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나리>의 국적성과 내셔널 시네마

        류재형(Ryu, Jae Hyung)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2021 영상기술연구 Vol.- No.36

        To diagnose the issue of Minari’s nationality caused by the Golden Globes Awards, this study has examined the concept of national cinema in terms of both cinema of the state and that of the nation. The national cinema referring to cinema of the state puts emphasis on the economic aspects of domestic film industries, including film production, distribution, exhibition, and so on. The national cinema indicating cinema of the nation attaches importance to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 such as narrative, style, representativeness of the characters, actors and their acting styles, and so forth. Firstly, in respect of cinema of the state, Minari is a typical American cinema because it has been founded on the American film industry all around, including the production company and staff, the distribution company, the post-production and sound, etc. Secondly, in respect of cinema of the nation, it can be viewed as on the one hand a Korean cinema, and on the other hand an American cinema. The Korean cul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patriarchal ideology and/or patriarchal familism that Jacob represents, the Korean immigrants dam aged by the Korean networks, one of the representative Korean actresses Yuh-Jung Youn and her vocal acting and gestures, make the film able to be regarded as a Korean cinema. Conversely, the scenes of David who does not accept Soonja as a real grandma, Johnie and June who look at Asian children of their age curiously, the difference of attitudes toward the church service between Jacob family and Paul represent the cultural gap between the Korean and American; however, it is filled by David’s embracing Soonja who burned the crops storage. They make the film able to be considered as an American cinema in that they represent U.S., the country of immigrants that accepts and mingles together with those who seem not be a real American. To be short, Minari is obviously an American cinema under the standards of cinema of the state, however it can be viewed as either a Korean or an American cinema under that of cinema of the nation. The Golden Globes Awards has considered the film as cinema of the state to be an American cinema, while it has evaluated the film as cinema of the nation that is a Korean cinema. It can be said that the Golden Globes Awards has brought up the subject that the industrial circles, the field of criticism including film festivals, and even audiences should establish and have an agreement on the new concept of national cinema considering both the industrial foundation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버드맨>의 싱글 쇼트 효과

        류재형(Ryu, Jae Hyung)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6 씨네포럼 Vol.0 No.23

        <버드맨>(Birdman, 2014)은 아카데미(Academy Awards), 골든 글로브(Golden Globe Awards)를 비롯한 전 세계 90여 시상식에서 249개 부문의 수상 후보가 되었음은 물론 이 중 173개의 트로피를 차지함으로써 그 작품성을 공히 인정받은 바 있다. <버드맨>이 이처럼 작품성을 인정받은 데에는 주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영화 전체가 싱글 쇼트 영화(single shot film)인 것처럼 연출된 롱 테이크 기교, 즉 싱글 쇼트 효과(single shot effect)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부인할 수 없다. 이에 이 연구는 <버드맨>에서 재현되는 싱글 쇼트 효과의 미학적 기능을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답을 구하기 위해 롱 테이크 미학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토대로 롱 테이크 기법과 사실주의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으며, 이후 이를 바탕으로 <버드맨>에서 사실주의 미학이 명확하게 드러나는 장면들과 사실주의적 환상을 재현하는 장면들에 대한 세밀한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싱글 쇼트 효과는 내러티브와의 관련성 및 그 표현적 의도에 따라 때로는 사실주의적 롱 테이크 미학을 취하고 때로는 사실주의적 환상을 창조하면서 롱 테이크의 정 반대 지점에 위치하기도 하였다. 롱 테이크를 자처하는 하나의 기교가 사실주의와 판타지의 경계를 허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싱글 쇼트 효과는 하나의 기교이지만 이 연구는 이에 대해 특수효과의 측면에서가 아니라 사실주의의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롱 테이크와 사실주의와의 관련성에 대한 문헌 연구를 이론적 토대로 삼아 사실주의 담론 하에서의 싱글 쇼트 효과의 미학을 살펴봄으로써 사실주의 이론과 롱 테이크 담론의 확장을 꾀하였다는 데에서 이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특수효과로서의 기능적 측면보다 사실주의의 미학적 측면에 집중한 것은 이 연구의 한계인 동시에 효율성이라 하겠다. Birdman (Alejandro González Iñárritu, 2014) has been officially recognized the cinematic quality by receiving 173 trophies out of 249 nominations of 90 film awards, including Academy and Golden Globe Awards. The fact that the film"s stylistic aspect like the single shot effect as well as thematic aspects has performed important role in the above recognition is undeniable. The single shot effect can be defined as the trick of the long take representation that a whole film is represented as a single shot fil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aesthetic functions of the single shot effect in Birdman. For this, this study has reviewed the literatures about the long take aesthetic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ng take and realism, and performed the close textual analysis of a few representative scenes. The scenes are consisted of the scenes of realism, in which the realist aesthetics are clearly shown, and the scenes of fantasy, by which the realistic illusion is represented.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relations with the narrative and the intention of expression, the single shot effect takes sometimes the realist long take aesthetics and creates sometimes the realistic illusion which is located in the very opposite side of the long take. A kind of trick, pretending to be the long take, breaks up the border line between realism and fantasy. This study approaches the single shot effect from the aspects of realism not from the visual effects although it can be said as a trick.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at the fact that the discourse of the long take could be expanded through identifying the aesthetics of the single shot effect under the theory of realism. What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realist aesthetics much more than the functional aspects as a visual effect can be viewed as the efficiency as well as the limit.

      • KCI등재

        특집논문 : <국제시장>, 가부장적 가족주의의 재현

        류재형 ( Jae Hyung Ryu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5 현대영화연구 Vol.11 No.3

        <국제시장>(윤제균, 2014)은 텍스트 자체에 대한 관심뿐만 아니라 그에 못지않게 영화 외적인 이데올로기 논쟁에 휩싸였다. 그 이유는 이 영화의 주연 캐릭터인 덕수가 이끌어내는 감동 내지는 눈물의 원천이 유교(儒敎)의 주요 이데올로기라 할 수 있는 가족주의(家族主義) 하에서의 가장 내지는 가부장(家父長)의 역할과 직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부장적 가족주의는 가장과 국가를 동등한 위치에 놓는 군사부일체(君師父一體)의 이데올로기를 떠올리게끔 하기 때문이다. 즉 부모 및 기성세대를 대표하는 덕수의 희생에 대한 눈물은 곧 한국의 현대사를 경제적 성공의 과정으로 기록하게 만든 군사독재정권에 대한 경의를 의미하는 것으로 비춰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이 연구는 다음의 질문들을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국제시장>이 묘사하는 가장(家長)의 의미는 무엇인가? 가장의 역할과 함께 재현되는 가족주의 familism의 의미는 무엇이고 그 사회, 문화적 혹은 이념적 의미는 무엇인가? 해답을 찾기 위해 이 연구는 먼저 유교의 주요 이념이라 할 수 있는 가족주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가장과 가부장에 대한 개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가부장과 국가와의 관련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영화 <국제시장>에 대한 면밀한 텍스트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영화의 어떤 측면들이 이 영화와 보수 이데올로기와의 개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였는지를 논의하였다. Ode to My Father (JK Youn, 2014) has been overwhelmed by ideological debates in addition to the attention to the film itself because the origin of its emotional charge seemed to be related to directly the roles of Duk-soo as a paterfamilias or a patriarch under familism, one of the significant ideologies of Confucianism. And moreover, this patriarchal familism have made audiences bring to mind the ideology of "The king, teacher, and father are on same status(군사부일체/君師父一體)." To sum up, the reason for the debates could be said that the tears from the sacrifices of Duk-soo, the representative of the older generation, might reflect the respect to the miliary dictatorship, making the Korean contemporary history have been written as the process of economic success.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answering to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is the meaning of the ‘paterfamilias’ that Ode to My Father describes? What is the explicit and implicit meaning of ‘familism’ that is simultaneously represented with the roles of the paterfamilias? To find out the answer, this study has dealt with familism as an important Confucian ideology, examined concretely the concepts of the paterfamilias and patriarch, and extra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riarch and nation. By means of the close textual analysis with this theoretical backgrounds, I have discussed what elements contribute to the relativeness between the film and conservative ideologies.

      • KCI등재

        1994년의 호명, 주체로서의 벌새 만들기

        류재형(Ryu, Jae Hyung)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2020 영상기술연구 Vol.- No.33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ind out what Eun-hee, the protagonist of House of Hummingbird (KIM Bora, 2018), interpellates as a subject, to grasp how Ideological State Apparatuses(ISA) are operated, and to understand the reason why the film set in 1994 is important at the present time. The close textual analysis has been performed with the theoretical frameworks of the educational ISA and the family ISA that the two dominant ISAs suggested by Althusser. As a result the analysis Ideological State Apparatuses represented by Schools and the Family maintained and reinforced the capitalist ideologies and the mode of production in 1994 through the direct and indirect violence on Eun-hee. Repressive patriarchal ideology and the violence of the state power strongly supported that. The significance of the film can be viewed as following three. The first, House of Hummingbird makes us ruminate on the present educational and family ISA, which have been grown strongly, via Eun-hee’s daily life in 1994. The second, the film make us ask to introspect the historical trauma by means of narrativizing the violence on Eun-hee that is the result of the combination of RSA and ISA, in other words penetration of the state power into everyday life. Finally, the film gives us the strict warning that ISA associated with RSA may annihilate individuals’ free will by representing the death of Young-ji that is the consequence of ruling ideology’s incapacitating anti-ideological forces, in other words, the state power’s eliminating resistant individuals.

      • KCI등재
      • KCI등재

        <아바타>, 정보 네트워크 사회의 재현

        류재형 ( Jae Hyung Ryu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10 언론과학연구 Vol.10 No.3

        지난해 개봉된 <아바타/Avatar (James Cameron, 2009)>는 경제적 대성공과 함께 3D 입체 영상의 대성공이라는 점에서 전 세계 문화 담론의 각광을 받고 있으며 당대 리얼리티의 시각적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아바타>의 `시각성`이 영상 산업의 발전 방향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면서 각광을 받는 반면, 그것의 `이야기`는 상대적으로 세계인의 주목을 끌지 못하는 듯하다. 대다수의 영화 전문가들은 3D 기술을 포함한 이모션 퍼포먼스 캡처(emotion performance capture)라는 최첨단 특수 시각효과의 영향력에 초점을 맞추었고, 내용적인 측면에 대한 평론 또한 <늑대와 춤을/Dances with Wolves (Kevin Costner, 1990)>이라는 20년 전 이야기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라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늑대와 춤을>과 내러티브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나아가 <아바타>의 내러티브 및 미학적 측면이 재현하는 사회문화적 의미를 추출하여 이 영화가 단순히 <늑대와 춤을>의 스토리적 아류의 지위를 벗어나 `컴퓨터 테크놀로지를 매개로 한 정보 네트워크 사회의 중요성`을 투영하고 있음을 밝힐 것이다. Avatar (James Cameron, 2009) has been on the light of worldwide cultural discourses with the great box-office profit and the success of 3D imagery. It has become a contemporary visual icon of reality. While Avatar`s visuality has been focused with th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elevision and film industries in terms of 3D imagery, its narrative seems to be relatively ignored. A few film reviewers have emphasized the cutting edge special visual effects called `emotion performance capture` with 3D technology. Few criticism on the narrative have looked over to the degree that Avatar is a reinterpretation of 20-years-old Dances with Wolves (Kevin Costner, 1990). This study, hereupon, will examine the resemblance and difference between Avatar and Dances with Wolv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ir narratives, extract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Avatar that its narrative and aesthetics represent, and find out the fact that Avatar is not a simple follower of Dances with Wolves but projects the significance of information network society with current computer technology.

      • KCI등재

        〈라라랜드〉의 자기반영성과 그 의미

        류재형(Ryu, Jae Hyung)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7 씨네포럼 Vol.0 No.27

        뮤지컬 영화 〈라라랜드, La La Land〉(다미엔 셔젤, 2016)의 자기반영성(reflexivity/self-reflexivity)은 그 성격이 어떠한가? 보수적(conservative)인가 비판적(critical)인가? 혹은 모두를 가지고 있는가? 또한 자기반영성의 그러한 측면이 내포하는 사회, 문화적 의미는 무엇이고 뮤지컬 장르의 역사 속에서 〈라라랜드〉는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이 연구는 이러한 질문에 답하고자 하였다. 자기반영성의 정의와 의미, 보수적 자기반영성과 비판적 자기반영성, 그리고 패러디의 의미에 대해 살펴본 후 이를 토대로 〈라라랜드〉의 자기반영성이 어떠한 성격을 함유하는 지에 대해 세밀한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라라랜드〉의 자기반영성은 보수성과 비판성 모두를 함유하고 있었다. 보수적 자기반영성은 스타의 위상 재현, 영화 촬영 장면의 노출, 향수를 유발하는 유명 극장과 명화의 인용, 고전 할리우드 영화의 내러티브 원칙 재현, 엔터테인먼트의 신화 구현, 고전 뮤지컬에 대한 패러디 등을 통해 과거와 현재의 연속성 및 할리우드의 건재를 묘사하는 장면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반면 비판적 자기반영성은 엔터테인먼트의 신화로부터 이탈하는 장면, 할리우드의 제작 관행을 비판적으로 묘사하는 장면, 비평적 거리를 둔 패러디를 통해 모더니즘 미학을 노출하는 장면들에 의해 재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수성과 비판성 중 어느 것이 더 강하게 표출되었는가를 판가름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일뿐더러 어느 한 성격을 이 영화에 부여하는 작업 또한 설득력을 얻기 힘들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을 통해 발견할 수 있는 한 가지 중요하면서도 분명한 것은 자기반영적 내러티브의 보수적 측면들이 결말에서의 비판적 자기반영성으로 귀결되면서 〈라라랜드〉가 고전 뮤지컬 영화의 장르 속성이라 할 수 있는 보수적 자기반영성으로부터 명시적으로 이탈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라라랜드〉는 전통적인 장르 속성으로부터 이탈한 영화들의 계보를 이으며 뮤지컬 장르의 점진적 진화를 표상한다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라라랜드〉는 장르의 역사와 진화라는 관점에서 진지하게 재고될 필요성이 있으며 이러한 진단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에 적게나마 이 연구에 그 의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self-reflexivity of the film musical La La Land (Damien Chazelle, 2016)? Is it conservative or critical? Or, does it have both? What are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the self-reflexive aspect and how does it make the film located in the history of film musical? This study has attempted to answer these questions. For this, this study has reviewed the literature about the definitions and meanings of self-reflexivity, conservative self-reflexivity, critical self-reflexivity, and parody. From this theoretical backgrounds, it has performed the close textual analysis of a few scenes in the film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self-reflexivity. As a result, the self-reflexivity of La La Land contains both the conservative and critical. The conservative self-reflexivity could be found in the scene of the representation of stardom, the exposure of filmmaking spots, the display of a classical film in an old famous theater inducing nostalgia, the representation of a principle of the classical Hollywood narrative, the realization of the myth of entertainment, and the parody of classical film musicals, while the critical self-reflexivity could be identified in the scene of the stray from the myth of entertainment, the unfavorable description of Hollywood filmmaking practices such as auditions, and the exposure modernist aesthetics through parodies having a critical distance. This study cannot decide which self-reflexivity has been represented stronger in the film. However, one thing for sure and significant is that La La Land explicitly shows breakaway from the conservative self-reflexivity which can be said as the genre traits of the classical film musical. In this aspect, the film seems to continue the tradition of films straying from the traditional genre traits, to signify gradual evolution of the film musical. Consequently La La Land needs to be considered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and evolution of a film genre. This diagnosis and suggestion of the follow-up study can be viewed as a little significance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