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방 분권과 지역시민사회의 과제

        문순영(Soon-Young Moon) 한국비영리학회 2005 한국비영리연구 Vol.4 No.1

        세계적으로 지방화가 주요 흐름 중의 하나이다. 우리의 경우에도 오랫동안 유지해왔던 중앙집권체계가 빠르게 변화는 정보지식사회와 세계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여 더 이상 국정 운영에 효율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었다. 이에 참여정부는 중앙집권적 상황에서 탈피하여 분권형 선진국가를 건설하고자 분권화 정책을 국정과제의 하나로 삼아서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또 다른 국정 목표인 ‘참여복지와 삶의 질 향상’의 추진으로 일천하였던 지역사회 복지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글은 현재 참여정부가 진행하고 있는 지방분권과 참여복지가 지방의 사회복지부문에 미치는 영향력의 의미와 그로 인한 문제점을 몇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우선 지방의 사회복지활동의 틀을 제공하는 지방자치법 및 관련 사회복지법에 나타나고 있는 지방의 역할, 다음으로 실제적인 사회복지행정사무의 성격에서 나타나는 특성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에 근거하여 사회복지부문의 분권화를 성공적으로 만들기 위해 지역 시민사회에 요구되는 과제들을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Decentralization and participatory welfare policies under the present ‘Participatory Government’ and to disclose their effects. To fulfill these purposes,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among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nonprofit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were analyzed. Specifically, the analyses were done in terms of the social service delivering systems and legal aspects-both social welfare laws and the law for the local autonomy. As a result, the more integrated community welfare plan and the reasonable participating systems such as “Participatory Budget System” were strongly suggested in order to develop the community welfare. Finally, following three tasks were stressed on: 1) Local Civil Society should enhance community solidarity by breaking ‘Nimbi’. 2) Non-profit Social Service Providers and NGOs should be empowered in terms of their ability for mobilizing and organizing the local residents. 3) Non-profit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should be capable to make or suggest the substitute budget.

      • 지역기반(Community-based) 사회적 기업(Social Enterprises)의 특성과 발전 과제를 중심으로

        문순영(Soon-Young Moon)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3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6 No.1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지역연계(local based) 혹은 지역기반(community-based) 사회적 기업의 특성들이 무엇인지를 대구 지역의 ‘안심 사회적 기업 빌리지 구축’사례와 ‘수당방 공방’ 사례를 통하여 살펴보고, 이들을 활성화하기 위한 발전과제를 살펴보았다. 우선 사례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지역기반 사회적 기업의 특성은 지역사회의 문제해결을 위한 모델과 수익창출 구조 모델의 결합이다. 둘째, 지역기반 사회적 기업의 소통구조를 위하여 다각도의 주민참여 공간과 만남의 장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는 지역주민들이 스스로 문제 해결에 성공한 경험을 가지고 있는 것이 지역 기반 사회적 기업이 지역주민간의 의사소통과 참여구조를 가지면서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만드는 중요한 핵심 동력 중의 하나이다. 넷째, 지역사회 구성원 대부분의 생활 영역들에서 공동체 운동이 사회적 기업으로 발전해가려면 변화 및 발전단계들에서 주민들에게 필요한 학습 프로그램들이 기획되어 운영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결과들과 두 사례 기관들이 경험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통하여 향후 지역사회기반(community-based) 사회적 기업들을 개발, 발전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개선 과제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 시스템에서 가장 절실하게 요구되는 것은 중간지원조직의 역할과 이들간의 네트워크 활용이다. 둘째, 현재 지역성과 수익성을 핵심 키워드로 두고 있는 정부의 여러 가지 사업들이 연계성을 가지고 통합된 정책아래 각각의 역할을 분할하여 운영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 points. First, define the features of community-based social enterprises with two case studies in Daegu. Second, development issues related to sustain of social enterprises are discus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major feature of community-based social enterprises is making system of profits and citizen participation operation up together. Second, the programs which give chances for the inhabitant to meet and community are needed. Third, the success experience that resolves local problem for themselves within the residents voluntarily is needed. Fourth, the learning programs to empowered residents are needed. By judging from these findings,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are needed in order to activate social enterprises, and also need to integrate up job creation programs within various government departments.

      • KCI등재

        사회복지비영리조직의 자율규제(self-regulation)에 관한 탐색적 연구

        문순영 ( Soon Young Moon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1 사회복지정책 Vol.38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회복지비영리조직의 책임성 강화를 위한 규제의 지평을 확대하기 위하여 자율규제(self-regulation)방안들을 검토하여 보았다. 사회복지비영리조직은 공익에 종사하면서도 자율적이고 자발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규제방식도 이들 집단의 자율성과 자발성을 침해하지 않으면서 규제에 대한 집단의 순응도를 높일 수 있다면 규제의 효과는 더욱 커질 것이다. 따라서 민간의 자율성을 고려한 규제 방식인 자율규제(self-regulation) 유형을 통하여 사회복지비영리조직들의 규제 형태를 분석하고 향후 실현 가능한 자율규제 발전 유형과 이를 위한 과제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Gugerty, Mary Kay. Sidel, M. and Bies, A. L(2010)의 비영리부문의 자율규제 유형구분과 정부개입의 정도를 기준으로 분석틀을 구성하고 이에 따라 논문, 법률 및 입법자료, 비영리단체의 간행물, 정책보고서, 정부 간행물, 신문, 비영리단체 발간물 등 관련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의 사회복지비영리조직의 자율규제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정부의 자율규제강제(유형 I)``, ``정부의 자율규제 촉진(유형Ⅱ)``, ``자율규제 유형(유형 Ⅲ)`` 중에서 우리나라 사회복지비영리조직에서는 ``유형 I``이 가장 발달하였다. 그러나 이 유형은 규제 담당 인력의 부족과 사회복지현장에 대한 지식의 부족, 사회복지비영리조직들의 규제회피 등으로 규제의 실효성이 높지 않았다. 둘째, 법률로 인정한 민간협회나 제3자 기관이 기준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심사하는 형태로 규제가 실행되는 ``유형Ⅱ``는 아직 발달하지 못하였다. 법률이 인정한 전국적인 조직 ``사회복지협회``가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지만 법률상 사회복지에 대한 조사 연구와 각종 사회복지사업의 조성으로 역할이 한정되고 감시와 평가 기능은 배제되어 규제 기구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유형 Ⅲ- 우리나라 사회복지비영리조직에는 회원위주로 승인하여 운영되는 기부자 주도 프로그램, 민간협회를 통한 민간기관들의 자발적인 인증 자격프로그램, 민간협회에 의한 집합적인 자율규제, 자발적 윤리강령- 중에 그 어떤 형태도 발전하지 못하였고, 이를 발전시킬 수 있는 사회적 환경도 전혀 형성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현재로서는 규제에 대한 사회복지비영리조직들의 순응도를 높이면서 규제 비용을 줄이고 가장 실현가능성이 높은 형태는 ``정부의 자율규제 촉진(유형 Ⅱ)``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ee point. First, review the concepts and the types of self-regulation and typology of non profit organizations in western countries. Second, analyze the type of the Korean Nonprofit Social Service Sector`s self-regulations. Third, problems and limitations associated with self regulation in Korea are examined, and the topics for development of the applicable self-regulation are also discus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Government Enforced Self-regulation(typeⅠ), Government Stimulated Self-regulation(typeⅡ), and Self-regulation(typeⅢ), the type I has been dominated among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in Korea. Due to the lack of manpower needed for regulation and knowledge on social service field along with evasion from regulation by nonprofit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however, the type I has been found to be less efficient. Second, the typeⅡ, which regulates in the form of screening the association of private institutions and the third party whether they are eligible by law, is in the less developmental stage. Although the Korea National Council on Social Welfare has been established and operating by the law, its role is limited to research projects. Since monitoring and evaluation functions have been excluded, it does not act as a regulatory body. Third, in Korea, the typeⅢ, which includes donor-led programs or clubs, accreditation and certification programs-voluntary clubs, collective self regulation, and voluntary standards/code of conduct, has not been developed, and even social environment for the type Ⅲ has not been formed yet. By judging from these findings, typeⅡ is thought to be one of the most feasible ways to increase the level of adaptation of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to regulation while decreasing the cost of regulation.

      • KCI등재
      • KCI등재

        미혼모자 가족에 대한 복지정책의 특성에 관한 연구

        문순영(Moon, Soon-You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硏究 Vol.31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미혼모가족들에 대한 복지정책의 특성을 일과 양육에 대한 여성의 역할론에 근거한 유형화로 분석하여 보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복지법률 및 법령, 기타 정부통계자료, 연감·백서, 업무보고자료, 정책현황자료, 업무 지침 등의 이차자료 분석과 양육 미혼모 4명에 대한 면접조사(interview)를 보완적으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미혼모자 가족에 지원되고 있는 복지 정책 유형은 노동자 역할 강화 모델인 것으로 드러났다. 한부모가족지원법의 자녀 양육비를 제외하고는 지원 정책들 대부분이 미혼모자 가족의 자립이나 자활을 목적으로 하는 정책들이었다. 그러나 면접 조사한 미혼모들은 자립의지 뿐만 아니라 아동양육 의지도 매우 강하였기 때문에 향후 이들에 대한 정책방향은 모성에 대한 지원 정책들을 보완하여 노동·모성 역할의 통합 모델로 변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현 제도는 취업시 자녀를 맡길 수 있는 다양한 양육지원 프로그램의 제공, 미혼모자 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지체계의 마련, 지역사회 생활권 내의 주택프로그램 마련, 구직활동 및 취업훈련, 출산휴가 등 이미 마련된 제도를 활용하는데 있어서 미혼모들이 차별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lfare policy with a typology of role identity associations among the unwed single mother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aim, we employed the literature analysis with various welfare laws and regulations, and other government statistics, yearbooks, white papers, business reporting data, policy status data, and interviewed 4 unwed single mothers additionall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follow. The characteristic of welfare policies for the families of unwed single mothers is to strengthen worker role model. The most of support policies for unwed single mothers were for the purpose of self-reliance and self-sufficiency of single families, except for Child Support Grants of Single Parents Family Support Act. However, the finding of interview survey for single mothers is that they have a strong commitment for both of self-supporting and parenting. Therefore these policy directions for the future are likely to be further integrated into the model of labor and maternal roles.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 민간자원으로서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문제와 개선방향 : 천안ㆍ아산 지역 기업을 중심으로

        문순영(Soon-Young Moon),김욱(Wook Kim) 한국비영리학회 2004 한국비영리연구 Vol.3 No.1

        오늘날 기업은 좋은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 제공하여 사회의 필요한 욕구를 충족시키며, 동시에 고용을 창출하여 사회의 안정적인 성장을 도모하는 기본적인 역할 뿐 아니라 사회에 대한 기업의 역할 및 책임이 강조되고 있다. 우리 사회에서도 대기업집단을 중심으로 하여 1% 클럽의 창출, 시민단체를 비롯한 비영리단체에의 후원,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기부, 환경보호활동에 대한 후원, 메세나 활동을 통한 기업의 문화예술계 지원 등과 같은 기업의 사회참여가 활성화되고 있다. 사회적 책임에 대한 강조와 함께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하는 기업들이 증가하면서 사회복지분야에 대한 지출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기업의 사회복지 분야 참여는 공공복지가 취약한 우리 사회에서 복지 총량을 증가시킨다는 차원에서 환영할 만한 일이다. 본 논문은 민간복지자원의 다양화와 활성화의 대안으로 기업부문의 사회공헌활동의 역할을 검토하여 보고, 이를 바탕으로 드러나는 함의와 문제점을 살펴보는 데 있다. 특히 사회복지부분이 취약한 공적영역에 주로 의존하고 있는 천안ㆍ아산 지역에서 새로운 민간자원 활성화를 위한 대안으로 기업들의 사회공헌활동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복지자원으로서 민간사회복지기관이 기업의 활용을 높이기 위하여 고려사항이나 개선점들을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and functions of corporate philanthropy as an important private resource for social welfare. With limitations of government resources for social welfare, several issues as like developing private resources or diversifying private resources have got an great importance in Korea. Especially, since the beginning of modern welfare history, most of social services have been delivered by voluntary organizations. Hence, there have been many debates on those issues lately in voluntary sector. Therefore, this paper has done four objectives based on the empirical studies with corporations of Cheonan and Asan: first, to analyze why the corporation philanthropize and what are the patterns of corporate philanthropy: second, to examine the present condition of corporate philanthropy of Cheonan and Asan region and find out how big is the corporations giving in private resources for social services, then concluded that corporate sector has great potentiality to serve as one of major private resource: third,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corporate philanthropy in those area: in final,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his empirical studies into voluntary sector for social services, and made five suggestions for voluntary service organizations to establish and sustain the partnership with corporate organizations. As an economist insisted that the primary social responsibility of corporations was to produce profits into society, the corporations can't philanthropize without any benefits. To make corporation as a private resource for social welfare, voluntary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should take charge in motivating corporation as partners.

      • KCI등재

        사회복지 비영리조직의 투명성 및 부패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문순영(Moon, Soon-Young),강창현(Kang, Chang-Hyu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2

        본 연구는 대구 지역의 사회복지비영리조직 투명성과 부패 및 반부패 노력들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종사자들의 인식조사를 통하여 파악하고, 이를 통해 반부패 노력의 문제점들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부패가 가진 은폐적인 속성상 불가피하게 대구지역의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을 중심으로 인식조사에 기반한 설문조사와 10년 이상 근무한 중간관리자 및 대표자를 대상으로 한 4개 기관의 인터뷰 자료를 보완적으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구 지역 사회복지기관들의 부패에 대한 추정규모는 97%이상이 금품과 청탁등의 경험은 없다고 응답하였고, 예산위법집행정도에 대하여 약 5.8%정도가 있는 편이라고 하였으며, 그리고 지난 1년간의 위법집행경험은 3.8%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기관내 공금의 사적이용은 4.5%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렇게 볼 때 대구지역 사회복지조직의 부패는 전체적으로 약4%내외임을 짐작할 수 있다. 둘째, 대구지역 사회복지조직의 종사자들은 부패 발생의 원인을 시스템이나 제도적인 것에서 기인하기 보다는 개인적인 속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셋째, 부패의 위험관리측면에서 볼 때, 대구지역 사회복지비영리조직내에 부패에 대한 전담인력과 부서가 전문화되어 있지 않았다. 46%가 인사위원회에서 부패처벌을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사회와 운영위원회에서도 10%정도로 이 역할을 한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조직내 부패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외부기관에 신고하여 처리하는 경우는 25%정도인 것으로 나타나 부패 방지를 위해서는 내부장치의 강화와 더불어 외부에 개방된 운영형태가 요구되었다. 그리고 대구지역 사회복지조직들의 약 43%만이 부패방지에 대한 규정과 절차를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57%의 경우는 어떠한 대책이 준비되어 있는지 불분명하므로 부패에 대하여 취약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응답자의 75%가 자율규제로서 내부고발제도는 매우 유용한 수단이라고 생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의 21%만이 이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을 볼 때, 향후 신용보험이나 범죄예방보험 등 반부패 장치에 대한 조직내부의 주의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amines the types of corruption of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the efforts of anti-corruption, and the issues on how to enhance the level of integrity of social service organization in Daegu. Due to the nature of corruption, it is hard to measure its objective scope and frequency. Thus, this study sports the survey results on corruption targeted to social service employees and in terview data from managers who worked more than 10 years and chairpers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n terms of the estimation of the size of corruption in Daegue, more than 97% of respondents replied that they had no experience on briberies and special favors, 5.8% replied that they may be used bu dget illegally, 3.6% did illegal use of, and 4% did embezzlement of public fund. Judging from those findings, the level of corruption of nonprofit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is roughly estimated to be 4% as a total. Secondly, corruption of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in Deagu was found to be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rather than those of systems or institutions. Viewing from the perspective of risk management, the full time personnel and department on internal corruption had not been specialized. 46% of respondents relied that the level of punishment on corruption is determined by the personnel board, and 10% of them said that the board of directors and the executive board do the similar role. Given that 25% said internal corruption is reported to the external institution for problem solving, reinforcement of internal system and openness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are needed. In addition, the total of 43% have regulations and processes on the prevention of corruption. 57% was not clear whether they have any types of prevention, and was vulnerable to internal corruption. Although 75%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whistle-blowing is very effective tool for a self-regulation, only 21% of them Thus, the internal organizations are advised to consider anti-corruption systems such as a credit insurance and a crime prevention insurance. Lastly, they are found to be very active on the moral reinforcement. Prevention programs such as education on anti-corruptions and ethics are provided on a regular basis. Induction to the exemplary behaviors including integrity and moral management is also paralleled to such programs. Although those efforts are said to be materialized through a fair personnel management system, the overall strategy is less specified.

      • 민간 비영리 사회복지부문 연구를 위한 이론적 고찰

        문순영(Moon Soon Young)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1 연세사회복지연구 Vol.7 No.-

        이 글은 현대 복지국가에서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정부와 민간 비영리 사회복지부문의 파트너쉽에 대한 이론적 접근이다. 1970년대 후박부터 복지국가위기론과 더불어 복지국가에 대한 비판이 증가하자 서구의 복지국가들은 자유와 효율의 가치에 기반을 둔 신자유주의에 따른 경제질서의 재편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탈피하거나 해결해 보려는 시도를 단행하였다. 이같은 시도들이 민간부문의 역할을 확대하였다. 공기업을 민영화하거나 공공서비스의 공급을 민간부문으로 이양하거나, 혹은 민간기관과의 계약이나 서비스 매입을 통하여 공공서비스를 전달하는 방법들이 선택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신자유주의 경향속에서도 준공공재로 분류되는 사회복지서비스의 공급은 민간부문이 공공부문을 대체하는 ‘민영화’의 전략보다는 사적으로 운영되지만 다수와 공익을 대변하는 조직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민간비영리부문과 공공부문이 서로 협력하여 제공하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즉 국가와 마찬가지로 집합재적 재화를 제공하는 민간 비영리부문에게 정부가 재원을 지원하여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게 함으로써 공공부문이 가진 지나친 경직성, 비경쟁성, 비인간성을 극복할 뿐만 아니라 민간비영리부문의 한계인 재정적 부족을 보완하여 민간부문과 정부부문이 다 같이 승승(win-win)할 수 있는 방법이 사회서비스 공급의 대안으로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본 고는 이 정부와 민간 비영리부문의 협조적 역할분담에 관련한 논의들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새로운 사회복지서비스 공급방안을 조망하여 보았다. 따라서 민간 비영리 사회복지부문의 개념적 정의와 사회복지서비스를 공급하는데 있어서 정부와 민간사회복지부문의 협조가 요구되는 이유에 관한 이론적 근거들, 정부와 민간 사회복지부문이 협력하여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나라의 경험, 정부와 민간부문의 관계 유형 이론과 이론적 한계점 등을 고찰하고, 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기존의 이론의 한계성을 보완하여 정부와 민간 비영리사회복지부문의 협력 관계의 새로운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This paper is a theoretical approach for the partnership between government and nonprofit sector, which is an alternative to providing social service in the modern welfare state. Originating from the late 1970’s, due to the increased criticism against the welfare state and welfare state crisis theory, the western states took action in an attempt to rearrange their economic situation and escape from or solve economic difficulty based on the new liberalist thought. These attempts increased the role of the private sector. This was achieved through transforming the government organizations to private enterprises, shifting the public services provided to private organizations, or through contracts with private organizations. However, even among such new liberalist trend, in case of providing social services is the quisi-public goods, the partner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nonprofit sector characterized private initiative but public serving is has been seeking than privatization. Thus, the nonprofit sector was financially supported by the government like other government services, which not only reduced the rigid, uncompetitive and inhumane aspect of government organizations, but also facilitated the financially struggling nonprofit sector. This provided a win-win situation between both parties. This study analyses the division of roles between the government and nonprofit sector and tries to produce a new approach in which social services can be provided. Therefore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the nonprofit social welfare sector and theoretical background for partner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nonprofit sector to providing social services, other countries partnership experiences, and the theoretical restraints of this partnership were all analyzed. Finally, utilizing the above analysis a new model of the partner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nonprofit sector was explored.

      • KCI등재

        대구ㆍ경북 사회적 기업들의 지역사회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문순영(Soon-Young Moo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社會科學硏究 Vol.26 No.4

        본 연구는 대구ㆍ경북 사회적 기업들의 사업 활동, 지역산업의 발전, 지역 내 네트워크의 역할, 사회적 기업의 대표자 및 경영책임자의 인식 등의 차원에서 지역사회와 얼마나 밀착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 8월말 현재 대구ㆍ경북의 사회적 기업 총 27개에 대한 on-line설문조사와 10개소의 사회적 기업 CEO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여 분석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구ㆍ경북지역의 사회적 기업들의 사업 활동은 지역의 독특한 역사나 문화에 근거하거나 혹은 지역 공동체의 특화된 문제ㆍ이슈 등과 관련된 것들은 아주 미미하였다. 둘째, 이들 사회적 기업들의 지역사회 산업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보았을 때, 재화 및 서비스 공급과정에서 지역 내 소재 대기업들보다 지역주민과 밀착되어 있어 지역 경제에 미치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지역 사회적 기업의 고용창출인원은 총 536명으로 소규모였지만 이들 중 68.0%는 저소득층, 노동시장의 고령자ㆍ노인, 장애인, 다문화가정 여성, 장기실업자, 그리고 새터민 등의 지역주민들 중의 취약계층인 것으로 나타났고, 청년실업자를 포함한 일반인도 32.0%여서 취약계층의 고용에 상당히 기여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 지역의 사회적 기업들은 지역 공동체 문제 해결에 노력하고 있었다. 셋째, 이들 사회적 기업들의 지역내 다양한 부문들과의 연계 및 협력은 주로 ‘지자체나 공공기관’의 자금지원(인건비지원)으로만 제한된 경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지역사회내의 다른 다양한 부문들, 예를 들면 영리, 시민사회, 주민조직 등과의 연계나 활동은 거의 없었다. 넷째, 이들 사회적 기업의 대표자 및 경영책임자들은 지역사회를 위한 기여를 주로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주민고용과 지역주민들에 대한 서비스 제공 정도로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좀 더 지역밀착적인 사회적 기업들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의 독특성에 기반한 사업 아이템의 개발, 네트워크 역할의 다양화 및 활성화, 사회적 기업 CEO(예비 CEO)들에게 지역사회에 대한 체계적인 교과 과정을 개발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DeaguㆍKyungpook social enterprises and the local communities in terms of business item, purchasing raw materials and selling products, the scope of social services provided, the ratio of local resident hired, range and contents of network, types of local community contribution. This study employed the online survey targeting 27 certified social enterprises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the CEO of 10 social enterprises in DeaguㆍKyungpook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usiness items of social enterprises based on the unique history, culture or locality, but their relationship with the specific local problems and issues was minimal. Second,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enterprises and local residents in providing goods and services, the local enterprises was found to make a greater economical and social impact on their communities and local residents than local large corporations. Third, although the number of jobs created by Daegu, Kyungpook social enterprises was a total of only 536, the local social enterprises were found to contribute much to hiring the vulnerable class. 78% of the jobs covered vulnerable class including the low-income class, the elderly, the disabled, women in multi-culture families, the long-term unimployed, North Korean defectors, and so forth. 32.0% of them was for general public including young unemployed. Forth, the range and contents of the network of Daegu, Kyungpook social enterprises is limited to the fund aid to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agencies, but their relationship with for-profit sector, civil sector, and local residents was found to be very weak. Fifth, the type of the social enterprises' contribution to their community was identified as giving local residents a favor through hiring local residents and providing social serv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