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당풍을 크게 갖춘(唐風大備)` 정지상 - 고려 한시사 상의 첫 고봉-

        리우창 ( Liu Chang ) 연민학회 2016 연민학지 Vol.25 No.-

        고려 왕조는 개국 200년 후 문화 발전의 전성기에 들어섰다. 이 기간에 작성된 시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대부분 산실되었는데, 오늘까지 전하는 시들은 거의 송시의 영향을 받아 송시의 품격을 보이고 있다. 시인들은 대부분 교제를 위해 시를 썼기 때문에 경치를 묘사하는데 심력을 쏟은 시인은 많지 않았다. 이에 당풍을 담은 작품으로 이름을 날린 시인이 이전에는 그다지 없었지만 한반도의 땅에서 당시풍도 지속적으로 발전해나갔다. 결과적으로 12세기 초에 이르러 정지상으로 인해 시풍이 바뀌게 되었다. 정지상은 시 자체에 집중하는 당시풍의 영향을 받아 세밀한 관찰을 통하여 밝은 경치와 여운을 담은 의경(意經)을 그려냈다. 이로 인하여 정지상의 시는 매우 높은 경지를 이루었으며 “고려 시 발전사 상 최초의 고봉”이라는 평가를 가할 수 있게 되었다. The cultural undertaking of Koryo Dynasty almost achieved a crest at 200 years of accumulation. The poems written at that time had nearly already ceased to exist, and most of the remainders were look like the poems of Song Dynasty. Compared to the scenery-description, these poems were mostly written for communication. The impact of Tang Dynasty on the Korean Peninsula was continuous, but there was no one famous for writing poems with the style of Tang. Until 12 century, Jeong Ji-sang emerged and things had changed. He became the first famous poet of Koryo Dynasty and one of the best poets in Korea history because of meticulous observation, bright scene and artistic conception

      • KCI등재

        연민 선생의 <화도음주시(和陶飮酒詩)>에 담긴 사상 고찰

        리우창 ( Liu Chang ) 연민학회 2017 연민학지 Vol.28 No.-

        연민(淵民) 이가원 선생과 도연명(陶淵明)의 ‘음주(飮酒)’는 모두 국가와 사회의 현실과 연관되어 있다. 그들은 술을 마시고 취함으로써 더러운 세속에 동화되거나 영합하지 않으려는 굳은 절개를 보이고자 하였다. 도연명의 음주는 우주, 자연, 인생에 대한 깊은 고민을 담고 있으며, 그의 은거 또한 인간사회에 대한 극도의 실망에서 비롯된 것이다. 연민 선생은 어린 시절부터 조선의 주자학 사조를 받아들이고 퇴계 이래 가학(家學)의 영향도 있어 한결같이 현실에 관심을 두고 조국과 사회에 대한 정을 쉽게 끊어내지 못했다. 퇴계가 도연명을 경모한 것은 도연명의 초연한 절개와 유유자적한 즐거움을 중시한 것이다. 반면 소식(蘇軾)이 도연명을 흠모한 것은 오로지 '적(適)'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후자에 더 치중한 것이다. 한편 연민 선생은 도연명을 ‘홀로 자신을 닦아 선하게 하는’[獨善] 유사(儒士)이자 은사(隱士)로 여겨 그의 초연한 절개를 특히 높게 평가하였다. 이는 연민 선생의 도연명 이해가 소식의 그것과 차별화되는 중요한 지점이다. 주자학 및 퇴계 가학의 영향 이외에 어린 시절 조국의 패망을 경험한 것 또한 연민 선생이 도연명의 초연한 절개를 중시하고 창화시에서 거듭 애국의 정과 사회 현실에 대한 우려를 강조하게 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Yi Kawon and Tao Yuanming’s “drinking” were linked to the nation and the state of society, as their drinking and becoming inebriated derived from an unyielding integrity refusing to cater or accommodate the filth of the secular world. Tao’s drinking contained his intense agonies over the universe, nature, and life while his life as a recluse originated from his utmost disappointment with human society. Yi, a descendant of Yi Toegye and initiated into Neo-Confucianism since youth, never ceased worrying the current state of things and was always concerned about his fatherland and society. Toegye admired Tao Yuanming for his steadfast integrity and emphasis in enjoying a free and easy life. Su Shi, on the other hand, admired Tao Yuanming mostly for the latter quality as he solely emphasized “suitability,” while Yi especially lauded Tao’s integrity as a Confucian and recluse that “practiced self-cultivation by himself.” This was an important difference between Su and Yi’s understanding of Tao. Aside from the influence of Neo-Confucianism and being a descendant of Yi Toegye, Yi Kawon’s experience of seeing his fatherland fall in his youth was a probable factor in the emphasis on his patriotism and concerns about the state of things in his response to Tao’s drinking poems and on Tao’s resolute integrity.

      • KCI등재

        일반논문 : 조선왕조에서 신하에게 시호를 내리는 제도에 대하여

        리우창 ( Chang Liu ) 연민학회 2014 연민학지 Vol.22 No.-

        시호(諡號)는 죽은 사람의 일생에 대한 평가이다. 조선시대 신하들이 시호를 받는 제도에는 대체로 시법(諡法), 시호를 의논하고 정하는 절차, 시호를 받는 자격 등이 포함되었다. 조선시대 시법 제정은 중국의 시법 문헌과 기타 관련된 문헌을 많이 참조하고 그것을 기초로 본국의 재료를 결합해서 취사선택하였다. 본국의 특징도 있고 중국과 깊은 관련도 있었다. 신하들의 시호를 의논하고 정하는 절차는 크게 두 차례개정(改定)되면서 더 복잡하고 세분화되었다. 이것은 관제(官制)의 변경과 관계가 있다. 조선왕조는 시호를 의론하는 날짜를 매우 중시하였고, 관련된 인원들이 반드시 참여할 것을 요구하였다. 그렇게 하다 보니 시호를 내려주는 과정에서 시호가 시호를 받은 사람의 언행과 잘 어울리는지의 여부, 즉 공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웠다. 시호를 의론한 사람의 주관적인 요소와 당시 정치 상황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 밖에 조선에서는 시호를 받는 자격이 한정되었으니, 관원의 품계(品階)를 토대로 품행(品行)을 참고해 융통성이 있었으며, 시정(時政)과의 연관성도 반영하였다. 요컨대 조선시대 신하들이 시호를 받는 제도는 고대 중국의 제도를 바탕으로 하고 본국의 구체적인 사정을 고려하여 새로운 특징을 형성한 것이다. 조선시대와 중국 고대의 시호제도를 비교하여 연구하면 두 나라 시호의 성격이 더 잘 드러나리라고 생각된다. Siho (諡號, 시호), or posthumous names, were evaluations of the lives of the deceased. During the Choson Dynasty, the system was generally defined by three aspects: sipop (諡法, 시법), or posthumous naming laws, the process of deliberating and deciding names, and the eligibility of posthumous naming. The development of sipop in the Choson Dynasty was based on the comprehensive Chinese posthumous naming laws and related literature in combination with Korean sources, and therefore had unique Korean characteristics as well as deep ties with China. There were two major stages of revision for the procedure of deciding names, reflecting a trend from the simple to the complex, and were linked to reforms in organizing the government. The Choson Dynasty was highly concerned with the dates of debating names, and required that related government personnel participate. As such, the process of granting posthumous names made it difficult to guarantee fairness, i.e. whether or not the posthumous name matched with the actions of the deceased. This was because the contemporary political situation and subjectivity of those debating influenced the posthumous naming process. In addition, although eligibility in receiving a posthumous name was limited, naming had some flexibility as government official were granted names based on their civil service grade and conduct, and also reflected the politics of that time. In sum, the posthumous naming system for Choson Dynasty subjects was based on that of ancient China’s, and was made with in consideration to Choson’s specific circumstances, creating a system with new characteristics. This study will discuss these three aspects of the posthumous naming system and attempt to clarify its Korean characteristics and its deep links to China’s posthumous naming system.

      • KCI등재

        허균 시의 율격(律格) 분석

        리우창 ( Liu Chang ) 연민학회 2018 연민학지 Vol.30 No.-

        《학산초담(鶴山樵談)》에서 허균은 《어가오(漁家傲)》에 대해 “전 편이 음률과 맞으나 다만 한 글자가 맞지 않는다.”고 평가하면서, ‘주(朱)’자의 청탁(淸濁) 문제를 제기했다. 필자는 청음(淸音)과 탁음(濁音)의 문제는 글의 평측 및 압운과 일맥상통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압운과 평측에 입각하여 허균의 시를 고찰하고, 또 이에 기초하여 허균의 《어가오》에 쓰인 글자의 성모와 사보(詞譜)에 수록된 글자의 성모를 비교 분석하여, 허균이 제기한 ‘주(朱)’자의 청탁 문제를 재고해볼 것이다. 허균은 상당한 수량의 고체시를 지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그는 근체시 창작에 더욱 치중한 시인이다. 근체시 창작에 있어서 허균은 대체로 평성운(平聲韻)을 사용했고 환운(換韻)하지 않았지만, 간혹 통압(通押)하고 출운(出韻)한 경우도 찾아볼 수 있다. 평측(平仄)에 있어서 허균은 “삼요사구(三拗四救)” 형식을 자주 사용하였고, 간혹“고평자구(孤平自救)”와 “대구요구(對句拗救)”의 형식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평측을 지키지 않은, 이른바 실점(失粘)하였거나 실대(失對)한 경우가 더러 보인다. 사(詞) 창작에 있어서, 허균은 성모(聲母)의 청탁 문제를 중요시할 것을 주장하면서 난설헌(蘭雪軒)이 사를 지을 때 글자마다 성모의 청탁을 검사하여 사보와 일치시켰던 것을 칭찬하였다. 그러나 《어가오》를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았을 때, 그가 말한 ‘주(朱)’자의 청탁은 물론이고 기타 글자의 청탁 역시 사보와 어긋나는 것이 많다. 다시 말해 사의 창작에 있어서 허균의 주장은 실제 창작과 부합하지 않는 것이다. 그럼에도 옛 사람들이 사를 지을 때 사용한 한자의 청탁을 참고하여 사의 창작 수준을 높일 것을 주장한 허균의 견해는 나름대로 상당한 가치가 있다. Hur Gyun had discussed on the topic about a Ci-poem (詞) named Yu jia ao (漁家傲), and said that ‘all the melody of characters used in this Ci-poems are right except one (一篇總合音律而一字不合)’. Then he provided a problem about the initial's voice-voiceless (淸濁) of the character ‘Zhu (朱)’. I think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l's voice-voiceless, the level and oblique tones, and the rhyme. So in this paper, I will analyze the rhyme and the level and oblique tones of Hur Gyun’s poems. On this basis, I will compare the initial consonant of example provided by Hur Gyun and the example on the collection of ci-poems. Through that I will discuss the initial's voice-voiceless of the character ‘Zhu (朱)’.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