JJM90, JJM119), Pseudomonas속 2균주, Microbulbifer속 1균주, Vibrio속 2균주, Alteromonas속 1균주가 분리되었다. Proteobacteria(문)/Alphaproteobacteria(강)의 Loktanella속에서 1균주, Paracoccus속 3균주가 분리되었다. Firmicutes(문)/Bacilli(강)의 Bacillus속에서 3균주, Exiguobacterium속 1균주, Marinibacillus속 1균주가 분리되었다. Actonobacteria(문)/Actinobacteria(강)/Actinobacteridae(아강)의 Micrococcus속에서는 1균주가 분리되었다. Bacteroidetes(문)/Flavobacteria(강)의 Polaribaacteria속 1균주, Donghaeana속 1균주, Winogradskyella속 1균주, Tenacibaculum속에서 1균주가 분리 되었다. 서귀포 서부지역에서 분리되어진 색소생성 미생물은 Proteobacteria(문)/Gammaproteobacteria(강)의 Pseudoalteromonas속의 12균주, Shewanella속 6균주, Alteromonas속 3균주, Serratia속 2균주, Vibrio속 1균주가 분리 되었다. Firmicutes(문)/Bacilli(강)의 Bacillus속 6균주, Sporosarcina속 1균주, Bacteroidetes(문)/Flavobacteria(강)의 Tenacibaculum속 3균주, Bacteroidetes(문)/Sphingobacteria(강)의 Flexibacter속 1균주, Persicobacter속 2균주가 분리되었다. 분리 된 136개의 색소 형성 미생물 중 대부분의 미생물은 Proteobacteria/Gammaproteobacteria그룹 (64%)에 속하였으며 다음으로 Bacteroidetes/Flavobacteria그룹 (13%), Proteobacteria/Alphaproteobacteria (8%), Firmicutes/Bacilli 그룹 (10.8%), Bacteroidetes/Sphingobacteria 그룹 (2.1%) 그리고 Actinobacteria 그룹 (2.1%)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분류 그룹을 genus 별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이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 분리되어진 색소생성 미생물에서 가장 많은 균주가 분리(64%) 되어진 Proteobacteria의 Gammaproteobacteria 그룹 내에서는 Pseudoalteromonas 속이 42%를 차지하고 다음으로 Shewanella 속이 29.5%, Alteromonas 속과 Vibrio 속이 10.2%를 차지하고 나머지 속은 3% 미만이었다. 제주도 조간대에서 분리 되어진 미생물 중 13%를 차지하는 Bacteroidetes의 Flavobacteria 그룹 내에서는 Tenacibaculum 속의 50%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Polaribacter 속이 22.2%를 차지하였다. 제주도 조간대에서 분리 되어진 미생물 중 10.8 %를 차지하는 Firmicutes의 Bacilli 그룹에서는 Bacillus 속의 73.3%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다음으로 Exiguobacterium 속의 13.3%를 차지하였다. Marinibacillus 속과 Sporosarcina 속은 각각 6.7%를 차지하였다. 제주도 조간대에서 분리 되어진 미생물 중 8%를 차지하는 Proteobacteria의 Alphaproteobacteria 그룹 내에서는 Paracoccus속의 27.2%, Loktanella속의 18.2%, Kordiimonas속, Tateyamaria속, Roseobacter속, Rhodovulum속, Pseudovibrio속, Phaeobacter속의 각각 9.1%를 차지하였다. 분리 되어진 미생물 중 2.1%를 차지하는 Bacteroidetes의 Sphingobacteria 그룹 내에서는 Persicobacter속의 66.6%, Flexibacter속이 33.4%를 차지하고 Actinobacteria의 Actinobacteria강 Actinobacteridae 그룹 내에서는 Micrococcus속의 Micrococcus leuteus 3균주가 분리가 되었다. 생리적 특성균으로는 단백질분해효소 활성이 높은 35균주를 분리하였는데 대부분의 그람음성균이었으며, 운동성 실험에서는 총 35균주 중에 33균주가 운동성을 가지고 있었다. 분리된 균주들은 다양한 온도, 높은 염 농도 및 pH에서도 성장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가 있었다.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한 결과 Proteobacteria(문)/Gammaproteobacteria(강)의 Pseudoalteromonas속 10균주, Vibrio 속 21균주, Ferrania속 1균주, Proteobacteria(문)/Alphaproteobacteria(강)의 Phaeobacter속 1균주, Firmicutes(문)/Bacilli(강)의 Bacillus속 2균주가 분리되었다. 이번 연구에서 분리된 단백질 분해효소 생성 미생물 중 Vibrio 속이 가장 많은 수(21균주, 60%)를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지질분해효소 생성 미생물 9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균주 모두 운동성을 가지는 그람음성균이었다.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한 결과 Proteobacteria(문)/Gammaproteobacteria(강)의 Pseudoalteromonas속 1균주, Vibrio속 2균주, Alteromonas속 4균주, Paeudoalteromonas속 1균주, Agarivorans속 1균주가 분리되었다. 그람음성세균에서 얻어진 지질분해효소는 대부분의 Pseudomonas속에서 발견이 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Pseudomonas속과는 다른 그람음성세균중에서 지질분해효소 활성을 갖는 미생물들이 확보되었기 때문에 향후 연구해 볼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색소생성 미생물 중 총 8균주가 새로운 종일 가능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들에 대해서는 향후 근연종의 표준균주를 분양받아 배양 특성, 형태적 특성, 생리·생화학적 특성, 화학적 특성, 분자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어진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 제주도 표선면에 위치한 해수욕장 모래에서 분리되어진 JJM85^(T)는 NCBI BLAST search를 해 본 결과 Loktanella hongkongensis와 96% 일치하여 새로운 종일 가능성이 나타나 Loktanella 속 내 표준균주들과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유사도를 분석해 본 결과 L. hongkongensis UST950701-009P^(T) (95.99%), L. marincola DSW-18^(T) (94.1%), L. rosea Fg36^(T) (93.88%), L. koreensis GA2-M3^(T) (93.88%), L. agnita R10SW5^(T) (93.79%), L. salsilacus LMG 21507^(T) (93.73%), L. fryxellensis LMG 22007^(T) (93.35%), L. atrilutea NCIMB 14280^(T) (93.58%) 그리고 L. vestfoldensis LMG 22003^(T) (93.12%)로 나타났다. 그 중 L. hongkongensis UST950701-009P^(T)와 가장 높은 유사도의 염기서열 상동성을 보여 주었다. 생리 생화학적 특성 실험 및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유사도 분석, 계통분석, 지방산 그리고 G+C 함량분석 결과를 종합해 본 결과 JJM85T는 신종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JJM85^(T)를 Loktanella pyoseonensis 로 명명하여 국내 생물자원센터인 KCTC(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와 독일 DSMZ (Deutsche Sammlung von Mikroorganismen und Zellkulturen)에 균주를 기탁하여 각각 균주 등록 번호를 받았다(KCTC 22372^(T), DSM 21424^(T)). 염기서열은 EMBL Nucleotide Sequence Database에 등록하여 accession number를 부여 받았다. Strain JJM85^(T)의 accession number는 AM983542이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bacterial diversity of intertidal zone in summer season of Jeju Island, They were characterized by determining morphological and physio-biochemical properties, and subjected to comparative analysis of partial 16S rRNA gene sequences. The phylogenic relationship of the domain Bacteria was investigated by performing a comparative sequence analysis of PCR-amplified 16S ribosomal RNA in organism of intertidal zone.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marine organisms and investigated analysis of 16S rRNA sequence. The 16S rRNA genes were amplified by using oligonucleotide primers (27F and 1492R). Phylogenetic diversity and taxonomic position of pigment-producing, protease-producing and lipase-producing bacterial isolates were discussed. A total of 850 marine bacteria were isolated from various substrates. Among them, 136 strains produced several kinds of pigments, 35 strains produced protease, and 9 strains were lipase-producer. They showed growth in the various range of temperture, pH and NaCl. By comparative study of partial 16S rRNA gene sequences, 136 isolates were divided into 6 major groups: Proteobacteria/Gammaproteobacteria (64 %), Bacteroidetes/Flavobacteria (13 %), Firmicutes/Bacilli (10.8 %), Proteobacteria/Alphaproteobacteria (8 %), Bacteroidetes/Sphingobacteria (2.1 %) and Bacteroidetes/Actinobacteria (2.1 %). 35 protease-producing strains were divided into 3 major groups: Proteobacteria/Gammaproteobacteria (91.4 %), Proteobacteria/Alphaproteobacteria (2.8 %) and Firmicutes/Bacilli (5.8 %). Among these, Gammaproteobacteria group was the largest and distributed in the genera Pseudoalteromonas (10 strains), Vibrio (21 strains)( and Ferrania 1 strain). All of the lipase-producers (9 isolates) were contained in several genera of the Gammaproteobacteria: Shewanella (1 strain), Vibrio (2 strains), Alteromonas (4 strains), Paeudoalteromonas (1 strain) and Agarivorans (1 strain). On the other hand, it was strongly suggested that 8 isolates was candidates of new species based on low 16S rRNA gene sequence similarity. They were distributed in the families Alteromonasdaceae (JJM10 and JJM57), Pseudoalteromonadaceae (JJM39 and JJM137) and Shewanellaceae (JJM25 and JJM33) of the order Alteromonadales (the class Gammaproteobacteria). Strain JJM84 belonged to the family Flavobacteriaceae of the order Flavobacteriales, the class Flavobacteria. On the other hand, strains JJM85 represented a novel species of the genus Loktanella in the family Rhodobacteraceae (the class Alphaproteobacteria) on this basis of the phenotypic features and phylogenetic evidence, for the name Loktanella pyoseonensis sp. nov. is proposed.

      • 목재방화문의 경량화를 위한 기초연구

        성웅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919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방화문은 중량으로 인해 건축물의 자중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며, 자중 증가로 인해 지반의 침하거동 및 침하량 증가에 영향을 준다. 또한 현재 목재방화문에 사용되는 광물질 소재는 인체에 유해한 분진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화문의 재료에 인계난연제를 활용하여 난연성능을 확보하며, 축소 내화시험을 통해 재료 및 구조의 내화성능을 평가하여, 선정된 재료와 구조를 통해 경량화된 목재방화문 개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콘칼로리미터 실험 결과 합판은 0.7㎏f/㎠의 진공압력 상에서 난연제 함침 시 50kW/㎡ 열선속에서 착화되지 않았으며, 축소 내화시험 결과 직물방화원단 사용 시 60분 내화성능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마그네슘보드와 함께 사용 시 차열성능이 나타났다. 난연 합판, 난연 스티로폼, 직물방화원단과 마그네슘 보드 1장을 사용한 시험체는 을종 비차열 방화문의 성능을 확보하였으며, 기존 방화문에 비해 21.2% 경량화 되었다. 마그네슘 보드 2장을 사용한 시험체는 차열 을종 방화문의 성능이 나타났으며, 6.39% 경량화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재료에 대한 내화시험의 실험실적 검증방법 사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내화구조 시험 시 재료의 축소 시험에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화재 발생 시 재실자의 안전을 확보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다중 플랫폼의 문서 표현을 지원하는 XQL기반 XML 문서 검색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종환 湖南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1919

        정보의 구조적 표현이 가능하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교환의 매개체로써 다양한 응용분야에 확산되고 있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은 차세대 인터넷 전자문서 표준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들어 기존문서를 XML로 변환하거나 신규문서를 XML로 작성하는 사례가 늘면서 대량의 XML문서가 생성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량의 XML문서를 효율적으로 검색하기 위한 XML 검색 시스템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내용기반, 구조기반, 속성기반 검색을 지원하는 XML 문서의 질의언어로 제안되어진 XQL을 기반으로 XML 문서를 분석하는 문서 구조 처리기, 사용자 입력 질의를 실행하기 위한 질의 언어 처리기를 가지는 XML 문서검색 시스템을 제시하고 검색된 문서의 결과를 웹 출판 프레임워크(Web Publishing Framework)인 Cocoon을 적용하여 XML 문서를 각각의 플랫폼에 맞는 문서의 포맷으로 전환 가능한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enables structur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and plays a key role as a mediator in information exchange. XML, applied to a variety of fields, has been in the spotlight as a standard of next generation Internet electronic document. Recently, massive XML documents have been created since more and more existing documents are converted into XML or XML documents are newly made. Therefore, XML retrieval system is in high demand to effectively search in bulky XML documents. This paper is intended to introduce XML retrieval system consisting of document structure processor as well as query language processor that implements user-input query. Document structure processor analyzes XML document and also XQL, which is made of query language of XML document supporting content-based, structure-based, and attribute-based search. This paper also designs and implements a system that converts retrieved XML documents into ones for specific platform by applying Cocoon, Web Publishing Framework.

      • 전통음식점 이용 고객의 외식소비성향이 긍정적 감정반응, 고객만족,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부산지역 돼지국밥 중심으로

        세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제시하지 못한 새로운 소비자인 부산지역의 돼지국밥 식당 이용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외식소비성향이 고객 감정반응, 고객만족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여 돼지국밥 식당 경영자들에게 마케팅 전략과 경쟁력을 증진시키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설문지 조사지로 총 290부를 배포하여 총 280부를 회수하였고, 결측값이 발견된 설문지 5부를 제외하여 총 275부.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의 SPSS 23.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외식소비성향의 휴식 추구형, 건강 추구형 두 개의 요인은 고객 감정반응과 고객만족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 감정반응에는 외식소비성향 요인 중 건강 추구형이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객만족에는 휴식 추구형이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나머지 가설 검증에서는 고객 감정반응과 고객 만족, 고객 감정반응과 재방문 의도, 고객만족과 재방문 의도 간의 관계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전통음식의 개념을 정리하고, 부산지역 돼지국밥 식당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고객 감정반응, 고객만족,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인과관계 연구함으로서 선행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향후 연구에 도움을 둔다는 것에 학문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객들이 고객 감정 반응을 느낄 때와 만족함을 느낄 때 재방문 하는 소비자가 증가한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또한 돼지국밥 식당 경영자들에게 소비자들이 고객 감정과 만족함을 느낄 수 있도록 끊임없이 음식을 연구하고 식당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effects of positive emotional responses of traditional food restaurants, who have at some point consumed pork and rice soup at Korean restaurants in Busan, and customer satisfaction, revisit intention according to their foodservice consumption propensity. Distributing a total of 280 copies of questionnaires for empirical analysis, using 275 copies of the material as specimen material, and using SPSS 23.0 statistical package for data processing.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hypothesis that the foodservice consumption propens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emotional responses was selected. The results of second hypothesis that foodservice consumption propens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third hypothesis that positive inten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were selected. Finally, The results of forth hypothesis that positive inten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and fifth hypothesis that customer satisfac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were selected.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positive inten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factor has the influence on the foodservice consumption propensity for traditional food restaurants, and food service business operators should strive to make a good menu and restaurant atmosphere for customers to get positive intention response and satisfaction.

      • 리조트관광 장애요인과 재방문 의도 : 전환장벽의 조절효과

        정남 경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1919

        최근 기업은 신규고객 창출보다 기존 고객 확보를 우선시하고 있는데, 경영학 분야에 있어 전환장벽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것도 이러한 추세와 같은 맥락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고객의 불만족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이용을 하게 만드는 높은 전환장벽은 다른 기업보다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국내 리조트 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그 장애요인을 먼저 살펴보고, 이러한 장애요인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전환장벽이 계속해서 관광자로 하여금 해당 리조트를 계속 이용하게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국내 리조트 방문에 있어 관광자들이 느끼는 장애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이러한 장애요인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동일한 리조트를 찾을 수 있게 하는 전환장벽에 무엇이 있으며, 관광자들이 각 전환장벽을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 파악하여 관광자의 재이용을 촉진할 수 있도록 리조트의 경영 및 관리운영 측면에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자료수집은 연구자가 리조트관광 경험이 있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10년 8월 한 달간이며, 본 연구자가 직접 설문지를 배부․회수하였다. 기입방법은 조사 대상자들이 직접 기술하도록 한 후 회수하는 직접 조사방법을 시행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지는 데이터 코딩과정을 거쳐 SPSS for Windows 18.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리조트 이용의 장애요인은 관광자의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조트관광의 장애요인 중, 시간․비용 요인과 개인적 요인은 모두 재방문 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체․사회 요인은 분석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기각되어 가설 1은 시간․비용 요인과 개인적 요인에 한해 부분 채택되었다. 다음으로 리조트관광의 장애요인이 관광자의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전환장벽이 조절하는 지 알아보기 위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전환장벽의 각 요인은 리조트관광의 장애요인이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는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리조트관광의 장애요인은 관광자의 리조트 재방문 의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시간, 비용, 개인적 요인에 중점을 두어 장애요인의 개선이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리조트관광의 장애요인에 대한 대책수립이 어려울 경우, 다른 리조트로 이용을 전환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끼도록 전환장벽을 더욱 견고히 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신규 고객 창출을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과 더불어 기존 고객 이탈 방지 전략을 통하여 리조트 기업의 수익구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연구는 향후 다양한 측정문항과 방법을 활용하여 리조트관광의 장애요인과 관광자의 만족 및 재방문 의도 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여 리조트 마케팅 전략을 효율적으로 전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설문응답에 있어 모집단이 20대와 서비스직에 특히 집중되어 있어 대표성에 무리가 발생할 수 있으며, 리조트관광의 장애요인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문항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하는 점이 요구된다.

      •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사동문 습득 : 주어의 유정성이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연정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주어의 유정성·무정성에 따른 사동문 습득을 관찰하는 것이다. 한국어의 사동문을 포함한 대부분의 한국어 타동문은 무정물 주어를 기피하는 특이한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언어적인 현상은 전 세계적으로 한국어와 일본어 등 특정 언어에서만 관찰되는 반면, 영어는 타동문에서도 무정물 주어를 잘 허용하는 언어이다. 특히 영어에서 사동문은 영어권 화자들에게 자주 쓰일 뿐만 아니라 무정물 주어가 잘 활용되는 구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제2언어인 한국어를 습득할 때 모어전이 현상으로 말미암아 영어권 학습자들이 한국어에서 무정물 주어가 쓰인 사동문을 기피하는 현상을 습득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실험을 통해 영어권 학습자들의 주어의 유정성·무정성의 선호도와 한국어 사동문의 유형별, 숙달도별로 습득 양상을 보고자 한다. Ⅰ장에서는 앞서 언급한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한국어 교육에서 이루어진 한국어 사동문 습득 연구와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 한국어 타동문 연구를 바탕으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다. 그 후에 이를 바탕으로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고, 본 연구 문제를 통해 한국어 모어화자와 영어권 학습자 상, 하 집단과 사동주의 유·무정성에 따라 사동문 수용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첫 번째 연구문제는 유정성 사동주가 쓰인 유형에서 한국어 모어화자와 영어권 학습자 상, 하 집단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고, 두 번째 연구문제는 무정성 사동주가 쓰인 유형에서 한국어 모어화자와 영어권 학습자 상, 하 집단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Ⅱ장에서는 한국어의 사동과 영어 사동의 유형, 의미, 통사적 특성을 정리하였으며 주어 위계와 의미역, 주어의 유정성에 대해서 다루었다. 또한, 제2언어 습득에서의 L1 전이에 관해서 기술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연구 도구는 앞선 Ⅱ장에서 언급한 한국어 사동문과 주어의 위계의 이론적 바탕으로 사동주와 피사동주의 유정성·무정성에 따른 수용성 검사지를 과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대상은 영어권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 62명이며 한국어 모어화자 30명이다. 영어권 학습자들은 숙달도 검사를 하여 평균 점수인 1명의 학습자를 제외하고 숙달도 하 집단 29명과 상 집단 32명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의 설계를 바탕으로 실험을 진행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먼저는 모어화자와 학습자들의 사동주 유·무정성에 민감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 집단별로 유정성 사동주 문항의 수용성과 무정성 사동주 문항의 수용성의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t 검정 결과 한국어 모어화자는 유정성 사동주가 쓰인 문장의 수용성과 무정성 사동주가 쓰인 문장의 수용성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영어권 학습자 상 집단과 하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유정성, 무정성 주어를 다 허용하는 영어의 영향 때문에 L1 전이현상으로 학습자들은 유정성과 무정성에 대한 민감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동문 유형과 숙달도를 변인으로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분석한 결과 ‘숙달도×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 후 숙달도를 변인으로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분석했을 때 본 연구 문제를 자세히 살펴볼 수 있었다. 첫 번째 연구 문제인 유정성 사동주가 쓰인 문장에 대한 영어권 학습자 상 집단과 학습자 하 집단이 한국인 모어 화자와 수용성 판단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을 때 유정물 사동주와 유정물 피사동주의 의미역이 ‘동작주-경험주’의 유형인 경우에 모어화자와 학습자 하 학습자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유형에서 한국어와 영어가 유정성 주어를 선호한다는 공통점을 갖는 부분이기 때문에 긍정적인 전이로 말미암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다음으로 두 번째 연구 문제인 무정성 사동주가 쓰인 문장에 대한 영어권 학습자 상 집단, 학습자 하 집단 한국인 모어 화자의 수용성 판단에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로는 무정물 사동주와 유정물 피사동주의 의미역이 ‘영향주-경험주’이고 형용사 용언이 쓰인 경우, 모어화자와 학습자 집단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무정물 사동주와 무정물 피사동주의 의미역이 ‘영향주-대상’의 유형인 경우 모어화자와 학습자 상 집단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무정물 사동주가 쓰인 경우에 학습자 집단이 모어화자의 수준까지 습득하지 못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즉, 사동주가 유정물인 경우에는 한국어, 영어 모두 자연스럽게 쓸 수 있기에 모어화자와 학습자 간 수용성의 차이가 많이 크지 않았지만 사동주가 무정물인 경우에는 모어화자들은 기피하는 현상을 보여주지만 학습자들은 모어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무정물인 사동주가 쓰인 문장을 쉽게 수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무정물 사동주가 쓰인 몇몇 유형에서 수용성 판단 과제를 그래프로 나타내어 판단했을 때 한국어 모어화자들도 ‘부자연스러움’의 기준을 넘어가는 것으로 보아 무정물 주어를 점점 받아들이는 추세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는 모어화자들도 영어 학습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무정물 주어를 받아들이는 태도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심리 용언과 무정물 사동주가 쓰인 사동문 유형에서 모어화자들도 학습자와 마찬가지로 무정물 주어가 쓰인 다른 어떤 유형보다 훨씬 높은 수용성을 보였다. 이 현상은 한국어 모어화자가 무정물 주어를 기피한다고 주장하는 선행연구와 다른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전반적인 그래프의 추이를 살펴보면 한국어 모어화자들은 사동문의 유형별로 다양한 수용성을 보여주었으나 학습자들은 한국어 모어화자에 비해 유형별로 단조로운 수용성을 보여주었기에 한국어 모어화자만큼 사동문 유형별에 따른 주어의 유·무정성의 민감성을 습득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Ⅴ장에서는 결론과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을 서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 영어권 학습자들이 모국어 영향으로 인해 무정물 사동주가 쓰인 문장을 기피하지 못했으며, 무정물 사동주가 쓰인 문장의 유형에 따라 숙달도에 따라 습득이 되는 부분도 있었고, 습득이 어려운 부분도 있었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어 학습자에게 주어의 유정성, 무정성에 대해 교육할 필요성을 밝혔다. 또한, 앞선 실험 연구는 무정물 타동문에 한정되었으나, 본 연구는 영어와 한국어의 의미적 차이에 주목하여 영어권 학습자들의 L1 전이 현상이 한국어 사동문 습득에 있어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실험을 통해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ddresses how English speakers who are learning Korean acquire Korean causatives that use animate subjects. Most English causatives have inanimate subjects. Kemmer (2001) shows that 57% of English causatives use inanimate subjects which induced the events. Thus, it can be seen that English causatives can include either animate or inanimate subjects, with inanimate subjects being more commonly used than animate ones. On the other hand, Korean causatives usually accept animate subjects. This shows that the English language uses a wider range of causatives than Korean language. Without negative evidence such as explicit grammatical explanation, it is hard for learners to notice the preference of animate subjects used in Korean causatives. Therefore, due to their inanimate subject preference, English learners can experience making errors when learning Korean causatives. Chapter I addresses previous researches that have objectives similar to that of my research. This includes researches that focus on how English learners of Korean from other countries acquire Korean causative structures in Korean education and studies on how English learners make errors when learning about Korean transitive structures with inanimate subjects. My research questions were also constructed based on these researches. The two research question to be discussed are: “Can English speakers acquire Korean causative structures with animate subjects?” and “Can English speakers acquire a tendency of avoiding using Korean causative structures with inanimate subjects?”. Chapter Ⅱ describes the 3 types of Korean causatives and goes over syntax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 of Korean causatives. This chapter also examines the corresponding structures in English. It also addresses animacy hierarchy, which states that an animate argument appears first as a subject in sentences and L1 transfer into acquisition of a target language. Chapter III describes the method of this research. To conduct the research, the ‘Acceptability Judgement Task’ method was used in order to examine how the English learners of Korean acquire the Korean causative structure ‘-key hata’ according to the types of animate subjects and inanimate subjects discussed in Chapter II.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62 English learners of Korean who were above intermediate levels and 30 native Korean speakers. Before carrying out this experiment, the English learners took a proficiency test that was able to divide them into low-proficiency participants and high-proficiency participants. Chapter IV makes an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described in Chapter III. The averages of 3 groups -native Korean speakers, intermediate learners, advanced learner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no relev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in the causative sentences with animate subject, for both Korean and English prefer to use animate subject.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ach group specifically in the causative sentences with inanimate subjects. Both of the English learners of Korean's groups were unable to reach the standards that the native Korean speakers set. English learners could not recognize the preference of animate subjects in Korean causatives especially the low proficiency groups could not reach the acceptability of Korean in the type of ‘Agent-Experiencer’ and ‘Effector-Experiencer with adjective’. High proficiency groups could not acquire Korean causatives in the type of ‘Effector-Experiencer with adjective’ and ‘Effector-Agent’. Therefore, this research shows that even advanced Korean learners have difficulty acquiring the preference of Korean causatives with animate subject. Also, native Korean speakers have a tendency to accept the inanimate subject in causative structures according to the graph that shows over two points out of four, which means ‘a little natural’ about some of the causative sentences with inanimate subjects. Chapter Ⅴ leads to the conclusion. It discusses the importance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In shor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English learners of Korean have difficulty noticing the awkwardness of Korean causative sentences with inanimate subjects because they are influenced by their native language, English, which allows inanimate subjects in causative structures. It also shows that English speakers accept the Korean causative with inanimate subjects such as the type of ‘Effector-Experiencer’ with adjective and ‘Effector-Agent’.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conducted in Korean education regarding the English learners’ acquisition of Korean causative structures according to a subject hierarchy. This research remarked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English.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that English learners of Korean are influenced by their first language when it comes to learning Korean.

      • XML 문서 소스를 위한 효율적인 접근 제어 관리 시스템

        조선 인하대학교 공학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1919

        XML as a simplified dialect of SGML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HTML with a fixed set of tags and thereby allows its users to define their own document structures. In addition, this provides standardized data types taking a form of exchanging data generated during managing databases or operating applications in enterprises, by taking advantage of its merit that it can describe meaningful information by itself. Accordingly since there are increasing needs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and security of the massive volume of XML data,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ecure access control mechanism for XML. The existing access control has not taken information structures and semantics into full account due to the fundamental limitations of HTML. In addition, access control for XML documents allows only read operations, and there exists the problem of slowing down system performance due to the complex authorization evaluation process.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a XML access control technique, research on more simple and efficient evaluation engines are required. In order to re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designs and builds a XACMS(XML Access Control Management System) which is capable of making fined-grained access control. For this, it makes more fined-grained access control policies for XML documents than ones designed for HTML documents. And then, in developing an access control system, it describes the subject and object policies of authorization for XML document on which authorization levels should be specified and which access control should be perform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pecify authorization constraints for a single XML document and/or DTD. It proposes access authorization policies for XML documents for security, and describes authorization propagation rules and algorithms for XML access control. And also this paper introduces the use of authorization sheets related to DTD and each XML document, proposing the XACMS for XML documents. The XACMS is recognized by its flexibility, featuring its capability of supporting very fined-grained access protection levels. This provides data only corresponding to its users' authority levels by authorizing them to access only the specific items of XML documents when they're searching XML documents. In order to do this, the XACMS eliminates certain parts of documents which are inaccessible and transmits parts accessible depending on its users' authority levels. It adjusts smoothly the needs of the policy manager of an overall organization and a single document creator, taking owner of access authority for particular XML documents into consideration. Therefore this system can reduce authorization evaluation costs increased by complex and repetitive authorization evaluation practices in the existing access control mechanism. The proposed XACMS can be used in the environment which XML documents and structures maybe changed. In addition since XML documents are used on the basis of normal web sites, it can be expanded to existing web servers. As the result of experiments, the XACMS can alleviate the problem of slowing down system performance due to the complex authorization evaluation process in the existing access control techniques. Therefore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XACMS proposed in this paper are an improved system compared to existing access control practices. XML은 SGML에서의 복잡성을 제거하고 HTML에서의 고정된 태그의 한계에서 벗어나 사용자가 문서 구조를 정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스스로 의미 있는 정보를 기술할 수 있는 장점을 이용해 기업체의 데이터베이스나 응용 프로그램의 운영 중에 생기는 많은 데이터들에 대한 정보 교환 형태의 표준 데이터 타입을 제공한다. 이에 대용량 XML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와 보안의 필요성이 점차 중요시되고 있어 XML에 관한 안전한 접근 제어 기법을 개발하는 일이 필요하다. 기존의 접근 제어는 HTML의 근본적인 한계 때문에 정보 구조와 의미론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다. 또한 XML 문서에 대한 접근 제어는 읽기 실행만을 제공하며, 복잡한 권한의 평가 과정 때문에 시스템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XML 접근 제어 기법을 위해 보다 단순하고 효율적인 평가 엔진(evaluation engine)에 관한 연구 방법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미세 접근 제어가 가능한 XACMS(XML Access Control Management System)를 설계하고 구축한다. 이를 위해 HTML 문서에 대해 고안된 것보다 미세한 XML 접근 제어 정책을 정의한다. 접근 제어 시스템을 개발함에 있어 어떤 권한부여를 명세하고 어떤 접근 제어를 실행해야 하는가와 관련하여 XML 문서 권한부여 주체와 객체 정책에 관하여 기술한다. 또한 단일 XML 문서나 DTD에 대해서도 권한부여를 명세할 수 있다. 보안을 위한 XML 접근 권한부여의 정책을 제안하고 효율적인 문서 관리를 위한 권한부여 전파 규칙과 XML 접근 제어 알고리즘을 기술한다. XML 문서를 위한 XACMS를 제안하고, DTD 및 각각의 XML 문서와 관련된 권한부여 시트 사용을 도입한다. XACMS는 아주 미세한 접근 보호 수준을 지원할 만큼 유연하다. XML 문서 검색에 있어서 사용자가 XML 문서의 특정 항목에만 접근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의 권한 범위에 해당하는 데이터만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는 XML 문서로부터 사용자의 권한에 따라 권한이 허용되지 않는 부분은 제거하고 접근이 허가된 부분만을 전달한다. XACMS는 특정 XML 문서에서 누가 어떤 접근 권한을 실행할 것인가를 고려하면서 조직 전반에 걸친 정책 관리자와 단일 문서 작성자의 요구를 원만하게 조정한다. 그러므로 기존 접근 제어에서 복잡하고 반복적으로 수행되었던 권한 평가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안한 XACMS는 XML 문서와 구조의 변경이 허용하는 환경에서도 지원된다. 또한 XML 문서는 보통 웹 사이트 기반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기존의 웹 서버에 확장도 가능하다. 실험 결과, XACMS는 기존의 접근 제어 기술에서 복잡한 권한의 평가 과정으로 시스템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개선시켰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한 XACMS가 기존의 접근 제어 방법보다 향상되었음을 보여주었다.

      • 중국의 문화창의산업 관련 재정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천웨원 건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1919

        최근 몇 년 동안, 문화창의산업은 점점 더 많은 세계 국가들에 의해 '조양 산업' 또는 '황금 산업'으로 불리고 있다. 그리고 각국 사람들의 창조적인 의식이 계속 강해짐에 따라서 아주 놀라운 속도로 번성하게 발전하고 있다. 문화창의산업은 세계 경제의 성장 방식을 이끌고 변화시키고 있으며 세계 각국이 앞다투어 발전하는 전략적 산업이 되다. 반면에 문화창의산업은 자체와 외부 조건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자금, 시장, 인재, 지식재산권 등에서 더 많은 지원과 보호가 필요하다. 문화창의산업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현실과는 대조적으로, 문화창의산업의 이론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낙후하다. 사람들은 문화창의산업에 대해 인식이 여전히 모호하다. 정의와 분류에 있어서 아직 통일되지 않고 특징과 법칙의 연구에 아직 깊이 관여하지 않는다. 특히 문화창의산업 발전을 위한 재정 정책에 관한 연구는 극히 드물다. 본 연구는 '이론지도-현황분석-경험참고-대책연구'의 연구 사고를 채택한다. 연구의 중점은 중국의 재정 정책이 문화창의산업 발전을 지원하는 현황이다. 그리고 재정 정책은 문화창의산업 지원에 대한 부족한 점이 아직 존재하고 있을뿐더러 국제적으로 벤치마킹할 수 있는 경험을 참고할 수 있어, 재정 정책이 문화창의산업의 발전 효과에 대한 지원하는 것을 제고를 위한 대책과 제안 등이다. 본 연구는 일정한 이론성과 연구 타당성을 가지고 있다. 주로 네 가지가 있다. 첫 번째, 본 연구가 국내외 학자들과 각국 정부의 문화창의산업 정의를 통합하는 기초 위에 문화창의산업이 중국의 발전 실천을 결합한다. 문화산업, 창의산업, 문화창의산업과의 관계 차원에서 문화창의산업 발전의 법칙을 파악하고, 인문·창의·고급 등의 요소를 두드러지게 한다. 문화창의산업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한다. 두 번째, 문화창의산업에 대한 인식을 심화시킨다. 본 연구는 연구를 통해 문화창의산업의 형성 발전의 이론적 맥락을 정리해서 문화창의산업의 본질적인 특징을 상세히 분석하였다. 세 번째, 문화창의산업의 재정학 연구 시각을 심화와 확장하는 것이다. 문화창의산업의 외부성과 공공재 등 특징 속성을 분석하여, 문화창의산업 발전의 정부와 시장의 역할을 탐구하였다. 네 번째, 이론과 정책을 결합하는 것이다. 발전 단계 등 차원에서 중국의 문화창의산업 발전의 현황을 전면적으로 뒤돌아 보았다. 산업 자체, 시장 환경, 정부 지원 등 차원에서 산업이 존재하고 있는 취약점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를 통해서 문화창의산업은 문화, 창의, 그리고 산업의 세 가지 요소를 집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문화산업에 뿌리박고, 사람의 지혜와 기능, 천부적 재능과 문화적 소양에 의해 형성된 문화적 아이디어를 핵심으로 하고, 첨단 기술의 응용과 지식재산권 보호를 보장으로 해서 각 산업이나 부문과 결합하고, 산업 사슬의 각 단계에 침투하는 부와 고용을 창출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지식 집약형 산업이다. 또한 연구의 관련 기초 위에 국제 경험을 비교하고 거울로 삼고 정부가 재정 지원의 강도를 강화하여, 조세 우대 정책을 끊이없이 실시하고, 재정 자금 사용효율의 제고 등 방법을 통해 좋은 정책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재정 정책은 문화창의산업 발전을 추진하고 있는 적극적인 역할을 점차적으로 발휘해야 한다. 동시에 직접 투입, 조세 우대와 정부 구입 등 재정 정책을 종합적으로 조화하여 운용한다. 문화창의산업 발전을 전면적으로 촉진하는 데도 유리하고 재정 자금을 절약하고 재정 기능을 높이는 효과도 거둘 수 있다. In recent years, the cultural creativity industry has been called the 'harmonious industry' or 'golden industry' by more and more countries around the world. And as the creative consciousness of each country continues to grow stronger, it is developing at a very alarming rate. The cultural creative industry is leading and changing the way the world economy grows and becomes a strategic industry where countries around the world scramble to develop. On the other hand, cultural creativity industries need more support and protection in money, markets, talent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s they are affected by their own and external conditions. Contrary to the reality that cultural window industry is rapidly developing, the theoretical study of cultural window industry is relatively backward.People are still vague about the cultural industry. It is not yet unified in justice and classification and is not yet deeply involved in the study of features and laws. In particular, there is very little research on fiscal policy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reative industries. This study adopts the research thinking of 'Theoretical Map - Status Analysis - Experience Reference - Countermeasures Research'. The emphasis of research is the present state in which China's fiscal policy supports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reative industries. And fiscal policy can refer to the experience of international benchmarking as well as the lack of support for cultural creative industries, such as measures and suggestions to enhance fiscal policy's support for the development effect of cultural creative industries. This study has a certain theoretical and research validity. There are four main things. First, on the basis that this study integrates the definitions of cultural creative industries of domestic and foreign scholars and governments, the cultural creative industries combine the practice of China's development. In terms of relations with cultural industries, creative industries, and cultural creative industries, the law of development of cultural creative industries is identified, and factors such as humanities, creativity and advanced are highlighted.give a new definition of cultural creative industries. Second, deepen awareness of cultural creative industries. Through this study, the theoretical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formation of cultural creative industries was summarized and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creative industries were analyzed in detail.Third, it is to deepen and expand the perspective of the financial studies of cultural creative industries. By analyzing the externalities of cultural creative industries and characteristic properties such as public goods, we explored the role of government and market i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reative industries. Fourth, combining theory with policy. We looked back at the status of development of China's cultural creative industries in a full scale, including the development stage. Vulnerabilities and problems that exist in the industry were analyzed in terms of industry itself, market environment, and government support. Through this study, we can see that the cultural creative industry aggregates three elements: culture, creativity and industry. This is based on the cultural ideas that are rooted in the cultural industry, formed by human wisdom and function, natural talent and cultural sophistication. It is a knowledge-intensive industry that combines with each industry or sector by guaranteeing the application of high technology and protec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has the potential to create wealth and employment penetrating at each stage of the industrial chain. Also, international experience is compared on the relevant basis of research, taken as a mirror, and the government strengthens the strength of financial support, It aims to create a good policy environment through such methods as implementing tax incentives without a break and enhancing the efficiency of the use of financial funds. Fiscal policy should gradually play an active role in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reative industries. At the same time, the government operates the fiscal policy in a comprehensive combination, including direct injection, tax incentives and government purchases. It is also advantageous in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reative industries in a whole way, and can have the effect of saving financial funds and enhancing financial fun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