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내륙습지 경계설정에 대한 제언

        문상균 ( Sang Kyun Moon ),구본학 ( Bon Hak Koo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4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7 No.2

        Systematic management of wetlands should be a priority to build the data for the extent and distribution of wetlands all over the country. However there are no clear guidelines for the wetland boundary delineation, so researchers have to determine the boundary of wetlands in each different way. As a result, it is very difficult to identify the extent and distribution of wetlands. This study proposes applicable criteria of setting boundary of wetlands which consider their wetland vegetation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wetland classification. The proposed site in this study is selected wetlands that represent each wetland type and have been ecologically well preserved like the wetland protected areas. GIS data for setting the boundary of wetlands selected were land-cover maps, aerial photographs,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and digital topographic maps. In this study, ``wetland unit determination`` of the Washington State Wetlands Rating System(WSDE, 1993) and the concept of ``Wetland and Deep-water Habitats`` was suggested by Wetland Delineation Manual(USACE, 1987) were used as criteria for setting the boundary of wetland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boundary of wetlands could be, in general, set consistently. Also, it seemed possible to set systematic and standardized boundary of wetlands and to provide more objective data for establishing national wetland policies, if maps of wetlands are made and an investigation of wetlands i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criteria.

      • KCI등재

        AHP를 이용한 산지습지 가능지역 평가

        문상균 ( Sang Kyun Moon ),구본학 ( Bon Hak Koo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4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ssess potential area of mountainous wetland by GIS and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Mountainous wetland is topographically located at high altitude, so it`s difficult to approach for researchers. And, it`s difficult to investigate systematically because of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of mountainous wetland. Therefore, it`s necessary to study on potential area of mountainous wetland for systematic and efficient investigation. This research selected slope, wetting index, land-cover map and soil map as assessment items indicating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mountainous wetland and established them by GIS DB. And, spatial value of mountainous wetland for each assessment item was drawn by existing investigation data and overlap analysis of mountainous wetland. Based on the numerical results of each assessment item, a survey was conducted and relative importance for each assessment item was decided by AHP. As the result, slope was the highest as 0.550 and ground coverage was the lowest as 0.083.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Yangsan-si and Ulsan of Gyeongnam and an analysis was conducted for mountainous wetland in those research areas. As the result, all of wetland was distributed in the range of potential area. And, field survey and literature search were conducted for the point that the distribution of mountainous wetland is expected. As the result, mountainous wetland was distributed. Therefore, mountainous wetland should be excavat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nd it should be helpful for effective investigation as providing information necessary to the following studies on mountainous wetland.

      • 계층적 분석기법에 의한 산지습지 가능지역 추출방안 연구

        최병길(Choi Byoung Gil),문상균(Moon Sang Kyun),나영우(Na Young Woo)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GIS의 계층적 분석기법에 의한 산지습지 가능지역의 추출방안에 대하여 연구하는데 있다. GIS 기법을 이용하여 산지습지 가능지역의 평가기준을 선정한 결과 습윤상태를 결정하는 습윤지수, 경사, 토지피복, 토양의 배수등급임을 알 수 있었으며, GIS의 적지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산지습지 분포 가능지역을 추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계층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평가기준의 상대적 중요도를 결정한 결과 경사의 상대적 중요도가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토지피복은 비교적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환경적 조건이 다른 지역을 대상으로 좀 더 심층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HGM을 이용한 질날늪 기능평가 연구

        김예화 ( Yi Hua Jin ),이란 ( Lan Li ),문상균 ( Sang Kyun Moon ),구본학 ( Bon Hak Koo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13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6 No.2

        Wetlands occupy an important ecological position on the earth, carrying out very important functions and roles both ecologically and hydrologically. However, due to past industrialization, not only wetland areas but also the biodiversity of organisms has severely decreased due to several artificial interferences and damage as wetlands began to be perceived simply as targets for development and reclamation. However in recent times, with the importance of wetlands coming to the fore, the assessment of the function and value of wetlands is being made for their wise use and systematic maintenance. Accordingly, this study targeted the Jilnal Wetlands located in Haman, Gyeongnam, and conducted a functional appraisal of this wetland using the modified HGM Model which was modified & developed appropriately for the actual conditions of our country. The result of its appraisal by selecting the Upo Wetland as the reference wetland, which is a criterion of the index, showed a comparatively positive functional index with 0.89 of the Upo Wetland average. This means that the Jilnal Wetland carry out more than 89% of the functioning of the Upo Wetland. In this regard, it is thought that the Jilnal Wetland could carry out the wetland functioning equivalent to that of the Upo Wetland through a little more systematic management.

      • 한국과 미국의 습지 관리 체계 비교 분석

        조동길 ( Dong-gil Cho ),김종철 ( Jong-cheol Kim ),문상균 ( Sang-kyun Moon ),노백호 ( Paik-ho Rho ),김수련 ( Su-ryeo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우리나라는 1997년 07월, 람사르협약 회원국으로 가입하고 1999년 02월 「습지보전법」을 제정하면서 국내 습지의 보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후 1999년 낙동강하구 습지보호지역 지정을 시작으로 2016.06월 기준 총 36개, 356.045㎢의 습지보호지역이 지정되고, 람사르습지 22개, 191.627㎢가 등록되었다. 2010년 CBD COP 10에서는 아이치타겟 목표로 2020년까지 국내 보호지역 면적을 내륙17%, 해양 10%로 보호지역 면적 확대와 소실되는 습지 면적을 보전을 권고함에 따라 국내에서는 국가로드맵 마련등 보호지역 확대를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국가 전반의 체계적인 습지관리를 위해 「습지보전법」제5조의 규정에 따라 국가습지보전기본계획을 5년에 한 번씩 수립하고 있다. 2007년 ‘제1차 국가습지보전기본계획(`08~`12)’, 2011년 ‘제2차 국가습지보전기본계획(`13~`17)’을 수립하였고, 2016년 현재 ‘제3차 국가습지보전기본계획(`18~`22)’ 수립을 위한 기초계획을 환경부와 해양수산부에서 수립하는 중이다. 본 연구는 ‘제3차 국가습지보전기본계획(`18~`22)’을 수립하기에 앞서, 국내 습지 관리 체계를 분석하고, 선진국의 습지 정책 변화 및 여건 등을 반영하기 위해 미국의 환경청등 관련 기관들과의 인터뷰 및 면담을 통해 비교·분석을 실시하여 현재 국내 습지 관리 체계에서 선진국의 관리 방향, 요소, 체계 등의 도입을 검토, 국내 습지 관리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제2차 국가습지보전기본계획의 이행평가 결과, 정부 중심의 사업이외에는 실행력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나 실행력 강화를 위해 지방정부 차원에서 실질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미국을 대상으로 인터뷰 및 면담을 실시하였다. 인터뷰 및 면담은 2016.08.07.~2016.08.14.까지 이루어졌으며, 미국의 US EPA, 플로리다주 환경보호국(FL DEP), 플로리다주 환경보호국 중부지사(FL DEP of Central District)의 각 기관을 방문하여 습지 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인터뷰 및 면담은 각 기관별로 1회, 1시간 30분 ~ 2시간에 걸쳐 실시하였다. 면담내용은 미국의 습지 관리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정책및 제도’와 ‘습지 관리’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미국과 한국의 습지 관리 체계 비교 · 분석을 위하여 관리체계를 크게 법 · 제도, 관리 기관 및 조직, 관리 대상 및범위, 기타의 부문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미국의 경우국가와 지방정부의 관리체계는 강하였으나, 한국은 중앙정부와 지방 기관간 관리가 안 되는 문제가 있었다. 두 번째로 미국은 하천과 습지 등을 포함한 유역차원에서 통합적인 관리를 실시하고 있었으며, 한국은 습지, 하천 등을 개별적으로 관리되고 있어 통합적 관리가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세 번째로 미국은 습지를 대상으로 하는 별도의 보호지역은 없으나, 모든 일반습지를 보호의 대상으로 보고 법적 규정(Clean Water Act - 404)에 따라 개발사업 지역에 습지가 있는 경우, 습지에 미칠 영향을 검토하고 대안이 확보될 시개발을 허용하게 된다. 반면 한국은 「습지보전법」을 근거로 습지보호지역을 지정 · 관리하고 있으나, 보호지역이아닌 습지는 환경영향평가를 통해 훼손을 제어할 수 있는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환경영향평가를 통해 일반습지 훼손을 저감하기 어려운 여건(습지 범위 규정 및 조사 등)에 처해있는 문제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미국은 습지 관리 시 국고 예산 이외에도 별도의 기금을 확보하거나 입장료를 활용하는 등 다양한 재원을 활용한 관리가 가능한 여건이 마련되어 있었으나, 한국은 대부분 국고 예산에 의지하고 있어 예산 확보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제3차 습지보전기본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국내 보호지역의 관리여건 파악 및 개선방향 고찰 -생태,경관보전지역, 습지보호지역을 중심으로-

        최지은 ( Ji Eun Choi ),채희명 ( Hee Myung Chae ),조동길 ( Dong Gil Cho ),김수련 ( Su Ryeon Kim ),송유진 ( Yu Jin Song ),문상균 ( Sang Kyun Moon ),김종철 ( Jong Cheol Kim ),박용수 ( Yong Su Park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16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9 No.1

        This study is aimed at using the grasped problems of protected areas in Korea as the basic data for management planning and system improvement of protected areas by grasping realistic problems through the interview with the persons in charge on the basis of general problems of domestic protected areas. To this end, this study deducted major problems in urgent need of improvement, and improvement direction through the survey of the persons in charge of protected areas. This study result is as follows: The major problems, which should be preferentially improved, were found to be shortages of management infrastructure, cooperation between interested parties, and threat factors in protected areas, etc. Such problems are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thus coming up complexly; therefore, it’s necessary to make a comprehensive approach to the problems after confirming the causal relationship of the identified problems. 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effective management of a protected area, it’s necessary to implement priority management of major problems through different management intensity from the planning phase. Also, it’s important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planning by considering a possible potential threat factor in the outside of protected areas, and referring to the contents of the development plan for the relevant area in time of management planning. Lastly, there is the need for systematic improvement of an institution through thorough status review of the actual state of management planning fulfillment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lanning in a follow-up study hereaf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