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사동문 습득 : 주어의 유정성이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문연정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주어의 유정성·무정성에 따른 사동문 습득을 관찰하는 것이다. 한국어의 사동문을 포함한 대부분의 한국어 타동문은 무정물 주어를 기피하는 특이한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언어적인 현상은 전 세계적으로 한국어와 일본어 등 특정 언어에서만 관찰되는 반면, 영어는 타동문에서도 무정물 주어를 잘 허용하는 언어이다. 특히 영어에서 사동문은 영어권 화자들에게 자주 쓰일 뿐만 아니라 무정물 주어가 잘 활용되는 구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제2언어인 한국어를 습득할 때 모어전이 현상으로 말미암아 영어권 학습자들이 한국어에서 무정물 주어가 쓰인 사동문을 기피하는 현상을 습득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실험을 통해 영어권 학습자들의 주어의 유정성·무정성의 선호도와 한국어 사동문의 유형별, 숙달도별로 습득 양상을 보고자 한다. Ⅰ장에서는 앞서 언급한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한국어 교육에서 이루어진 한국어 사동문 습득 연구와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 한국어 타동문 연구를 바탕으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다. 그 후에 이를 바탕으로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고, 본 연구 문제를 통해 한국어 모어화자와 영어권 학습자 상, 하 집단과 사동주의 유·무정성에 따라 사동문 수용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첫 번째 연구문제는 유정성 사동주가 쓰인 유형에서 한국어 모어화자와 영어권 학습자 상, 하 집단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고, 두 번째 연구문제는 무정성 사동주가 쓰인 유형에서 한국어 모어화자와 영어권 학습자 상, 하 집단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Ⅱ장에서는 한국어의 사동과 영어 사동의 유형, 의미, 통사적 특성을 정리하였으며 주어 위계와 의미역, 주어의 유정성에 대해서 다루었다. 또한, 제2언어 습득에서의 L1 전이에 관해서 기술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연구 도구는 앞선 Ⅱ장에서 언급한 한국어 사동문과 주어의 위계의 이론적 바탕으로 사동주와 피사동주의 유정성·무정성에 따른 수용성 검사지를 과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대상은 영어권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 62명이며 한국어 모어화자 30명이다. 영어권 학습자들은 숙달도 검사를 하여 평균 점수인 1명의 학습자를 제외하고 숙달도 하 집단 29명과 상 집단 32명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의 설계를 바탕으로 실험을 진행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먼저는 모어화자와 학습자들의 사동주 유·무정성에 민감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 집단별로 유정성 사동주 문항의 수용성과 무정성 사동주 문항의 수용성의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t 검정 결과 한국어 모어화자는 유정성 사동주가 쓰인 문장의 수용성과 무정성 사동주가 쓰인 문장의 수용성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영어권 학습자 상 집단과 하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유정성, 무정성 주어를 다 허용하는 영어의 영향 때문에 L1 전이현상으로 학습자들은 유정성과 무정성에 대한 민감성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동문 유형과 숙달도를 변인으로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분석한 결과 ‘숙달도×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 후 숙달도를 변인으로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분석했을 때 본 연구 문제를 자세히 살펴볼 수 있었다. 첫 번째 연구 문제인 유정성 사동주가 쓰인 문장에 대한 영어권 학습자 상 집단과 학습자 하 집단이 한국인 모어 화자와 수용성 판단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을 때 유정물 사동주와 유정물 피사동주의 의미역이 ‘동작주-경험주’의 유형인 경우에 모어화자와 학습자 하 학습자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유형에서 한국어와 영어가 유정성 주어를 선호한다는 공통점을 갖는 부분이기 때문에 긍정적인 전이로 말미암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다음으로 두 번째 연구 문제인 무정성 사동주가 쓰인 문장에 대한 영어권 학습자 상 집단, 학습자 하 집단 한국인 모어 화자의 수용성 판단에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로는 무정물 사동주와 유정물 피사동주의 의미역이 ‘영향주-경험주’이고 형용사 용언이 쓰인 경우, 모어화자와 학습자 집단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무정물 사동주와 무정물 피사동주의 의미역이 ‘영향주-대상’의 유형인 경우 모어화자와 학습자 상 집단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무정물 사동주가 쓰인 경우에 학습자 집단이 모어화자의 수준까지 습득하지 못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즉, 사동주가 유정물인 경우에는 한국어, 영어 모두 자연스럽게 쓸 수 있기에 모어화자와 학습자 간 수용성의 차이가 많이 크지 않았지만 사동주가 무정물인 경우에는 모어화자들은 기피하는 현상을 보여주지만 학습자들은 모어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무정물인 사동주가 쓰인 문장을 쉽게 수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무정물 사동주가 쓰인 몇몇 유형에서 수용성 판단 과제를 그래프로 나타내어 판단했을 때 한국어 모어화자들도 ‘부자연스러움’의 기준을 넘어가는 것으로 보아 무정물 주어를 점점 받아들이는 추세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는 모어화자들도 영어 학습의 영향으로 말미암아 무정물 주어를 받아들이는 태도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심리 용언과 무정물 사동주가 쓰인 사동문 유형에서 모어화자들도 학습자와 마찬가지로 무정물 주어가 쓰인 다른 어떤 유형보다 훨씬 높은 수용성을 보였다. 이 현상은 한국어 모어화자가 무정물 주어를 기피한다고 주장하는 선행연구와 다른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전반적인 그래프의 추이를 살펴보면 한국어 모어화자들은 사동문의 유형별로 다양한 수용성을 보여주었으나 학습자들은 한국어 모어화자에 비해 유형별로 단조로운 수용성을 보여주었기에 한국어 모어화자만큼 사동문 유형별에 따른 주어의 유·무정성의 민감성을 습득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Ⅴ장에서는 결론과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을 서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 영어권 학습자들이 모국어 영향으로 인해 무정물 사동주가 쓰인 문장을 기피하지 못했으며, 무정물 사동주가 쓰인 문장의 유형에 따라 숙달도에 따라 습득이 되는 부분도 있었고, 습득이 어려운 부분도 있었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어 학습자에게 주어의 유정성, 무정성에 대해 교육할 필요성을 밝혔다. 또한, 앞선 실험 연구는 무정물 타동문에 한정되었으나, 본 연구는 영어와 한국어의 의미적 차이에 주목하여 영어권 학습자들의 L1 전이 현상이 한국어 사동문 습득에 있어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실험을 통해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ddresses how English speakers who are learning Korean acquire Korean causatives that use animate subjects. Most English causatives have inanimate subjects. Kemmer (2001) shows that 57% of English causatives use inanimate subjects which induced the events. Thus, it can be seen that English causatives can include either animate or inanimate subjects, with inanimate subjects being more commonly used than animate ones. On the other hand, Korean causatives usually accept animate subjects. This shows that the English language uses a wider range of causatives than Korean language. Without negative evidence such as explicit grammatical explanation, it is hard for learners to notice the preference of animate subjects used in Korean causatives. Therefore, due to their inanimate subject preference, English learners can experience making errors when learning Korean causatives. Chapter I addresses previous researches that have objectives similar to that of my research. This includes researches that focus on how English learners of Korean from other countries acquire Korean causative structures in Korean education and studies on how English learners make errors when learning about Korean transitive structures with inanimate subjects. My research questions were also constructed based on these researches. The two research question to be discussed are: “Can English speakers acquire Korean causative structures with animate subjects?” and “Can English speakers acquire a tendency of avoiding using Korean causative structures with inanimate subjects?”. Chapter Ⅱ describes the 3 types of Korean causatives and goes over syntax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 of Korean causatives. This chapter also examines the corresponding structures in English. It also addresses animacy hierarchy, which states that an animate argument appears first as a subject in sentences and L1 transfer into acquisition of a target language. Chapter III describes the method of this research. To conduct the research, the ‘Acceptability Judgement Task’ method was used in order to examine how the English learners of Korean acquire the Korean causative structure ‘-key hata’ according to the types of animate subjects and inanimate subjects discussed in Chapter II.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62 English learners of Korean who were above intermediate levels and 30 native Korean speakers. Before carrying out this experiment, the English learners took a proficiency test that was able to divide them into low-proficiency participants and high-proficiency participants. Chapter IV makes an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described in Chapter III. The averages of 3 groups -native Korean speakers, intermediate learners, advanced learner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no relevant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in the causative sentences with animate subject, for both Korean and English prefer to use animate subject.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ach group specifically in the causative sentences with inanimate subjects. Both of the English learners of Korean's groups were unable to reach the standards that the native Korean speakers set. English learners could not recognize the preference of animate subjects in Korean causatives especially the low proficiency groups could not reach the acceptability of Korean in the type of ‘Agent-Experiencer’ and ‘Effector-Experiencer with adjective’. High proficiency groups could not acquire Korean causatives in the type of ‘Effector-Experiencer with adjective’ and ‘Effector-Agent’. Therefore, this research shows that even advanced Korean learners have difficulty acquiring the preference of Korean causatives with animate subject. Also, native Korean speakers have a tendency to accept the inanimate subject in causative structures according to the graph that shows over two points out of four, which means ‘a little natural’ about some of the causative sentences with inanimate subjects. Chapter Ⅴ leads to the conclusion. It discusses the importance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In shor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English learners of Korean have difficulty noticing the awkwardness of Korean causative sentences with inanimate subjects because they are influenced by their native language, English, which allows inanimate subjects in causative structures. It also shows that English speakers accept the Korean causative with inanimate subjects such as the type of ‘Effector-Experiencer’ with adjective and ‘Effector-Agent’. There have not been many studies conducted in Korean education regarding the English learners’ acquisition of Korean causative structures according to a subject hierarchy. This research remarked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English.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that English learners of Korean are influenced by their first language when it comes to learning Korean.

      • 경남밀양지역 고등학생의 수산물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 실태

        문연정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경남밀양지역 고등학생의 수산물에 대한 인식 및 태도, 기호도 실태를 조사하고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수산물음식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급식식단이 급식학생의 기호도와 얼마나 근접되어 있는지, 수산식품 섭취의 기피 요소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성장기 학생들에게 수산물의 섭취기회를 증가시키고 기호도가 높은 수산물을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1학년, 2학년 학생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교급식에서 수산물음식 기호도는 보통수준으로 나타났고, 조리방법의 다양성은 ‘대체로 다양하다’와 ‘다양하다’ 비율이 낮았고, 수산물의 신선도는 ‘보통이다’가 높게 나타났다. 수산물음식 제공횟수 희망은 ‘주 2-3회’희망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고, 수산물음식 잔반처리는 ‘조금 먹는다’와 ‘절반정도 먹는다’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수산물음식에 대한 개선 사항은 ‘맛의 향상’, ‘수산물 종류 다양’, ‘섭취횟수 감소’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수산물음식 섭취 견해로는 ‘가능한 먹는 것이 좋다‘가 많았고, 수산물음식 조리 만족도는 ’보통이다‘가 높았다.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수산물 음식의 기호도에서 참치김치덮밥·참치야채비빔밥, 참치김치찌개, 참치김치볶음, 새우튀김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오징어·낙지연포탕, 미역줄기볶음, 미역·다시마채무침을 가장 싫어했으며, 조리방법별 기호도에서 밥류, 튀김류, 볶음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산물 영양성분에 대해 ‘우수하다’와 ‘아주 우수하다’가 높게 나타났고, 수산물 섭취의 필요성에서 섭취가 ‘필요하다’와 ‘아주 필요하다’가 가장 많았고, 수산물 음식재료 가격의 적정성은 ‘보통이다’가 가장 많았다. 평소 수산물에 대한 선호도에서 ‘아주 좋아한다’와 ‘좋아한다’가 가장 높았고, 수산물음식을 선호하는 이유로 ‘맛이 좋아서’, ‘영양이 풍부해서’순이 가장 많았고, 기피하는 이유로는 ‘먹기가 불편해서(뼈, 가시 등)’, ‘냄새가 싫어서’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선호하는 수산물 종류로는 갑각류, 생선류, 연체류, 조개류, 가공식품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수산물 섭취빈도에서 주3번 정도가 가장 많았고, 집·학교·외식할 때 수산물 섭취횟수는 일주일에 2-3회 정도가 가장 많았다. 수산물음식 섭취장소로는 집, 학교급식 순이었으며, 수산물을 집에서 또는 외식할 때 모두 육류를 자주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 월 평균소득과 집에서 또는 외식할 때 수산물과 육류 중 많이 섭취하는 것과의 관계는 평균소득이 높을수록 육류의 섭취가 더 많았고, 수산물과 육류 중 많이 먹는다는 응답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소 수산물에 대한 기호도와 학교급식 수산물에 대한 기호도를 분석한 결과 평소 수산물을 좋아하는(44%) 학생이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수산물을 좋아하는 비율이 19.5%으로 낮게 나타났다. 평소 수산물에 대한 기호도와 수산물 섭취횟수를 분석한 결과 수산물에 대한 기호도가 높을수록 섭취횟수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수산물 음식의 잔반처리와 조리방법의 다양성, 신선도, 제공횟수 희망, 조리 만족성, 선호도와의 상관관계 여부는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나 음식의 잔반을 많이 남기지 않는 학생이 학교 급식에 대한 이미지도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수산물 음식의 만족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수산물 선호도, 조리방법 다양성, 신선도와의 상관계수가 양의 상관관계로 수산물 음식의 만족성과 많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산물 섭취횟수와 수산물 인식 및 태도와의 관계에서 수산물을 많이 섭취하는 학생일수록 수산물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해서도 긍정적인 것을 알 수 있다.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수산물 선호도와 수산물 인식 및 태도와의 관계에서 전체적으로 수산물 음식을 선호하는 학생이 수산물 인식 및 태도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곡류 발아에 따른 유용아미노산 함량변화 및 기능성 연구

        문연정 又石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생식 제품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지는 원료들의 GABA 함량을 알아보았다. 생식에 대한 이상의 결과들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생식 원료 중 현미싹, 발아시킨 곡류류, 시금치에서 상대적으로 GABA 함량이 높았고, 야채 및 과일류는 곡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GABA 함량이 낮았다. 생식은 가열공정이 없기 때문에 화식과 달리 대사효소가 보존되어 있고 다양한 비타민, 무기질 등이 손상되지 않고 섭취가 가능하기 때문에 체내에서 유익한 작용을 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또한, 생식은 현재 시장을 점차 확대하여 2005년경에는 약 3000억 원 정도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되어 인삼 시장을 앞지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생식 시장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생식에 대한 정확한 과학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대부분 채식주의자에 대한 영양학적 연구를 통하여 간접적인 추측이 주를 이루는 실정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본 연구는 생식 제조시 사용가능한 원료를 선택하여 GABA함량을 screening 함으로써 GABA가 고함유된 기능성 식품을 제조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We analyzed the γ-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of a selection of uncooked foods. Foods with GABA concentrations in excess of 100 nmole per g dry weight included: brown rice germ, brown rice sprouts, barley sprouts, bean sprouts, beans, corn, barley, brown rice, spinach, potatoes, sweet potatoes, yams, kale and chestnuts. Cereals included: brown rice germ, brown rice sprouts, barley sprouts, bean sprouts, beans, corn, barley and brown rice and had GABA concentrations of 718, 389, 326, 302, 250, 199, 190, and 123 nmole per g dry weight(DW), respectively. The vegetables: spinach, potatoes, sweet potatoes, yams, and kale contained 414, 166, 137, 129, 122 nmole GABA per g DW, respectively. The GABA concentration of chestnut was 188 nmole per g DW. However, oatmeal, adlay, broccoli, squash, carrots, onion, apples, lentinus edodes, green laver, and lactobacillus had GABA concentrations of less than 100 nmole per g DW. These results show that brown rice germ, sprouted cereals and spinach are good sources of plant-derived GABA. These data will be useful in selecting foods for the manufacturing of uncooked foods containing a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of GABA. The changes in the levels of GABA and some free amino acids were investigated in germinating brown rices. Ungerminated brown rices were germinated for 72 hrs by application of the following solutions: 1) distilled water, 2) 50 ppm lactic acid, 3) 5 mM glutamic acid. The GABA levels were enhanced in all germinated states of brown rices compared with ungerminated ones, highest in the germinated brown rices by 5 mM glutamic acid solution. Alanine levels were also enhanced significantly in the germinated brown rices. The levels of aspartic acid and glutamic acid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all the germinated states. The levels of serine decreased during germination in the solutions of water and lactic acid were increased by the germination in the glutamic acid solution. The data show that germination of brown rices by the application of the glutamic acid solution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levels of GABA and can restore the serine level. We examined the effect of brown rice extract supplementation on lipid profile in C57BL6/J mice. Group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normal diet+water group(ND), high fat diet+water group(HD), high fat diet+non-germinated brown rice extract group(HD+N), high fat diet+ water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 group(HD+W), high fat diet+GC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 group(HD+GC). ND group diet was 11 kcal fat %. HD group diet was 42 kcal fat %. Weight gai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all groups. But, abdominal fat %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D group than all HD + brown rice extract groups. Feed consump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D group than all HD groups.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increased by high fat diet, but come to be decreased by brown rice extract supplementation to the HD diet. Serum HDL-cholesterol decreased by the high fat diet, but come to be increased by the brown rice extract supplementation. Also, serum HDL-cholesterol/total cholesterol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ll HD+brown rice extract groups than Ⅰ=Ⅱ:) group. Liver HDL-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D+GC group than HD group. Liver LDL-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lower in all HD+brown rice extract groups than HD group. These data suggest that brown rice extract and germinated brown rice extract supplementation affect on the lipid profiles in C57BL/6J mice.

      • 발효 음료 소재를 이용한 항비만 효과 연구

        문연정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연구배경 : 발효는 미생물이 자신의 효소로 유기물을 분해 또는 변화시켜 특유한 최종산물을 만들어내는 현상을 말하며 맛, 향 및 저장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이용되어 왔다.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음료는 에틸알코올을 중심으로 한 알코올형 음료와 유기산을 중심으로 한 산형음료로 나누어지며 지역 농산물과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곡류 및 과일의 전분은 당화과정에 의해 당으로 변화되고 효모에 의한 발효과정으로 에틸알코올, 물, 이산화탄소가 생성된다. 이 알코올은 초산균에 의한 발효 산물로 아세트산과 물을 생성한다. 비만은 전 세계적으로 급속한 증가를 보이는 대표적인 만성질환으로 최근 발효 음료 및 그 유래 기능성 물질을 이용하여 비만을 예방 및 치료 하고자 하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연구목적 : 본 연구에서는 전북 지역의 대표적인 발효 음료인 감식초와 막걸리 유래 유산균의 항비만 효과를 실험동물모델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① 감식초의 투여가 만성적인 알코올 투여 흰쥐의 알코올 분해능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실험군은 생후 4주된 수컷 Sprague-Dawley(SD)계 흰쥐를 대조군(NC), 알코올 투여군(EC, 4g/kg BW), 알코올-감식초 투여1군(EV1, 1ml/kg BW), 알코올-감식초 투여2군(EV2, 2ml/kg BW) 총 4군으로 나누었다. 실험동물은 7주 사육 후, 혈중 및 간중의 지질성상, 카르니틴 농도와 혈중 알코올 농도 및 β-oxidation에 관여하는 간중의 mRNA 수준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② 감식초의 투여가 고지방식이 섭취로 인해 비만이 유발되는 C57BL/6J 생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군은 28주령 수컷 생쥐를 고지방식이군(HD), 고지방식이+산도 5.2% 양조식초(1㎖/kg BW) 투여군(HD-V), 고지방식이+산도 5.2% 감식초(1㎖/kg BW) 투여군1(HD-PV1), 고지방식이+산도 5.2% 감식초(2㎖/kg BW) 투여군2(HD-PV2) 총 4군으로 나누었다. 시료는 사육기간 17주 동안 하루 1회 경구투여 하였고, 사육 후 혈중 및 간중의 지질 성상 조사, 혈중 및 간중의 카르니틴 함량을 통한 에너지 대사 분석 및 지질대사 관련 유전자 수준을 분석하였다. ③ 막걸리에서 분리한 Pediococcus acidilactici M76 균주의 투여가 고지방식이 섭취로 인해 비만이 유발되는 C57BL/6J 생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정상식이 섭취 증류수 투여군(ND, 10% kcal % fat), 고지방식이 섭취 증류수 투여군(HD, 60% kcal % fat), 고지방식이 섭취 공시균주 투여군(PR) 및 고지방식이 섭취 P. acidolactici 투여군(PA)으로 총 4군으로 나누었다. 실험동물은 시료는 사육기간 12주 동안 하루 1회 경구투여 하였고, 사육 후 혈중 및 간중의 지질 성상, 혈중의 인슐린 및 렙틴 함량과 지질대사 관련 유전자 수준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① 감식초는 만성적 알코올 투여로 인해 감소된 체중을 정상체중으로 회복시켰고 알코올 투여로 증가된 혈중의 중성지질 및 총콜레스테롤, 간중의 총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었으며, 낮아진 간중의 non-esterified carnitine (NEC) 분획의 농도를 정상수준 이상으로 높였다. 또한, 감식초를 투여한 군이 알코올 대사를 촉진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지질 성상 및 카르니틴 변화는 간중 acetyl-CoA carboxylase (ACC)와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I (CPT-I) mRNA 발현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지방산의 β-oxidation이 증가하였음을 증명하였다. ② 감식초의 보강은 epididymis fat, 혈중 및 간중의 총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혈중 및 간중의 acid insoluble acylcarnitine (AIAC) 분획의 농도를 증가시켰다. ③ P. acidolactici M76 의 보강은 epididymis fat 및 체중을 감소시키고,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γ), fatty acid synthase (FAS) 및 ACC 유전자 수준 증가를 통해 렙틴 분비를 감소시켜 중성지질 축적을 저해시켰다. 결론 : 감식초의 섭취는 만성적 알코올 투여 및 고지방 식이 섭취로 인해 야기되는 비만 및 고지혈증에 도움을 주며, 막걸리 유래 P. acidilactici M76 의 보강은 체내 지질 축적으로 유발될 수 있는 심혈관계 질환 및 비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의의 : 본 연구는 한식의 한상 차림에 필수적인 발효 음료의 우수성을 과학적으로 증명함으로써 발효 음료가 우리 문화와 함께 세계화 하는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고려시대 자기제 타호(唾壺) 연구

        문연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produc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sculptural styles, and uses and characteristics of ceramic Spittoon(or Spit bowl, Waste Receptacle) as part of the Goryeo Dynasty research. The ceramic Spittoon in the Goryeo Dynasty was a type of teaware or sanitary-ware, made of celadon, white porcelain, bronze, and silver. Named '唾壺' or '唾盂'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name already implies that it was a jar for spitting or throwing something away. The ceramic Spittoon originally originated in China, where it was used as a teapot with the spread of the Jada(煮茶法 or 烹茶法, 煎茶法) and Sanda (散茶法) from that the Tang Dynasty up to the Yuan Dynasty. In the Jada method, chunks of imprecisely ground tea leaves would fall into the bowl or mouth as the tea was consumed, and in the Sanda method, the leaves were steeped in warm water as they were picked, so tea tools were needed to handle this. Thus, the wide-bladed Spittoon was used to rinse the remaining tea leaves from the bowl, discard the tea water, and spit out any tea particles caught in the mouth during the process of drinking tea. These uses are similar to the Chuck-fang(滌方) and Jia-fang(滓方) in Lu Yu's 『The Classic of Tea(or Chajing, 茶經)』, suggesting that the Spittoon may have replaced the Chuck-fang and Jia-fang in certain situations. Domestically, the Spittoon is understood to have introduced the structure and form of the Five Dynasties’s Yue ware(越州窯) during the process of accepting tea ceremony and teaware from China. Goryeo period Spittoon began to be produced mainly on early celadon and white porcelain wares from the early Goryeo period, such as Bangsan-dong kiln site in Siheung, and Seori kiln site in in Yongin. This suggests that the production of Celadon and White porcelain Spittoon was motivated by the early Goryeo Dynasty's desire to produce its own teapots to meet the growing demand for tea. Later, in the middle Goryeo period, high-quality celadon tahoes with lavish decorations such as engraving, embossing, inlaying, iron painting, and ironware were produced at Sadang-ri, Gangjin, and Yucheon-ri, Buan, and consumed mainly at royal sites such as Goryeo Palace Castle, Gaeseong, and king Myeongjong(明宗, r. 1170∼1197)’s Tomb. At the same time, provinces imitated it and produced celadon of a coarser quality, and it was used in various types of consumption sites such as buildings, towns, and tombs. Goryeo period ceramic Spittoon were made by two methods: one-piece molding and two-piece molding. Generally speaking, the former is characterized by low quality and the latter by high quality. This study uses this as a basis for classifying the styles, categorizing type I as an one-piece type where the entire piece is pulled out at once on a spinning wheel, and types II and III as a two-piece type where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made separately and then glued together in the pre-glazing stage. Types II and III were further divided into high quality and low quality. In terms of timing, types I and III preceded in the early Goryeo period, and type II reached its peak in the middle period. In the latter part of the period, not only does the total production decrease dramatically, but it also reverts back to types I and III. These changes are thought to be related to changes in tea ceremony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uses of ceramic Spittoon in the Goryeo period were as teapot for tea ceremonies imported from China, most notably the Jada and Sanda ceremonies, as well as sanitary devices for daily use indoors to collect saliva and phlegm. Meanwhile, the characteristics of Spittoon were summarized in three ways. First, a clear distinction was made between low quality and high quality. This was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yal family and provincial customers. Secondly, the high quality line was a luxury product and was mainly consumed by the royal family and the upper class. At this time, as much labor as possible was expended on two-piece molding and decoration, and the size of the statues, especially the front, was made wider. Third, when the tomb was constructed, it was placed in the tomb in a combination of Bowl, Dish, Bottle, Kundika, Ewer, Jar, etc. The composition of these objects was repeated consistently, regardless of status, region, etc.,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burials may have involved tea rituals, or even if they did not, they were placed with the implication of tea rituals. The ritualistic nature of Spittoon The ritualistic nature of Tahoe is also supported by excavations in China and Korea, as well as by the presence of listed items and traces of indigenous rituals.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려시대 기명 연구의 일환으로 고려시대 자기제 타호(唾壺)의 사회∙문화적 배경, 생산 및 소비의 양상, 조형 양식, 그리고 용도와 성격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고려시대 타호는 다기(茶器) 혹은 위생기(衛生器)의 일종으로 청자, 백자, 청동기, 은기 등으로 제작되었다. 고려시대에 ‘唾壺’ 혹은 ‘唾盂’로 명명되었던 타호는 그 명칭에서 이미 어떤 것을 뱉거나 버리는 용도의 항아리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타호는 본래 중국에서 유래된 기종으로 당대(唐代) 이래 최대 원대(元代)까지 자다법(煮茶法, 혹은 烹茶法, 煎茶法) 및 산다법(散茶法)의 확산과 함께 다기로 사용되었다. 자다법에서는 병차(餠茶, 떡차)에 미처 정밀하게 갈리지 못한 찻잎 덩어리가 차를 음용할 때 그릇이나 입에 들어가게 되고 산다법에서는 채취한 찻잎을 그대로 따뜻한 물에 넣고 우려 마시기 때문에 이를 처리할 차 도구가 필요하였다. 이에 전이 넓게 벌어진 형태의 타호가 음다의 과정에서 찻그릇에 남은 찻잎을 헹구거나 찻물을 버리고, 입 안에 걸린 차 찌꺼기를 뱉을 때 소용되었다. 이러한 쓰임새는 육우(陸羽, 733~804년)의 『다경(茶經)』에 등장하는 방형(方形)의 척방(滌方, 개수통), 재방(滓方, 찌꺼기통)과 유사한데, 타호가 일정한 상황에서 척방과 재방을 대체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국내에서 타호는 중국으로부터 다법(茶法)과 다기를 수용하는 과정 가운데 오대(五代) 월주요(越州窯) 계통의 구조와 조형이 유입되었다고 이해된다. 고려시대 자기제 타호는 배천 원산리 요지, 시흥 방산동 요지, 용인 서리 요지 등 10세기~12세기 이전의 초기청자 및 백자 요지를 중심으로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곧 고려초기, 늘어난 차에 대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자기제 다기의 자체적인 생산을 목적으로 하였던 당시의 상황이 청자 및 백자 타호의 제작에 동력이 되었다고 보여진다. 12세기 이후에는 강진 사당리 요지와 부안 유천리 요지에서 음각, 양각, 상감, 철화, 철채 등 화려하게 장식한 양질의 청자 타호가 개성 고려궁성이나 명종 지릉 등 왕실 유적을 중심으로 소비되었다. 동시에 지방에서는 이를 모방하여 조질 계통의 청자를 생산하였고 주변의 건물지나 읍성, 분묘 등 여러 성격의 소비지에서 사용되었다. 고려시대 자기제 타호의 제작법은 일체 성형과 접합 성형으로 나뉜다. 대체로 전자일 때 조질, 후자일 때 양질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유형 분류의 기준으로 삼아 Ⅰ유형은 물레 위에서 전체를 한번에 뽑아 올리는 일체형, 그리고 Ⅱ, Ⅲ유형은 상∙하단부를 별도로 제작한 뒤 시유 전 단계에서 이어 붙이는 접합형으로 분류하였다. Ⅱ, Ⅲ은 다시 양질과 조질로 나누었다. 시기적으로 Ⅰ, Ⅲ유형이 10세기~12세기 이전에 선행하고, 12세기~14세기 이전에 Ⅱ유형이 다수 제작되어 절정기를 맞이하였다. 14세기 이후에 이르면 전체 생산량도 급락할 뿐더러 Ⅰ, Ⅲ유형으로 다시 회귀한다. 이러한 변화는 고려시대 다법의 변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시대 자기제 타호의 용도는 중국에서부터 유입된 다법, 그 중에서도 자다법과 산다법을 행할 때의 다기, 그리고 일상에서 실내에 두고 침이나 가래를 받는 위생기로 추측된다. 한편 타호의 성격은 다음의 세 가지로 정리되었다. 첫 번째, 조질과 양질의 품질 분화가 극명하게 형성되었다. 이는 개성과 왕실, 경상 지역을 중심의 지방과 지방 수요층(향리, 부유민 등)이라는 차이에서 기인하였다. 두 번째, 양질 계통은 왕실과 상류층을 주 대상으로 소비되었다. 이때 가능하면 최대한 공력을 들여 접합 성형을 하고 장식을 더할 뿐더러 기물의 크기, 특히 전을 더 넓게 제작하고자 하였다. 세 번째, 분묘를 조성할 때 완, 발, 접시, 병, 정병, 주자, 항 등의 음다용구와 조합관계를 이루어 무덤에 매납되었다. 이와 같은 기물의 구성은 신분의 고저, 지역 등과 상관없이 일정하게 반복되었는데 실제로 장례에 다례가 치뤄졌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다례의 의미를 함축하여 매납되었을 것으로 이해된다. 타호의 의례기적 성격은 중국 및 한국의 출토 사례, 명기 물목, 그리고 토속신앙의 의식이 행해진 흔적 등으로도 뒷받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