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주시 섬강, 원주천의 비오톱유형별 야생조류 서식특성 연구

        노태환 ( Tai Hwan Noh ),피재황 ( Jae Hwang Pi ),최진우 ( Jin Woo Choi ),이경재 ( Kyong Jae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7 No.6

        본 연구는 강원도 원주시에 도심지를 통과하는 원주천과 외곽의 국가하천인 섬강 전 구간을 조사하여 비오톱유형화를 통해 하천 자연생태 현황을 파악하고, 야생조류 출현위치를 파악하여 비오톱과 야생조류 출현현황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비오톱유형은 규모, 형태, 경관에 따라 중분류하였으며, 수문, 물리환경, 식생에 따라 소분류하였다. 또한 하천공간, 물리환경, 식생, 토지이용에 따라 비오톱유형을 세분류하였으며, 조사 결과 섬강은 21개 유형, 원주천은 19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야생조류는 2008년 1월과 5월에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각 조류의 출현위치를 표기하여 야생조류 출현지점의 비오톱 속성을 파악하였다. 야생조류 출현 현황은 섬강 전 구간에서 봄철 31종 795개체, 겨울철 49종 4,348개체이었고, 원주천에서는 봄철 34종 427개체, 겨울철 33종 3,442개체이었다. 섬강은 산지형 하천 중 합수부 퇴적지 자연하천 지역에 겨울철 26종 547개체, 봄철 12종 72개체이었으며, 농촌형 하천 중 퇴적지 및 습지식생이 넓게 형성된 자연하천 지역에 겨울철 34종 1,412개체, 봄철 24종 341개체이었다. 이에 농촌형 하천은 하폭이 넓고 유속이 느리며, 다양한 비오톱유형이 있어 야생조류 서식에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와 표현이 힘든 선형 하천구간에 정밀 비오톱 조사와 유형화를 통해 하천 전체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야생조류 출현현황을 조사하여 생물서식처 복원, 생태하천 조성, 하천정비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원주시 도심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 또한 하천은 강우에 의해 비오톱 속성이 빈번하게 변경되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하천생태계가 유지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Wonju Stream, which flows through Wonju, Kangwon-do, and Seom River, the national river located outside of Wonju, by investigating all river areas using biotope type. Also,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biotope and appearance of wild birds by investigating the location of their appearance. Biotope groups are ‘scale’, ‘shape’, and ‘landscape’. And, biotope types are ‘moisture’, ‘physical environment’, and ‘existence of vegetation’. Biotope subtypes are ‘river area’, ‘physical environment’, ‘vegetation type’, and ‘usage of land’. Seom River is classified as 21 different sections, and Wonju Stream is classified as 19 different sections. Wild birds are investigated on breeding season, which was January and May of 2008. By marking each bird`s location of appearance, it figured out properties of biotop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bird`s appearance. 31 species, 795 birds in spring were founded, and 49 species, 4,348 birds are founded in winter at Seom River area. Also, 34 species, 427 birds in spring, and 33 species, 3,442 birds are founded in winter at Wonju Stream area. In winter, 26 species, 547 birds, and in spring, 12 species, 72 birds at natural river with estuaries in confluence of Seom River area are founded. Also, 34 species, 1412 birds in winter, and 24 species, 341 birds in spring are founded at natural river with estuaries and wetland plants. This means that because agricultural rivers have wide river width, slow flow speed, and many different types of biotope, these rivers can be good habitats for wild birds. The precise investigations and classifications of biotope, which especially are hard for linear rivers, were done to understand the whole and current situation of rivers. Furthermore, the data that shows the locations of wild birds can basically be used for a recovery of biological habitats, a constructing of ecological streams, a river-maintenance, and an enhancement of biodiversity of Wonju. Also, because the types of biotope are altered by rain, a continuous monitoring for maintaining ecosystem of rivers are highly needed.

      • KCI등재

        강원도 대관령 목장 현존식생 및 식물군집구조

        노태환 ( Tai Hwan Noh ),한봉호 ( Bong Ho Han ),김종엽 ( Jong Yup Kim ),이민영 ( Min Young Lee ),유기준 ( Ki Joon Yoo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7 No.5

        본 연구는 온대 북부 기후대에 위치한 강원도 대관령 목장 산림생태계의 현존식생, 식물군집구조, 천이계열 특성과 보전가치를 밝히고, 향후 복원 및 관리계획 수립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현존식생은 총 56개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조사면적 19,397,361㎡ 중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지역은 7,669,593㎡(39.1%), 1차 초지 지역은 4,785,417㎡(24.7%), 신갈나무-낙엽활엽수군집이 우점하는 지역은 2,182,276㎡(11.3%)이었다. 조사구는 20m×20m (400㎡) 28개소를 설정하였으며, DCA분석 결과 군집 Ⅰ(소나무-신갈나무군집), 군집 Ⅱ(신갈나무-소나무군집), 군집 Ⅲ(신갈나무군집), 군집 Ⅳ(신갈나무-낙엽활엽수군집), 군집 Ⅴ(낙엽활엽수군집), 군집 Ⅵ(팥배나무군집) 등 6개의 식물군집으로 분류되었다. 표본목 수령은 군집 Ⅰ은 57~62년생, 군집 Ⅱ는 41~77년생, 군집 Ⅲ은 47~108년생, 군집 Ⅳ는 47~82년생, 군집 Ⅴ는 47년생, 군집 Ⅵ은 55년생으로 전체적으로 41~108년생이었다. 대관령 목장의 생태적 천이는 소나무군집에서 신갈나무군집으로 발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계곡부를 중심으로 낙엽활엽수군집도 분포하고 있었다. 단위면적 400㎡당 샤논의 종다양도지수를 분석한 결과, 군집 Ⅳ(0.8203~1.1439) → 군집 Ⅲ(0.8019~1.1375) → 군집 Ⅴ(1.0993) → 군집 Ⅰ(0.9475~1.0797) → 군집 Ⅱ(0.6896~1.0324) → 군집 Ⅵ(0.9909) 순으로 높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ctual vegetation, 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and ecological succession sere of forest ecosystem in temperate northern climate zone, Daegwallyeong Ranch, Gangwon-do (Province) and to offer the basic data for planning of the forest managemant. As a result of analysis of actual vegetation, vegetation types divided into 56types and the area of survey site was 19,397,361㎡. The ratio of vegetation type dominated by Quercus mongolica forest was 39.1%, primary grassland was 24.7%, Quercus mongolica-Deciduous broad-leaved forest was 11.3%. Twenty eight plots (size is 20m×20m) were set up and the results analyzed by DCA which in one of the ordination technique showed that the plant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which area community Ⅰ (Pinus densiflora-Quercus mongolica community), community Ⅱ (Quercus mongolica-Pinus densiflora community), community Ⅲ (Quercus mongolica community), community Ⅳ (Quercus mongolica-Deciduous broad-leaved community), community Ⅴ (Deciduous broad-leaved community), community Ⅵ (Sorbus alnifolia community). The age of community Ⅰwas ranged from 57 to 62 years old, that of community Ⅱ was ranged from 41 to 77 years old, community Ⅲ was ranged from 47 to 108 years old, community Ⅳ was ranged from 47 to 82 years old, community Ⅴ was 47 years old, community Ⅵ was 55 years old, thus we supposed that the age of the study site is about from 41 to 108 years old. The Ecological succession is predicted from Pinus densiflora community to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Deciduous broad-leaved were distributed in the center of the valley in Daegwallyeong Ranch. According to the index of Shannon``s diversity (unit: 400㎡), community Ⅳ was ranged from 0.8203 to 1.1439, community Ⅲ was ranged from 0.8019 to 1.1375, community Ⅴ was 1.0993, community Ⅰ was ranged from 0.9475 to 1.0797, community Ⅱ was ranged from 0.6896 to 1.0324, community Ⅵ was 0.9909.

      • KCI우수등재

        일본 고베시(神戶市) 포트아일랜드 가로녹지 구조 유형 연구

        곽정인,한봉호,노태환,곽남현,Kwak, Jeong-In,Han, Bong-Ho,Noh, Tai-Hwan,Kwak, Nam-Hyun 한국조경학회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4

        본 연구는 일본 고베시(神戶市) 해안 매립도시인 포트아일랜드 가로녹지의 지형구조별 도로 유형, 주변 토지이용, 식재구조를 조사 분석하여 녹지량이 풍부한 가로녹지 식재기법 사례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포트아일랜드(총면적 826ha)는 일본 내에서도 최초의 인공섬으로 항만시설과 본격적인 도시기능시설을 겸비한 해상문화도시이다. 연구대상지내 $55{\sim}285m^2$ 면적의 조사구 11개소를 설정하여 조사 한 결과, 가로녹지의 지형구조는 마운딩형, 사면형, 사면+평지형, 평지형의 4개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인접한 도로의 폭에 따라 지형구조가 변화하였다. 인접한 도로의 차선이 많아서 소음, 공해물질 등 영향을 많이 받는 지역은 마운딩형, 사면형, 사면+평지형 등의 지형구조와 광폭의 다층구조 녹지대를 조성하였고, 도로차선이 적은 지역인 경우, 평지형의 지형구조와 화관목 위주의 관목을 식재하여 가로띠녹지를 조성하였다. 인접한 토지이용은 공공기관, 공동주택지, 주상복합지, 상업업무지 등이었고, 식재개념은 중로(4차선)의 경우 완충+경관기능, 소로(2차선)의 경우 경관기능이었다. 식재종은 대만풍나무, 녹나무, 조구나무, 참죽나무, 담팔수, 은행나무, 벚나무, 느티나무, 종가시나무, 향나무, 목련, 철쭉류, 동백나무, 꽃댕강나무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식재밀도는 교목층 0.02~0.08(0.04)주/$m^2$, 아교목층 0.02~0.08(0.04)주/$m^2$이었고, 녹피율은 교목층 40.0~173.7(93.0)%, 아교목층 2.1~79.8(34.9)%, 관목층 17.9~64.2(4.13)%이었다. 녹지용적계수는 교목층 $1.43{\sim}6.67(4.13)m^3/m^2$, 아교목층 $0.02{\sim}2.01(0.85)m^3/m^2$, 관목층 $0.14{\sim}0.58(0.26)m^3/m^2$이었다. 포트아일랜드 가로녹지의 녹피율은 서울시 주요 가로녹지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고, 특히 관목층 녹피율과 녹지용적계수는 우리나라 주요 가로녹지와 비교하였을 때 많은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재 우리나라에 조성되고 있는 해안 매립기반 도시의 가로녹지 조성 시 지형구조, 식재구조, 식재기능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가로녹지 조성기법 사례지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examples of planting methods for the construction of street green spaces with abundant greenery by analyzing road type, surrounding land use and planting structures in street green spaces on Port Island, Kobe, Japan. Port Island_(total area: 826ha) is a marine cultural city located in Japan's first artificial island with facilities of urban function and port facilities. The study site was designated at 11 plots of $55{\sim}285m^2$ on Port Island, and topography structure styles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with mounding style, slope style, slope and flat style, flat style according to the adjacent roads width. The area adjacent to the middle roads with high levels of noise and pollution set up the mounding style, slope style, slope and flat style of multi-layer structures using topographic properties. The area adjacent to small roads focused on a green strip with shrubs on a flat style. Surrounding land-uses include a public institution, housing complex, and a commercial building. The planting concept was a buffer and landspace function in case of the middle road_(lane 4) while the small road_(lane 2) was a landspace function. Planting species were diverse with Liquidambe formosana, Cinnamomum camphora, Sapium sebiferum, Cedrela sinensis, 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icus, Ginkgo biloba,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Zelkova serrata, Quercus glauca, Juniperus chinensis, Magnolia kobus, Rhododendron spp., Camellia japonica, Abelia mosanensis, etc. Planting density was 0.02~0.08(0.04) individual/$m^2$ at the canopy layer, 0.02~0.08(0.04) individual/$m^2$ at the understory layer. Ratio of green coverage was 40.0~173.7(93.0)% at the canopy layer, 2.1~79.8(34.9)% at the understory layer and 17.9~64.2(32.9)% at the shrub layer. $Gr{\ddot{u}}volumenzahl$ was $1.43{\sim}6.67(4.13)m^3/m^2$ at the canopy layer, $0.02{\sim}2.01(0.85)m^3/m^2$ at the understory layer and $0.14{\sim}0.58(0.26)m^3/m^2$ at the shrub layer. The ratio of green coverage of street green space on Port Island was higher than that of Seoul, and particularly, the ratio of green coverage and $gr{\ddot{u}}volumenzahl$ at the shrub layer differed, compared to the main street green space in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be applicable to other coastal reclaimed cities in terms of setting methods for street greenery considering the topography structure, planting structure and planting function.

      • 제4분과 : 야생동물 ; 장남평야 환경생태 현황 분석 및 금개구리 서식처 조성방안

        한봉호 ( Bong Ho Han ),김종엽 ( Jong Yup Kim ),노태환 ( Tai Hwan Noh ),김홍순 ( Hong Soo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1

        제4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06~’20)에 따라 추진된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사업은 2005년 3월 18일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 특별법’ 제정 및 공포를 시작으로 2030년12월 사업완료를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 2011년 충남발전연구원의 연기군 비오톱 조사 결과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중앙녹지공간으로 계획된 장남평야 일대 농수로를 중심으로 환경부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 금개구리(Rana plancyi chosenica)와 맹꽁이, 뜸부기, 큰기러기 등 야생생물의 주요서식처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행정중심복합도시의 내부 개발공사에 따른 장남평야 성토문제와 금개구리 등 야생동물 서식처 보존 간의 상충이 야기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장남평야 중앙녹지공간의 환경생태 현황을 조사분석하고 금개구리 서식처 조성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하였다. 장남평야는 하천퇴적물에 의한 충적토이면서, 고지도 분석결과 금강의 범람원으로 확인되어 금강~장남평야~산림으로 연결되는 생태계 연결 거점이었으나, 1950년대 제방이 조성되고 대면적의 농경지로 토지이용이 변하여 지하수위가 높은 논습지 생태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유역권 범위로 조사한 현존식생 분석 결과 총 면적 10, 535, 798㎡ 중초지 및 수역 48. 0%, 산림 17. 2%, 경작지 6. 1% 등 이었고, 장남평야 내부에는 논경작지와 논휴경지, 습윤지성 초지 등다양한 습지 비오톱이 분포하고 있었다. 금개구리의 주요 서식처인 중앙배수로와 자연형 농경지 배수로 단면구조 분석결과 부들, 미나리, 고마리, 갈대 등 수생식물이 분포하였고, 수심은 9~150cm 이었으나 15~20cm 정도가 금개구리 서식에 적정한 수심이었다. 금개구리는 2013년 3~7월경(여름 장마철 포함) 서식처 현황 조사결과 장남평야 전 지역에서 출현하고 있었으며, 야생조류는 2013년 3, 5, 7월 조사결과 독수리, 잿빛개구리매 등 맹금류와 큰기러기, 원앙 등 보호종이 출현하여 금개구리뿐만 아니라 야생조류 등 금강유역원의 주요한 야생동물 서식처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장남평야 금개구리의 주요 서식처인 중앙배수로 북쪽 지역에서 2013년 5월 1일, 5월 15일, 5월 29일, 6월 6일에 걸쳐 조사한 금개구리 서식처 위치 자료와 본 연구의 양서류 연구팀(김현태, 김대호, 손상호)의 금개구리 서식처 출현현황 자료를 통합하여 금개구리 서식요구 면적을 도출하였다. 라남용(2010)의 박사학위 논문에 따르면 금개구리는 번식연못으로부터 평균 32. 0±23. 4m 떨어진 육상 지역에서 동면하므로 행동반경은 약 50m로 설정하였다. 금개구리 출현개체군의 총 행동권역 면적은 870, 586㎡, 금개구리 출현개체수는 최대 806개체이었다. 행동권역 당 금개구리 전체 개체수를 환산한 결과 금개구리 1개체당 서식 요구 면적은 1, 080㎡이었다. 목표 금개구리 개체수는 1, 500개체로 설정하였고, 이에 따라 금개구리 개체군의 목표 서식 요구 면적은 1, 620, 000㎡(약 1. 6㎢)로 산출되었다. 장남평야 금개구리 서식처 보전 원칙으로 첫째, 금개구리를 이주시켜 성공한 사례가 드물고 장남평야 거의 전 지역에 금개구리가 생육하고 있으므로 다른 지역으로 이주시키지 않고 현지 내 보전할 것, 둘째, 금개구리의 서식요구 조건인 물 공급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것, 셋째, 금개구리 서식환경을 보장해 주기 위해 유기농법으로 논농사를 시행할것, 넷째, 금개구리뿐만 아니라 야생조류 등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는 생태계로서의 가치가 높으므로 만월산 배후산림과 금강을 연결하는 생태축 연결을 제시하였다. 장남평야 중앙녹지공간 조성과 금개구리 서식처 보전을 합리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중앙배수로 남쪽 지역을 금개구리 개체군 서식처로 확보, 남쪽 금강둔치 경계부에 급수로를 설치하여 지속적으로 물 공급 유지, 금개구리 서식처 내 자연형 배수로를 금강 둔치까지 연결하여 생태계 연결성 확보 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원주시 우수비오톱 서식처 유형별 잠자리군집 특성

        김지석 ( Ji Suk Kim ),곽정인 ( Jeong In Kwak ),노태환 ( Tai Hwan N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7 No.2

        서식처 유형에 따른 잠자리군집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원주시에 위치한 묵논습지, 자연형 저수지, 자연하천, 산림계곡의 4개 대표 비오톱 유형에 33개 조사구를 설치하여 2010년 6월, 8월, 10월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잠자리는 총 9과 38종이 확인되었다. TWINSPAN 분석을 통하여 4개 서식처 유형별 종 조성을 비교한 결과, 3개 서식처(묵논습지, 자연형 저수지, 산림계곡)는 뚜렷한 종 조성 차이를 보였으나, 자연하천은 뚜렷한 종 조성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서식처 유형별 우점종과 아우점종은 고추좀잠자리와 깃동잠자리가 대부분이었으나 등줄실잠자리, 산잠자리, 왕잠자리 등은 서식처 차이를 보였다. 서식처 유형별 종다양성지수는 묵논습지, 자연하천, 자연형 저수지에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며 산림계곡은 낮았다. 서식처 유형별 잠자리 산란유형은 묵논습지가 가장 다양하였으며, 식물체에 산란하는 잠자리 종류가 가장 많아 습생식물이 잠자리 풍부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회귀분석을 통하여 종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 고추잠자리와 밀잠자리, 고추잠자리와 방울실잠자리, 배치레잠자리와 애기좀잠자리가 정의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상관관계가 높은 종간에도 선호하는 서식처에 차이가 존재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odonata communities as habitat types in Wonju City, Korea. The 33 plots were installed at 4 types of biotope like abandoned paddy fields, natural type reservoir, natural type river and forest valley in Wonju city. From the survey, the 9 family and 38 species were identified. As the result of comparative investigation of the species composition of each habitat through TWINSPAN analyzing, the difference of species composition was definite in abandoned paddy field, natural type reservoir and forest valley, however, it was uncertain in natural type river. The dominant species and the subdominant species of each habitat were mainly Sympetrum frequens and Sympetrum infuscatum but the distributions of Paracercion hieroglyphicum, Epophthalmia elegans, and Anax parthenope julius were different as haibtat types. The order of the index of species diversity was not different between abandoned paddy fiedls, natural type reservoir and natural type river, but forest valley was low. The abandoned paddy field was shown the most diverse spawning type of odonata, it is considered that hydrophyte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abundant of odonata since the sorts of odonata spawning in plants are majority. As the result of analyzing interspecies relationship, Crocothemis servilia mariannae and Orthetrum albistylum, Crocothemis servilia mariannae-Platycnemis phyllopoda, Lyriothemis pachygastra-Sympetrum parvulum are shown the positive correlation, however, they have a difference in preferred habitat between high correlation species.

      • 동물 및 기타 3차원 미기상모형 Envi-met을 활용한 가로수 유형별 보행자 온열쾌적감 분석에 관한 연구

        한봉호 ( Bong Ho Han ),곽정인 ( Jeong In Kwak ),노태환 ( Tai Hwan Noh ),김홍순 ( Hong Soo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2

        급속한 도시화가 진행된 도심에서 가로녹지는 미기후조절 기능, 환경공학적 기능, 건축적 기능, 미적 기능 및 생태적 서비스 기능을 갖고 있으며 파편화된 도시녹지를 연결하는 선형 녹지축이다. 더욱이 도시수목으로서 도시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저장과 광폭의 도로 및 차량으로부터 발생되는 인공열의 완충, 일사 차단 및 증산작용으로 수목 하층부 이용자의 온열쾌적감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가로수에 대한 연구는 일부 지자체를 중심으로 한 가로수 현황 파악 및 개선과 가로수의 기능적 분석 및 생리적 연구가 진행되었고, 보행자의 보행환경에 대해 미기후 실측을 통한 온열쾌적감 산정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 가로환경에서 미기후 조절에 가로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제공해 주었으나, 가로수 유형에 따른 온도 차이 실측과 추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로수 유형별 온도 저감 효과와 온도저감으로 인한 보행자의 온열쾌적감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가로수 조성에 있어 보행자의 온열쾌적감 만족을 위해 조성되어야 할 가로수유형의 선정 시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구대상지는 노선이 길고 유형이 다양하여 본 연구의 대상지로 적합한 서울시 중 강남구, 송파구, 영등포구, 종로구 4개구의 가로수 유형을 구분해 총 37개소 선정하였다. 조사구별 온도 실측은 하루 중 가장 온도가 높은 14~15시를 반영하여 정오부터 오후 4시 사이에 TES-1341을 활용해차도측과 보도측의 온도를 각 10회씩 측정하였다. 또한, 조사구별 가로녹지 식재현황에서는 조사구별 수종, 층위, 규격 및 띠녹지를 조사하였다. 가로수 유형별 온도비교는 대표가로를 추출하여 실시하급속한 도시화가 진행된 도심에서 가로녹지는 미기후조절 기능, 환경공학적 기능, 건축적 기능, 미적 기능 및 생태적 서비스 기능을 갖고 있으며 파편화된 도시녹지를 연결하는 선형 녹지축이다. 더욱이 도시수목으로서 도시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저장과 광폭의 도로 및 차량으로부터 발생되는 인공열의 완충, 일사 차단 및 증산작용으로 수목 하층부 이용자의 온열쾌적감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가로수에 대한 연구는 일부 지자체를 중심으로 한 가로수 현황 파악 및 개선과 가로수의 기능적 분석 및 생리적 연구가 진행되었고, 보행자의 보행환경에 대해 미기후 실측을 통한 온열쾌적감 산정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 가로환경에서 미기후 조절에 가로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제공해 주었으나, 가로수 유형에 따른 온도 차이 실측과 추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로수 유형별 온도 저감 효과와 온도저감으로 인한 보행자의 온열쾌적감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가로수 조성에 있어 보행자의 온열쾌적감 만족을 위해 조성되어야 할 가로수유형의 선정 시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구대상지는 노선이 길고 유형이 다양하여 본 연구의 대상지로 적합한 서울시 중 강남구, 송파구, 영등포구, 종로구 4개구의 가로수 유형을 구분해 총 37개소 선정하였다. 조사구별 온도 실측은 하루 중 가장 온도가 높은 14~15시를 반영하여 정오부터 오후 4시 사이에 TES-1341을 활용해차도측과 보도측의 온도를 각 10회씩 측정하였다. 또한, 조사구별 가로녹지 식재현황에서는 조사구별 수종, 층위, 규격 및 띠녹지를 조사하였다. 가로수 유형별 온도비교는 대표가로를 추출하여 실시하(교목 1열+아교목층+관목층)은 차도측 36.0~36.3℃(평균36.20℃), 보도측 33.1~33.4℃(평균 33.29℃) 평균값 차이2.91℃, 우정국로(교목 2열)는 차도측 35.1~36.6℃(평균35.86℃), 보도측 31.9~33.7℃(평균 33.24℃) 평균값 차이2.62℃, 대방로-20(교목 2열+관목층)은 차도측 35.5~36.1℃(평균 35.89℃), 보도측 32.9~33.4℃(평균 33.22℃) 평균값 차이 2.67℃, 영동대로-2(교목 3열+관목층)는 차도측37.0~37.6℃(평균 37.22℃), 보도측 35.2~35.5℃(평균35.37℃) 평균값 차이 1.80℃, 영동대로-6(교목 3열+아교목층+관목층)은 차도측 34.5~35.1℃(평균 34.87℃), 보도측32.4~32.6℃(평균 32.51℃) 평균값 차이 2.40℃이었다. 각대상지별 온도 실측온도의 경향은 녹지량이 풍부하고 층위구조가 복층인 유형일수록 차도와 보도의 온도차이가 컸다. 실측 결과를 토대로, 교목 3열+아교목층+관목층으로 형성된 영동대로(10차선 도로, 보도폭 15m)에 시뮬레이션 대상지를 설정하여 오후 2~4시경을 대상으로 현재 가로수 유형에 따른 온도변화와 온열쾌적감 분석으로 가로수 효과를 산정하고, 당해 대상지에 다른 가로수 유형을 대입하여 유형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영동대로-6은 교목 3열+아교목층+관목층으로 교목층(양버즘나무)의 식피면적이 가장 넓어보행지역의 대부분이 한여름의 가장 더운 시간대에도 온열쾌적감(PMV)값이 0.4로 보행하기 쾌적하였다. 그러나, 일사차단이 일어나지 않는 지역은 온열쾌적감 지수(PMV)값이 2.8로 ‘뜨거움’을 느끼는 지역이 있었다. 다른 가로수 유형을 대입하여 가로수 유형별 효과를 살펴본 결과, 교목층 식피율이 낮은 교목 1열, 교목 1열+아교목층+관목층, 교목 2열, 교목 2열+관목층은 교목 3열+아교목층+관목층 유형보다 쾌적함을 느끼는 지역이 감소하였고, 더위를 느끼는 지역이 상대적으로 늘었다. 이는 일사차단을하는 교목층의 수관면적이 상대적으로 줄어든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층구조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교목층 식피면적이동일한 교목 1열, 교목 1열+아교목층+관목층, 교목 2열과 교목 2열+관목층의 값을 비교한 결과, 교목 1열과 교목 1열+아교목층+관목층에서의 보행환경의 차이는 미미하였다. 교목 2열과 교목 2열+관목층 유형의 비교에서 교목 2열 유형은 일사차단이 없는 지역의 온열쾌적감 지수(PMV)값이 ‘뜨거움’인 3.0에 이르렀지만, 띠녹지가 조성된 교목 2열+관목층의 보도는 일사차단이 없는 지역의 온열쾌적감 지수(PMV)값이 ‘따뜻함’을 느끼는 2.2~2.4, 혹은 ‘뜨거움’인2.8로 교목 2열 유형보다 상대적으로 온열쾌적감 지수(PMV)값이 감소하였다. 이는 관목층의 유무로 서측 도로에서 이동하는 인공열이 띠녹지에 상쇄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적어도 교목 2열을 식재한 상황에서 관목층을 다층구조로 조성했을 때 보행자의 온열쾌적감 측면에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가로수 조성이 가능한 광폭의 보도(폭 15m)에서 보행자의 온열쾌적감을 고려하여 조성할 시 교목층의식피면적이 높은 교목 3열의 효과가 가장 높았고, 교목 2열+관목 유형으로 조성하여야 온열쾌적감 측면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목층의 식피면적을 확보하는데있어 주변 주민의 반대, 비용의 한계가 있을 시는 단층구조의 가로수를 조성하기 보단 아교목층과 관목층을 식재한 다층구조로 조성하여 도로로 부터의 인공열을 차단해 주는 것이 온열쾌적감 지수(PMV)값을 0.2~0.8정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 KCI등재

        초안산근린공원 숲길 훼손 실태 및 복원방안 연구

        한봉호 ( Bong Ho Han ),기경석 ( Kyong Seok Ki ),노태환 ( Tai Hwan N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6

        본 연구는 최근 이용압력이 높은 서울시 초안산근린공원을 대상으로 숲길의 분포와 훼손 실태를 파악하여 향후도심 내 숲길 정비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초안산근린공원 숲길(25,964m)의 훼손 현황 중 노폭 2m 이상 20.3%, 침식 깊이 30㎝이상 36.3%, 훼손이 심한 형태인 나지침식이나 근계노출, 암석노출 구간 47.0%이었고, 환경피해도 등급 Ⅳ 이상이 70.6%로 숲길 훼손이 심각한 상태이었다. 훼손이 심한 숲길 노선은 대부분 주능선을 따라 형성된 주요 숲길과 저지대 급경사 숲길, 주요 숲길과 연결된 샛길이었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초안산근린공원 숲길의 복원유형을 숲길 확산방지, 숲길 지반안정, 숲길 노면정비, 숲길 폐쇄 후 식생복원, 유지 등 5가지로 구분하였고, 유형별 복원방안을 제안하였다. 숲길 확산방지는 나지가 노출되어 있는 숲길 폭원 확대를 방지하고, 숲길 지반안정은 숲길 내 침식 및 뿌리노출을 방지하며, 숲길 노면정비는 훼손이 심각한 숲길의 노면을 목재데크, 목재계단, 노면 포장실시 등을 통하여 보호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argeting Choansan (Mt.) Neighborhood Park in Seoul of South Korea, whose level of visitation and use pressure has been recently increasingly high, was to understand distribution and damage status of forest trail and accordingly, set up direction of how to improve forest trail in urban area. With regards to current damage on forest trail in Choansan (Mt.) Neighborhood Park, the damaged trail with road width of over 2m and with erosion depth of over 30㎝amounted to 20.3% and 36.3% respectively. And the trail section with bare land erosion, root exposure or rock exposure and the section whose impact rating class exceeded Ⅳ occupied 47.0% and 70.6%, indicating the forest trail was severely damaged. The severely injured trail route mainly included the main forest trail formed along the main ridge, the byroad connected to the main forest trail and the steep forest trail in low-lying area. Based on the study results, five types of restoration of forest trail in Choansan (Mt.) Neighborhood Park were offered, including prevention of forest trail extension, stabilization of forest trail base, maintenance of forest trail surface, vegetation restoration after closing forest trail and maintenance. Ecological restoration was additionally offered. The prevention of forest trail extension was planned to prevent expanded width of forest trail where bare land was exposed. The stabilization of forest trail base was planned to prevent erosion in the forest trail and exposure of roots. The maintenance of forest trail surface was planned in a way to protect the severely damaged forest trail surface by using wood deck and wood stairs and surfacing the road.

      • KCI등재

        순천시 조계산 운수암 계곡부 식물군집구조

        한봉호 ( Bong Ho Han ),최진우 ( Jin Woo Choi ),노태환 ( Tai Hwan Noh ),허지연 ( Ji Yeon Hur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1

        본 연구는 순천시 조계산(해발고 884.3m) 운수암 계곡부를 대상으로 식물군집구조를 조사 분석하여 식생구조 특성과 생태적 천이계열, 보전가치를 밝히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구는 해발고 255~495m에 20m×20m 크기의 15개소를 설정하였다. DCA 기법에 의한 군집분류 결과 군집 Ⅰ(소나무군집), 군집 Ⅱ(굴참나무-졸참나무군집), 군집 Ⅲ(졸참나무-굴참나무군집), 군집 Ⅳ(개서어나무-졸참나무군집), 군집 Ⅴ(낙엽활엽수군집) 등 다섯 개의 식물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순천시 조계산 일대는 온량지수를 분석한 결과 온대남부기후대의 식생이었다. 조계산 운수암 계곡부는 졸참나무군집 34.4%, 졸참나무-군참나무군집 32.1%로 계곡부 사면을 중심으로 우점하여 분포하였으며, 계곡부를 중심으로 개서어나무군집이 5.5% 분포하였다. 관목층에서는 조릿대가 우점하고 있었다. 생태적 천이계열은 추정하기 어려웠으나, 장기적으로 모니터링을 통해 군집별 변화양상을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샤논의 종다양도지수(400㎡)는 군집 Ⅲ(1.0102~1.1013), 군집 Ⅴ(0.9945), 군집 Ⅱ(0.7913~1.1503), 군집 Ⅳ(0.8081~1.0749), 군집 Ⅰ(0.9273) 순으로 높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succession sere and conservative value,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in Woonsooam Valley, in Jogyesan (Mt.) (altitude 884m), Suncheon City, Korea by analysing the structure of the plant community. Fifteen plots (size is 20m×20m) were set up at an altitude of range from 255m to 495m. As a result of analysis of DCA which is one of the ordination technique, the plant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which are community Ⅰ (Pinus densiflora community), community Ⅱ (Quercus variabilis-Quercus serrata community), community Ⅲ (Q. serrata-Q. variabilis community), and community Ⅳ (Carpinus tschonoskii-Q. serrata community) and community Ⅴ(Deciduous broad-leaved forest community). We found out that the vegetation of the study site located in the South Temperate Climate Zone. The study site is found out that Q. serrata community 34.4%, part of slope in valley is the distribution that dominant species is Q. serrata-Q. variabilis community 32.1%. And in valley showed Carpinus tschonoskii community 5.5%. And Sasa borealis was dominant species in the shrub layer. We couldn`t supposed that the ecological succession sere of the study site, however we should do a long-termmonitoring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the ecological succession each plant community, According to the index of Shannon`s diversity (unit: 400㎡), communityⅢ was ranged from 1.0102 to 1.1013, community Ⅴ was 0.9945, community Ⅱ was ranged from 0.7913 to 1.1503, community Ⅳwas ranged from 0.8081 to 1.0749 and community Ⅰwas 0.9273.

      • KCI등재

        남한산성 소나무림의 19년간 (1993~2011년) 식생구조 변화와 관리방안

        이경재 ( Kyong Jae Lee ),한봉호 ( Bong Ho Han ),이학기 ( Hak Gi Lee ),노태환 ( Tai Hwan N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는 2010년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에 등록된 국가사적 제57호 남한산성을 대상으로 과거 문헌자료와 현장조사를 통해 식생구조 변화를 밝히고 역사·문화적 가치가 높은 남한산성의 식생복원을 위한 관리방안을 수립하고자 실시하였다. 남한산성 식생의 비오톱 분석 결과 대상지 면적 2,611,823㎡중 참나무류림이 40.8%이었고, 천이 가능성이 높은 소나무림이 16.5%로 청량산 일원과 서문에서 북문 일원, 남문에서 청량산 사이의 산 능선에 분포하고 있었다. 천이 가능성이 낮은 소나무림은 4.7%로 남한산초등학교 뒤 산림에 주로 분포하고 있었고, 천이가 진행중인 소나무림은 2.9%, 도태중인 소나무림은 2.1%였다. 19년간 식생구조 변화 분석 결과 소나무림→소나무 및 참나무류 혼효림→참나 무류림→서어나무림으로 천이가 예측되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참나무류의 세력이 확대되었다. 남한산성 소나무림의 식생 관리방안은 식생구조 특성을 고려하여 관리권역을 구분하였고, 관리권역은 소나무림 경관유지지역 553,508㎡, 소나무림 경관복원지역 114,293㎡, 적극적 관리지역 205,306㎡, 자연천이 유도지역 1,169,973㎡이었다. This study, targeting Namhan Mountain Fortress which was designated as a No. 57 national historic site and placed on the World Heritage Tentative List in 2010,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change of vegetation structures by reviewing past references, pictures, research data and additionally conducting a site survey. Also, it was designed to draw up measures for restoring vegetation suitable for historically and culturally valuable Namhan Mountain Fortress. According to the biotope mapping of study site, Quercus spp. forest distributed a greatest part of area with 40.8% of 2,611,823 . Pinus densiflora forest, highly likely to go through ecological succession, was dispersed in the whole region of Cheongryangsan, the area from West Gate to North Gate and the ranges between South Gate to Cheongryangsan with taking 16.5%. Pinus densiflora forest with a low probability of succession amounted to 4.7% and was dispersed mainly in the forest behind Namhansan elementary school. Pinus densiflora going on the ecological succession is distributed a portion of 2.9%. And the currently dying out Pinus densiflora forest amounted to 2.1%.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vegetation structure for 19 years, the succession from Pinus densiflora forest to Pinus densiflora and succession from Quercus spp. mixed forest to Quercus spp. forest to Carpinus laxiflora forest were predicted. Additionally, Quercus spp. expanded its dominance over tim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ified zone, the site was categorized into 553,508m² area of Pinus densiflora forest area for the landscape maintenance, 114,293 area of Pinus densiflora forest area for the landscape restoration, 205,306m² area of Pinus densiflora forest area for the disclimax, and 1,169,973m² area of Pinus densiflora forest area for inducing ecological succession.

      • 제1분과 : 보호지역 식생구조 및 관리 ; 한라산국립공원 영실 소나무림의 22년간(1990~2012년) 식생구조 변화 연구

        이응열 ( Eung Yeol Lee ),한봉호 ( Bong Ho Han ),김종엽 ( Jong Yup Kim ),노태환 ( Tai Hwan N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1

        한라산은 한반도의 최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해발1, 950m로 남한에서 가장 높은 우리나라 3대 명산중의 하나이다. 다양한 식물 분포를 이뤄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고동·식물의 보고로서, 1966년 10월 12일 천연기념물 제182호인 한라산천연보호구역으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한라산은 1970년 3월 24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2002년 12월에는 UNESCO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 2007년 6월 27일 제주화산섬과 용암동굴이 우리나라 최초의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고, 2010년 10월 4일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받았다. 본 연구는 한라산국립공원 중 산림청에서 지정한 아름다운 소나무숲인 영실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물군집구조를 조사하여 고산지역 소나무림의 생태적 가치 및 환경적 특성을 규명하고, 식물의 수직적 분포가 뚜렷한 한라산국립공원영실 소나무림의 식생구조 특성을 밝혀 22년 간 식생구조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한라산국립공원은 제주시와 서귀포시에 위치하고 공원구역은 총 153, 332㎢으로 공원자연보전지구 89, 060㎢, 공원자연환경지구 64, 272㎢, 천연보호구역 91, 654㎢ 이었다. 한라산의 표고범위는 400∼1, 950m로 표고차가 1, 550m이고, 경사는 20° 미만이 84. 9%이었다. 연구대상지는 한라산국립공원 영실지역을 대상으로 20m×20m(400㎡) 크기의방형구 24개소를 설정하였고, 비교조사구는 20m×25m(500㎡)로 1990년 군집 C(소나무-개서어나무군집)로 총 13개조사구이었다. 식생조사는 각 조사구에서 출현하는 흉고직경 2㎝ 이상의 수목은 교목층과 아교목층, 그 이하의 수목은 관목층으로 구분하여 수종명, 흉고직경(DBH), 수고, 지하고, 수관폭등을 조사하였다. 한라산국립공원 영실지역 식생구조 조사는 2012년 9월에 실시하였다. 군집분류는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분석과 DECORANA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PC-ORD``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대우점치에 의한 종조성 특성을 고려하여 군집을 분류하고 군집을 명명하였다. 상대우점치는 층위별 출현종의 세력비교를 통하여 각 조사구의 생태적 천이경향 예측 및 층위구조 형성을 판단하기위한 방법이다. 식생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각 수종의 상대적우세를 비교하기 위하여 중요치(Importance value: I. V. )를 통합하여 백분율로 나타낸 상대우점치를 수관층위별로 분석하였다. 상대우점치(Importance percentage: I. P. )는 (상대밀도+상대피도)/2로 계산하였으며 수관피도는 흉고단면적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개체들의 크기를 고려하여 수관층위별로 가중치를 부여한 {(교목층I. P. ×3)+(아교목층I. P. ×2)+(관목층I. P. ×1)}/6으로 평균상대우점치(Mean importance percentage:M. I. P. )를 구하였다. 흉고직경급별 분포는 식생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수령 및 임분동태의 간접적인 표현으로 산림천이 양상을 추정하기 위하여 해당 군집의 생태적 천이계열을 밝히기 위해 필요한 분석항목 중 하나로 분석하였다. 군집별 Shannon의 종다양도지수(H``), 균재도(J``), 우점도(D), 최대종다양도(H``max)를산출하여 식생구조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 내 설정한 식물군집구조 조사구 내에서 대표조사구의 환경적 구조를 고려하여 표토를 제거하고 토양 A층에서 시료를 채취하였고, 음건 후 SSSA(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의 Method of Soil Analysis를 준용하여 토양산도(pH), 전기전도도(EC: Electrical Conductivity), 유기물함량(Soil Organic Matter), 유효인산(Abailable Phosphorus), 전질소(T-N: Total Nirogen), 양이온교환용량(CEC: Cation Exchange Capacity), 치환성양이온(Exchangeable Cation), 토성(Soil Texture)을 분석하였다. 총 24개 조사구(400㎡)는 소나무군집(Ⅰ), 소나무-서어나무류군집(Ⅱ) 2개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군집 Ⅰ은 소나무군집으로 해발 1, 230∼1, 350m로 군집 Ⅱ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해발고에 위치하며, 경사도는 7∼24°이고, 본 군집의 교목층 평균수고는 15∼20m, 평균흉고직경은 40∼45㎝, 식피율은 60∼80%이었다. 아교목층 평균수고는 7∼10m, 평균흉고직경은 15∼20㎝, 식피율은 60∼80%이었고, 관목층은 평균수고 1∼3m이고, 식피율은 15∼40%이었다. 초본층은 초장 1m 이하, 식피율 0∼20%로 초본층의 발달은 미미하였으며, 제주조릿대의 식피율이 90∼95%인군집으로 평지와 사면에 위치하였다. 상대우점치 분석결과 소나무가 교목층에서는 서어나무류 보다 우위의 세력으로 경쟁하고 있어 당분간은 소나무군집으로 유지될 것이다. 아교목층에서는 소나무의 세력이 미약하였고, 관목층에서는 출현하지 않아 소나무세력이 약화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본 군집은 당분간은 소나무군집으로 유지될 것이나 장기적으로 아교목층에서 세력을 확장하고 있는서어나무류가 우점하면서 당단풍나무, 물참나무 간 세력 경쟁이 예상되었다. 군집 Ⅱ는 소나무-서어나무류군집으로 해발 1, 075∼1, 160m로 군집Ⅰ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해발고에 위치하며, 경사도는 5∼8°이며, 본 군집의 교목층 평균수고는 15∼17m, 평균흉고직경은 40∼45㎝, 식피율은 75∼80%이었다. 아교목층 평균수고는 8m, 평균흉고직경은 15∼20㎝, 식피율은 60∼80%이었고, 관목층은 평균수고 1. 3m 이하, 식피율은 40∼45%이었다. 초본층은 초장 1m 이하로 식피율 15∼30%이었고, 제주조릿대의 식피율은 90%로 주로평지에 위치하고 있는 군집이었다. 상대우점치 분석결과 교목층에서는 소나무가 서어나무류 보다 우위의 세력으로 경쟁하고 있어 당분간은 소나무군집으로 유지될 것이다. 아교목층에서는 소나무 세력이 미약하였고, 관목층에서는 출현하지 않았다. 향후 본 군집은 소나무 세력의 세력 약화가예상되어 장기적으로 아교목층에서 세력을 확장하고 있는서어나무류가 우점하는 식생구조 변화가 예상되었다. 흉고직경급별 분포 및 천이경향에서 군집 Ⅰ(소나무군집)은 DBH 27㎝ 이상의 소나무 대경목이 높은 출현빈도를 보이고 있어 소나무의 세력이 매우 컸으나, DBH 27㎝ 이하에서는 개서어나무, 서어나무, 물참나무가 주로 출현하고 소나무의 출현은 줄어들어 서어나무류의 세력이 확대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군집 Ⅱ(소나무-서어나무류군집)은 DBH27㎝ 이상의 소나무 대경목이 다수 출현하였으나, DBH 27㎝ 이하에서는 서어나무, 개서어나무, 층층나무의 개체수가다수 출현하였다. 본 군집은 소나무세력은 점차 약화되고서어나무류의 세력이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Shannon의 종다양도는 단위면적 400㎡당 0. 7854∼1. 0713으로 소나무군집(군집 Ⅰ) 0. 7854∼1. 0685, 소나무-서어나무류군집(군집 Ⅱ)는 0. 9557∼1. 0713로 타 국립공원 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상재도 분석결과 소나무, 비목나무, 서어나무, 개서어나무, 당단풍나무가 12∼24회 출현하여 90∼100%로 가장 높았으며, 주목, 마삭줄 등도 70∼90%로 높았다. 또한 고산지역 수종인 주목이 출현하였고 난온대 수종인 마삭줄, 굴거리나무, 꽝꽝나무가 생육하였다. 따라서 난대, 온대 남부, 온대 중부, 고산지대의 식생이 동시에 출현하는 특성이 있었다. 종간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소나무와 윤노리나무는 정의 상관관계이었다. 서어나무와 소나무, 덜꿩나무와 소나무는 부의 상관관계이었다. 토양 분석결과, 토성은 대부분 미사질 양토였으며, 토양산도는 pH 4. 22∼5. 30로 미경작산지토양의 평균 산도인pH 4. 80과 비슷한 강산성이었다. 유기물함량은 7. 15∼29. 26%로 미경작산지 토양의 평균 유기물함량인 6. 4%보다 높은 상태이었다. 식물체에 흡수·이용될 수 있는 형태의 토양인 유효인산은 0. 35∼5. 50㎎/㎏이었으며 미경작산지토양의 평균 유효인산인 5. 60㎎/㎏보다 낮은 상태이었다. 영실 소나무의 형태적 특성은 평균지하고율은 0. 75로 중남부고지형인 속리산 0. 75, 치악산 0. 77과 유사하였다. 통직성은 375개체 중 270개체(75%)가 통직한 금강형으로 나타났다. 평균수관지수는 1. 41로 중남부평지형인 가야산의 1. 48과 유사했다. 또한 남제주군 개체의 평균지하고율 0. 70과 유사했으나 평균수관지수 1. 17보다 컸다. 영실 소나무는 형태적 특성으로 줄기는 금강형, 수관지수는 중남부평지형, 지하고율은 중남부고지형의 독특한 형태이었다. 22년간 식생구조 변화를 분석한 결과 각 군집별 상대우점치의 분석을 통해 1990년과 비교하여 2012년 교목층의 소나무 상대우점치는 별차이가 없었고, 아교목층에서 소나무와 서어나무류의 세력은 약간 증가했다. 따라서 영실 소나무림의 천이진행은 판단 할 수 없었다. 주요수종 규격변화는 1990년도에 비해 평균수고 2∼5m, 평균흉고직경 15∼20㎝ 성장하였다. 천이예측 검증에서 22년 전 연구에서 한라산 어리목, 영실, 돈내코지역의 식생은 소나무는 도태되고 서어나무가 출현하고 있어, 소나무→서어나무로의 천이경향을 예측하였으나 상대우점치 변화 분석 결과 22년간 상대우점치 변화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영실 소나무-서어나무류군집의 천이 진행은 판단 할 수 없었고 수목의 규격은 향상되었다. 한라산국립공원 영실지역은 소나무, 서어나무류가 우점하면서 지속적으로 소나무림으로 유지될 것이다. 따라서 영실지역 소나무림은 산림청에서 지정한 아름다운 숲이고 소나무는 줄기가 통직하고 우량한 개체들로서 육종, 생태, 경관상 중요한 자원으로 소나무림의 보호 관리가 필요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