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23년 조선인 학살을 둘러싼 또 하나의 논쟁, 계엄 선포에 대한 검토 -관동대지진 100주년에 즈음하여-

        노주은 연세사학연구회 2023 學林 Vol.52 No.-

        A century has passed since the Great Kanto Earthquake occurred in Japan on September 1, 1923, which led to the massacre of thousands of Koreans by Japanese vigilantes, police, and military amid widespread rumors about Koreans. As the centennial of the Great Kanto Earthquake approaches, this article delves into a newly emerged debate that has recently emerged in research on the massacres of Koreans. The central issue divides into two primary theories, each offering a distinct interpretation of the intent behind the declaration of martial law. The first theory is that the authorities took the information about riots, attacks, and arson by Koreans as true and declared martial law in order to take action against Koreans, essentially, to “suppress the riots.” Conversely, the second theory asserts that the purpose of the martial law declaration was not to “suppress the riots.” This article examines what each of these theories claims and what problems they have, and proposes an alternative perspective. It seeks to elucidate the true motives behind the martial law declaration by assessing how authorities interpreted the information regarding Koreans and the subsequent correlation to the declaration itself.

      • 학령기 아동의 화용능력과 내현화 문제간 관계: 성별의 조절효과와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검증

        노주은 한국아동학회 2021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1

        연구목적: 언어적 기술이 부족한 아동은 정서적 표현을 인식하고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기 쉽고, 이는 효율적 의사소통 능력의 발달과 긍정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저해하여 정서적 · 행동적 문제로 이어질 위험이 높다. 선행 연구들은 어린 아동의 언어적 결함과 이후 청소년기 정신건강의 관련성을 입증해왔는데, 학령기 아동의 언어적 능력과 정신건강의 관계를 다룬 연구는 아직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일상적 의사소통에서 사용되는 언어적 기술이 다른 하위 언어능력에 비해 정신건강과 더 밀접한 관계에 있을 것으로 보고, 학령기에 보다 성숙해지는 화용능력이 내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한편 이러한 메커니즘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매개변인으로 사회적 관계 및 상호작용과 관련한 변인이 지목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또래관계를 매개로 한 모형을 설정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언어능력과 내현화 문제 간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성별, SES의 효과가 또래관계를 매개로 한 모형에서도 유의하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한국아동패널데이터2008의 2017년도(10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주요 변인들의 결측치를 제외한 초등학교 3학년 537명(남=276, 여=261)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주요 변인들은 아동 화용언어 체크리스트, SDQ, CBCL 6-18 등의 척도로 측정되었으며, 가정의 SES 수준은 어머니의 최종학력 및 가정의 소득을 기준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PSS23와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첫째로 화용능력이 내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과 성별, 가정의 사회경제적 수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로 또래관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processs macro를 이용해 매개모형의 유의성을 검증하였고, 매개모형에서도 선행모형에서 나타났던 성별이나 SES 수준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고자 조절된 매개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화용능력은 내현화 문제와 부적 연관성을 보였으며, 성별의 조절효과 모형에서 R²의 변화량은 유의한 수준(F=4.305, p<.05)으로 나타나 성별에 따라 화용능력이 내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아가 남아에 비해 화용능력은 높으나(t=-3.63, p<.001), 화용능력이 내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은 남아에게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SES는 화용능력과 내현화 문제에 대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또래관계를 매개로 한 매개모형에서는 화용능력의 내현화 문제에 대한 직접효과와 또래관계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또래관계를 매개로 한 모형에서는 성별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화용능력과 내현화 문제 간 잠재적 매개변인으로 지목된 또래관계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는 아동의 언어적 능력이 사회적 관계를 매개하여 내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한 선행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로, 아동의 일상적 의사소통 능력인 화용능력 역시 또래와의 안정적 관계 형성을 매개로 우울 및 불안 등의 내현화 문제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뒷받침한다. 한편 성별과 SES 중 성별만이 화용능력과 내현화 문제의 관계에 대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또래관계를 매개로 한 경로에 대해서는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화용능력과 내현화 문제 간 관계에 대한 성별의 조절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특히 비교적 사춘기를 일찍 겪는 여아의 경우 내현화 문제 발현의 위험요인이 남아에 비해 더 복잡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화용능력의 영향력이 훨씬 미미하게 나타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마을공동체 만들기 조례분석 : 부산지역 14개 사례를 중심으로

        노주은(Noh, Jooeun),박병현(Park, Byunghyun),유영미(Yoo, Youngmi) 한국지방정부학회 2021 지방정부연구 Vol.24 No.4

        환경문제, 전염병 예방, 양극화 같은 이슈와 공동육아, 돌봄 서비스 같은 욕구에 대응하여 공동체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개인 관계망은 축소되고 고독사, 복지사각지대 등의 문제가 가시화되었지만 공공의 개입만으로는 이러한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로서 마을공동체에 주목하였다. 특히 마을공동체 만들기 관련 조례는 마을과 주민 중심으로 성공적인 사업을 이끌어갈 수 있는 중요한 기반이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지역 조례 중 14건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각 항목을 비교하는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업이 성공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조례가 주민, 지역, 평가와 관련된 요소에 초점을 두고사업 개념과 내용이 재정립될 필요가 있다. 사업 주체에 해당하는 지역사회 주민으로부터 문제와 욕구를 확인하고이를 바탕으로 공동의 목표가 제기되어야 하며, 지역의 정체성을 지닌 사업이 마련되어야 한다. 평가에 있어서도 현재와 같은 양적 성과와 더불어 질적 성과도 확인하여 사업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마을공동체만들기 사업 진행에 있어 본 연구가 긍정적 변화의 시작이 되기를 바란다. The concept of community has been drawing attention with issues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problems, epidemic prevention, social polarization and desires like co-parenting, care services. As the personal relationship network is reduced and problems such as solitude death, welfare blind spots become visible, it is hard to solve these problems only with public interven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village community building as the system for solving these problems. Especially, the regulation is important foundation for leading successful projects centered on villages and residents. Therefore, in this study, we grasped the research target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14 cases in the Busan area regulations, and analyzed the contents to compare each it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order for the project to remain successful, the regulations are needed to reestablish the concept and content focusing on the elements related to residents, regions and assessments. It should make common goals which based on problems and desires from residents of the local community corresponding to the project entity and be prepared for the project with local identity. In assessment, not only current quantitative assessment but qualitative assessment should be checked to confirm and reflec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We hope this study will be the beginning of a positive change in the Village community building project in the future.

      • KCI등재

        동아시아 근대사의 ‘공백’

        노주은(Jooeun Noh) 역사비평사 2013 역사비평 Vol.- No.104

        Commemorating the 90th anniversary of the Great Kanto Earthquake in 1922, this paper examines recent Korean and Japanese scholarship on Korean massacres following the earthquake. In Korea, these massacres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뾪ost of the attention consisting of autobiographies involving the event. However, from 2000 there has been a shift in Korean scholarship with more attention given to the massacres by Korean researchers. The new research shows how the massacres have been mainly described in Japanese and Korean literary works. The new research presented in this paper takes an important first step, but still lacks a historical perspective on the massacre of Koreans that occurred after the earthquake. In Japan, since 1963 (the 40th anniversary of the earthquake) Zainichi Korean and Japanese researchers have tried to elucidate the history of the Korean massacres despite their deliberate concealment by the Japanese government. Focusing on recent scholarship in Japan, this paper also investigates changes in research on the event since its 85th anniversary. Yamada Shoji and the Senshu University Research Group show that Japanese scholarship dealing with the massacres has shifted towards "studies of self-awareness". However, the problem with this type of research is that it does not deal with the Korean massacres in the framework of Japanese modern history and, as such, the incident is essentially ignored in East Asian modern history.

      • KCI등재
      • 에멀션 潤滑特性에 관한 實驗的 硏究

        李鍾純,魯主恩 전북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1985 工學硏究 Vol.16 No.-

        The Emulsion lubricant is used for the lubrication and cooling of the parts in metal working. This paper describes the following results that were made from the experimental pparatus which simulates the cold rolling system. (1) In W/O type emulsion lubrication, the best lubricating and cooling effect was found at 10% mixing artio, with respect to various rolling velocities. (2) In the case of 10% emulsion oil (optimum mixing ratio), the rising of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rolling velocity is as follows. (a) T=T_m{10^0.153(V/V_m)-0.072}[V<360m/min] (b) T=T_m{10^0.056(V/V_m)+0.597}[360<V<880m/min] (3)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load, the temperature rixes but 10% emulsion oil has the least tempature rise. (4) In the experiments for 15, 20% emulsion oil, the rates of the temperature rise according to the rolling velocities are steep high. So higher mixing ratio than 10% cannot be u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