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ㆍ40년대 한국영상자료 속 근대도시풍경에 대한 융합적 연구

        문근종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1930·40년대의 한국영상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당시의 도시풍경을 고찰하는 것이 다. 이는 시각 매체인 영화가 당대의 도시 경관과 인간 행위를 필연적으로 반영한다는 점을 전제로 진행되었다. 분 석을 위해 1934년부터 1944년까지에 해당하는 8편의 조선 영상작품들이 선정되었으며, 영화 속에서 도시의 풍경은 크게 2가지의 특징으로 나타났다. 첫째, 근대적 건축물과 속도감의 교통수단으로 이루어진 거리·경관이 의도적으로 비추어졌는데, 이는 근대화의 빠른 물결 속에 놓인 경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둘째, 도시의 아파트, 양옥, 백화점, 카페, 호텔 등 서구적인 분위기의 건축 공간들이 조명되었는데, 이는 소수 상류층의 생활상과 새로운 서구문 화를 간접적으로나마 경험하고자 했던 대중들의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한 영화적 해결책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enery of the Modern City’ revealed by Korean films of 1930·40s. It is assumed that films always reflect the cityscape and human activities of those days. For the analysis, a pool of 8 Korean films from 1934 till 1944 was constructed. In these films, the sceneries of the city were represented as the following: 1) The cityscape including modern buildings and speedy transportation was intentionally represented to express visually the city of Gyeongseong under the wave of modernization. 2) The western-style architectural spaces, such as apartment, mansion, department store, cafe, and hotel, were emphasized to reflect the curiosity and longing of the general public for western culture and lifestyle.

      • KCI등재

        1950년대 말 멜로드라마에 묘사된 근대건축공간에 대한 연구

        문근종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odern Architecture Space’ represented in Korean melodrama films of the late 1950s. It is assumed that popular films reflect the residential culture, architectural spaces and human activities of those days. For the analysis, a pool of 5 Korean melodramas of the late 1950s was constructed. In these melodramas, the modern architectural spaces were represented as the following: 1) The modern-style residential spaces were emphasized to reflect the interest and longing of the public for western lifestyle. 2) The western non-residential spaces such as work spaces and commercial spaces were emphasized, especially its interior design of western image. 본 연구의 목적은 1950년대 말의 한국 멜로드라마 영화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근대적, 서구적 이미지로 드러난 건축공간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는 대중영화가 당대의 주거문화, 건축공간, 인간행위 등을 필연적으로 반영한다는 사실을 전제로 진행되었다. 고찰을 위해 신상옥 감독의 50년대 멜로드라마 5작품이 선정되었으며, 각 영상자료의 장면들과 등장인물의 특성, 대사, 관련 작품해설이나 평론 등이 종합적으로 분석되었다. 멜로드라마 속에서 근대건축공간은 크게 2가지로 드러났다. 첫째, 전후 빈곤과 사회적 혼란 속에서도 전통적 주거건축과는 대비되는 근대적 건축공간들이 조명되었는데, 이는 서구적 주거방식과 부유층의 생활상에 대한 관객들의 동경과 호기심을 반영한 것이었다. 둘째, 주거공간뿐 아니라 업무공간, 상업공간 등 다양한 비주거 건축공간들이 비중 있게 묘사되었는데, 주로 공간의 내부를 비추면서 서구적 이미지의 인테리어 디자인이 조명되었다.

      • KCI등재

        안토니오니 감독 영화 속 시각효과와 시각적 교류의 건축적 연구

        문근종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11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0 No.1

        Michelangelo Antonioni(1912~2007), an Italian film director, is known for his active use of visual effect & interaction, such as reflection and refraction of light, visual exchange between people, and multilateral sightline, as ‘cinematic elements’ in his films. This paper has two objectives: one is to architecturall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 effect & interaction shown in Antonioni’s films, the other is to analyze the visual correlation between film and architecture by studying the architectural precedents with similar visual cases. For the analysis, 5 Antonioni films from 1959 to 1966 are se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effect & interaction categorized into 6 types are as follows; the reflection effect that carries multiple meaning, psychological expression through the visual effect, visual exchange & lack of communication, the difference between human vision and photographic reality, relation making through multilateral sightline, and coexistence of the real and the imaginary. 이탈리아의 영화감독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1912~2007)는 빛의 반사와 굴절, 인물 간 시각적 교류, 다각적 시선구도 등 시각적 효과/교류를 영화적 장치로써 적극 활용하였는데, 본 논문의 목적은, 안토니오니 영화 속에 나타난 시각적 효과/교류의 특성을 건축적으로 고찰/분석하고 실제 건축 작품에 유사하게 나타난 시각적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영상작품과 건축물 사이에서 시각적 장치 사용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안토니오니의 영상작품에 대한 건축적 고찰의 범위로서, 1959년부터 1966년까지의 5개 작품을 주요 대상으로 하였으며, 반사효과를 통한 다중적 의미 전달, 시각효과를 통한 심리표현, 시선교차와 소통의 단절, 인간시각과 리얼리티의 차이, 다각적 시선구도를 통한 관계 설정, 현실과 상상의 공존 등 6개의 주제로 분류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1950~80년대 한국영화에 드러난 여성주거공간으로서의 아파트 연구

        문근종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partment Housing as Female Residential Spaces’ represented in Korean films in 1950~80s. It is assumed that films necessarily reflect the social and architectural backgrounds. To investigate the apartments as female residential spaces is to verify in a sociocultural manner of how the apartments were recognized by the women and what it meant to them. For the analysis, a pool of artistically and publicly renowned 25 Korean films was constructed. In these films, the apartments as female residential spaces were represented as: 1) a high-class modern·western space, 2) a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poor, 3) a city dweller’s space of loneliness, isolation and anonymity, and 4) a sweet home of a new-married couple, a symbol of happiness, etc. 본 연구의 목적은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의 한국영화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여성 주거공간으로서의 아파트’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는 영화가 당시의 사회상과 건축문화를 필연적으로 반영한다는 점에 기인한 것이며, 아파트라는 주거형식이 여성 사용자들에게 시기별로 어떻게 인식되었는지, 또는 어떠한 의미였는지를 문화적 측면에서 살펴본다는 것을 의미한다. 분석을 위해 해당 시기의 영화 25편이 선정되었으며, 당시 여성 주거공간으로서의 아파트는 1) 고급의 근대공간으로서, 2) 빈곤층 여성의 주거환경으로서, 3) 도시여성의 고독·소외·익명 공간으로서, 그리고 4) 단란한 신혼 공간, 행복의 상징, 동경의 대상으로서 나타났다.

      • KCI등재

        해방기 한국영화 속 도시주거풍경에 대한 융합적 연구

        문근종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해방기(1945∼1950)의 한국 영화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도시의 주거풍경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는 문화적 산물인 영화가 당대의 인간 행위, 주거문화, 도시풍경 등을 반드시 투영한다는 점을 전제로 진행되었다. 고찰을 위해 1946년부터 1949년까지에 해당하는 7편의 작품들이 선정되었으며, 각 영화의 장면들과 등장인물의 대사, 관련 신문기사나 평론, 시나리오 등이 종합적으로 분석되었다. 영화 속에서 도시주거풍경은 크게 2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사회문화적 혼란 속에서도 아파트나 문화주택 등 서구적 주거공간들이 조명되었는데, 이는 일반 대중의 동경과 호기심을 반영한 결과였다. 둘째, 서울 도심의 구석구석이 의도적으로 비추어졌는데, 이는 해방 직후의 혼란 속에서 서서히 안정을 찾아가고 있는 장안 의 모습이 그대로 담긴 것이며 서울의 풍경 자체가 관객들에게 전시물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enery of the Urban Residence’ represented in Korean films of the liberation period. It is assumed that public films reflect the human activities, residential culture and cityscape of those days. For the analysis, a pool of 7 Korean films from 1946 till 1949 was constructed. In these films, the sceneries of the urban life were represented as the following: 1) The western-style architectural spaces, such as cultural residence and apartment were emphasized to reflect the longing and curiosity of the general public for modern culture and lifestyle. 2) The cityscape including a narrow alley, crossroads and modern buildings was intentionally represented to express visually the city of Seoul under the slow wave of modernization.

      • KCI등재

        서종 MA주택에 구현된 영화적 시선에 대한 융합적 연구

        문근종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9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영화적 시선들이 어떻게 서종 MA주택(2016, 경기도 양평군)에 구현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즉, 초기 기획설계의 단계에서 어떠한 영화적, 건축적 개념들이 고려되었는지, 다음의 계획설계 단계에서는 이러한 개념들이 배치계획 및 평면, 입면계획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발전되었는지, 또한 이러한 디자인 의도가 준공된 건축작품에 효과적으로 반영되었는지를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주택의 건축디자인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설계 단계에서의 스케치, 모형, 도면 등을 참조하였다. 결과적으로 다양하고 흥미로운 영화적 시선들은 성공적으로 구현되었지만 야간의 시각적 노출, 파사드 디자인의 불완전 실현 등은 미흡한 부분으로 남게 되었다. 본 연구는 건축학, 영화학의 학제간 융합에 대한 시론으로서 그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ous cinematic gaze and its realization through Seojong MA-Residence in Yangpyeong-gun, completed in 2016. This paper will focus on what kinds of cinematic concepts and design ideas were selected and considered in the stage of concept design, then how the site plan, floor plan, elevation and section design were developed in the stage of schematic design, and finally how much of the design intentions were successfully realized to the residential building. Architectural sketches, physical models and drawings at the concept & schematic design stage were reviewed. After the construction, some important issues were successfully realized such as interesting cinematic views to outside, visual openness and inflow of sunlight.

      • KCI등재

        1970년대 이후 한국영화에 드러난 아파트의 부정적 이미지 연구

        문근종(Moon, Guen-Jong) 대한건축학회 2014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gative Images of Apartments’ represented in Korean films since 1970s. It is assumed that films reflect the social and architectural backgrounds as well as the interests of the general public. The term ‘image’ not only refers to the visual or physical images but also the conscious and subconscious drives and socio-psychological causes that produced those images. Therefore, to investigate the images of apartments is to verify in a socio-cultural manner of how apartments were recognized by the general public and what they meant to them. For the analysis, a pool of artistically and publicly renowned Korean films since 1970s was constructed. Through the scenes and their respective scripts, the characters, acts, and architectural spaces were analyzed. The negative images of loneliness, anonymity, segregation in the 1970s have developed into the critical and cynical images of lack of communication, indifference, misunderstanding, uneasiness and fear. Despite apartments being so common today, they are the scenes of human alienation and it is the films that sensitively catch and express this. Here, we recognize the significance films can have on the architecture field that should be at the center of thinking of the fundamentals of dwelling.

      • KCI등재

        논문 : 이현승 감독 영화에 적용된 프로덕션 디자인의 건축적 성향 연구

        문근종 ( Guen Jong Moon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2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1 No.4

        영화감독이 영상매체를 통하여 도시적 배경이나 건축물, 건축공간을 표현하고 대중이 그것을 감상, 인식하는 과정 또한 건축설계에 못지않은 ‘건축행위’라 할 수 있다. 프로덕션 디자인이란 인물자체를 제외하고 카메라에 잡히는 부분, 즉 영화속의 공간, 배경, 의상, 소품 등 보이는 모든 부분에 대한 디자인을 의미하는데, 이현승 감독은 그의 데뷔작 <그 대안의 블루>(1992)부터 최근의 <시월애>(2000)와 <푸른소금>(2011)에 이르기까지 색채감과 공간감을 추구하며 독특한 영상미를 확보하는 일관된 프로덕션 디자인 전략을 유지하고 있다. 본 논문은 그의 주요영화 5작품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며 각 영화 장면에 대한 분석과 이감독과의 인터뷰 내용을 토대로 이현승 감독이 영화의 공간적. 시각적 컨셉을 구현하기 위해 1) 색상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2) 시나리오에 걸맞은 장소는 어떻게 선택하는지, 3) 건축공간을 감독으로서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 4) 영화 속 공간은 사용자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등을 살펴보고자 하며, 또한 이러한 것들이 건축계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A film director expresses architectural spaces, buildings and urban landscapes through his/her films and the public enjoy or recognize them. We can call this kind of process ‘architectural activity’ just like general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Production design means the overall design of every visual element in films such as spaces, backgrounds, clothes, decorations except actor/actress itself. Film director Lee Hyeon-seung, from his debut film <Blue in You>(1992) to <A Love Story>(2000) and <Hindsight>(2011), has shown the consistent production design strategy for distinctive visualization with remarkable color/space senses. This paper will focus on his 5 main films. With shot analyses of the films and interview materials, this paper has an objective on how Lee used urban·architectural elements to realize the spatial/visual concept through his production design.

      • KCI등재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감독 영화에 나타난 도시/건축적 요소의 활용

        문근종(Moon Guen-Jong),서유진(Seo Eu-Gene) 대한건축학회 201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6 No.11

        In 1920·30s Italy, with a social/economic crisis, urban·architectural situation reflects Fascism Architecture which the urban resources were used for a political purpose. After World War Ⅱ, postwar reconstruction and industrialization were the mainstream in Italy. Meanwhile, the film director Michelangelo Antonioni(1912~2007), was influenced by neorealismo, used the postwar cityscape of Italy as 'image element' in his film(mainly focusing on the cities; Milan, Ravenna, and Southern Rome's EUR). He expressed the social values and emotions of urbanites with direct and critical perspectives. The 'Cityscape' here is the concept which includes not only the scenes of nature and a city itself but the life of urbanites. This paper has an objective on how Antonioni used urban·architectural elements to reveal the periodical situation through his film.

      • KCI등재

        1930∼60년대 한국영화에 나타나는 아파트 이미지 연구

        문근종(Moon, Guen-Jong) 대한건축학회 201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9 No.4

        "Film" is a visual medium and an assemblage of social activities. Also film reflects director"s message and the housing culture of those days. Architecture represented on the screen express opinions and feelings of the public and demonstrate the ways people have put meaning on the notions of the home, domestic culture, public spaces, and so forth. This study starts with these "visuality"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films.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18-Korean-films, which contain the "Images of Apartment Housing", in 1930∼60s called "the early stage of Korean apartment culture". With shot analyses of the films and related materials, this paper has an objective on how the film director interpreted and used the apartment architecture as cinematic elements, and how the images of apartment housing were represented in their fil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