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합환경에 배치된 특수교육대상자의 사회과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수업 설계원리 개발

        류규태(Ryu, Gyu-tae),박경옥(Park, Kyoung-ock)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2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환경에 배치된 특수교육대상의 사회과 BL(Blended Learning)을 위한 핵심 구성 요소를 파악하여 교사의 수업 계획과 실행과정에서 활용할 설계원리를 도출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절차는 두 단계로, 문헌 분석단계와 내·외적 타당화 단계이다. 문헌 분석 단계에서는 메타 분석법(PRISMA)으로 선정된 45편의 문헌에서 교사가 핵심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구성요소와 초기 수업 설계원리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내·외적 타당화 중 내적 타당화 단계에서는 BL 전문가 7명에게 의뢰하여 선행문헌 선정의 적합성 등을 3차에 걸쳐 검토받았다. 이때 타당성 검증을 위해 내용 타당도(CVI), 평가자 간 일치도(IRA)를 사용하였다. 외적 타당화 단계는 현장 교사 3명에게 개발된 수업 설계원리가 실제 수업에서 사용하기가 적합한지에 대해 포커스그룹면담(FGI)을 활용하여 최종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선행문헌 분석, 전문가 검토와 사용성 평가과정에서 제안된 내용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반영하여 ‘통합환경에 배치된 특수교육대상자의 사회과 BL 수업 설계원리’를 개발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사회과 블렌디드 러닝 수업의 구성요소는 ‘지원’, ‘전략’, ‘접근성’, ‘전달’, ‘맥락’, ‘성찰’의 6개였고, 수업 설계원리는 ‘학생 특성 원리’와 ‘기술 지원 원리’의 16개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각각의 수업 설계원리에 해당하는 하위 기술은 특수교육대상자에게 적용 시 교육의 보편성과 특수성 측면에서 고려할 항목과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에서 강화된 지원이 필요한 경우를 고려하여 별도 표시를 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과 BL 수업 설계원리의 특징과 차별성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사항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aims to derive design principles that could be used for lesson plan and implementation stage by understanding core components of social studies BL(Blended Learning)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environments. In order to mee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research procedure consisted of two stages; the literature review stage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validation stage. During the literature review stage, core components that teachers must consider and initial class design principles for lesson plan and examination were derived from 45 research papers selected by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PRISMA). Next, among the internal and the external validation, in the internal validation stage, the relevance of the choice of the previous studies was examined in 3 steps by 7 BL experts. To examine validity, content validity index(CVI) and inter-rater agreement(IRA) were used. In the external validation stage, final verific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class designs developed by 3 field teachers was conducted using focus group interview(FGI). As a result,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based on the social studies blended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environments were developed considering suggestions from literature review, expert examination and applicability evaluation stage, based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6 components of social BL classes are ‘support’, ‘strategy’, ‘accessibility’, ‘delivery’, ‘context’ and ‘reflection’ and 16 class design principles can be divided into ‘student-related principles’ and ‘technology-related principles’. The sub-strategies which refer to individual class design principles are suggested with special marks, considering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special education and situations where enhanced support is needed in online and offline classes.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suggestions for discussion and further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distinctiveness of social BL classes are presented.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수업 설계원리(안) 개발

        류규태 ( Ryu Gyu Tae ),박경옥 ( Park Kyung Oc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1 지적장애연구 Vol.23 No.4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수업 설계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라는 제한적 교육 상황에서도 사회가 기대하는 행동을 대안적인 환경에서 교수·학습할 기회를 제공한다. 이러한 필요로,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문헌 분석과 현장 적용 타당성을 검토하여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BL 수업 설계원리(안)를 도출하는 것이다. 문헌 선정은 메타 분석법(PRISMA)을 활용하여 48편을 선정하였고, 선정된 문헌은 유목화, 공통내용 도출 및 구조화, 재정리 과정으로 BL 수업 구성요소와 설계원리를 도출하였다. 이후 특수교육 BL 전문가 20명을 대상으로 수업 설계원리에 대한 내용 타당도, 수렴도, 일치도를 산출하였고, 연구자 간 협의를 거치며 6개의 BL 수업 설계 구성요소, 15개의 BL 수업 설계원리, 31개의 상세지침으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구성요소는 ‘분석’, ‘지원’, ‘접근성’, ‘전달’, ‘참여’,‘성찰’이며 이를 바탕으로 실제 수업 구현 방안인 설계원리와 상세지침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BL 수업 설계원리(안)’의 특징과 실행 전략을 논의하였다. The class design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in the area of blended learning (BL) is designed to provide teaching and learning opportunities regarding socially expected behaviors in alternative environments, even under the limited circumstances of COVID-19. Based on such need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deriving the design principles of BL classe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examining field implementation validity. 48 research papers were selected using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SMA) and the BL class design principles and components were derived by classification, derivation of common content, structuring, and reorganization of the selected literature. The content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and agreement were measured regarding the BL class design principle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by 20 experts in BL clas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and through discussion 6 BL class design elements, 15 BL class design principles, and 31 detailed guidelines are developed. The developed components of the design principles are “Analysis”, “Support”, “Accessibility”, “Delivery”, “Participation” and “Reflection” and class design principles, which are the practical class implementation strategies, and detailed guidelines are suggested based on them.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of ‘the design principles of BL classe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are discussed.

      • KCI등재

        온라인 수업 설계원리를 적용한 ZEPETO(제페토) 활용 체육수업이 자폐성 장애 학생의 도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류규태 ( Ryu Gyu Tae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4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4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수업 설계원리를 적용한 ZEPETO 활용 체육수업이 자폐성 장애학생의 도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체육수업에서 물건 던지기 등의 도전행동을 보이는 3명의 자폐성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행동 변화를 분석하는 대상자 간중다 기초선 설계를 계획하고 적용하였다. 중재는 ZEPETO 공간에서 3가지 도전행동에 대해 선행사건, 대체 행동, 후속 결과 중재 전략을 시행하였고, 2주 후 행동 유지 여부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도전행동의 평균 발생 빈도, 중재 시행 후 행동 감소의 즉각성, 중재 회기 변화에 따른 행동 빈도의 지속·일관된 감소를 살펴볼 수 있었고, 그래프의 기초선 구간과 행동 중재 구간이 겹치지 않는 비중복비율과 기초선 대비 실제 개선 정도를 나타내는 개선율이 모두 100%로 검증되었다. 행동 유지 측면에서도 행동 중재가 끝난 뒤 2주 후 도전행동이 여전히 감소 된 상태로 유지되었다. 이를 통해 온라인 수업 설계원리를 적용한 ZEPETO 활용 체육수업은 자폐성 장애 학생의 도전행동 감소와 행동 유지에 효과적인 방법임이 검증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특수교육에서의 ZEPETO 활용 중재의 특성과 차별성 그리고 발전적 방안 등을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utilizing ZEPETO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pplying principles of online class design, on challenging behaviors exhibited by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o achieve this, a planned and applied multiple baseline design was implemented among three students with ASD who displayed challenging behaviors, such as throwing objec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intervention, strategies for antecedents, alternative behaviors, and consequences were implemented for three challenging behaviors within the ZEPETO space, and behavioral maintenance was measured two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The research results showed an immediate reduction in behavior after intervention and constant and consistent reduction in the average frequency of challenging behaviors following each intervention sections. Also, non-overlapping proportion between the baseline and behavior intervention phases on the graph, as well as the improvement rate indicating the actual improvement compared to the baseline was rated 100%. On the aspect of behavior maintenance, two weeks after the conclusion of the behavior intervention, the challenging behaviors continued to be reduced. This confirms that the application of online class design principles using ZEPETO in physical education is an effective method for reducing challenging behaviors and maintaining behavioral improvements in students with AS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characteristics, distinctiveness, and developmental suggestions for utilizing ZEPETO intervention in special education are discussed and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