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불국사 석가탑 발견 <寶篋印陀羅尼經> 寫經의 書風

        리송재 한국서지학회 2010 서지학보 Vol.0 No.36

        <寶篋印陀羅尼經> 寫經片은 1966년 불국사 석가탑을 해체․수리하면서 사리장엄구, 無垢淨光大陀羅尼經(무구정경) 등 많은 중요한 유물과 함께 발견되었다. 불국사 석가탑은 무구정경의 조탑신앙에 따라 경전을 납입하고 조성되었지만, 이후 1038년 중수시 당시 유행한 조탑신앙에 따라 보협인다라니경을 필사하여 이전의 납탑경전인 무구정경과 함께 납입하였다. <보협인다라니경> 사경의 서풍을 살펴보면, 필사의 속도감에 의해 起筆과 收筆이 단순화되고, 필획의 연결성 및 간략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은 전통의 사경서풍과 일맥상통하여, 동시기 유행서풍과 정형화 된 唐 사경서풍과는 많은 차이점이 있다. <보협인다라니경> 사경은 동시기 유행서풍과의 교섭보다는 전통의 학습에 의해 전해 내려오는 관습적인 필법을 따르고 있다. 또한 전통의 관습적인 사경필법은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新羅白紙墨書大方廣佛華嚴經(755)>,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에서 발견된 백지묵서의 <華嚴經>, 나원리 오층석탑과 화엄사 서오층석탑에서 발견된 <陀羅尼> 殘片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협인다라니경> 사경은 신라에서부터 이어진 관습적인 사경필법의 전통을 이어가는 백지묵서경으로서, 이후 金字․銀字의 화려한 고려 사경문화 저면에 내재된 사경 서사의 응축된 힘을 알게 한다. When the Three stories stupa(Bulguksa) was dismantled and restored in 1966, Bohyeopin-Dharani Sutra transcription piece is discovered with other precious artefacts of Sarira Reliquary and the Great Dharani Sutra of Immaculate and Pure Light. The Three stories stupa(Bulguksa) was founded after burying the Sutra (Then the Great Dharani Sutra of Immaculate and Pure Light) according to the Pagoda building customs. During the restoration in 1038, Bohyeopin-Dharani Sutra was also buried with the Great Dharani Sutra. The Calligraphy Style of Bohyeopin-Dharani Sutra has various features according to the writing speed; Gipil(Beginning of the Writing) and Supil(End of the Writing) are simplified and the number of strokes are minimized. Those features reflected particular lettering culture of the Sutra during the time. In the mean time, however, this certain types are different from the popular writing methods and also from the standardized Tang(唐) writings. It seemed that Bohyeopin-Dharani Sutra was rather sustaining traditional calliographic letterings than communicating with other trendy lettering techniques. Traditional letterings were found from Avatamsaka-Sutra in Ink on White Paper of the Silla(755) which was produced during the Unified Silla, and the Avatamska-Sutra discovered from the Wooden-Amitabha at Gaeunsa(Temple), and finally Dharani identified from the Five stories stupa of Nawonri and the West-Five stories stupa of Hwaumsa(Temple). Therefore, Bohyeopin-Dharani Sutra is one of the Sutras written by ink on a white paper which was traditionally used since Silla. Afterwards golden and silver-letters in Sutra writings which were produced during Goryeo Period were formed and this finally led the conclusion that Bohyeopin Dharani Sutra plays such an important role to understand the core of Sutra writing at those time.

      • 불국사 석가탑 발견 <寶篋印陀羅尼經> 寫經의 書風

        리송재 한국서지학회1 2010 서지학보 Vol.0 No.36

        <寶篋印陀羅尼經> 寫經片은 1966년 불국사 석가탑을 해체·수리하면서 사리장엄구, 『無垢淨光大陀羅尼經(무구정경)』 등 많은 중요한 유물과 함께 발견되었다. 불국사 석가탑은 『무구정경』의 조탑신앙에 따라 경전을 납입하고 조성되었지만, 이후 1038년 중수시 당시 유행한 조탑신앙에 따라 『보협인다라니경』을 필사하여 이전의 납탑경전인 『무구정경』과 함께 납입하였다. <보협인다라니경> 사경의 서풍을 살펴보면, 필사의 속도감에 의해 起筆과 收筆이 단순화되고, 필획의 연결성 및 간략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은 전통의 사경서풍과 일맥상통하여, 동시기 유행서풍과 정형화 된 唐 사경서풍과는 많은 차이점이 있다. <보협인다라니경> 사경은 동시기 유행서풍과의 교섭보다는 전통의 학습에 의해 전해 내려오는 관습적인 필법을 따르고 있다. 또한 전통의 관습적인 사경필법은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新羅白紙墨書大方廣佛華嚴經(755)>,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에서 발견된 백지묵서의 <華嚴經>, 나원리 오층석탑과 화엄사 서오층석탑에서 발견된 <陀羅尼> 殘片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협인다라니경> 사경은 신라에서부터 이어진 관습적인 사경필법의 전통을 이어가는 백지묵서경으로서, 이후 金字·銀字의 화려한 고려 사경문화 저면에 내재된 사경 서사의 응축된 힘을 알게 한다.

      • KCI등재

        동아시아 불교 서사문화와 통일신라 사경

        리송재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4 石堂論叢 Vol.0 No.58

        Chinese Buddhist manuscript culture seems to maintain distinct stylistic features, which does not parallel to mainstream calligraphic movement. Calligraphic style of Buddhist manuscript in China was dominated by clerical script(隸書) from the end of East Han Dynasty to Southern and Northern dynasty period. However, the usage of regular script(楷書) becomes widespread in Sui and Tang dynasty. In other word, Buddhist manuscript culture was developed in its idiosyncratic atmosphere in which the ways for connecting strokes as well as stretching strokes was developed through repetitive practices. Unified Silla dynasty appears to accept Sui and Tang dynasty’s calligraphic style, but it is hard to say that Unified Silla dynasty Buddhist manuscript calligraphy also follows to the mainstream movement. Some Unified Silla dynasty’s Buddhist manuscripts and documents accommodated dual traditions: Sui and Tang dynasty manuscript elements and previous dynasty’s ones. In the early stage of Buddhism evangelization in China, it was required to produce many manuscripts to spread Buddhist doctrines. To deal with such demands, Buddhist scribes had to maintain a certain degree of maturity, by which they could write down text as fast as possible. In order to optimize brush strokes for every character, Buddhist scribes made initial strokes finer lines and tried not to extend the last strokes to the embellishment level, by which a Buddhist scribe had to pay the extra attention to render round shape of last strokes. Therefore, when we compare Buddhist manuscript’s calligraphic style with ordinary literati’s calligraphic style in those days, the former displays distinct features. A link among strokes becomes more definite, and the number of strokes in characters tends to be simplified and minimized. As a result, the overall appearance of Buddhist manuscript characters tended to embrace semi-cursive and cursive style of writing and then was developed to the stage, in which Buddhist scribes rendered variant characters. These characters are only shown in Buddhist manuscripts. We have noticed the various means were devised in Buddhist manuscript culture. However, the fundamental elements, characters to complete the contents of various texts, do not follow the development of such means but succeed the initial period’s calligraphic style. 중국의 불교경전 서사문화는 동시기 유행서풍과는 다른 개별의 서체 특징을 가지고 하나의 유형을 이루고 있다. 사경의 서체는 초기 東漢 말기부터 남북조시기까지 예서의 필의가 강한 ‘예해(隸楷)’, 그리고 이후 수·당시기에는 해서법이 정형화된 ‘정해(正楷)’로 크게 나누어진다. 즉 불경 서사문화는 동시기 유행서풍(시대서풍)과는 조금 다른 모습으로 변화·발전하게 되는데, 필획·결구 등이 전통적인 학습에 의해 전승되었기 때문이며, 이는 당시 유행서풍의 수용보다는 관습적인 성격이 더 강했던 것으로 보인다. 통일신라의 문자문화 역시 통일기 이후 수·당 서풍이 지배적이지만, 불교 서사문화는 동시기 유행서풍의 영향을 살펴보기 어렵다. 더구나 현전하는 통일신라 사경 및 불교 문자자료를 살펴보면 정형화된 수·당 사경의 조형성을 가지고 있는 것도 있지만, 그 이전 남북조 사경의 조형을 보이는 것도 있어 필획․결구의 특징 등에서 관습적인 성격을 짐작케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초기 사경 서사는 경전의 보급·전파를 목적으로 하여 많은 양의 글자를 써야 했기 때문에 일정한 속도감이 필요하다. 筆寫시 속도감의 필요에 의해 用筆에서 起筆部는 尖筆의 형태로 생략되고, 收筆部 또한 回鋒이 생략된 채 붓을 멈추어 간단히 마무리를 한다. 획과 획의 연결성이 두드러지고, 획이 간략화되면서 행·초서의 자형을 수용하고 나아가 이체자의 형태까지 나아가게 된다. 이처럼 불교경전 서사문화에서 외적인 형태는 다양하게 변화·발전하게 되지만, 근본이 되는 경문의 서사는 초기 사경의 필법과 결구, 장법 등의 관습이 지속적으로 계승되어 내려온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하동 쌍계사 목판의 판각과 간행

        리송재 한국서지학회 2022 서지학연구 Vol.91 No.-

        Ssanggyesa Temple in Hadong, Gyeongsangnam-do, has a large collection of 1,794 woodblocks of 32 kinds, which is an important resource for examining the printing culture of woodblocks of templ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study specifically examined the large-scale carving work of woodblocks promoted by Ssanggyesa Temple in the 17th-18th century and the woodblocks for each period, and analyzed the publishing main host and background that participated in the carving. The carving work of Ssanggyesa Temple is largely divided into Neunginam Hermitage in the early 17th century, just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Ssanggyesa Temple in the late 17th century, It seems that the Buhyu clans, such as Buhyu Seonsu and Byeokam Gakseong,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carving work of Neunginam Hermitage. Also, it is believed that the woodblocks of Neunginam Hermitage was transferred to Ssanggyesa Temple through the records of ‘智異山能仁庵刊移鎭于雙溪寺’, which can be seen that Neunginam Hermitage was in charge of carving under the influence of Ssanggyesa Temple. In the early 17th century, the Buhyu clans did not show any distinct activities from the Cheongheo clans, but prior to the massive reconstruction of Hwaeomsa Temple and Ssanggyesa Temple, they published Buddhist scriptures for monks education at Neunginam Temple and Ssanggyesa Temple, which seems to have provided a starting point for training monks. Later in the late 17th century, Baekam Seongchong and Gyepa Seongneung carried out large-scale carving work such as Hwaeomhyeondamhoehyeongi and Daeseunggisinronsopilsagihoepyeon, and in the early 18th century, Seoksil Myeongan continued to publish Buddhist scriptures. Therefore,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Ssanggyesa Temple is believed to have served as a base in Jirisan Mountain such as Hwaeomsa Temple in the Buhyu clans, leading to “Buhyu Seonsu-Byeokam Gakseong-Baekam Seongchong-Seoksil Myeongan.” 경남 하동 쌍계사에는 전체 32종 1,794판에 이르는 많은 수량의 목판을 소장하고 있으며, 이는 조선후기 사찰 목판 인쇄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17-18세기 쌍계사에서 추진한 대대적인 판각 불사와 각 시기별 판각 목판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판각에 참여한 간행 주체와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쌍계사의 판각 불사는 크게 임란 직후인 17세기 초반 능인암 판각본과 17세기 후반 쌍계사 판각본으로 구분된다. 능인암 판각불사는 부휴 선수와 벽암 각성 등 부휴계 문파가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 능인암 판각본은 모든 간기에 ‘智異山能仁庵刊移鎭于雙溪寺’의 기록을 통해 쌍계사에 옮겨 보관한 것으로 파악되는데, 이는 쌍계사의 영향력 아래 능인암에서 판각을 담당한 것으로 볼 수 있다. 17세기 초 부휴계는 청허계와 뚜렷하게 구별되는 활동을 보이지 않지만, 화엄사와 쌍계사의 대대적인 중건에 앞서 능인암과 쌍계사에서 승려 강학용 불서를 판각해 승려 교육 양성 등의 출발점을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에도 17세기 후반 백암 성총과 계파 성능은 화엄현담회현기 , 대승기신론소필삭기회편 등 대규모 판각 불사를 진행하였고, 18세기 초에는 석실 명안이 판각 불사를 이어갔다. 따라서 임란 이후 쌍계사는 ‘부휴 선수-벽암 각성-백암 성총-석실 명안’으로 이어지면서 부휴 문파에서 화엄사와 같은 지리산 내 거점 역할을 한 것으로 파악된다.

      • KCI등재
      • KCI등재

        동아시아 불교 서사문화와 통일신라 사경

        리송재 ( Song Jae Lee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4 石堂論叢 Vol.0 No.58

        중국의 불교경전 서사문화는 동시기 유행서풍과는 다른 개별의 서체 특징을 가지고 하나의 유형을 이루고 있다. 사경의 서체는 초기 東漢말기부터 남북조시기까지 예서의 필의가 강한 ``예해(隸楷)``, 그리고 이후 수·당시기에는 해서법이 정형화된 ``정해(正楷)``로 크게 나누어진다. 즉 불경 서사문화는 동시기 유행서풍(시대서풍)과는 조금 다른 모습으로 변화·발전하게 되는데, 필획·결구 등이 전통적인 학습에 의해 전승되었기 때문이며, 이는 당시 유행서풍의 수용보다는 관습적인 성격이 더 강했던 것으로 보인다. 통일신라의 문자문화 역시 통일기 이후 수·당 서풍이 지배적이지만, 불교 서사문화는 동시기 유행서풍의 영향을 살펴보기 어렵다. 더구나 현전하는 통일신라 사경 및 불교 문자자료를 살펴보면 정형화된수·당 사경의 조형성을 가지고 있는 것도 있지만, 그 이전 남북조 사경의 조형을 보이는 것도 있어 필획·결구의 특징 등에서 관습적인 성격을 짐작케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초기 사경 서사는 경전의 보급전파를 목적으로 하여 많은 양의 글자를 써야 했기 때문에 일정한 속도감이 필요하다. 筆寫시 속도감의 필요에 의해 用筆에서 起筆部는 尖筆의 형태로 생략되고, 收筆部또한 回鋒이 생략된 채 붓을 멈추어 간단히 마무리를 한다. 획과 획의 연결성이 두드러지고, 획이 간략화되면서 행·초서의 자형을 수용하고 나아가 이체자의 형태까지 나아가게 된다. 이처럼 불교경전 서사문화에서 외적인 형태는 다양하게 변화·발전하게 되지만, 근본이 되는 경문의 서사는 초기 사경의 필법과 결구, 장법 등의 관습이 지속적으로 계승되어 내려온 것으로 생각된다. Chinese Buddhist manuscript culture seems to maintain distinct stylistic features, which does not parallel to mainstream calligraphic movement. Calligraphic style of Buddhist manuscript in China was dominated by clerical script(례書) from the end of East Han Dynasty to Southern and Northern dynasty period. However, the usage of regular script(楷書) becomes widespread in Sui and Tang dynasty. In other word, Buddhist manuscript culture was developed in its idiosyncratic atmosphere in which the ways for connecting strokes as well as stretching strokes was developed through repetitive practices. Unified Silla dynasty appears to accept Sui and Tang dynasty`s calligraphic style, but it is hard to say that Unified Silla dynasty Buddhist manuscript calligraphy also follows to the mainstream movement. Some Unified Silla dynasty갽s Buddhist manuscripts and documents accommodated dual traditions: Sui and Tang dynasty manuscript elements and previous dynasty`s ones. In the early stage of Buddhism evangelization in China, it was required to produce many manuscripts to spread Buddhist doctrines. To deal with such demands, Buddhist scribes had to maintain a certain degree of maturity, by which they could write down text as fast as possible. In order to optimize brush strokes for every character, Buddhist scribes made initial strokes finer lines and tried not to extend the last strokes to the embellishment level, by which a Buddhist scribe had to pay the extra attention to render round shape of last strokes. Therefore, when we compare Buddhist manuscript`s calligraphic style with ordinary literati`s calligraphic style in those days, the former displays distinct features. A link among strokes becomes more definite, and the number of strokes in characters tends to be simplified and minimized. As a result, the overall appearance of Buddhist manuscript characters tended to embrace semi-cursive and cursive style of writing and then was developed to the stage, in which Buddhist scribes rendered variant characters. These characters are only shown in Buddhist manuscripts. We have noticed the various means were devised in Buddhist manuscript culture. However, the fundamental elements, characters to complete the contents of various texts, do not follow the development of such means but succeed the initial period`s calligraphic sty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