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미래지향형 고령친화 주거디자인을 위한 예비노인층의 라이프스타일 특성

        류혜지 ( Ryu Hye-ji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한국디자인포럼 Vol.33 No.-

        본 연구는 거주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주거디자인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미래 노인의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조사하고 특성을 파악하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방법은 문헌 조사와 웹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연구범위는 예비노인층인 50대와 60대 4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프스타일은 신체적 상황, 사회적 상황, 경제적 상황의 높고 낮음에 따라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둘째, 6가지 유형 중에서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 상황이 가장 낮은 유형 1이 가장 많았고, 두 번째는 세가지 상황이 가장 높은 유형 5가 많았다. 셋째, 유형 1은 여자, 전문대졸 이하의 학력, 컴퓨터는 잘 사용하지 못하며 월수입 200만원 미만, 30평 미만의 다가구나 다세대 주택에 사는 사람들에게 많이 나타났다. 넷째, 유형 5는 남자, 대졸 이상의 학력, 컴퓨터를 보통 이상으로 사용하고, 200만원 이상의 월평균 수입을 가진 30평 이상의 자기 소유의 아파트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많이 나타났다. 다섯째, 성별, 학력, 컴퓨터 활용 정도, 월수입, 주택 형태, 규모, 소유 형태 모두 라이프스타일에 차이를 주는 변인이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예비노인층인 50대와 60대의 라이프스타일을 조사한 결과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였고, 이를 고려하여 노인 주거디자인도 차별적으로 개발해야 할 필요성을 파악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look for the characteristics of lifestyle of the pre-elderly to suggest elderly-friendly housing designs for enhancement of the homeowner`s quality of life. The literature review and web survey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by taking 400 people with the age of fifty and six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first, their lifestyle was divided into six types according to physical, economic and social state of the surveyed people. The second, type 1 of the lowest physical, economic and social states had the highest rate, and type 5 of the highest those states had the second highest rate in six types. The third, type 1 was distributed throughout women, people with educational level of less than college graduates, computer-illiterate, people with a monthly income of less than 2 million won, and people living in multi-family housing of less than 30 pyung. The forth, type 5 was mainly found in group of men, people with more than bachelor`s degrees, computer-literate, people with a monthly income of more than 2 million won, and people living in one`s own apartment of more than 30 pyung. The fifth, there were differences in lifestyle according to gender, education, computer skills, income, house type, size, and ownership. Finally, as a result of survey on the lifestyles of pre-elderly with the age of fifty and sixty, the elderly-friendly housing designs should be adequately developed by considering the various types of their lifestyles.

      • KCI등재

        논문 : SF 영화에 나타난 유비쿼터스 서비스 사례 연구

        류혜지 ( Hye Ji Ryu ),정태섭 ( Tae Sub Chung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0 디자인융복합연구 Vol.9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가 대상인 SF 영화 속에서 나타난 다양한 유비쿼터스 서비스의 종류를 파악하고 분석해 봄으로써, 미래 사회에서 우선적으로 적용 되어야 할 유비쿼터스 서비스들의 종류를 제안하는 것이었다. 연구 방법은 문헌조사와 SF 영화를 대상으로 한 사례조사로 진행되었다. 유비쿼터스 서비스는 안전성, 편리성, 건강성, 쾌적성, 정보성, 경제성, 사회성, 오락성으로 분류하였고, SF 영화는 A.I., I Robot, The Island, The Moon, Minority Report, Bicentennial Man 6편을 선정하였다. 분석 공간은 주거환경, 상업환경, 공공환경 3가지로 구분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환경 속의 서비스는 편리성, 안전성, 오락성, 건강성과 쾌적성, 정보성, 경제성과 사회성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상업환경 속에서는 안전성과 편리성, 정보성, 건강성 순서로 4가지 종류만 나타났다. 셋째, 공공환경 속에서는 편리성, 안전성, 정보성, 쾌적성과 사회성과 오락성 순서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영화 내용에 따라서 표현되는 공간의 종류와 서비스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유비쿼터스 서비스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영화 속의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미래의 유비쿼터스 사회에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제안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ubiquitous service for future society by investigating SF films. The study methods were literature survey and case study. The ubiquitous services were divided into security, convenience, wellness, comfortableness, information, economic, social and entertainment. The target films were A.I., I Robot, The Island, The Moon, Minority Report, and Bicentennial Man. The results of cas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residential environments, convenience, security, entertainment, wellness & comfortableness, information, economics & sociality service were found as in order. Second, in commercial environment, convenience & security, information and wellness were found as in order. Third, in public environments, convenience, security, information, comfortableness & sociality, entertainments were found as in order. Finally, according to movie content and services, there were different kinds of ubiquitous service. To analyze the ubiquitous service in the SF film can provide efficiently the ubiquitous service in the future ubiquitous society.

      • KCI등재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요소에 관한 50대와 60대의 선호 특성에 관한 연구

        류혜지(Hye Ji Ryu)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3

        초고령 사회를 앞두고 있는 우리나라는 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유비쿼터스 주택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유비쿼터스 주택에는 다양한 디지털 계획 요소가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노인과 예비 노인들의 선호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유비쿼터스 주택의 계획 요소에 대하여 50대와 60대의 집단 간 선호 차이를 분석하는 것은 미래 주택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기본적이고 필요한 연구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 아래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50대와 60대를 대상으로 유비쿼터스 주택의 계획 요소에 대한 선호 특성과 두 집단 간의 선호 차이에 대하여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문헌 조사를 거쳐 웹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0대와 60대는 모두 유비쿼터스 주택의 계획 요소에 대해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60대는 안전성의 욕구, 생리적 욕구, 자아존중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사회적 욕구의 순서로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요소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50대는 60대와 다르게 사회적 욕구가 자아실현의 요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32가지의 항목을 전체적으로 보면 50대와 60대 모두 가스누출감지, 화재감지, 침입·도난방지 순서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60대는 주택규모, 50대는 컴퓨터 사용 수준에서 가장 큰 선호도 차이가 나타났다. 반대로 선호도 차이가 가장 없는 것은 조사대상자의 특성 중에서 60대는 성별이었고, 50대는 주택 형태였다. 본 연구 결과, 연령에 따라 선호 특성이 다르다는 것이 파악되었으며,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에서 디자인 요소를 선정해야 할 것이다. We live in an aging society, the ubiquitous housing has been develop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elderly`s life. There were differences about the preference of the digital technology in the ubiquitous housing according to resid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eference and to grasp the difference of the fifty and sixty about the digital technology in the ubiquitous ho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ifty and sixty have high preference of the planning elements in the ubiquitous housing. The preference of the sixty about the planning elements in the ubiquitous housing showed safety need, physiological need, esteem need, self-actualization need, belonging need in order within the Maslow`s need hierarchy. The preference of the fifty showed safety need, physiological need, esteem need, belonging need, self-actualization need in order. Second, Gas leak perception, fire perception, invasion-robbery prevention service were in order about the 32 planning elements of ubiquitous housing for the fifty and sixty. Third, they were the highest difference of the preference in the house size for the sixty and computer using level for the fifty.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of the preference in the gender for the sixty and house type for the fifty. Finally, it is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about the preference according to age. And it must consider about personal characteristic and preference for the ubiquitous housing.

      • KCI등재

        유비쿼터스 주택 디자인에 대한 연구 트렌드 분석

        류혜지 ( Ryu Hye-ji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8 한국디자인포럼 Vol.19 No.-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진행 되어온 유비쿼터스 주택 디자인에 관련된 논문의 경향과 특성에 대해서 살펴봄으로써, 우리 삶의 질을 높여줄 유비쿼터스 주택 디자인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려는 것이었다. 2000년 이후 발표된 유비쿼터스 주택 디자인에 관련된 학회지 논문을 대상으로 내용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연구 대상은 일반인이 대부분이었지만, 앞으로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둘째, 주거공간에서 시작된 유비쿼터스 기술과 서비스가 건축 일반, 정보가전, 실버타운, 업무공간, 의료시설, 도서관 등에도 점차적으로 확산될 것이라고 파악되었다. 셋째,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가 가장 많이 진행되었고, 국내외 사례조사와 사용자들의 요구를 파악하는 설문조사가 그 뒤를 이었다. 넷째, 연구내용에는 서비스(시스템) 제안이 가장 많았고, 사용자 요구 파악, 공간 구성 제안, 기술 제안 순서로 파악되었다. 다섯째, 유비쿼터스 주택 서비스는 크게 안전성, 편리성, 쾌적성, 오락성, 건강성, 사회성, 정보성, 경제성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각각에 맞는 세부서비스의 종류도 다양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연구 경향은 국내외 사례들을 이용해 필요한 기술과 서비스에 대한 자료들을 정리하고 있는 단계였다. 앞으로 사용자의 상황에 따른 유비쿼터스 주택 서비스와 기술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황별, 단계별 내용 등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research trends on the ubiquitous home design, found out research streaming and to suggest data bases for good ubiquitous home design. For this study, contents analysis was conducted. Articles of four academic journals published from 2000 to 2007 were units of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The first, main research targets were normal people, but researches for elderly and the disabled will be needed. The second, research target spaces were not only home but also silver-town, office, hospital, digital furniture, etc. The third, research methods were contents analysis, case study and survey. The forth, research contents were to propose service(system), to grasp the user`s need and to propose space composition. The fifth, the ubiquitous home services were security, convenience, comfortableness, entertainment, health, information, sociality and economic feasibility. Finally, the research trend of ubiquitous home was the early stage until now on. To suggest good design for ubiquitous home, it will be needed more researches of ubiquitous home services and system to suit for wide range of users with different demand and environmental condi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