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는 경증 치매노인의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문리학,김혜주,한경아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0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치매안심센터에서 운영되는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한 치매노인들의 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둔다. 또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들의 인지강화와 심리사회적 측면에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 용하였고, 치매안심센터에서의 집단미술치료를 경험한 경증 치매노인 7명을 참여자로 하여 2019년 10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포커스 그룹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 4개의 구성요소와 10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4개 구성요소는 ‘미술활동이 심리 적 안정감을 줌’, ‘집단미술치료의 구조적 활동과 다른 집단원들의 미술작품은 인지와 표현 기 능에 도움을 줌’, ‘집단미술치료는 자신감과 삶의 의지를 고취시킴’, ‘치매안심센터가 편안한 어 울림의 공동체이자 이타주의를 갖게 함’ 이다.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경증 치매노인의 인 지강화에 도움을 주는 심리사회적 의미를 밝혀 치매안심센터에서의 프로그램으로서 의미 있는 중재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s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 of the elders with mild dementia who have participated group art therapy operated at the Dementia Center.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how group art therapy can help strengthen cognitive ability and psychosocial aspect of the elders with mild dementia. For this, this study applied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selected seven participants with mild dementia who experienced group art therapy in the Dementia Center as study participants, and collected data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from October 2019 to November 2019. From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four components and 10 sub‐components were derived. The four components include ‘Art activities give psychological stability’, 'Structural activities of group art therapy and art works of other group members help cognitive and expressive functions', 'Group art therapy promotes confidence and will of life', and 'Dementia center is a comfortable socializing community and helps to get altruism.' This study confirmed that group art therapy is a meaningful intervention as a program in the Dementia Center by identifying psychosocial meanings that help strengthen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elders with mild dementia.

      • KCI등재

        생태학적 체계이론으로 본 경증 치매노인을 위한 미술치료에 관한 고찰

        문리학(Moon Lee-hak),한경아(Han Kyeong-a)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9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체계이론을중심으로 경증 치매노인을 둘러싼 환경과 상호작용을 포함하여 이들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효과적인 치료적 중재로서 미술치료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생태학적 체계이론의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치매노인에 관련된 지원 서비스 및 정책과 함께 치매노인 및 가족 돌봄자를 위한 미술치료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각 체계들 간에 연계되어 있는 치매노인의 환경과 서비스들 속에서 미시체계와 중간체계의 역할과 의미에서 그 중요성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경증 치매노인 미술치료의 역할 및 치매노인과 가족 돌봄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의 필요성을 맥락 속에서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경증 치매노인의 개인과 환경에 대한 맥락적 이해를 토대로 치매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중재로서의 미술치료 의미를 탐색하고, 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에서 필수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과학 기반의 연구를 활발하게 함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centered on the model ofBronfenbrenner s Ecological Systems Theory was to approach from the contextual point of view including environment and interaction surrounding elders with mild dementia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elders with mild dementia and examine art therapy as an effective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concepts of microsystem, mesosystem, and exosystem of the Ecological Systems Theory and explored support services and policies related to elders with dementia and art therapy for elders with dementia and family carers. In the meantime, this study sought the significance in the role and meaning of microsystems and mesosystems in the environment of elders with dementia and services connected between these systems. The role of art therapy for elders with mild dementia and the need for art therap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elders with dementia and their family carers were confirm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s the meaning of art therapy as an effective and systematic interven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s with dementia based on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individual and environment of elders with mild dementia, confirming that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effect by activating active science‐based research in order for art therapy to become a mandatory program in the field of art therapy for elders with dementia.

      • KCI등재

        이야기 그림 검사의 반응특성에 대한 메타분석 : 한국 아동·청소년 자료를 중심으로

        한경아,문리학 한국심리치료학회 2022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14 No.2

        In Korea, the Draw-a-Story (DAS) assessment is conducted to distinguish between depression and aggression and screen for the variables of emotion, self-concept, and relationship through response characteristics. Given that each study has different population characteristics and variables in their research design, resulting in consistent or contradictory results, it is of the utmost importance to use statistical validation to generalize individual results effective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power of the DAS assessment to differentiate therapeutic variables such as emotion, self, and relationship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To this end, we employed the PRISMA flowchart to sift through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Korea by June 2020 and selected the final 15 studies for meta-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both emotional contents and self-image scal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sizes. The second, the emotional contents scale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and adolescents regarding effect sizes by research subjects. However, the self-image scale exhibit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ypes of study participants. The third, in terms of effect sizes by research variables, the emotional contents scale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research variables, whereas the self-image scale presents significant differences. This study demonstrated the validity of the DAS assessment in differentiating multiple variables, including emotions, self, and relationships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국내에서는 이야기 그림 검사가 우울과 공격성의 변별뿐만 아니라, 정서, 자아개념, 관계 등의 변인들을 선별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반응특성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각각의 연구들은 연구설계에 있어서 모집단의 특징과 변인이 다르고 또 일관적이거나 상반되는 결과를 지닐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통계적인 검증을 통해 하나의 결과로 일반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아동과 청소년의 정서내용, 자기상, 관계 등 치료적 변인을 식별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는지 입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6월까지 한국에서 발행된 연구를 대상으로 PRISMA 4단계를 거쳐 최종 선정된 15편을 메타분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내용 및 자기상 척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크기를 갖고 있었다. 둘째, 연구대상에 따른 효과크기에서 정서내용 척도는 아동과 청소년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지만, 자기상 척도는 대상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연구 변인에 따른 효과크기에서 정서내용 척도는 연구 변인 간 유의한 차이가 없고, 자기상 척도는 연구 변인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의 아동 및 청소년 대상에게 이야기 그림 검사가 정서, 자아개념, 관계를 포함한 변인에 대해 변별력을 갖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

        미술치료 전공생의 치매노인을 위한 미술치료 현장실습 체험연구

        한경아,문리학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8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석사학위 과정에 있는 미술치료 전공생이 치매노인을 위한 미술치료 실습을 하면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탐구하고, 그 의미와 본질을 밝혀 그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였고, 미술치료를 경험한 6명의 미술치료 전공생을 참여자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 6개의 본질적 주제와 19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고,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복잡한 마음으로 치매를 진단 받은 노인과의 실습을 준비함’, ‘단단히 준비했음에도 시행착오를 겪어가며 버거워함’, ‘치매노인 미술치료도 서로 주고받는 관계임을 직접 경험함’, ‘미술치료가 치매노인에게 주는 의미를 경험을 통해 발견함’, ‘자기를 탐색하며 자신과 치매노인을 더 이해하고자 함’, ‘치매노인 미술치료의 전문성을 갖춘 미술치료사로서 한 걸음 나아감’ 이다. 이와 같이 미술치료 전공생은 현장과 치매에 대한 깊은 이해의 부족함을 인식하고, 미흡한 부분을 채워나가며 치료사로서의 역량 강화와 개인적인 성찰을 반복하며 성장한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 전공 실습생의 경험을 통해 현장실습이 미술치료 교육에서 중요한 부분이며, 치매노인 미술치료가 전문적이고도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확인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to see what art therapy majors in the master’s course experienced while practicing art therapy for the elders with dementia, to explain the meanings and essence of their experiences, and to giv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m. For this study,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was applied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six participants, who wer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having experienced practicing therapies for the elders with dementia. The data analysis drew a total of 6 themes and 19 sub-themes, and the essential themes were as follows: ‘With perplexed mind, prepared a session with an elderly who was diagnosed with Alzheimer’s disease’, ‘Even though thoroughly prepared, had a hard time because of the mistakes’, ‘Experienced that art therapy treatment of senior with Alzheimer’s disease is also a interacting relationship’, ‘Realized what art therapy treatment means to them’, ‘Tried to understand fully of themselves as well as the diagnosed seniors’, ‘Stepped up a level as an art therapist equipped with professionality dealing with seniors with Alzheimer’s disease’. Students majoring art therapy realized that they lacked a deep understanding of the field and dementia; they made up for the lack and repeated the efforts to improve their competence as a therapist and make self-reflec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on-site practice is a crucial part of art therapy education and that art therapy for the elders with dementia needs to make a specialized, systematic approach.

      • KCI등재

        워킹맘의 유아기 자녀의 애착 및 정서발달을 위한 모-자 미술치료 사례연구

        홍영해,문리학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3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워킹맘의 유아기 자녀의 애착 및 정서발달을 위한 모-자 미술치료 과정에서 모자의 경험과 그 경험에 따른 모-자 미술치료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연구를 위해 애착 형성과 정서적 측면에 어려움을 느끼는 5세 남아와 일과 양육을 병행하는어머니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2022년 6월 11일부터 2022년 8월 6일까지 총 10회기의 모자 미술치료 사례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모-자의 경험은 ‘기존의 모-자 관계가 미술 활동에서 여전히 드러남’, ‘미술 활동을 통해 모-자 관계를 힘들게 한 것들을 하나씩 극복해나감’, ‘미술치료에서 모-자만의 관계를 새롭게 만들어감’ 총 3개의 상위범주와 6개의 하위범주, 15개의의미단위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모-자 미술치료를 통해 워킹맘과 유아기 자녀가 서로가 만족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상호작용하는 즐거움을 경험하고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도록 도왔으며, 나아가 이들이 지금의 안정되고 즐거운 관계를 유지하면서 앞으로의 삶의 적응력과 유아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

        신수정,문리학 한국심리치료학회 2020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DAPR(Draw-A-Person-in-the-Rain) assessment is useful as a tool to measure the level of parenting stress and ego-resilience of working mothers through identification of response characteristics of DAPR assessment and analysis on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ego-resilience and DAPR assessment scores. To investigate this, parenting stress and ego-resilience level were measured and DAPR assessment was taken through 100 subjects, working mothers of infants and preschooler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Based on parenting stress and ego-resilience scores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s a high, middle, and low group. Of these groups, the participants belonged to higher and lower group were analyzed b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DAPR assessment using t-test.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ego-resilience and DAPR assessment score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SPSS 23.0 program was used for the process of data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t stress area of DAPR assessment based on parenting stress level of working moth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etting of people. Second, at coping area of DAPR assessment based on parenting stress leve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he total coping ability score, abstinence of facial smile, good quality line, and omission of body part. Third, at stress area of DAPR assessment based on ego-resilience leve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otal stress score, rain, direction of rain, and wetting of people. Fourth, at coping area of DAPR assessment based on ego-resilience leve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otal coping ability score, umbrella, facial smile, good quality line, and omission of body part. Fifth, parenting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ress area,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ping area of DAPR assessment. Ego-resili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tress area,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ping area of DAPR assessment. Therefore, as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es the usefulness of DAPR assessment in measuring parenting stress and ego-resilience of working mothers, this implies that DAPR assessment can be used as a measurement tool for stress management of working mothers living in the modern society 본 연구는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른 빗속의 사람 그림(Draw-A-Personin-the-Rain: DAPR) 검사 반응특성 및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빗속의 사람 그림검사가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유용한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소재에 거주하는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 100명을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수준을 측정하고 DAPR 검사를 실시하였고, 각 척도 점수에 따라 취업모 집단을 상, 중, 하로 분류하였다. 이 중 상위군과 하위군을 대상자에 대해 t 검정을 실시하여 DAPR 검사 반응특성을 분석하였고, 양육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점수와 DAPR 검사 점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각 척도의 전체와 하위 영역 모두를 변수로 하여 Pearson 상관 분석을 진행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DAPR 검사의 스트레스 영역에서는 비에 젖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DAPR 검사의 대처능력 영역에서는 총 대처능력 점수 및 우산을 들고 있음, 미소, 선의 질, 신체 일부의 생략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취업모의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른 DAPR 검사의 스트레스 영역에서는 총 스트레스 점수 및 세부항목인 비가 많다, 비의 방향, 비에 젖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취업모의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른 DAPR 검사의 대처자원 영역에서는 총 대처능력 점수 및 우산을 들고 있음, 미소, 선의 질, 신체 일부의 생략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는 DAPR 검사의 스트레스 영역과 양적 상관관계, 대처능력 영역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자아탄력성은 DAPR 검사의 스트레스 영역과 부적상관관계, 대처능력 영역과는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DAPR 검사가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및 자아탄력성 수준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유용함을 입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나아가 DAPR 검사가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취업모의 스트레스 관리 및 대처를 위한 기초 진단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치매노인 대상 미술치료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한경아,문리학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9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 evidence‐based art therapy intervention program for elders with dementia by conducting a meta-analysis to provide a comprehensive and scientific bas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for elders with dementia. For this purpose,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40 papers from domestic journals and master's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which reported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for elders with dementia,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tudies on art therapy for elders with dementia tend to steadily increase, and the total effective size of art therapy for elders with dementia was calculated by applying the random-effects model as Hedges’g=0.715(Z=3.830, P<0.05),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mediate size.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art therapy intervention applied to the elders with dementia,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differences of the effective sizes for dependent variables identified by cognitive, psychological/emotional, self expression/communication,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was Q=42.579(p=0.000). The indicat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among them, the quality of life showed the greatest effective size. On the other hand, the severity of dementia,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the number of sessions per week, and the media/technique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art therapy intervention for elders with dementia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ive sizes.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 대상 미술치료의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종합적이고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치매노인을 위한 근거 기반의 미술치료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의 효과성을 보고한 국내 학술지 논문 및 석·박사 논문 40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치매노인 대상의 미술치료 연구들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치매노인에게 적용한 미술치료의 전체 효과크기를 무선효과모형을 적용하여 산출한 전체 효과크기는 Hedges’g=0.715(Z=3.830, P<0.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중간 효과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노인에게 적용한 미술치료 중재관련 특성 중 인지, 심리/정서, 자기표현/의사소통, 행동, 삶의 질로 구분한 종속변인에 대한 효과크기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Q=42.579(p=0.000)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났고, 그 중 삶의 질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반면,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중재관련 특성 중 치매 정도, 전체 회기 수, 주 회기 수, 그리고 매체/기법은 효과크기들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KCI등재

        청소년 대상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전재란(Jeon, Jae-Ran),문리학(Moon, Lee-Hak)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1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성을 파악하고, 청소년 문제의 치료적 개입을 위한 종합적이고 과학적인 근거에 따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1998년부터 2020년 8월까지 국내 출간된 석·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 총 100편을 최종 분석대상 논문으로 선정하여 메타분석 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의 전체 평균효과 크기는 0.624이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 크기이다. 둘째, 연구대상의 특성 및 중재 특성에 따른 효과 크기들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종속 변인 중 사회성이 가장 큰 효과 크기를 나타냈고 다음은 자아, 적응 및 부적응, 학습 및 진로, 정서의 순이며, 효과 크기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는 개별 연구 결과를 종합·분석하여 청소년 대상의 집단미술치료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 임상과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group art therapy targeting adolescents, and provide basic data based on comprehensive and scientific evidence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in the adolescents issues. For this, a total of 100 papers including master’s theses, doctoral 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s published in Korea from 1998 to August 2020 were selected as the final targets for meta-analysi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of group art therapy targeting adolescents is 0.624, which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size.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 siz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Third, among the dependent variables, sociality showed the greatest effect size, the following appeared in the order of self, adaptation and maladjustment, learning and career, and emotion, and the difference in effect siz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ynthesized and analyzed individual research results, presented the basis for group art therapy for adolescents,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clinical trials and research.

      • KCI등재

        학대 피해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국내 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1996년~2020년을 중심으로)

        장은실(Jang, Eun-sil),문리학(Moon, Lee-hak) 한국미술치료학회 2022 美術治療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학대 피해 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연구의 동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1996년부터 2020년까지의 석․박사 학위 및 학술지 논문 총 83편을 발행연도 및 자료유형, 연구대상, 연구방법, 미술치료 구조 및 프로그램을 기준으로 분석하였고, 빈도와 백분율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행연도 및 자료유형의 분석결과, 2006~2010년에 논문발행 비중이 가장 높았다. 둘째, 연구대상의 분석결과, 초등학교 고학년(11~13세) 대상의 연구가 많았고, 성별에서는 여성 대상의 연구가 많았다. 학대유형으로는 중복학대의 비중이 높았고, 학대행위자는 부모가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방법 분석결과,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고, 객관적 검사도구는 적응 및 문제행동 관련 척도, 투사적 검사도구는 집-나무-사람 그림검사(HTP)와 동적 가족화(KFD)의 활용빈도가 높았다. 또한, 정서  심리건강 회복에 관한 주제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넷째, 미술치료 구조 및 프로그램 분석결과, 치료환경 중 복지기관이 가장 많았고, 개인치료가 높은 비중을 보였다. 주 1회, 회기당 60분으로 진행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였고, 다양한 매체와 기법을 활용한 혼합 프로그램이 높은 빈도로 실행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trends in Korea of art therapy research for the victims of child abuse. A total of 83 master s- and doctoral-level papers and academic journal papers from 1996 to 2020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highest proportion of published papers occurred between 2006 and 2010. Second, many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n terms of gender, there were many studies on female subjects. Co-occurrence of abuse was the most common type of abuse, and the parents were the most common abusers. Third,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common. Regarding objective test tools, measures related to adaption and problem behavior were frequently used, and regarding the projective test tools, the House‐Tree‐Person test and Kinetic Family Drawing test were frequently used. In addition, the theme of emotional and psychological health recovery was studied the most. Fourth, among the treatment environments, welfare institutions accounted for the most common, and individual treatment showed a high proportion. Many studies were conducted once a week, 60 minutes per session, and mixed programs using various media and techniques were carried out with high frequenc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