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구원의 정점(Culmen Salutis): 칼빈이 설교한 기독론

        문병호 개혁신학회 2007 개혁논총 Vol.6 No.-

        Calvin emphasizes the influence of the sermons of the Word of God, inspired verbatim and litteratim, upon believers which are visibly marked in faith and life. In doing this, Calvin refers to the continuous imputation of the righteousness of Christ the Mediator through His continuous mediation working in the believers’ mystic union with Christ. Regarding this point, in the article, the author studies the Christological foundation of Calvin’s sermons as the witness of the divine condescension and accommodation and the culmen of its revelation. Calvin emphasizes the influence of the sermons of the Word of God, inspired verbatim and litteratim, upon believers which are visibly marked in faith and life. In doing this, Calvin refers to the continuous imputation of the righteousness of Christ the Mediator through His continuous mediation working in the believers’ mystic union with Christ. Regarding this point, in the article, the author studies the Christological foundation of Calvin’s sermons as the witness of the divine condescension and accommodation and the culmen of its revelation

      • KCI등재

        자연의 기술화에 대하여

        문병호 범한철학회 2008 汎韓哲學 Vol.49 No.2

        Heutzutage erscheint die Totalität der Naturbeherrschung durch die Technologie, und sie bringt einen unversöhnlichen Konflikt zwischen Technologie und Natur hervor. Die lückenlose Beherrschung äußerer Natur verursacht totale Krise des natürlichen Ökosystems. Die Beherrschung innerer Natur wurde seit der Entdeckung von DNA 1953 rasch beschleunigt und reicht jetzt in Manipulation und Duplikation der Kreaturen mittels der Gentechnologie. In dieser Unversöhntheit von Technik und Natur gilt es, beide miteinander zu versöhnen. Um eine Möglichkeit dieser Versöhnung technikphilosophisch zu versuchen, analysiert diese Arbeit die Technisierung der Natur in erster Linie. Sie skizziert zunächst einmal den Wandel des Naturbegriffs, und zwar in der Sicht, daß er im Abenland der im jeweiligen Zeitalter unterschiedlich erscheinenden Weltanschung entsprechend variiert worden ist. Die Technisierung der Natur gliedert sich in dieser Arbeit in 4 Phasen. Die Phase des Zugriffs auf die Natur um der Selbsterhatung des Menschen willen, die Phase der Beherrschung und Reorganisation gegenüber äußerer Natur, die Vollendung des globalen Beherrschungssystems gegenüber äußerer Natur und die Substitution innerer Natur, und schließlich die Phase der Beherrschung und Manipultion gegenüber innerer Natur. Diese Analyse dient der nachfolgenden Untersuchung über den Konflikt zwischen technischem Handeln und natürlichem Ökosystem und dem Wesen der inneren Natur. 오늘날 기술은 자연을 총체적으로 지배하고 있으며, 기술과 자연의 화해는 불가능한 것처럼 보인다. 모든 생명체들이 생존하는 데 최소한의 조건이 되는 외적 자연에 대한 기술의 지배는 자연생태계의 총체적 위기로 드러나고 있고, 생명의 본질, 생명체의 본성을 의미하는 내적 자연에 대한 지배는 유전자 조작을 통한 생명체의 조작과 복제에까지 도달하였다. 이것은 자연의 기술화가 유발한 결과이다. 인류가 자연의 절대적 위력에 직면하여 생존을 도모할 목적으로 구석기 시대에 도구를 사용한 것에서 발원한 기술이 자연의 존립을 위협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술과 자연의 화해는 더욱 절박하게 되었다. 기술과 자연과 화해 가능성을 기술철학적 관점에서 모색하기 위해 이 논문은 일차적으로 자연의 기술화를 논의한다. 서구에서 자연 개념은 인간이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변전되었음을 먼저 밝힌 후, 자연의 기술화를 인간의 자기보존을 위한 자연에의 개입 단계, 외적 자연에 대한 지배와 재조직화 단계, 외적 자연에 대한 전 지구적 지배체계의 완성과 내적 자연의 대체 단계, 내적 자연에 대한 지배와 조작 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이 분석은 다음 논문에 이어질 기술적 행위(합리성)가 자연생태계 및 내적 자연의 본질과의 관계에서 유발하는 갈등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으며, 논문들이 의도하는 최종적 인식관심인 기술과 자연의 화해 가능성을 향한 첫 걸음이다.

      • KCI등재후보

        버미글리의 성찬에 있어서의 그리스도의 몸의 현존 이해

        문병호 개혁신학회 2015 개혁논총 Vol.35 No.-

        This paper aims to grasp Reformed characteristics of Peter Martyr Vermigli’s understanding of the presence of Christ at the Lord’s Supper in comparison with Calvin’s view of its spiritual presence. Vermigli seeks to expound Christ’s bodily presence, which is exhibited by the signs of bread and cup of the Lord’s Supper, in the light of the hypostatic union between the divinity and humanity of the incarnated Christ, and the communication of their attributes, which is resulted from it. Based on this position, Vermigli criticizes Lutheran theory of ‘consubstantiation’ as derived from their erroneous assumption of the ubiquity(ubiquitas) of Christ’s body, which is regarded as diffused into every place instantly at some time after his ascension, and their lack of knowledge about ‘totus ubique sed non totum.’ Very similar tendency is shown in Vermigli’s criticism of Roman Catholic theory of ‘transubstantiation.’ In this case, a point of dispute lies in their disconnection between the sign(signum) and the substance(substantia), i.e., between the bread and the body of Christ, as they argue that not the bread itself but something unknown lying under the bread is turned into Christ’s body mysteriously. If so, as indicated by Vermigli, there is no sacramental union between the sign and its significance(significatus). Calvin agrees with this view of Vermigli’s, but Calvin’s emphasis is put more upon the continual mediation of Christ the Mediator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ordo salutis by the imputation of Christ’s fulfilled righteousness on the cross than upon the phenomenal aspects of His presence itself 본고의 목적은 버미글리(Peter Martyr Vermigli, 1499-1562)의 성찬론이 지닌 개혁신학적 특성을 칼빈의 영적임재설에 비추어 파악하고자 함에 있다. 버미 글리는 기독론의 핵심교리가 되는 신인양성의 위격적 연합과 그것에 따른 속성교통에 주안점을 두고 성찬에 있어서의 그리스도의 현존을 설명한다. 부활하신 주님은 승천하신 후 어느 순간 인성이 신성의 속성을 실체적, 실제적으로 받아들여 육체적으로도 모든 곳에 편재하게 되므로 성찬의 때에 성도는 떡과 잔에‘함께 있는’그의 살과 피를 먹고 마신다고 보는 루터란의 공재설(共在說, consubstantiation)에 비판의 날을 세운다. 버미글리는 루터란의 이러한 그릇 된 입장이 주님은‘그 인격에 있어서는’모든 곳에 언제나 계시나‘그 본성에있어서는’신성에 따라서만(kata. th.n qeo,thta) 그러하다는 사실을 올바로 인식하지 못하고‘모든 곳에 전적(全的)으로 그러나 전부(全部)로는 아닌(totusubique sed non totum)’그리스도의 현존에 대한 오해로부터 비롯되었다고 여겼다. 이러한 경향은 로마 가톨릭주의자들의 화체설(transubstantiation)에 대한 비판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는 바, 그들이 성찬의 표징인 떡과 잔과 무관하게 신비한 그리스도의 실체가 새롭게 형성되듯이 가르치는 것은 그의 신성과 인성을 분리시키는 것과 다를 바 없다고 비판한다. 버미글리의 이러한 성찬론에 대해서 칼빈은 전적으로 동의하였다. 버미글리와 칼빈은 성경의 가르침을 좇아 성찬에 있어서의 그리스도의 영적 그러나 실제적 임재(praesentia spiritualis sedrealis)를 주장한다는 점에서 전혀 이견이 없다. 그들은 신인양성의 교통을 성경말씀에 따라서 축자적으로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칼빈은 성찬에 있어서의 그리스도의 현존을 성도의 구원서정(ordo salutis)에 더욱 밀접하게 연결시키는 가운데 십자가에서 구속의 의를 다 이루신 그리스도께서 자신의 영을주심으로써 그 의를 전가해 주실 뿐만 아니라 여전히 구원의 전체 과정에서 중보하시는 현재적 역사에 더욱 강조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그것을 회고적 기 념이란 사실에 주안점을 두고 다루는 버미글리와 구별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