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國 天主校 司祭 典禮服에 關한 硏究

        류지효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硏究의 目的은 한국 천주교의 傳來를 통한 사회적·문화적 측면의 영향을 종합하고, 전통 문화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주체성 있는 천주교 典禮服을 土着化 시키려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천주교의 傳來와 배경을 바탕으로 典禮服의 변천 과정과 상징적인 의미를 고찰하고, 토착화에 대한 성직자들의 의견을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韓國 天主敎 傳來는 서양의 학술 및 교리사상을 민족 스스로가 외국으로부터 도입하여 교회를 창설한 자율적인 역사 전래였다. 正祖 28년(1784) 이승훈 布敎로 천주교가 전국에 전파되기 시작하였고, 박해로 인한 어려운 교회생활을 하게 되었다. 1795년 우리나라에 최초로 입국한 중국인 주문모 神父는 입국 당시 조선옷으로 갈아입고 神父의 모습을 하였으며, 1830년 이후 국내에 들어오는 외국 성직자들은 죽음을 피하기 위하여 喪制 복장인 삼베 두루마기에 짚신을 신고, 대나무로 엮은 方笠에 얼굴은 布扇으로 가리어 신분을 감추었다. 이처럼 개화기 이전의 천주교는 신해박해(1791), 신유박해(1801), 기해박해(1839), 병오박해(1846), 병인박해(1886) 등의 근 100년 동안 10여회에 걸쳐 크고 작은 박해를 겪으며 전통적인 天主敎 典禮服을 착용할 수 없었으나, 1886년 한불수호통상조약 이후 신앙의 자유가 허용됨에 따라 천주교 전통 典禮服이 착용되기 시작하였다. 근래 韓國 天主敎 司祭 典禮服의 종류는 로마를 비롯한 세계가 공통적으로 착용하고 있다. 그러나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결의에 따라 개정된 지침은 聖禮服의 착용 및 형태, 재료, 장식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유동성과 자율성을 부분적으로 인정하였고, 이로 인하여 한국 천주교 典禮服도 우리의 전통 생활문화와 현대감각에 적합한 양식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특히 오늘날 典禮服의 종류 및 착용법에 있어 간소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한국적인 典禮服의 토착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그중 장례미사에 착용하는 祭衣色에 관한 문제가 쟁점화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백색 제의는 부활시기와 성탄시기 등 축일에 착용하는 색상이나, 한국 전통 喪服의 색을 고려해 볼 때 장례미사시 흰색 제의의 착용이 가능한 점과 삼베색을 제의색으로 추가한 것도 그 예의 하나이다. 1984년 한국 천주교 전래 200주년 기념행사 당시 교황 바오로 2세의 방한을 기념하여 기증한 袞龍袍 형상의 雲紋緞 祭衣가 제작되었다. 또한 상징적 측면에서 한국 전통적 문양에서 착안한 형상들이 증가되어 한국적 典禮服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이 韓國 天主敎 典禮服의 土着化는 현재 우리나라의 시대적·문화적 배경과 밀접한 관계에 있고, 우리의 정서에 적합한 典禮服이 제작되어 가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광주지역 본당 사제들은 한복인 袍의 응용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으며, 형식적인 변화가 아닌 典禮 정신과 상징성을 그대로 간직한다는 전제하에 이루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더 나아가 우리나라의 정서와 사상을 대변할 수 있는 天主敎 典禮服의 실험과 응용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re perfectly Koreanize Catholic ceremonial costumes through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introduction of Catholicism to Korea in the social and cultural fields, and relationship with the traditional culture. This study emphasizes investigating the meaning of symbol and the course of change in ceremony costumes(based on the introduction of Catholicism in Korea and social, cultual background) and considering the opinion of Priests on the subject. Korea Catholicism originated from self-introduction that Koreans adapted themselves to the Western dogma and learning and established their own. In the 28th year of the reign of King Chungcho(AD 1784), Korean Catholicism had been widespread due to Lee Seong-Hoon's martyrdom even though Catholics suffered persecution, In 1795, Father Joo Moon-mo, the first Priest to Korea, disguised himself as a Korean station porter. Since 1830, foreign Priests had to be disguised as mourners in hemp cloth and Jip-shin, or Bang-rip(a kind of hat against sunshine or rain), and Po-seon(a kind of fan for covering one's face during mourning period) because of persecution. Before ]Korean Modernization genuine Catholic costumes couldn't be worn because of religious persecutions ; Shin-hae persecution(1791), Shinyu persecution(1839), Kihae persecution(1829), Byoungoh persecution(1846) and Byounggin persecution(1886) during 10 decades. However, after Korean Modernization, Catholic ceremony costumes have been allowed as it brought changes in clothing styles. Therefore, Korean Catholic ceremonial costumes were the same as common Catholic ceremonial ones including Roman ones. As a result of the 2nd Vatican Council, partial flexibility and self-regulation on wearing, shape, material and adornment were given. Therefore Catholic ceremonial costumes have been Koreanized. Catholic ceremonial costumes have Amice·Alb·Rochet·Surplis·Cingulum in the way of wearing, Chasuble·Dalmatica·Cope of outward appearance and so on. They can be adorned with Stole and Maniple. Today Catholic ceremonial costumes have a tendency to be simplified and Koreanized. For instance, Woun-Mun-Dan(Imperial robe chasuble) was donated to Pope Paul II in memory of his visit to Korea in 1984. And the traditional Korean patterns and materials are used in making Korean Catholic ceremony costumes. The recent survey shows 65-70% of Priests in Kwang-ju were in favor of Korean Style.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the traditional Korean pattern and dyeing technique should be applied on the grounding of their own Catholic meaning. So, the Korean style of Priest dress come in time. Catholic ceremony costumes should be settled suitable for Korean cultural feeling, with fundamental understanding and proper estimate. Furthermore, costume researchers should have interest in ceremonial costumes and make efforts to suggest new ideas.

      •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상담에 대한 인식과 활동간의 관계

        류지효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진로상담에 대한 인식과 활동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분석 검토하여 교사들의 진로상담 활성화 및 바람직한 진로상담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설정된 연구가설을 설문지 통계를 검증하여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진로상담에 대한 인식 정도는 배경 변인(성별, 교직경력, 상담공부경험유무, 자녀의 나이 )에 따라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진로상담에 대한 인식 정도와 배경 변인(성별, 교직경력, 상담공부경험유무, 자녀의 나이)에 따라 실제 활동정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에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260명을 무선 표집하여 학교별로 집단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진로상담에 대한 인식 정도의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초등학교 교사들의 진로상담에 대한 인식 정도와 배경 변인(성별, 교직경력, 상담공부경험유무, 자녀의 나이)에 따른 실제 활동에는 이원분산분석을 활용하였다. 특히 특정점수(4.0)를 기준으로 구분함으로써 유목변수로 변환하여 분석하였다. 하위영역에 따라 기준점수가 다른 이유는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에 포함된 구성비율이 가능한 유사하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통계처리는 SPSSWIN 프로그램(version14.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성별에 따른 진로상담 인식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각 하위영역별 중 남여 모두 진로상담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인식도가 높은 것은 초등학교에서도 상담을 전담하는 교사가 필요하며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일정 수준의 상담 기법에 관한 연수나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함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직경력에 따른 진로상담의 인식 정도는 교직경력 15년 이상의 교사가 아동의 적성과 능력을 포함한 자아 특성의 발전과 소질을 계발하기 위해 초등학교에서의 진로상담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대학원이나 교원연수에서 상담교육을 받은 교사가 진로상담의 중요성과 상담 내용, 상담의 방법, 개선방안의 모든 영역에서 상담교육을 받지 않은 교사보다 진로상담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상담의 저해요인의 경우 진로상담 교육을 받은 교사 보다 받지 않은 교사가 진로상담의 저해요인에 대한 진로상담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담교육을 받지 않은 교사가 상담에 더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각 하위영역별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것은 효과적인 상담을 위해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일정수준의 상담기법에 관한 연수나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함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담교육을 받은 교사는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여러 가지 정보 분야를 일깨워 줄 수 있도록 견학이나 작업 장면을 통하여 자극을 주어야 하며 학교 경험과 실생활을 관련시켜 배울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선행연구(최봉애, 2004)에서는 상담교육을 받은 교사와 상담교육을 받지 않은 교사 간 각 하위영역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은 것은 본 연구결과와 다른 점이라 할 수 있으며 선행연구(김동숙, 2005)에서는 본 연구결과와 같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교사들이 자신의 자녀의 연령에 따라 초등학교 진로상담에 대하여 인식하는 정도는 자녀가 없는 교사의 진로 인식 정도가 자녀가 있는 다른 교사에 비하여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지 않았다. 이는 자녀가 없는 교사는 가장 최근에 교육을 받아서 상담내용을 비교적 잘 알고 있으며, 상담을 하기 위한 개선방안도 느끼는 것으로 보인다. 선행연구(김동숙, 2005)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자녀 유무에 따른 진로상담 인식이 집단간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자녀가 초등학생인 교사가 진로상담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던 것은 본 연구와 다른 점이라 할 수 있으며 진로 및 직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사회의 흐름을 보여 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진로상담인식과 배경변인에 따른 진로상담 활동정도는 진로상담교육을 받은 교사가 상담교육을 받지 않은 교사보다 활동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로상담 내용과 방법에 대한 인식도가 높은 교사집단의 진로상담 활동정도는 초등학교 아동들이 장차 선택해야 할 직업의 세계를 수업계획과 관련시켜 가르치며, 아동의 심정을 잘 이해하고 직업세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또 아동의 장래 희망에 관심을 갖고 학급아동에게 도전을 주고자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담교육을 받지 않았어도 진로상담 방법의 인식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진로상담 활동정도가 더 크게 나온 것은 아동 개개인의 성격이나 가정생활 및 적성과 소질에 대해 잘 알고 지도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섯째, 진로상담 인식정도와 교사의 성별, 교직경력, 자녀의 유무에 따른 진로상담 활동정도와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초등학교 교사들의 진로상담에 대한 인식은 초등학교 교사들의 진로상담 교육의 유무에 따라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초등학교 교사들의 진로상담인식에 따른 진로상담 활동정도는 진로상담교육을 받은 교사가 상담교육을 받지 않은 교사보다 활동정도가 높은 것은 상담교육의 중요성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 겐트리 로봇의 자동 그리퍼 교환 장치 적용에 관한 연구

        류지효 경상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is to apply the cartesian robot gripper change and to confirm the problem or not, deals with information about the benefits of the gripper change before and after applying. Repeat the exercise measurement accuracy applies after the gripper change and examined the information on more than 100 million times durability tests, adverse conditions in the coolant inlet to avoid actual driving. Gripper change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was granted an artificial situa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yield on the small quantity batch production. Conditions to see the benefits by applying the gripper change as this study should be a reprint small quantity batch production, limited space inside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various products to the intended users, and due to the replacement time reducing the economic costs and space in automated lines advantages, could make the three advantages of the reduction of the cost in time.

      • 韓國 女性의 傳統 化粧文化에 關한 硏究

        류지효 全南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상대사회부터 조선시대(1910)까지의 화장문화 기원과 기능을 살펴보고, 전통 화장사(化粧史)를 고찰하여 화장문화 형성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밝히고, 전반적인 한국 여성의 전통 화장문화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하였다. 또한 화장도구 및 화장용 재료를 조사하여, 자연친화적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화장문화에 응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 제시를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고문헌과 벽화 그리고 풍속화를 분석하여 시대별 화장법, 화장품의 재료와 제조 방법, 화장품을 보관하는 용기 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박물관 현장답사를 통해 유물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통 화장재료와 화장도구와 화장품의 재료 및 사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민가에서 구전되는 경험담과 함께 중국의 약학서와 조선시대의 의서 등을 참고로 하여 유사한 화장법에 따라 분류·제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를 요약·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대별 화장문화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상고시대에는 피부보호를 위한 돈고(豚膏)와 향의 사용 및 문신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형태가 화장품 사용의 시초라 사료된다. 삼국시대의 화장은 곡식을 이용한 분(粉)의 사용이 이루어졌고 각 나라에 따라 얼굴화장이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예컨대 고구려는 연지와 곤지, 입술연지, 눈썹을 그리는 등의 색조화장이 계층의 차이가 없이 행해졌고, 백제는 분대(粉黛)를 하지 않는 엷은 화장이 주류를 이루었다. 특히 신라는 전반적으로 엷은 화장이 후기에 점차 화려해졌으며, 연분 제조기술의 발달이 일본에 전수되어져 일본 화장문화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통일신라시대의 화장에 관한 확실한 기록은 없으나 당시의 화려한 복식문화와 경제·문화적인 상황을 고려할 때 중국(唐)의 영향을 받아 분과 연지, 눈썹먹(眉墨), 입술연지 등의 화려한 화장 경향과 함께 색분(色粉)의 사용이 나타났다. 고려시대의 화장은 분과 향유의 사용이 보편화되었으며, 기녀들의 분대화장과 일반부녀자들 및 상류층 여인들의 비분대화장 외에 일부 사찰출입을 금지시킬 정도로 화려했던 분대화장을 통해 양면적 이원화 현상을 보였다. 조선시대의 화장은 고려시대와 같이 같은 계층 가운데에도 분대(粉黛)화장과 비분대(非粉黛) 화장에 따른 양면적인 이원화 경향을 보이고 있었으며, 화장재료가 다양해졌다. 둘째, 전통 화장문화 형성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정치·경제적 요인, 종교적 요인, 신분·계급적 요인, 심미적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정치·경제적 요인은 중국과의 교류가 빈번했던 고구려의 화려했던 화장경향을 통하여 짐작할 수 있으며, 고려시대말 국력약화와 함께 화장경향도 엷어졌는데, 이는 당시의 어지러운 정치상황이 화장문화에 반영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국가경제가 서민중심의 사회였던 조선시대후기에는 부녀자들의 담박(淡泊)하고 엷었던 화장경향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종교적 요인으로는 신라시대 불교 영향에 따른 향문화와 목욕문화의 발달을 들 수 있으며, 유교의 영향으로 인한 조선시대 여인들의 엷은 화장경향과 화장품의 방문판매를 들 수 있다. 그밖에 민속신앙에 근거한 연지・곤지에 담긴 주술적인 의미와 단오풍습 등이 뒷받침된다. 신분·계급적 요인으로 궁중과 반가, 일반부녀자, 기녀의 화장방법에 대체적으로 구별이 있었으며 분대와 비분대 화장의 양면적 이원화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심미적 요인은 상고시대에 지도자들의 뛰어난 힘과 수려한 외모를 가져야 한다는 미적관념이 나타났고, 여인들의 애향습속을 미의 표현 수단으로 여겼으며, 백색피부를 선호하였다는 미의식이 존재하였다. 고구려 벽화를 보면 귀부인과 시녀들의 유사한 분과 색조화장을 통해 화장법의 제한이 없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고려시대는 지방호족의 이상적인 여인상으로 여겨졌던 둔마리 벽화의 여인을 통해 조선시대는 다양한 미인도를 통하여 이상적인 아름다움을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전통 화장 도구에는 세안 및 목욕에 필요한 도구와 화장재료를 담았던 용기 등이 있다. 화장도구에는 대야와 대형 욕조가 있었고, 화장재료를 담았던 용기로는 분청병과 화장합, 유병, 분접시, 그밖에 분첩, 족집게, 빗, 화장거울 등이 있었다. 다양한 화장도구의 형태와 종류는 아름다움을 추구했던 선조들의 섬세함과 세련미 그리고 실용적인 아름다움을 대변하고 있었다. 즉 한국 전통 화장문화의 발전을 통해 사용되었던 화장용기의 문양과 형태에서도 한국의 전통미를 반영하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전통 화장문화의 변천사에서 나타나고 있는 특성으로 자연친화적인 화장 재료의 효능이나 효과를 검토하여 현대 화장품 재료와 미용산업의 기초적인 자료가 될 천연 화장재료로 사용하기 위해 민가의 구전과 한의서와 약학서의 고문헌을 중심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세안제로 사용되는 곡물과 약재들에는 대부분 사포닌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에 대한 항균성과 세안효과가 있다. 또한 조선시대 미용탕(美容湯)의 종류에는 인삼탕과 마늘탕, 창포탕, 복숭아탕, 난탕, 온천수 등이 있었다. 이러한 미용탕은 세정제였던 곡물의 날 비린내를 없애고, 향기를 주었으며, 피부와 모발에 윤기와 함께, 치료적인 예방 효과까지 주었던 것이다. 전통 한국의 여인들은 얼굴을 하얗고 부드럽게 하기 위해 분세수를 행하였고, 기초화장품인 미안수와 면약, 안면용 화장유를 발랐던 것으로 추측된다. 이는 피부 보습과 색소 침전을 막아 피부를 하얗고 부드럽게 하였던 것으로 지방성분과 비타민 등의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재료였던 것이다. 또한 고분 벽화와 미인도를 보면 검고 단정하게 정발된 머리모양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모발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야채와 과일의 씨앗 및 곡물로 짠 기름을 머리에 발랐다. 이러한 모발 화장유는 지방유와 정유성분이 함유되어 정발 효과와 향기를 주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검은 머리를 유지하기 위해 한련초(鱧腸)라는 식물성 재료가 사용되었는데, 여기에는 니코틴과 웨델로락톤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머리숱을 많게 하고, 검게 하는 작용을 하였다. 이러한 한국 전통 화장재료 및 전통 화장 도구를 고찰하여 그 효능과 가치를 재조명하여 본 결과, 얼굴을 포함한 피부에 적합하면서도 현대인들의 기호에 부응하는 천연재료를 사용한 화장품의 개발이 가속화되는 밑거름이 됨과 동시에 현대 화장문화의 변화에 부응하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search inquires into origin and functions of Cosmetic Culture from the ancient times and the Chosun Dynasty(1910). Based on them, it finds elements to affect Cosmetic Culture and generally systematizes traditional Cosmetic Culture of Korean Women. Additionally it inquires out Cosmetic tools and cosmetic materials and suggests nature-friendly ways applicable for modern Cosmetic technique. It analyzes old documents, wallpapers, and genre paintings and inquires how to make up, cosmetic materials, how to make materials, and cosmetic vessel, etc, by periods. Additionally it surveys remains through field investigation of museum. In order to introduce traditional cosmetic methods, cosmetic tools, materials, and how to use them, it classifies them with reference to ancestors' experiences, Chinese pharmacy books, and medical books of Chosun Dynasty. Inquiry prove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historical cosmetic culture, lard(豚膏) for skin protection, incense, and tattoo were ever used in ancient times. They can be the origin of Cosmetics. Cereal powder had been used in the era of Three Kingdoms, which showed difference in face make-up. For instance, in Goguryeo, colorful make-up to put rouge on forehead and cheeks and to draw eyebrows had been widely made regardless of social position. In Baekje, light make-up had done while Bundae (thick make-up, Powder make-up, Eyebrows make-up)had not. Especially in Shilla, light make-up had gotten heavy and how to make powder, affected to Japan Cosmetic Culture, was initiated Japan into then. It is rarely to find records on cosmetics of Unified Shilla. Considering gay Clothing culture and economic and cultural environment in Unified Shilla, Cosmetic Culture of China(唐) sure affect one of Unified Shilla, featuring splendid trend with rouge, eyebrow pencil(眉墨), lip rouge, powder, and colorful powder(色粉). In Goryeo, powder and incense had been widely used. Cosmetic Culture of Goryeo represented dual feature depending on social position;Bundae Cosmetics by official dancing girls and some prohibited to enter temples and Non-Bundae Cosmetics by the common and the noble. Cosmetic Culture of Chosun Dynasty showed dual feature as same as one of Goryeo but it could be shown in same social position. Additionally cosmetic materials became various. Second, some conditions had been affecting formation of traditional Cosmetic Culture; political & economic condition, religious condition, social condition and aesthetic condition. Political & economic condition represents splendid Cosmetic Culture of Goryeo, featuring frequent business interchange with China. In the end of Goryeo, make-up got lighter as national power got weaker. That means that cosmetic trend reflects political disorder. In the end of Chosun Dynasty, the common centering society, light(淡泊) make-up has widely done. Religious condition represents that Buddhism of Shilla made incense culture and bath culture developed and the Confucianism of Chosun Dynasty made women make up light and sell cosmetics door-to-door. Incantation on rouge based on folk religions and Dano custom are also religious conditions. Social condition represent classification of social position; noble women, common married women, official dancing girls. They represent difference of cosmetic methods and dual feature; Bundae Cosmetics and Non-Bundae Cosmetics. Aesthetic condition represents that leaders should have excellent power and appearance in ancient times, that the woman often enjoy incense, and that the woman prefer white skin. According to wall papers made in Goguryeo, the noble woman and their maids made up similarly. Woman of Dunmari Wallpaper in Goryeo and various Beauty paintings in Chosun Dynasty tell ideal. Third, traditional cosmetic tools are tools for washing and bath and vessels putting cosmetic items. Cosmetic tools are basin and large bath. Vessels putting cosmetic items are Powder bottle, Cosmetic celadon, Oil bottle, Powder plate, etc. There are other tools; Puff, Pincers, Comb, Mirror, etc. Various cosmetic tools represent delicacy, refinement, and practical beauty that ancestors used to seek. Patterns and shapes of cosmetic vessels and tools had ever reflected traditional beauty of Korea. Forth, one of features in historical cosmetic culture is to use nature-friendly cosmetic materials and it is possible to use them now. Based on the ancestors' experiences, Pharmacy books, and medical books, it classifies them as follows. Cereals and drugs for washing includes saponin, featuring protection against bacterium and clean washing. Cosmetic Bath in Chosun Dynasty is classified according to materials; Insam, Garlic, Calamus, Peach, Orchid, and Hot spring. Cosmetic Bath leaves smell of cereals out, makes glossy hair and bright skin and protects hair and skin. The women in the past used to wash their faces with powder and rub watery lotion, Myeonyak(Cream), and Cosmetic oil over their faces. It gives plenty of Vitamins and prevents hyperpigmentation as well as brightens faces. In addition Beauty paintings and wall paintings in ancient tombs shows black hair stylish with oil made from fruit seeds and cereals. This well-refined hair oil features good perfume and natural style maker. Nastertium, vegetal material, helps hair black. Nicotine and Wedelolacktone make hair black and wealthy. Research on effects and value of Korean traditional cosmetic materials and cosmetic tools would be fundamental to develop cosmetics made from natural materials that meet recent preference as well as to improve modern cosmetic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