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금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 신뢰의 매개효과

        문광수,조항수,이계훈,오세진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7 No.3

        본 연구는 임금만족의 하위 요인들이 조직 몰입의 하위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조직신뢰(경영진, 구성원 신뢰) 변인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다양한 직종의 근로자 410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임금수준 만족은 연속적 몰입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임금정책/관리 만족은 정서적 몰입에 정적인 영향, 연속적 몰입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복리후생 만족은 정서적, 연속적, 규범적 몰입 모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임금 정책/관리와 복리후생 만족이 경영진과 구성원 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경영진 신뢰는 연속적 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구성원 신뢰는 정서적, 규범적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 구성원 신뢰는 임금정책/관리와 정서적 몰입, 복리후생과 정서적 몰입, 복리후생과 규범적 몰입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 하였고, 경영진 신뢰는 임금정책/관리와 연속적 몰입, 복리후생과 연속적 몰입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 KCI등재

        임금협상 기회와 형태가임금만족과 경영진 신뢰에 미치는 영향: 탐색적 연구

        문광수,엄지은,오세진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8 No.3

        다양한 분야에서 협상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임금 협상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그리고 임금 협상에 대한 참여 기회가 근로자의 수행에 대한 노력이나 임금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적으로 다룬 연구는 없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임금협상 기회 여부와 임금 협상 형태가 근로자의 임금만족과 회사 경영진에 대한 신뢰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탐색적으로 검증하는 것이었다. 국내의 다양한 직종에 종사하고 있는 근로자 315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다변량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 분석 결과, 임금협상 기회 제공이 임금수준, 임금정책 및 관리, 복리후생 만족과 경영진 신뢰 수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협상보다 단체협상이 임금수준, 임금정책 및 관리, 복리후생 만족과 경영진 신뢰 수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임금협상 여부와 형태를 통합하여 공분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가지 협상 조건에서의 임금만족과 경영진 신뢰 평균 점수가 협상 기회가 없는 조건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지만, 임금정책 및 관리 만족 그리고 경영진 신뢰에 있어서는 두 협상 형태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설명, 제한점,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대졸 정규직의 투잡 특성과 투잡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탐색적 연구

        문광수,이요행,오세진,이재희 한국자료분석학회 200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variables that may be related to the workers' dual job status. 1038 workers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s that measured various demographic variables, monthly income, working time in the primary job, the size of the organization, the level of fringe benefit, job satisfaction, and person-job fit. A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identify variables that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dual job status. Of those variables included in the analysis, no demographic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dual job statu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monthly income, working time in the primary job, job satisfaction, and person-job fit had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with the dual job status. 본 연구는 대졸 정규직 중 직업을 두 개 이상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투잡의 특성과 투잡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인들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연구 결과 대졸자 정규직의 3.03%가 투잡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본업은 경영/사무 관리직이 29.7%, 연구 관련직 18.5%, 문화/예술 관련직 14.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투잡 이유는 경제적 이유, 자기개발 순이었다. 부업의 근로시간은 주당 16시간 이하가 대부분이었고, 수입은 60만원 이하가 66.7%였으며, 직종은 과외와 레슨, 강의 등 교육 분야 그리고 서비스 분야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주 직장의 월평균 수입, 주당 근로시간과 심리적 변인인 직무만족, 개인-직무 부합이 투잡 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 나타났다. 요컨대, 투잡을 하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본업의 월평균 수입이 낮았고 주당 근로 시간도 적었으며, 본업에서의 직무만족과 개인직무 부합이 더 낮았다.

      • KCI등재

        소집단 내에서 성과급 분배 방법의 차이가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

        문광수,오세진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0 No.4

        본 연구는 소집단 상황에서 성과급 분배 방법의 차이가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검증이 목적이었다. 즉 성과급 분배 방법인 개인 성과급, 동등분배 집단성과급, 차등분배 집단성과급이 독립변인의 세 수준이었다. 4명의 아르바이트생이 실험에 참가했고 한 회기의 지속시간은 4시간이었으며 총 21회기를 실시하였다. 실험 설계는 교차처치설계(alternating treatment design)였으며, 세 종류의 성과급이 각 실험 회기별로 무작위 순서로 처치되었고, 각 종류의 성과급은 7회기씩 할당되었다. 참가자들은 총 3단계로 구성된 컴퓨터화된 모의작업과제를 수행하였다. 종속변인은 올바르게 수행한 과제의 수 및 비 직무행동에 개입한 시간의 양이었다. 결과에 의하면 개인 성과급과 동등분배 집단성과급 간의 수행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개인성과급과 차등분배 집단성과급 그리고 동등분배 집단성과급과 차등분배 집단성과급 간의 수행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한 차등분배 집단성과급 조건에서의 비 직무행동에 개입한 시간의 양이 가장 낮았으며, 동등분배 집단성과급 조건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급 종류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 후 설문과 인터뷰 결과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해 기술하였다.

      • KCI등재

        미세먼지 피해 예방 행동 증진에 대한 연구: 귀인과 위험 지각을 중심으로

        문광수,오상미 한국안전학회 2022 한국안전학회지 Vol.37 No.6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ifferent styles of attribution to fine dust on preventive behaviors.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risk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ion styles and preventive behaviors was examined.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930 Korean people from a variety of ages and regions, an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external and internal attribution to fine dus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reventive behavior.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both knowledge and dread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preventive behaviors. In addition, risk perception (knowledge and dread)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rnal attribution to fine dust and preventive behavior. However, internal attribution showed only a direct effect on protection behavior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also discussed. -

      • KCI등재

        과업 상호의존성과 성과급 형태가 임금 만족에 미치는 효과

        문광수,소용준,오세진 한국자료분석학회 200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0 No.2

        Incentive System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technique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because it is intimately related to the motivation of organizational employees. To motivate employees, the incentive system should be designed based on the job characterist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ask interdependence and types of incentive on pay satisfaction. The 231 self-reported questionnaires of employees in the 15 companies using incentive systems were used. Results indicated that the task interdependence by different job dimension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F=9.777, p=.000), but the effect of the level of task interdependence on pay satisfaction was not significant(F=3.167, p=.077). However, the effect of different incentive types on pay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F=5.415, p=.001). Also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of the level of task interdependence and different incentive types was significant (F=3.468, p=.024). Especially, the pay satisfaction was highest when the level of task interdependence was high and the employees received group(department)/team incentive. Pay satisfaction was comparable when employees received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incentive regardless of the level of task interdependence. When received base(fixed) pay, the satisfaction was lower under the high task interdependence cond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roup/team incentive system might be an alternative plan to keep pay satisfaction of the performers under high task interdependence condition. Also, a job analysis about task interdependence is necessary to choose the effective incentive types. However, to generalize these results, more various job dimensions and employees should be examined. Future studies will be needed to provide appropriate indicators to organiz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과업 상호의존성과 성과급 형태가 임금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국내에서 성과급 제도를 실시하고 있는 15개 기업의 근로자, 231명을 대상으로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비록 과업 상호의존성 수준에 따른 임금 만족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성과급의 형태에 따른 임금 만족의 차이는 유의미하였으며, 성과급 형태와 과업 상호의존성 수준의 상호작용 효과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인 성과급과 조직 성과급은 과업 상호 의존성 수준에 상관없이 임금 만족 수준이 유사하였지만, 팀/부서 성과급 형태에서는 과업 상호의존성이 낮을 때 보다 높을 때 임금 만족이 확연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현재 각 기업에서 과업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유행처럼 사용하는 일괄적인 성과급 사용에 문제점이 있다는 것, 특히 연봉제의 사용은 그 의미와 효과가 많이 퇴색하고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시사해 주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조직몰입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효과: 안전 분위기의 조절효과

        문광수,이재희,오세진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 지속적 몰입이 안전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리고 조직몰입과 안전행동 간의 관계를 안전 분위기가 조절하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제조업, 건설업, 철강업 등 사고 위험성이 높은 산업 현장의 근로자 21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인 안전행동은 순응행동과 참여 행동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분석은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 종속변인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정서적 몰입은 순응행동과 참여행동 모두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규범적 몰입은 순응행동만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 분위기는 순응행동과 참여행동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몰입과 순응행동, 규범적 몰입과 순응행동, 규범적 몰입과 참여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산업현장에서는 근로자의 조직몰입과 안전 분위기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safety behavior and to explore moderating effect of safety climate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afety behaviors. 215 workers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s that measured various demographic variables, organizational commitment, safety climate and safety behaviors. A hierarchical regression was conducted to identify variables that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safety behaviors and to examine moderating effect of safety climate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afety behaviors. Results indicated that the emotional commitment significantly predicted both safety compliance and participation behavior and the normative commitment significantly predicted safety compliance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 safety climate was also a significant predictor for both safety compliance and participation behavior. In addition, safety climate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commitment and safety compliance behavior and normative commitment and safety compliance and participation behavior.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