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승강장에서 스마트폰 등의 자기자원을 활용한 대기행위와 이용 환경간의 상관성 - 시 환경과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

        문서현 ( Suhhyun Moon ),윤철재 ( Cheoljae Yoon ),조연주 ( Younjoo C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4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스마트 IT시대의 공간적 제약 없는 스마트 폰의 활용은 일시적 유행을 넘어서는 라이프 스타일의 대혁신이자 새로운 주류의 패러다임이지만 이와 같은 편리함 이면에는 생활 속 IT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져, 특히 공공영역에서의 이용활성화에 따른 부작용과 안전의 위협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장 대표적 공공교통시설인 역에서 일시적 대기와 이동을 수행하는 기능적 거점으로서 열차운행과 직접관련이 있으며, 한정된 공간 범위적 특성으로 인해 기타의 공공영역에 비하여 다수의 스마트폰 활용이 더욱 공간의 기능성과 공공성을 저해하는 위험요인으로 작용되는 철도 승강장을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 하여 스마트 폰 등의 자기자원을 활용한 대기행위가 활성화되는 환경요인을 도출하여 환경과 행위 간 상관성 이론으로 체계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승강장의 물리적 이용 환경 구성의 기본이 되는 지상과 지하의 위치관계 및 상대식과 섬식의 설치유형, 그리고 전락방지 안전시설(스크린 도어)의 설치유무부터 시간대별 이용혼잡도를 기준으로 유형화한 이용 환경의 내용과 스마트 폰 등의 자기자원을 활용한 시선처리 행위간의 상관성을 고찰하였다. (결과)「지하의 섬식 승강장에 스크린 도어같은 전락방지 시설이 설치된 안전하고 시각적 패쇄감이 높은 환경」에서 자기 매체와의 상호작용이 승강장의 공간 자원보다 강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이 같은 대기행위의 지속적 증가의 대비를 위해서 승강장내 시선처리와 관련된 시 환경과 행태의 상호성을 토대로 하는 개선방안의 모색이 필요한 시점으로 생각되어 진다. 개선방안의 모색을 위하여 간접 배경 자원의 내용을 기준으로 4개의 시 환경 유형별 정의하고 환경과 시선 처리 행위의 빈도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 폰 등의 자기자원을 활용한 시선 처리의 빈도가 가장 높은 시 환경은「배경 자원의 밀도가 높은 지하의 상대식 플랫폼」인 유형 4로서 전체의 57.42%의 발생 빈도를 보였다. 즉, 자기 자원을 활용한 시선 처리 행위는 지상보다 지하에서, 광고 등의 배경 자원 밀도에 비례하여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분석되었다. (결론) 이상에 고찰에서와 같이 스마트 폰을 중심으로 하는 자기 자원 활용형의 대기행위를 저감시키기 위한 승강장 환경의 정비의 요소는 광고를 중심으로 하는 간접 배경자원(시 환경)이 될 수 있다. 일 방향적 단순 광고에 의한 배경 자원의 밀도가 높아질수록 자기 자원을 활용한 시선 처리 행위가 증가하고 있는 것에 주목하고, 여기에 적절한 광고 시설의 설치와 운영을 통해서 시 환경의 개선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this age of smart IT, there have been adverse effects and safety concerns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use of smartphones in public spaces. In view of this, we examine railway stations as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as they represent functional bases of temporary waiting and transit in direct connection with the most representative means of public transportation. Furthermore, owing to the constrained spatial characteristic of platforms, the widespread use of smartphones represents a greater threat factor to their spatial functionality and public quality relative to other public spaces. By doing so,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s for systematizing a theory of interrelatedness between the environment and behavior through deriv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under which own resource-based waiting behavior, such as the use of smartphones, is activated. (Method) This study categorizes platforms based on the basic physical components of their use environment, including the type of ground-level/underground-level arrangement, side/island type layout, whether screen doors (safety features to prevent falling) exist, and congestion levels by time of day, and how they are interrelated with own resource-based eye movements, such as the use of smartphones. (Results) We found that, in the case of “safe and highly enclosed environments such as underground island platforms with screen doors or other anti-falling barrier features,” interaction with one’s own media dominated the spatial resources of the platform. In preparation for the continued growth of such waiting behavior in the future, we believe that there is a need to consider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 interrelatedness between the visual environment and behavior, with regard to eye movements inside platforms. To explore such measures, we defined four types of visual environments based on indirect background resources and analyzed the eye movement frequencies of each. Results indicated that the visual environment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own resource-based eye movement was the “underground platform with a high density of background resources” (type 4), which was associated with 57.42% of the occurrences. Thus, there was a higher tendency for own resource-based eye movement in underground than ground-level platforms, and in places with higher densities of background resources, such as ads. (Conclusions) As seen here, the relevant factor in maintaining platform environments for reducing own resource-based waiting behaviors, such as smartphone use, may be indirect background resources (i.e., visual environment)―in particular ads. We should focus on the fact that own resource-based eye movement tends to increase with the density of background resources such as simple unidirectional ads, which points to the need for improving visual environments through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adequate advertisement facilities.

      • KCI등재

        서대문 독립공원 내 추모공간의 계획 가능성과 방안 검토 - 서대문 형무소와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

        문서현 ( Suhhyun Moon ),최정우 ( Jungwoo Cho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5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서대문 독립공원 내에 전국에 흩어져 있거나 별도의 추념공간이 없는 독립지사를 한곳에서 차이 없이 추모하는 공간을 마련하고 이와 연계하여 전시공간과 교육 홍보 공간의 건립여부를 가늠해보기 위한 기본계획 수립 및 추진과정에 대한 검토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추모공간의 건축 및 조형물의 기본계획을 위한 시설의 필요성과 입지의 타당성을 논증하고 기본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문화사적지인 해당부지의 제반 법규와 이에 따른 절차를 정리하여 이에 대한 문화재 현상변경 심의의 결과까지를 기술하였고 이를 통해 추후 계획에 필요한 전략을 제언하였다. (결과) 추모공간의 증축을 제안하는 제1안의 해당부지는 기존의 독립관 자리로서 전시실과 함께 위패 20,000위의 봉안에 필요한 공간면적을 추산하여 계획하는 한편, 2019년에 확정된 서대문형무소 종합정비계획 내 승인되어 있는 추모비 재설치 1식을 근거로 현재 설치된 추모 조형비에 공간적 개념을 대입한 대 국민 공모전의 대상작 조형물을 설치하는 제2안으로 기본계획을 제안하였다. 서대문 독립공원 전체 권역은 건축을 비롯한 설치 행위를 하기 위해‘문화재현상변경허가’와‘공원조성계획 변경결정’을 득하여 야만 한다. 특히 증축을 방법으로 하고 있는 제1안은 이 두가지 법제에 대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그중 건축 기본계획에 대한 문화재 현상변경허가는 2018년 문화재위원회에서의 심의결과“서대문형무소 종합정비계획 확정과 연계, 신축 적정성 여부 등에 대하여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어 심의가 보류”되었다. 또한 조형물을 설치하는 제2안의 기본계획의 내용 역시 2019년 문화재위원회 심의결과“설치하고자 하는 추모공간이 해당사적지의 보존과 관리에 비치는 영향이 크고 적정성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어 심의가 부결”되었다. (결론) 제1안의 경우, 추모시설의 필요성과 장소의 당위성은 충족되고 있으며, 심의이후 확정된 서대문형무소 종합정비계획에서 정비구역의 경계가 해당 부지와 중복되지 않고 복원 프로그램이 상충하지 않으므로 원안의 변경 없이 재심의 접수하여 재추진 할 수 있다. 그러나 제2안의 경우, 이미 서대문형무소 종합정비계획 내 승인되어 있는 추모비 재설치 1식을 근거로 하고 있음에도‘부결’로서 추진이 불가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기본계획의 내용이 문화재청의 보존 방침에 의해 번번히 좌절되어온 결과는 규제의 역설로 평가될 수 있다. 문화재청의 입장인‘ 온전한 장소 그 자체’로 후세들에게 전달되기 위해서는 증가일로의 관람객에 대응하는 추모와 전시기능의 개선을 위한 장기플랜의 마련이 시급하다. 이를 위하여 무엇보다 문화재 심의위원회의 추모공간의 필요성 및 현황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master plan and review the implementation process to provide a location to commemorate independence activists without separate memorial spaces or scattered over the country in Seodaemun Independence Park, an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an affiliated location for exhibition or education. (Method) The study discusses the need and the validity for the construction of the memorial space and the basic plan of the sculpture and then suggests a basic design plan. Furthermore, the study identifies the various regulations regarding the cultural historic sites and its related process, describes up to the results of the review on changing the present conditions of designated cultural assets and suggests the strategies needed for future plans. (Results) Plan 1 is based on the expansion of the memorial space, and its site is located at the existing Independence Hall. The plan estimates the area needed for an exhibition hall, along with a site to place 20,000 memorial tablets. On the other hand, Plan 2 is based on a construction of a winning sculpture from the grand public contest that incorporates the spatial concept to the existing memorial monument, based on the approved reconstruction of the memorial monument from the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of the Seodaemun Prison confirmed in 2019. Any installation including construction within the entire area of the Seodaemun Independence Park requires the‘permit to change the present conditions, etc. of a designated cultural asset, etc.’ and the ‘decision on changing the establishment of parks.’ Plan 1 needs prior reviews on the two legislation since it is based on an expansion, but regarding the permit to change the present conditions of a designated cultural asset, the Cultural Heritage Committee withheld the plan in 2018 stating as being ‘determined to require further examination on matters such as the appropriateness of a new construction along with the already confirmed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of the Seodaemun Prison.’ In addition, the basic plan for Plan 2 which suggests to construct a sculpture was also withheld by the Cultural Heritage Committee in 2019 stating as being ‘determined that the memorial area suggested for construction largely affects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historical site in question and lacks in suitability.’(Conclusions) However, in the case of Plan 2, it was impossible to carry forward the plan as it was withheld, although it was based on the already approved reconstruction of the memorial monument from the Comprehensive Maintenance Plan of the Seodaemun Prison. There is a stronger need in the change in awareness on the current status and necessity of a memorial location from the review board of the Cultural Heritage Committee.

      • KCI등재

        미적 일관성 있는 도시브랜드 구축을 위한 휘장과 슬로건의 색채 분석 -서울시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예동진 ( Dongjin Ye ),문서현 ( Suhhyun M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들어 자치분권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됨에 따라 권한과 역할이 확대된 자치구에서는 지역 마케팅을 위한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에 이전보다 능동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대표적인 도시브랜드의 상징인 휘장과 슬로건의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통합에 대한 검토 없이 무분별하게 사용되는 상징 이미지는 오히려 도시미관을 저해하고 부정적인 이미지 형성에 기여한다. 특히 자치구의 민선 단체장의 교체 시기에는 대표 상징인 휘장과의 관계성이 고려되지 않은 채 정치색 짙은 슬로건으로 교체되는 일이 빈번하여 고질적인 문제로 지적받고 있으나 계속 반복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는 서울시 자치구 휘장과 슬로건 현황에 대한 색상 및 배색 분석을 실시하여 앞으로 지역 도시의 휘장과 슬로건이 일관성 있는 디자인 이미지로써 도시 브랜드 경영에 지속성을 가지고 효과적으로 활용 될 수 있게 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도시브랜드의 정의와 구성요소를 고찰하고 아이덴티티 구축의 중요한 요소인 일관성의 개념과 기능을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자치구 휘장과 슬로건의 색채 및 배색의 현황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I.R.I 형용사 이미지 스케일을 통해 포지셔닝하고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미적 일관성 있는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결과) 슬로건에 색채 명 등 디자인 계획의 내용이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은 서대문구를 제외한 서울시 24개 자치구의 휘장과 슬로건의 색채 및 배색 구성에 대한 분석결과 1) 휘장이 가진 색상과 배색의 공통적인 특성은 슬로건에 비해 색상 수가 작고 비교적 명료한 배색이 계획되고 있었다. 2) 슬로건의 배색은 자치구별 특색 있는 분포를 보이며 명료한 슬로건 보다 부드럽고 율동적인 형용사를 가진슬로건 다수였다. 3) 일관성 있는 자치구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공통점은 주조색이 동일 또는 유사색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톤 역시 유사 톤으로 배색되어 있어 이미지 스케일 상 근접한 범위로 분석되는 특징이 있었다. (결론) 도시브랜드 경영의 일환으로 슬로건과 휘장이 일관성을 갖기 위해서는 색상과 톤을 일치시키는 색채 계획 방향으로의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 5도 이상의 다양한 색상을 계획할 경우 주조색과 강조색을 명확히 설정하여 시각적 통일성을 이루어야 한다. 또한 색이 가지고 있는 상징성과 배색 이미지를 고려하여 도시가 추구하는 가치 방향과 일치하는 감성인지를 검토하며 지역과 단체장의 홍보를 위한 분별없는 색채 계획에 주의해야 한다. 특히 슬로건이 문장형으로 길어지며 개별 단어의 주목성을 강조하는 색채 계획으로 개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향후 연구에는 색채와 함께 시각 언어로써의 타이포그래피까지의 일관성 강화 방안을 모색하여 통합적 도시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제안을 이어가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keeping with the heightened interest in autonomous decentralization, autonomous districts have been expanded and have been increasingly active in building city brand identities for the purpose of regional marketing. However, with regard to the most prominent emblems of city brands, the indiscriminate use of symbolic images have, in fact, harmed city aesthetics and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negative images. In particular, slogans, which are the key emblems of city brands, tend to be swapped for other highly politicized messages. In view of this, this study analyzes the colors and color arrangements of the current symbols and slogans of Seoul’s autonomous districts, so that the analytic results may serve as a basis for contributing to the continued and effective use of city brand management, in their capacity as design images that remain consistent despite changes in political content. (Method) We examined the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city brands while also ascertaining the concept and function of consistency. Based on this, we conducted analyses on the color and color arrangements of the symbols and slogans of each district. The results were positioned via I.R.I. adjective image scale,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so as to explore ways to build consistent city brand identities.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24 districts of Seoul (with the exception of Seodaemun-gu) were as follows. 1) Compared to slogans, the colors and color arrangements of symbols shared the characteristics of using fewer colors and having planned relatively clearer color arrangements. 2) The color arrangements of slogans were compared to clear slogans: there were more slogans that featured softer and more rhythmic adjectives. 3) District brand identities consistently shared the characteristic of featuring identical or similar base and accent colors. Their color tones were also arranged similarly, such that they often were classified into close range with the I.R.I image scale. (Conclusions) For the symbols and slogans that form part of a city’s brand management efforts to obtain consistency,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olor and tone. In cases where the use of five or more colors is being considered, base and accent colors should be clearly established to ensure visual uniformity. Also, one must review whether the symbolism of each color and the color-arranged image match the direction of value pursued by the city. Furthermore, one must exercise caution against the use of indiscriminate color schemes for the promotion of the region or its leader. In future research, we hope to continue presenting suggestions for building integrated city brand identities through strengthening consistency in color in addition to typography as a visual language.

      • KCI등재

        신촌 박스퀘어의 사회적 가치와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류창수 ( Changsu Ryu ),문서현 ( Suhhyun Moon ),예동진 ( Dongjin Y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서울시 서대문구에서는 그동안의 가로 정비에 대한 일방적 단속의 사고를 전환, 노점상들의 소득주도 성장을 독려하는 자생적 정비와 지역 활성화가 가능한 사회투자 계획을 설정하여 전국최초로 시도되는 거리가게와의 상생사업인 ‘신촌 박스퀘어’ 프로젝트를 추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촌 박스퀘어 프로젝트의 전개 단계별 내용을 고찰하여 과업의 사회적 가치를 재검하고 디자인 계획의 특성을 고찰하여 향후 지역상생, 민관 협력형 노점 정비 사업의 우수 공공디자인 모델로서 국·내외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 상생사회로의 미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먼저, 서울시의 노점상 관리정 책인 거리가게 가이드라인의 내용을 비롯하여 노점 정비 사업이 과거부터 악순환을 거듭하는 원인과 이에 대한 해결을 위한 본 프로젝트의 사업 전 노점 설득의 적극적 행정 노력의 과정을 고찰하여 사회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프로젝트의 조성을 위한 건축계획 및 디자인의 특성을 분야별로 고찰한다. (결과) 본 프로젝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촌 박스퀘어는 가로의 보행 환경 정비를 위한 노점 단속정책의 방향을 상생으로 전환하였다. 구체적으로 불법 노점을 특정부지로 집합시키되, 노점과 가로의 관계성을 반영한 열린 배치를 계획하였고, 노점의 유형과 영업 패턴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영업 공간의 모듈을 설정하는 한편 업종별 세부 디자인 프로토 타입까지 제안하며 불법 노점들이 합법적 소상공인으로 성장할수 있는 공간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둘째, 관청이 주축이 된 적극적인 공공디자인 사업의 결과물로서 브랜드 전략의 초안부터 계획 및 운영에 필요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수립까지의 디자인 경영을 지방정부가 직접 실현한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될 수 있다. (결론) 신촌 박스퀘어’ 는 전국 최초로 시도되는 개념의 노점 상생 사업으로서 전국이 주목하는 가로 정책의 새로운 모델이자 신촌의 지역경제와 환경개선을 목표하는 프로젝트였다. 그러나 노점은 길을 따라 자생적으로 파급되는 속성이 있기 때문에, 본 프로젝트의 이후 가로 정비를 위한 강력한 제도적 규제가 마련되지 못하면 또 다른 노점이 양산되는 새로운 악순환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장기적으로 본 프로젝트의 확대를 위해서는 노점운영의 합법적 장소 및 디자인 브랜드의 구축 이외에도 도심 가로 환경에서는 반드시 보행이 우선시되는 제도적 체계의 정비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first attempt of its kind in Korea, an initiative for win-win cooperation with street vendors was implemented in the Sinchon area of Seodaemun-gu, Seoul―the ”Sinchon BOXQUARE.” This represented a shift away from the focus on enforcement in conventional street maintenance, and established a plan for social investment that would stimulate income-led growth among street vendors through autonomous maintenance while bringing about local revitalization. By doing so, this initiative has aimed to present BOXQUARE as an exemplary model of public design that has presented a new direction―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for future street maintenance initiatives based on government-civilian cooperation and regional win-win cooperation, thereby contributing to the future development of a win-win society. (Method) We examining the active administrative efforts that went into persuading street vendors prior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Furthermore,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architectural plans and design characteristic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is project by category, we highlighted its significance in terms of public design. (Results) The outcomes of this project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 of the Sinchon BOXQUARE project in terms of architectural planning is that it was a shift in the direction of maintaining walking environments in the streets, from a policy of enforcement to win-win cooperation. While it concentrated unauthorized vendors within a designated location, the project also planned open arrangements that refle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ets and the vendors, and set up spatial modules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types and business patterns of street vendors, after which specific design prototypes were presented for each business type. Second, as the end result of an active publicly led design project, it may be regarded as an exemplary case of a local government’s direct implantation of design management―from the early drafts of brand strategy to the setup of the design guidelines needed for planning and operation. (Conclusions) As the first project based on the concept of win-win cooperation with street vendors, Sinchon BOXQUARE was a new model of street maintenance policy that attracted nationwide attention, a project that aimed to improve Sinchon’s local economy and environment. However, because it is the nature of street shops to spontaneously spread along streets, there is a concern that more street vendors will start up en masse―in what would be another vicious cycle―after the conclusion of the project, if strict institutional regulations for street maintenance are not introduced in the future. Therefore, for the expansion of this project in the long term, establishment of an institutional system that prioritizes walking within inner-city street environments will be necessary.

      • KCI등재

        유진상가에 적용된 원도심 도시재생 프로젝트의 계획특성과 개선방안

        최정우 ( Choi Jungwoo ),문서현 ( Moon Suhh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서대문구에 대표적 원도심인 홍은동에 1970년 지어진 유진상가는 당시 세운상가, 낙원상가와 함께 도시 개발을 대표하는 국내 최초의 고급 주상복합 건물로서 도시의 랜드마크로 역할했지만, 도시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거대 구조들은 주변의 스케일과 어울리지 못하고 사실상 시각적 연속성을 파괴하는 도시에 폐허로 남겨지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유진상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018년부터 추진되었던 유진상가 도시재생 프로젝트들의 내용을 고찰하는 한편, 현황에 대한 개선방향을 모색하여 추후 원도심 도시재생에 유진상가가 그 역할을 더욱 공공히 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먼저, 현재까지 실현된 유진상가의 공공주도 도시재생 사업의 경과와 문화중심형 도시재생 프로젝트의 성과를 고찰하고 이를 통하여 현황에 대한 개선방향의 설정은 물론 구체적인 디자인 계획 방안을 제시해 나가고자 한다. (결과) 서대문구에서는 재개발구역에 지정해제 이후 지역의 갈등이자 도시흉물로 방치되어있는 유진상가에 대한 공공주도의 도시재생 프로젝트를 실행하였다. 공유캠퍼스라는 브랜드를 마련하여 유진상가 A동 2·3층 내·외부를 대대적으로 리모델링, 새롭게 조성 된 공간에 전 세대를 아우르는 공공지원 사업을 모아 세대 간 상호 작용하는 시너지를 창출, 유입인구를 늘려 재도약의 초석을 마련했다. 그리고 2020년 홍제유연의 개장으로 50년간 버려졌던 유진상가의 지하가 원형을 그대로 보존한 빛의 예술길로, 시민들의 문화공간으로 탈바뀜되어 기존에 공유캠퍼스를 필두로 한 초기 도시재생사업의 행정적 성과들에 더하여 유진상가의 예술문화 스토리로 지역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결론) 향후의 유진상가 도시재생 프로젝트의 지속발전을 위한 본연구의 제안은 다음과 같다. 먼저, 현재 폐쇄적 구조의 유진상가 내·외부를 대상으로‘함께 일하고 함께 사는’컨셉의 유진 공유오피스와 하우스로 제안하였다. 그리고 연장길이 200m에 도시 장벽으로 방치되어 있는 유진상가에 더 많은 접점과 새로운 공간들을 발굴, 도시와의 원활한 연결과 소통을 유도함과 동시에 성벽 같은 인상의 유진상가의 입면에 빈 공간과 녹화를 계획하여 구축의 차갑고 오래된 분위기를 자연스럽게 중화시키고자 하였다. 그리고 초기 공공주도의 형태에서 문화주도형 도시재생사업으로 발전되고 있는 유진상가가 지속 발전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경제성을 겸비한 주민 주도형 도시재생사업으로 전개되어가야 한다. 특히 도시 관광사업의 전개에 최적의 지리적 위치와 문화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유진상가에 본 연구에서 제안된 유진상가의 물리적 개선과 함께 마을 호텔과 같은 수익형 사업이 결합된다면 사유재산에 대한 공공 리모델링의 성공적 지원 사례로도 가치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YooJin Shopping Center was built in 1970 in Hongeun-dong,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original city centers of Seodaemun-gu. Once an urban landmark, along with Sewoon and Nagwon Shopping Centers as Seoul’s first luxury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plexes, these giant structures became incongruous with the scale of the surrounding cityscape as the city grew, and have now been left in ruins, impairing the visual continuity of the city. (Method and Purpose) In this study, we will examine the YooJin Shopping Cente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at have been carried out since 2018 to seek ways to improve the current project status so that the center can play a more central role in future urban regeneration efforts for original city centers. (Results) Seodaemun District has implemented a public-led urban regeneration project for YooJin Shopping Center, a neglected urban eyesore and a source of local disputes, since the designation of “redevelopment zone” was lifted. Under the new brand name of “Shared Campus,” extensive renovations are underway on the second and third floors of Building A, and through public support projects many new tenants have been attracted into these newly reconstructed spaces to create synergies across all generations and increase foot traffic into the building, laying the groundwork for a new beginning. And the opening of“Hongje Yooyeon”has transformed the underground passageway of the center, which had been abandoned for 50 years, into a corridor of light and art while still preserving its original form, thereby providing a space of art and culture for the residents. In addition to the administrative achievements of the early urban regeneration projects led by Shared Campus, the YooJin Shopping Center is said to be contributing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area with its narrative of art and culture. (Conclusion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YooJin Shopping Center urban regeneration project: First, plans have been made for a“YooJin shared office and housing”project that embodies the concept of“work together, live together”within the currently disconnected and closed spaces of the center’s interior. Furthermore, by discovering and expanding on the many touch points and spaces in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200-meter-long urban fortress that is the YooJin Shopping Center, it was intended to induce a smooth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city. At the same time, we planned to neutralize the cold and tired-looking facade of the fortress-like building by installing empty spaces and greenery. In particular, if the center, which has an optimal geographical location and cultural value for the development of urban tourism projects, combines the physical improvements proposed in this study with the development of for-profit projects such as village hotels, it may be valued as a successful example of public funding supporting the remodeling of private proper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