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상 산모와 중증 전자간증 산모의 태반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2, -9의 발현양상

        문여정 ( Yeo Jung Moon ),황한성 ( Han Sung Hwang ),김영한 ( Young Han Kim ),권자영 ( Ja Young Kwon ),박용원 ( Yong Won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11

        목적: 본 연구는 정상 태반 및 중증 전자간증 태반에서의 MMP-2와 MMP-9의 발현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실험에 사용된 정상 및 중증 전자간증 산모의 태반은 만삭에 제왕절개술을 시행한 산모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MMP-2,-9의 유전자 발현 정도는 반정량적 RT-PCR을 통하여 측정되었다. 단백질의 정량화를 위하여 western blot을 시행하였고, 면역학적 위치선정을 위하여 immunohistochemical staining을 시행하였다. 결과: RT-PCR 결과 MMP-2,-9의 유전자는 정상 및 중증 전자간증 태반 모두에서 발현되었고, 중증 전자간증에서 발현이 감소 되었다. Western blot을 시행한 결과 중증 전자간증에서 단백질 발현이 감소되었다. 면역조직화학 염색 결과 MMP-2,-9은 모두 태반 내 융모막에서만 발현하였으며, 중증 전자간증 태반에서 발현이 감소하였다 결론: 중증 전자간증 산모의 태반에서 MMP-2,-9의 발현이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MMP-2,-9이 중증 전자간증의 병인에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ial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2,-9 in the normal and severe preeclamptic placenta. Methods: Placentas were obtained from women undergoing cesarean section with normal (n=10) and severe preeclamptic (n=10) pregnancies. Semi-quantitative RT-PCR was done to detect the placental gene expression of MMP-2,-9. Western blot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MMP-2,-9 protein expression in each placenta.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ere employed to localize MMP-2,-9 in placental tissues. Results: MMP-2,-9 genes were expressed in both normal and severe preeclamptic placenta. There were lower expressions MMP-2,-9 in severe preeclamptic placentas than in normal. MMP-2,-9 proteins were all present in each placental tissue. The expression for MMP-2,-9 was weaker in severe preeclamptic placenta than in normal. MMP-2,-9 were localized only to the trophoblast, and were also weakly positive in severe preeclamptic placenta compared with normal. Conclusions: MMP-2,-9 expressions were decreased in severe preeclampsia placenta compared to those from normal placenta. This study suggests that decreased expression of MMP-2,-9 may have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severe preeclampsia.

      • KCI등재

        난소 기형종에서 혈청 CA19-9의 임상적 유용성

        임승철 ( Seung Chul Lim ),문여정 ( Yeo Jung Moon ),김상운 ( Sang Wun Kim ),윤보성 ( Bo Sung Yoon ),남은지 ( Eun Ji Nahm ),김재훈 ( Jae Hoon Kim ),김영태 ( Young Tae Kim ),김재욱 ( Jae Wook Kim ),김성훈 ( Sung Hoo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9

        목적: 난소 기형종에서 혈청 carbohydrate antigen (CA) 19-9를 측정함으로써 감별진단의 유용한 도구로서의 유용성을 평가한다. 연구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5년 7월까지 본원에서 조직학적으로 난소 기형종을 진단받은 환자 중 수술 전 혈청 CA19-9 검사를 시행한 201명의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부인과 정기 검진을 시행한 100명의 정상군과 비교 연구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SPSS (version 12.0)에서 t-test와 Pearson correlation를 이용하였다. 결과: 난소 기형종 환자군에서 혈청 CA19-9는 정상군에 비해 유의한 상승을 보였다 (p=0.011). 혈청 CA19-9과 난소 기형종의 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09). 또한, 수술 후 혈청 CA19-9는 수술 전과 비교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p=0.007). 결론: 혈청 CA19-9는 난소 기형종과 다른 난소 종괴의 감별에 있어 보조적인 도구가 되며, 수술 후 재발 여부를 관찰하는 추적 검사로 사용될 수 있다. Objective: This study is to determine serum carbohydrate antigen (CA) 19-9 levels in ovarian mature cystic teratoma (MCT) as a possible differential diagnostic tool. Methods: The study group was composed of 201 patients who underwent removal of ovarian MCT and pathologically confirmed at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January 2001 to July 2005. All of them were tested for serum CA19-9 levels before operation. Their data was compared with routine gynecologic evaluation group who showed normal serum CA19-9 level.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by SPSS version 12.0. Results: Serum CA19-9 level was significantly elevated in the patients with ovarian MCT (p=0.011). Serum CA19-9 level and size of MC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p=0.009). Moreover, postoperative serum CA19-9 level showed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to preoperative level (p=0.007). Conclusion: Serum CA19-9 can be used as an effective method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ovarian MCT, and it is proper to be used as a postoperative follow-up test.

      • KCI등재

        나이에 따른 중부요도 슬링수술의 치료 성적 비교

        이마리아 ( Maria Lee ),임경진 ( Kyung Jin Lim ),문여정 ( Yeo Jung Moon ),김세광 ( Sei Kwang Kim ),배상욱 ( Sang Wook Ba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8

        목적: 중부요도 슬링수술을 시행받은 환자를 70세 이상 그룹과 70세 미만 그룹으로 나누어 치료성적 및 합병증을 비교하고, 70세 이상 그룹에서 효과적인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2000년 3월부터 2006년 6월까지 본원에 내원하여 복압성 요실금으로 진단받은 381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환자를 70세 미만 그룹과 70세 이상 그룹의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수술 1, 3, 6 그리고 12개월 후에 완치 여부와 합병증을 비교하였고 통계 분석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와 t-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전체 381명 중 70세 이상 환자는 40명 (10.5%)이었다. 수술 전후의 혈색소 차이, 요정체, 요로감염, mesh 미란, 상처 감염의 비율은 두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새로 발생한 절박뇨는 70세 이상 그룹에서 그렇지 않은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15.9% vs. 30.0%, P<0.001). 수술 1년 후 완치율을 비교하였을 때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82.2% vs. 91.3%: P>0.05). 결론: 70세 이상 환자에서 70세 미만 환자들에 비해 중부요도 슬링수술 시행 전후 유의한 합병증과 완치율의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새로 발생한 절박뇨는 70세 이상 그룹에서 높았다. 복압성 요실금 치료로서 중부요도 슬링수술은 짧은 재원 기간과 회복 기간이 요구되며 전 연령에서 모두 안전 하고 효과적인 수술 방법이다. Objective: To compare the morbidity and treatment outcomes of mid urethral sling procedures for older women and younger women, and to evaluate whether mid urethral sling procedures can be effectively used in older women.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381 patients who underwent mid urethral sling procedures, tension free vaginal tape (TVT) or transobturator tape (TOT) for urodynamic stress urinary incontinence from March 2000 to June 2006.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age groups: younger women (30~69 years old) and older women (70~90 years old). Patients were followed up with clinic visits at 1, 3, 6, 12 months, and every year thereafter. Results: 341 (89.7%) were in younger women, 40 (10.5%) in older women. The rates of intra and peri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ing hemoglobin difference, urinary retention, UTI, mesh erosion, wound infection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De novo urgency was more common in older women than younger women (15.9% vs. 30.0%: P<0.001). The subjective cure rate at 1 year follow up (82.2% vs. 91.3%: P>0.05)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Our data showed subjective cure rates without any significant increase in intraoperative complications in older wome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f de novo urgency were more common in the older women. Hospital stay and recovery period were short, making TVT and TOT a suitable procedure for all ages.

      • KCI등재

        심혈관질환 및 심혈관질환에 대한 위험요인이 과민성 방광 환자와 복압성 요실금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상관 분석

        이효련 ( Hyo Ryun Lee ),김수림 ( Soo Rim Kim ),문여정 ( Yeo Jung Moon ),김세광 ( Sei Kwang Kim ),배상욱 ( Sang Wook Ba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10

        목적 이 연구는 복압성 요실금 또는 과민성 방광을 가진 환자군을 대상으로 심혈관질환의 발생 빈도와 상관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순수한 복압성 요실금 환자와 순수한 과민성 방광 환자 23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방법으로 진행되었으며, 심혈관질환은 관상동맥질환, 뇌혈관질환, 말초혈관질환으로 정의하였으며, 심혈관질환의 위험요인으로는 나이(≥65세), 관상동맥질환의 가족력, 뇌혈관질환의 가족력, 흡연력, 음주력, 고혈압, 당뇨, 공복혈당장애, 지질장애, 체질량지수가 포함되었다. T-test,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심혈관질환은 과민성 방광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으나 유의한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심혈관질환과 나이, 당뇨, 고혈압, 흡연력, 공복혈당장애, 관상동맥질환의 가족력, 지질장애는 과민성 방광에서 더 많았고, 체질량지수, 뇌혈관질환의 가족력, 음주력은 과민성 방광에서 더 많았지만 모두 유의한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당뇨는 과민성 방광 환자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비록 통계적 유의성을 갖지는 못했지만 심혈관질환, 특이 뇌혈관질환에서 과민성 방광 환자가 더 많은 빈도를 보였다. 당뇨를 제외한 심혈관질환의 모든 위험요인의 빈도가 복압성 요실금과 과민성 방광에서 차이가 없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ssociations between overactive bladder/stress urinary incontinence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disease.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review of 132 women with overactive bladder and 100 women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enrolled at Severance Hospital.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included age, obesity, hypertension, diabetes, impaired fasting glucose, dyslipidemia, cardiovascular disease and familial history of cardiovascular disease. Results The two groups had no difference with cardiovascular disease, history of cardiovascular disease, age, obesity, smoking, alcohol, hypertension, dyslipidemia, excluding diabetes. In the un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diabetes was associated with prevalence of overactive bladder than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n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re was no factor which had influence on the status of urinary incontinence. Conclusion While most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 were not associated with overactive bladder, this study suggests that diabetes may have influence to overactive bladder than stress urinary incontinence.

      • KCI등재

        골반장기탈출증 수술 전 시행하는 요역동학 검사에서 수술 후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유용한 지표와 동시수술의 타당성: 후향적 코호트 연구

        조주현 ( Ju Hyun Cho ),김수림 ( Soo Rim Kim ),문여정 ( Yeo Jung Moon ),김세광 ( Sei Kwang Kim ),배상욱 ( Sang Wook Ba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4

        목적 본 연구는 골반장기탈출증을 가진 환자들의 수술 전에 시행하는 요역동학 검사에서 수술 후 결과 및 합병증과 관련된 유용한 지표를 알아보고, 골반장기탈출증 교정술과 복압성 요실금교정술을 동시에 시행하는 경우 그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2006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에 등록된 수술 전 요역동학 검사 및 골반장기탈출증 수술을 시행한 30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 후 복압성 요실금의 유병률은 수술 전 요역동학 검사상 복압성 요실금을 진단받지 않아 골반장기탈출증 수술만 시행한 그룹 2 (3.1%, 4명)에서 복압성 요실금을 진단받아 요실금교정 수술을 동시에 시행한 그룹 1 (1.7%, 3명)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우리는 valsalva 유발 요누출 시 복압, 최대요도 폐쇄압, 최대요속, 최대요속 시 배뇨근압력, 최대 방광용적의 5가지 요역동학 검사 지표를 비교하였다. 수술 후 복압성 요실금에서는 최대요속 시 배뇨근압력(교차비, 1.029; 95% 신뢰구간, 1.001-1.038)이, 절박성 요실금의 경우 최대요도 폐쇄압(교차비, 0.969; 95% 신뢰구간, 0.942-0.996)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지표로 나타났다. 결론 수술 후 합병증의 유병률에 중점을 두면, 동시 수술은 골반장기탈출증 수술만 하는 경우보다 더 나은 결과를 나타내며 수술 전 요역동학 검사에서도 의미 있는 지표가 있어 그 시행이 필요하다. Objective To evaluate effective parameters of preoperative urodynamic study (UDS) before performing surgery for pelvic organ prolapse (POP) and to validate effectiveness of concomitant surgery on urinary outcomes.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308 patients who had UDS before POP surgery from January 2006 through December 2010 at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Seoul, Korea. Th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UI) by positive result of UDS (group 1) had a concomitant sling operation with POP surgery. And the patients were not diagnosed with SUI by negative result of UDS (group 2) did not. Results The prevalence rate of de novo SUI in group 2 (3.1%, n = 4) higher than group 1 (1.7%, n = 3),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 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e checked 5 parameters of UDS (valsalva leak point pressure, maximal urethral closing pressure [MUCP], maximal fl ow rates, detrusor pressure at maximal fl ow [PdetMax], maximal cystometric capacity confi dence). PdetMax and MUCP was statistically signifi cant parameter in postoperative de novo SUI (odds ratio [OR], 1.020; 95% confi dence intervals [CI], 1.001-1.038) and postoperative de novo urgency urinary incontinence (UUI; OR 0.969; 95% CI, 0.942-0.996).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results of preoperative UDS and concomitant surgery can be associated with prevalence rate of postoperative de novo SUI. Focused on prevalence of postoperative urinary complications, concomitant surgery was better than only prolapse surgery. PdetMax in SUI and MUCP in UUI were statistically signifi cant parameters of UDS related on urinary outcome.

      • KCI등재

        골반장기 탈출증 환자의 복식 천골질고정술 수술 후 발생하는 배뇨장애 예측인자

        박수연 ( Su Yeon Park ),권하얀 ( Ha Yan Kwon ),박정화 ( Jung Hwa Park ),문여정 ( Yeo Jung Moon ),김세광 ( Sei Kwang Kim ),배상욱 ( Sang Wook Ba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2

        목적: 본 연구는 골반장기 탈출증의 수술적 치료인 복식 천골질고정술(abdominal sacrocolpopexy) 수술 후 발생하는 배뇨장애(voiding dysfunction)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7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본원 산부인과에서 골반장기 탈출증으로 복식 천골질고정술을 시행받은 총 8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환자들의 POP-Q system에 따른 병기를 포함한 임상적 특징, 산과력, 수술력, 수술 후 도뇨관 제거일을 조사하였으며, 수술 전 시행한 요역동학 검사들의 결과를 검토하였다. 수술 후 배뇨장애가 발생한 환자들을 조사하여 배뇨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환자들과 비교분석하였다.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χ2 test와 t-test를 이용하여 두 군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다중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수술 후 배뇨장애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았다. 결과: 복식 천골질고정술을 받은 89명 중 17명(19.1%)이 배뇨장애를 호소하였다. 배뇨장애가 발생한 환자군과 발생하지 않은 환자군의 임상적 특징 중 당뇨가 있거나(29.4% vs. 9.7%, odds rations [OR]: 3.87, 95% confidence intervals [CI]: 1.05-14.23), 도뇨관 제거일이 늦은 경우 (수술 후 4일: 47.1% vs. 13.9%, OR 5.51, 95% CI 1.72-17.64)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요역동학 검사결과 비교에서는 detrusor pressure at maximal flow rate (Pdet at Qmax)가 (13±8 vs. 23±15, per 10 cm H20, OR 0.54, 95% CI 0.31-0.95)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중회귀 분석을 통해 이들 중 Pdet at Qmax (OR 0.94, 95% CI 0.89-0.99)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골반장기 탈출증 치료로 복식 천골질고정술을 시행하는 경우, 수술 전 시행한 요역동학 검사상 Pdet at Qmax가 낮을수록 수술 후 배뇨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한다. Objective: Although there were many studies about postoperative voiding dysfunction after anti-incontinence operation, little studies after pelvic organ prolapse operation were published. We sought to determine risk factors for voiding dysfunction (VD) after abdominal sacrocolpopexy (ASC). Methods: ASC was performed on 89 women at Yonsei University Health System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09. VD was defined as post void residual (PVR)>150 mL. Foley catheter was removed after the third or forth postoperative day (POD). Risk factors for VD were examined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s. Results: Seventeen patients (19.1%) had VD.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TAH) was performed on 70.8%, transobturator tape (TOT) on 55.1% concomitant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mean±standard deviation [SD], 59.9±12.8 vs. 62.7±8.1 yr), parity (mean [range], 3 [1-5] vs. 3 [1-8]), body mass index (mean±SD, 24.0±2.7 vs. 24.4±3.6), TAH (70.6% vs. 70.8%), TOT (52.9% vs. 55.6%) and pelvic organ prolapse quantification stage 4 (94.1% vs. 68.1%, P-value 0.057).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diabetes mellitus (29.4% vs. 9.7%, odds rations [OR]: 3.87 [95% confidence intervals, CI: 1.05-14.23]) and the day of foley removal (POD 4: 47.1% vs. 13.9%, OR: 5.51 [95% CI: 1.72-17.6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rodynamic parameters including maximal capacity, urethral closure pressure, maximal flow rate, mean flow rate, post void residual except detrusor pressure at maximal flow rate (Pdet at Qmax), (13±8 vs. 23±15, per 10 cm H20, OR 0.54 [95% CI: 0.31-0.95]). In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only Pdet at Qmax OR 0.94 (95% CI: 0.89-0.99) remain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Women with lower Pdet at Qmax are more likely to have VD after AS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