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멀티빔(MBES)의 오차보정에 관한 연구

        노정식,최윤수,윤하수,이유정,Roh, Jeong-Sig,Choi, Yun-Soo,Yoon, Ha-Su,Lee, Yoo-Jung 한국공간정보학회 2009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7 No.3

        최근 수심측량 기술은 단일빔음향측심기에서 발달된 다중빔음향측심기가 일반화되면서 우리나라에 인접한 바다와 내륙에 형성된 하천 지역에 대한 정확한 수심측량 및 지형조사에 다중빔음향측심기가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다중빔음향측심기의 정확도를 검증하고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검증방법을 수립하기 위해, 외력(파도, 조류 조석)에 의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은 하천지역에서 취득된 데이터의 정확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동일한 위치에서 토탈스테이션과 수위계를 이용하여 취득된 자료를 통해 정확도를 검증한 후 IHO의 허용오차 기준에 부합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였다. 분석결과, 수심이 깊을수록 다중빔음향측심기의 측심 오차가 미세하게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IHO 허용오차를 기준으로 특급 성과의 획득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Nowadays, a precision multiple-beam epoch sounder is a depth-sounding apparatus, which is widely used especially for the mapping of bottom of the sea in the coastal area and the bed of river. However, there has been no attempt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depth-sounding apparatus with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actual measurement. As a consequence, the efficient and systematic evaluation of the survey results cannot be performed. In this paper, the accuracy of the multiple beam echo sounder is analyzed by comparing the in-situ measurements and reference data.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highest level of accuracy, indicated by IHO, can be achieved even though the magnitude of error increases with the depth of water.

      • KCI등재

        무용활동참가 아동의 욕구충족과 사회성 및 또래관계와의 관계검증

        노정식 ( Roh Jung-sik ) 한국무용과학회 2017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4 No.1

        이 연구는 무용활동에 참가하고 있는 유소년기 아동들을 대상으로 욕구충족과 사회성 및 또래관계의 변화 및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용활동에 참가하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편의표집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작성은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450부가 연구에 활용되었다. 연구의 분석방법으로는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EFA), 신뢰도 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18.0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FA) 및 공분산구조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활동 참가아동의 욕구충족과 사회성의 관계에서는 욕구충족이 사회성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활동 참가아동의 욕구충족과 또래관계의 관계에서는 무용활동 참가아동의 욕구충족이 또래관계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활동 참가아동의 사회성과 또래관계의 관계에서는 무용활동 참가아동의 사회성이 또래관계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유소년기 아동들의 사회성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무용활동의 역할을 규명함과 동시에 균형있는 사회성 발달을 위한 유소년기 아동들의 대처방안을 수립하는데 준거를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how basic psychological needs had influences on sociality and peer relation of children attending dancing activity. this purpose, the population among children attending dancing activity was selected,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of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otal 450 copies of data were collected, and all data were utilized in data analysis. The construct validations of each questionnaire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ith SPSS 18.0. In addition, the relevance of abstracted factor structure was analyz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AMOS 18.0. The relationship among each psychological factor wa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through AMOS 18.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ociality, basic psychological needs had positive effect on sociality. Secon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eer relation, basic psychological needs had positive effect on peer relation. Thir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ity and peer relation, sociality had positive effect on peer relation.

      • KCI등재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가 완벽성향과 공연몰입에 미치는 영향

        노정식(Jung Sik Roh),홍혜전(Hye Jeon Hong) 한국무용과학회 2011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4 No.-

        이 연구에서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가 완벽성향과 공연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집락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9개 4년제 대학교에서 무용전공 학생 503명을 표집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일원변량분석과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공변량구조분석을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무용경험 특성에 따라 자기관리와 완벽성향은 유의한 차이가 있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자기관리 중 생활관리, 완벽성향 중 정돈이 높다. 또한 학년에 따라서는 1학년이 2, 3, 4학년 학생들에 비해 완벽성향이 높으며, 전공에 따라서 는 현대무용이 한국무용이나 발레전공 학생들에 비해 자기관리와 공연몰입이 높다. 또한 무용참여기간이 길수록 그리고 무용공연 횟수가 많을수록 자기관리와 완벽성향 및 공연몰입이 높다. 둘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가 완벽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정신관리와 대인관리는 높은 기준과 좌절감이 높으며, 생활관리와 대인관리가 높을수록 정돈과 정신관리에서 격차를 나타냈다. 셋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자기관리가 공연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정신관리, 대인관리, 연습관리는 명확한 목표를 높이며, 자기관리 하위요인은 모두 통제감각을, 그리고 정신관리와 연습관리는 자의식 상실을 높인다. 넷째,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완벽성향은 공연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대학생들의 완벽성향이 높을수록 공연몰입은 높다. 다섯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공연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완벽성향, 자기관리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관리는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완벽성향을 높여 공연몰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To attain this aim of study, this study sampled the 503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dance in the 4-year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Kangwon, Kyonggi, Daejeon, Chungnam, Chungbuk, Cheonnam.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self-management, perfectionism and performance flow. The method of the statistical analysis used in this study were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SEM analysi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fectionistic tendencies according to danc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post, and interest in significant others, and according to dancer experience characteristics such as speciality, period of dance career, frequency of choreography, and frequency of public performance. Second,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ancer's perfectionistic tendencies on self-management. Third,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ancer's perfectionistic tendencies on performance anxiety. Fourth,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ancer's perfectionistic tendencies on performance flow. Fifth, dancer's self-management, perfectionismvand performance flow on dance confidence directly and influenced on it indirectly through dance performance ability.

      • KCI등재

        무용전공 예술고등학생의 언어폭력 경험과 자존감 및 무용연습정도의 관계

        노정식(Jung Sik Roh) 한국무용과학회 2009 한국무용과학회지 Vol.18 No.-

        무용전공 예술고등학생의 언어폭력경험과 자존감 및 무용연습정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무용전공 예술고등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무용전공 예술고등학생은 언어폭력 (경멸90.0%, 적대50.0%, 거부31.6%) 피해 경험이 있다. 언어폭력의 주된 가해자는 무용강사, 학원 선생님(48.5%), 학교무용선생님(48.1%), 선후배(21.5%)로 언어폭력 경험에 대한 느낌은 "무용연습이 하기 싫어졌다(41.3%)", "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31.9%)", "무용을 그만둘 생각이 들었다(18.3)"순으로 나타났다. 선생님께 언어폭력을 받은 이유는 "나의 실력을 향상 시켜주기 위해서", 그 다음으로 "정신 차려서 더 열심히 하라고" 하는 이유 때문이며, 선. 후배, 친구에게 언어폭력을 받은 이유는 "자기가 기분 나빠서", "아무 이유 없이", "자기에게 복종하라고"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 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언어폭력의 유형과 자존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1,3학년에 비해 주로 2학년이 거부와 경멸, 적대적 언어폭력 경험을 더 많이 받았다. 자존감은 남자가 여자보다 자신감이 부족하였으며, 주관적 사회계층이 하~중상 보다는 상인 집단이 자존감이 더 높았다. 셋째, 무용유형에 따른 언어폭력의 유형과 자존감의 차이는 무용전공에 따라 언어폭력과 자존감은 차이가 없다. 그러나 무용기간에 따라서는 무용기간 1년 이하 보다는 2년 이상 무용을 전공한 학생이 경멸과 적대적 언어폭력 경험을 더 많이 받았다. 넷째, 경멸적 언어폭력 경험은 자존감에 영향을 미친다. 반면 거부적 언어와 적대적 언어는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섯째, 언어폭력 경험과 자존감, 무용연습정도는 인과적 관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actual condition of verbal violence and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verbal violence experience, self-esteem, and dance participation dance majoring students in art highschool. 250 students were selected from 6 art high schools as subjects using purposive sampl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used previous studies. x²-test, one-way ANOVA,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methods were used to solve problems of the stud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alyzed, th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Over 90% dancers in art high school are verbaly violenced. The primary reason of verbal violence is "for upgrade technique", follows by "That pay attention and do harder". Seco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verbal violence between sex and class except grad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self-esteem between sex and class. Thir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verbal violence and self-esteem among dance majors. Bu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verbal violence and self-esteem among dance career. Forth, contemptuous verbal violence experience influences in self-esteem. Fifth, there are causal relationships among verbal violence, self-esteem and extent of dance participation to dance majoring in art highschool students.

      • KCI등재

        사회과학분야 : 무용전공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전공만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조미수 ( Mi Soo Jo ),노정식 ( Jung Sik Roh ) 한국무용과학회 2014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1 No.1

        이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전공만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교 6개교를 임의 선정하여 무용학과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 대학생 407명을 표집 하였다. 조사도구는 스트레스, 전공만족, 진로태도성숙 변인에 대한 설문지를 연구 대상에 맞도록 수정, 보완하여 사용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각 문제는 유의수준 α=0.5으로 설정하였으며, 중다회귀분석은 일괄투입(enterwise) 방식을 이용하였으며,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스트레스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스트레스의 하위변인인 건강 스트레스는 독립성과 준비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심리 스트레스는 목적성에 정적(+) 영향을, 체격 스트레스는 결정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만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공만족의 하위변인인 전공인식만족이 독립성과 결정성, 확신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만족은 목적성과 결정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과·수업만족은 목적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건강이나 개인심리 스트레스와 같은 개인적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결정성이나 독립성, 준비성 등의 진로태도성숙이 높고, 전공만족은 무용전공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무용전공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전공만족이 진로태도성숙에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influences of stress and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attitude maturity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To achieve that study purpose, whole 470 objects were sampled from 6 universities with dance major. The survey method was used with questionnaires about the stress,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significance level of each problem was α=0.5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ed enterwise method. With those study methods and processes, the results as follows were drawn. Firstly, in the analysis results on the effects of stres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health stress, which is the sub factor of stress, has positive effects on independency and preparedness. Also personal mental stress has positive effects on finality. However, physical stress has negative effects on determinacy. Secondly, in the analysis results on the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attitude maturity, major cognition satisfaction, which is sub factor of major satisfaction, has positive effects on independency, certainty and determinacy,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has positive effects on finality and determinacy. However, subject·class satisfaction has negative effects on finality. As the result, the stress of personal environment such as health and personal mental is higher,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about determinacy, independency and preparedness is higher. Major satisfaction affects o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of students majoring in dance, Thus, major satisfaction and the stress could be important roles for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 KCI우수등재

        무용 프로그램이 중·노년 여성의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메타분석

        정희정 ( Hee Joung Joung ),노정식 ( Jung Sik Roh ) 한국체육학회 2021 한국체육학회지 Vol.6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사용하여 무용 프로그램이 중·노년 여성의 혈중지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2000년 1월부터 2021년 6월까지 국내에 발표된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 선정기준에 적합한 총 15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ver 3.0을 이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변인은 혈중지질 변인 중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C), 중성지방(triglyceride: TG),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무용 프로그램이 중·노년 여성의 혈중지질에 미치는 전체 효과크기는 0.743으로 중간 정도의 효과를 보였다. 둘째, 혈중지질의 하위분석 결과 LDL-C(0.894), TC(0.783), HDL-C(0.704), TG(0.696) 순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에 따른 효과크기에서는 70대(0.91)는 큰 정도의, 50대(0.667)와 60대(0.607)는 중간 정도의 효과를 보였다. 넷째, 프로그램 시행 변인에서 무용 프로그램 유형은 발레(0.928)에서 큰 정도의, 한국무용(0.715)과 생활무용(0.43)에서는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프로그램 시행은 1회기 진행 시간은 40분 이상 60분 이하, 주당 회기 수는 주 3회, 지속 기간은 12-24주, 총회기 수는 총 24-36회로 실시하는 것이 중·노년 여성의 혈중지질을 개선에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무용 프로그램은 중·노년 여성의 혈중지질 개선에 효과적인 활동이라는 것을 확인하였고, 하위변인과 무용 프로그램 수행에 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추후 관련 연구와 중·노년 여성을 대상으로 한 무용 프로그램 현장 적용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ance intervention on variables of blood lipid in middle-aged women and elderly women using the meta-analysis. 15 studies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among the studies published in Korea from January 2000 to June 2021 by using the CMA 3.0 program. The outcome cluster included total cholesterol(TC), triglyceride(TG),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HDL-C),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LDL-C). Effect size was calculated using Standardized mean difference(SMD).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dance program on blood lipid was medium(0.743). Second, as a result of the sub-group analysis, it was found that LDL-C(0.897) was the largest effect, TC(0.783), HDL-C(0.704), TG(0.696). Third, as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age, the 70s(0.91)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the 50s(0.667) and the 60s(0.607) the medium. Forth, as variables on a intervention implement, Ballet(0.928)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and Korean dance(0.715) and other dance type(0.43) a medium effect size. More than 40 to less 60 minutes per a class, three times per a week, 12-24 weeks for the duration, and over 24-35 times for the total frequency has been effective for improving blood lipids.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evidence on the dance intervention to implement for the improvement of blood lipid in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 KCI등재

        무용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자기의식과 신체이미지, 자기효능감 및 무용수행 불안의 관계

        전미라(Mi Ra Jeon),노정식(Jung Sik Roh) 한국무용과학회 2010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1 No.-

        본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자기의식이 신체이미지, 자기효능감 및 무용수행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불안으로 인해 자신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무용 전공자들이 최상의 심리상태를 갖게 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도, 강원도, 경상도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5개를 임의 선정하여 무용전공 대학생 335명을 유의표집방법을 통해 표집하였으며, 응답의 내용이 5문항 넘는 39명의 표본을 제외한 296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수집하였다. 설문지를 조사도구로 사용하여 배경적 특성 4문항, 자기의식 13문항, 자기효능감 12문항, 무용수행 불안 22항, 총 67문항을 구성하였다.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사용하여 자료를 처리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성은 남성보다 무용수행 불안 수준이 높았으며, 4학년이 2학년 보다 자기효능감이 높아 무용수행불안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11년 이상의 무용경력자 집단이 4-6년 경력자 집단에 비해 무용수행 불안을 더욱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사적자기의식은 외모 및 체중에 대한 불만족을 낮추며 외모에 자신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 공적자기의식과 사회적 불안은 자신의 신체이미지를 부정적으로 지각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적자기의식은 자기효능감을 상승시키고, 공적자기의식은 자기효능감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나 타인의 시선보다는 자신의 내면에 집중하는 경향이 자기효능감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사적자기의식은 신체불안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오는 불안감이 낮아지는 반면 주위 기대에 대한 부담은 높아진다. 공적자기의식이 강할수록 신체불안, 실패에 대한 공포가 높아지며, 사회적 불안이 클수록 신체불안, 주위기대부담, 주위환경불안, 자신감결여, 실패공포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무용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자기의식은 무용수행 불안에 직접적인 영향은 물론 자기효능감을 통해 무용수행 불안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ssist dance majors failing to exercise the full capability due to anxiety in coming to have the best mentality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elf-consciousness of college majors in dance on the Body Image, self-efficacy and dance performance Anxiety.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296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at the four-year colleges located in three areas including Seoul.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research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had the high level of anxiety at the time of dance performance when they had dance experiences characteristics such as the long dance career and the high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the dance contest. Second, it was found that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anxiety caused them to perceive their body image negatively. Third, it was implies that the tendency to focus on their inside rather than others' eyes enhances self-efficacy. Fourth, Public self-consciousness brings about body anxiety and anxiety about failure, and greater social anxiety cause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to feel more anxious at the time of dance performance. Fifth, the self-consciousness perceived by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has a direct effect on dance performance anxiety and an indirect effect on dance performance anxiety through self-efficacy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