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 국어교사의 쓰기에 대한 인식과 쓰기 능력 연구

        류보라(Ryu Bor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국어교사의 쓰기 개념과 필자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고, 필자로서의 자기 인식과 쓰기 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에 있다. 이 연구 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31명의 예비 국어교사를 대상으로 2017년 3월과 6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예비 국어교사들은 쓰기의 개념을 필자의 사고 과정을 문자 언어로 나타내는 것이라고 인식하였고, 쓰기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필자로서의 자신에 대한 인식과 타인이 생각하는 필자로서의 자신에 대한 인식 수준은 보통 수준 이하로 나타났다.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는 높은 수준의 쓰기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자신의 쓰기 능력은 그리 높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작문 지도 전문성 요건으로 지식, 능력 태도에서 중요한 정도를 4.4점, 4.4점, 4.3점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자신의 능력 정도는 3.2점, 3.3점, 3.2점이라고 인식하였다. 논설문 쓰기 수준에 있어서는 국어교사에게 요구되는 수준을 4.4점, 자신의 쓰기 수준은 3.1점이라고 인식했으며 실제 논설문 쓰기 수준은 평가 기준별로 2.75~3.12점으로 나타났다. 필자로서의 자기 인식, 논설문 쓰기 수준에 대한 인식이 낮고, 실제 논설문 쓰기의 수준이 높지 않음에도 이 둘의 상관이 높지 않았다. 예비 국어교사들의 필자로서의 자신에 대한 인식과 쓰기 능력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지 않고 객관적인 쓰기 평가 결과에 기초하고 있지 않아 쓰기 능력과 쓰기 인식에 있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 purpose is to investigate pre-Korean teacher s writing concept and self-perception of writer and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self-perception of writer and writing ability. To search for this study s theme, I conducted a survey of 31 pre-Korean teachers in March and June 2017. The survey results showed pre-Korean teachers perceived that writing concept is to express writer s thinking process as literal language and they thought that about the importance of writing, it is very important and also writing s necessity is very important. They perceived that they are below medium level in self-perception as a writer and also below medium level in others perception as a writer about them. Korean teacher and pre-Korean teachers perceived that high-level writing ability is necessary but their writing ability level is not high. In requirement of teacher professionalism to teach writing, they perceived that the importance of knowledge, ability and attitude is 4.4 point, 4.4 point, 4.3 point and their ability level is 3.2 point, 3.3 point, 3.2 point. In essay writing level, they perceived that the required level to Korean teachers is 4.4 point and their level is 3.1 point and their actual essay writing level is 2.75-3.12 point. Self-perception as a writer and perception of essay writing level are low, actual essay writing level is not high and the co-relation between two is not high. In writing ability and writing perception, an improvement is necessary as pre-Korean teacher s self-perception of writer and perception of writing ability are not based on objective writing evaluation result.

      • IoT환경에서 인간중심 보안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효율적 인적자원관리 방법론 설계 연구

        류보라 ( Bora Ryu ),이효직 ( Hyojik Lee ),나원철 ( Onechul Na ),장항배 ( Hangbae Ch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2 No.1

        보안은 오직 기술을 관리하는 것이 아닌 사람관리, 조직관리, 경영관리이다. 그 중에서도 인적자원은 모든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자원임과 동시에 보안의 측면에서 볼 때 가장 통제해야 하는 존재이다. 이는 산업보안에서 가장 큰 이슈인 산업기술·기밀 유출이 주로 전·현직 임직원 및 협력업체 직원 등 인적자원을 통했기 때문이다. 미래 산업의 중심이 될 IoT환경에서는 산업기술이 핵심자산이므로 이에 더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인적자원에 대한 통제와 관리가 산업보안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에 비해 기존의 보안관리체계의 통제항목은 대부분 IT적인 부분에 치중되어있다. 또한, 체계적인 운 영이 부족하고, 산업스파이, 정보절취 등 다양한 위험요소가 존재한다. 특히, 인적자원은 완벽한 예측이 불가능하므로 위험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고안해 내는 것에 유념하여 IoT환경에서의 인간중심적인 보안관리체계 구축해야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정보보호 관리체계 분석을 통하여, 기존의 인적 보안지침들의 적합성을 따져 우선순위를 적용하여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 방법론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보유자원을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그 조직에 적합한 보안체계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디지털 포렌식 연구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

        류보라 ( Bora Ryu ),전민서 ( Minseo Jeon ),나원철 ( Onechul Na ),장항배 ( Hangbae Ch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1

        디지털 정보의 활용이 보편화된 최근의 사회는 수사와 재판과정에도 많은 변화를 주었다. 사람들의 행위에 따르는 법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방식의 자료들을 이용할 수 밖에 없으며, 특히나 산업보안 수사에서 디지털 자료는 필수 불가결하다. 대부분의 기술유출사건이 이동식 저장매체 또는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자료를 이용하여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렇듯 디지털 증거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증거로서의 능력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절차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기하급수적으로 늘고있는 디지털 증거에 대한 기술력과 분석력에 비해 디지털 포렌식 관련 법과 제도의 확립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디지털 포렌식 관련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연구 활성화를 위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예비 국어교사의 수업 실연 경험과 수업 어려움 연구

        류보라(Ryu Bor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국어교사의 수업 역량을 신장시키기 위한 지도 내용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문제는 예비 국어교사가 수업 설계 과정에서 고려하는 요소는 무엇인가와 예비국어교사가 수업 설계와 수업 실연에서 겪는 어려움은 무 엇인가이다. 이 연구 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2018년 2학기 A대학의 3개 강의에서 이루어진 수업 실연에 참여한 학생들 78명이 쓴 수업 성찰 일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기준은 선행연구와 주제어 추출 과정을 거쳐 설정하였고, 수업 설계에서 고려한 점, 수업 어려움, 성찰의 내용을 분석 기준으로 수업 성찰 일지를 분석하였다. 예비 국어교사들이 수업 설계에서 고려하는 요소는 교수 학습 이론(57.69%), 수업 활동 설계(51.28%), 교육과정(51.28%), 교과서(48.72%), 학습자 이해(47.44%) 관련 요소들이었 다. 예비 국어교사들은 수업을 할 때 겪는 어려움 중 드러난 어려움에는 표현(61.54%), 수업 활동 전개(42.31%), 수업 활동 설계(37.18%), 학습자 이해(29.49%) 등이 있었다. 감춰진 어려움에는 긴장과 불안, 수업 실연에 대한 어색함, 부담감 등이 있었고, 58.97%가 겪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예비 국어교사들이 수업 실연 후 성찰하는 내용은 만족감보다 아쉬움과 부족함이 높게 나타났다. 수업 역량 신장을 위해서 국어과의 특수성을 반영한 수업 설계와 실행의 방법에 대한 연구, 교생실습의 개선, 예비 국어교사의 수업 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지도가 필요하다. This study s purpose is to search what teaching content is to increase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 s instructional competence. The study s question is what the element is that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consider in planning lessons and the difficulties they experience in planning and demonstrating lessons. To search for this study s theme, I analyzed the 78 students lesson reflection logs who participated in lesson demonstration at 3 lectures in A university in 2nd semester 2018. The analysis standard is set up through pre-study and emerged theme and I analyzed the lesson reflection logs under the standard of the considerated points of instruction, the difficulties of teaching and the content of reflection. The elements that the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consider are teaching and learning theory(57.69%), design class activity(51.28%), curriculum(51.28%), textbook(48.72%) and understanding learner(47.44%). Among the difficulties that they experience in teaching lessons, open difficulties are expression(61.54%), running class activity(42.31%), design class activity(37.18%) and understanding learner(29.49%). 58.97% of research participants have hidden difficulties and the hidden difficulties are tension, anxiety, awkwardness and pressure. The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reflected on their regret and insufficiency after demonstrating lessons. It is necessary to research on planning and demonstrating Korean language lessons, improvement of doing student teaching, and teach them to find their strengths to increase their lesson efficacy.

      • KCI등재

        독서 사회의 지역 격차와 지역적 균형 : 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류보라 ( Ryu Bora ),방상호 ( Pang Sangho ) 한국독서학회 2023 독서연구 Vol.- No.67

        이 연구의 목적은 독서 사회의 지역 격차 실태를 알아보는 것으로, 지역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지역 격차의 현황을 확인하고 어떠한 관리가 필요한지를 중심으로 탐구하였다. 분석 자료는 2020년 도서관 현황과 시도별 인구수 현황자료이고, 이를 활용하여 지역의 인구수별 도서관 시설 및 자료 현황과 도서관 이용 현황을 분석하였다. 인구당 도서관 수, 연면적, 좌석 수, 직원 수, 결산 예산액, 도서 구입비, 도서 수 등 도서관과 관련된 환경 지표들을 분석한 결과, 대도시보다 도 단위 지역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방문자 수와 대출 도서 수는 지역 격차가 확인되나, 대도시나 도 단위의 지역과는 관련이 없는 분포가 나타났다. 1인당 대출 수는 1인당 소득과 유의한 상관이 있었고, 이를 지역 격차를 확인하기 위한 간접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독서 환경 지표들은 지역 균형을 위한 독서 정책이 충실하게 실천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독서 환경의 지역적 균형을 위해서 동일 지역단위 내에서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독서 환경 인프라의 구축이 실제적인 독서 실행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심리적 환경 조성, 독서 정책 수립, 도서관의 독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gional disparities in reading societies. To this end, we focused on local public libraries to check the current status of regional disparities and explore what kind of management is needed. The data includes the library and population status by city and county in 2020. Using this, we analyzed the status of library facilities and materials and library use by population in the region. Environmental indicators related to libraries, such as the number of libraries, floor area, number of seats, number of employees, settlement budget, book purchase cost, and number of books per 100,000 persons, were analyzed. The analysis showed that provincial-level areas were better than large cities. However, the number of visitors and the number of books on loan are identified as regional disparities, but distributions were not related to large cities or province-level areas. The number of loans per pers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ncome per person, so there is the possibility of using this as an indirect indicator to identify regional disparities. Reading environment indicators can be interpreted as showing that reading policies for regional balance are being faithfully implemented. For the regional balance of the reading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strike a balance within the same local unit. And in order for constructing such a reading environment infrastructure to lead to actual reading practice, it is necessary to create a psychological environment, establish reading policies, and develop and operate reading programs in libraries.

      • KCI등재

        국어과 예비교사의 교육 실습에서 나타나는 수업 화법 분석

        백혜선(Paik, Hyesun),류보라(Ryu, Bor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7

        이 연구는 국어과 예비교사들이 교육 실습 중 사용하는 수업 화법의 특징과 어려움을 알아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참여자는 3개 중등학교에서 실습한 4명의 교생으로 각 2회씩 총 8차시 수업을 관찰하고 수업 녹음 자료를 전사하여 주자료로 활용하였고, 현장 노트, 예비교사와 지도교사의 면담 자료를 보조 자료로 활용하여 분석이 이루어졌다. 수업 화법의 유형은 발화, 발문, 응답으로 분류하고 이를 수업에서의 기능에 따라 수업 내용 화법, 수업 진행 화법으로 세분화하여 6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빈도를 조사하고 유형별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예비교사가 수업 화법에서 많이 사용한 화법 유형은 수업 내용 발화였고 수업 진행 화법을 어려워하였다. 참여자별로 발문과 응답의 사용량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발문과 응답의 수는 교실 내 의사소통의 활발함과 관련이 있었다. 모둠 수업, 학생 활동 수업 등 다양한 방식의 수업 운영을 위해서도 수업 진행 화법의 적절한 사용이 요구되었고, 수업의 주를 이루는 수업 내용 발화의 효과적인 사용도 성공적인 수업을 위해서 중요한 요소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difficulties of instructional communication facilitated by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during teaching practice. Participants were comprised of four trainee teachers who were placed at three schools for teaching practice. This study analyzed audio recordings from two classes per each trainee teacher for a total of eight classes, in addition to supplementary materials consisting of class obervation records and records of consultation between trainee teachers and supervising teachers. The various types of instructional communication were categorized into voicing, questioning, and responding. By subdividing each category into communication related to lesson content and communication related to class progression, a total of six different types were analyzed. The most frequently used type of instructional communication w as communication related to lesson content, and trainee teachers showed difficulty in using class progression communication.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forms of class managements, such as small group- based classes and student-led class activities, required the appropriate use of class progression communication, while the effective use of lesson content communication, which comprises most of the class, was also a key factor in leading a successful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